맨위로가기

헤이룽장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이룽장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최북단에 위치한 성으로, 흑룡강을 따라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부여, 발해, 금나라 등의 국가가 이 지역을 지배했으며, 1683년 헤이룽장 장군이 설치되어 청나라의 통치를 받았다. 1858년과 1860년 러시아에 영토를 할양하면서 현재의 경계를 갖게 되었고, 1932년에는 만주국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 편입되었으며, 1954년 쑹장성과 통합되어 현재의 헤이룽장성이 되었다.

헤이룽장성은 산악 지형과 평원이 혼재하며, 아무르강, 쑹화강 등이 흐른다. 아한대 기후로 겨울이 춥고 길며, 다싱안링산맥에는 중국 최대 규모의 원시림이 있다. 주요 산업은 중공업, 농업, 임업이며, 다칭 유전이 위치해 있다. 2022년 GDP는 1조 5900억 위안이었으며, 옥수수, 콩 등의 식량 생산 기지 역할을 한다.

헤이룽장성은 12개의 지급시와 1개의 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얼빈, 치치하얼, 무단장 등이 주요 도시이다. 하얼빈은 중국 동북부 문화의 중심지로, 얼음 조각 전시회와 시베리아 호랑이 공원으로 유명하다. 또한, 다양한 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동계 스포츠와 관련한 국제 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룽장성 - 헤이룽장 텔레비전
    헤이룽장 텔레비전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에 위치한 방송국으로, 1945년 라디오 방송으로 시작하여 1958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했으며, 현재 여러 채널을 운영하고 위성 및 모바일 방송도 제공한다.
  • 헤이룽장성 - 흑룡강인민방송
    흑룡강인민방송은 흑룡강성 지역에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국으로, 중국어와 한국어로 방송하며 롱광 차오 위 광보를 통해 한국 관련 프로그램과 정보를 제공하고, 하얼빈시에 방송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헤이룽장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행정 구역
구분13개 지급시
130개 현급 행정구
1274개 향급 행정구
행정 체계
정치
정부 수반중국 공산당 서기: 쉬친
인민대표대회 주임쉬친
성장량후이링
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란샤오민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84명
정치 체제중국 성
인구 통계
민족 구성한족: 95%
만주족: 3%
조선족: 1%
몽골족: 0.4%
후이족: 0.3%
언어 및 방언동북관화
지루관화
자오랴오관화
몽골어
만주어
러시아어
경제
국내 총생산 (GDP, 2023년)1조 5880억 위안 (25위)
2250억 달러
1인당 GDP (2023년)51,563 위안 (30위)
7,317 달러
기타 정보
인간 개발 지수 (2022년)0.769 (18위) - 높음
공식 웹사이트헤이룽장성 정부 공식 웹사이트
로마자 표기헤이룽장
Hei1-lung2-chiang1
Ha lon kaon
Haak1-lung4-gong1
Hāak-lùhng-gōng
حِ‌ِلْوڭِیَانْ
Hik-lîng-kang
몽골어(Sahaliyan'ula golo)
(Qaramörin muǰi)
Хармөрөн муж
이미지
헤이룽장성 하이린시의 겨울 풍경
겨울철 하이린시
헤이룽장성의 위치 지도
헤이룽장성 지도
헤이룽장 한자 표기
간체 (위) 및 번체 (아래) 한자로 표기된 "헤이룽장"

2. 역사

지시


선진 시대에는 숙신(勿吉), 예맥(濊貊), 동호(東胡)의 3대 민족 계통의 원주민이 있었다. 숙신은 한(漢)나라 시대에는 읍루(挹婁), 위(魏)·진(晉)나라 시대에는 勿吉, 수(隋)·당(唐)나라 시대에는 말갈(靺鞨), 금(金)나라 시대에는 여진(女真)이라 불렸다. 후금(後金)이 되면서 만주(滿洲)라는 명칭이 생겨나 청(清)나라 시대에 이르렀다.

흑룡강(黑龍江) 지역에 처음으로 건립된 정권은 예맥 계통의 부여(夫餘)국이었고, 후에 고구려(高句麗)가 갈라져 나왔다. 당나라 시대에는 발해(渤海)가 일어났고, 북방에는 실위(室韋)도독부(都督府), 흑수말갈(黑水靺鞨)도독부가 설치되었다.

청나라에 체류했던 예수회 선교사 장 프랑수아 제르빌롱(Jean-François Gerbillon, 1697년–1782년)이 작성한 청나라 전도 중 아무르 강 유역 확대도. 아무르 강 중류를 가로지르는 중앙 부분이 흑룡강장군(黑龍江將軍), 아무르 강 하류에서 연해주(沿海州)에 이르는 오른쪽 부분이 길림장군(吉林將軍)


거란(契丹)은 발해를 멸망시킨 후 동단국(東丹國)을 건립했다. 금나라 시대는 상경회녕부(上京會寧府)(현재 하얼빈(哈爾濱) 아청구(阿城区) 백성(白城))에 도읍을 정했다가 후에 연경(燕京)(베이징 부근)으로 천도했다. 원(元)나라 시대에는 개원로(開元路), 수달달로(水達達路)가 설치되어 랴오양행성(遼陽行省)에 속했다. 명(明)나라 시대에는 누아간도지휘사사(奴兒干都指揮使司)가 설치되어 여진족을 간접적으로 지배했고, 청나라 초에는 닝구타(寧古塔) 대장군(寧古塔昂邦章京)이 설치되었다가 후에 길림(吉林)으로 옮겨 길림장군으로 개칭되었다. 더불어 흑룡강장군이 증설되어 흑룡강 유역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다.

1680년대에 청나라는 러시아 제국네르친스크 조약을 맺어 러시아와의 국경을 확정했지만, 1858년의 아이훈 조약(아이군 조약)과 1860년의 중러 베이징 조약에 의해 흑룡강 이북, 우수리 강 이동의 영토를 상실했다.

20세기 초까지 한족(漢族)이 대량으로 이주한 흑룡강에 대한 행정 관리 강화를 도모한 청나라는 1907년(광서(光緒) 33년) 4월 20일, 흑룡강장군을 폐지하고 새롭게 흑룡강행성(黑龍江行省)을 설치했다. 설치 당시 전성의 면적은 약 57만 평방킬로미터, 인구는 약 127만 명이었으며, 성회(省會)는 치치하얼 성(城)에 설치되었고, 하부에는 부(府), 청(廳), 현(縣), 도(道)의 행정 구획이 설치되었다. 이듬해 8월에는 머얼거은 부도통(墨爾根副都統), 후룬베이얼 부도통(呼倫貝爾副都統), 흑룡강(아이훈) 부도통(璦琿副都統)이 다리가 되어 후룬처(呼倫處), 아이훈처(璦琿處)는 각각 후룬 병비도(呼倫兵備道), 아이훈 병비도(璦琿兵備道)로 개칭되었다. 1911년(선통(宣統) 3년)에는 전성이 3도(흥동(興東), 아이훈(璦琿), 후룬(呼倫)), 7부(룡강(竜江), 호란(呼蘭), 수화(綏化), 해륜(海倫), 넌강(嫩江), 흑하(黑河), 로방(臚浜)), 6청(넉하(訥河), 아이훈(璦琿), 후룬(呼倫), 타라이(大賚), 자오저우(肇州), 안다(安達)), 1주(바옌(巴彦)), 7현(란시(蘭西), 무란(木蘭), 칭안(慶安), 칭강(青岡), 바이추안(拝泉), 통허(通河),탕위안(湯原)), 4기(궈얼뤄쓰 후기(郭爾羅斯後旗), 투얼버터 기(杜爾伯特旗), 잘라이터 기(扎賚特旗), 이커밍안 기(伊克明安旗))를 관할했다.

1912년, 중화민국이 성립되자 흑하부, 흥동도가 폐지되고 호마청(呼瑪廳), 로베이청(蘿北廳)이 설치되었고, 아이훈도는 흑하로 이전하여 흑하도(黑河道)로 개칭되었으며, 후룬도는 반란을 이유로 폐지되었다. 1913년, 행정 조직 개편에 따라 부, 청, 주가 현으로 개편되었고, 또 이듬해에는 『성관제(省官制)』의 시행에 따라 행성의 명칭이 폐지되고 흑룡강성이 정식 명칭으로 정해져 3도, 23현, 5설치국(設治局), 4기를 관할하게 되었다. 1929년 2월의 행정 개혁에 따라 전성은 42현(일등현 15, 이등현 11, 삼등현 16), 11설치국, 4기를 관할하게 되었다.

1931년 일본군만주사변으로 흑룡강을 침략했고, 1932년 일본은 흑룡강 정복을 완료, 흑룡강은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일부가 되었다. 1933년, 만주국이 건국되자 대폭적인 행정 조직 변경이 있었다. 1932년 12월에는 흑룡강성 서부의 후룬현(呼倫縣), 로방현(臚浜縣), 실위현(室韋縣), 기건현(奇乾縣)에 흥안북분성(興安北分省), 이듬해 1월에는 야루현(雅魯縣), 부서현(布西縣), 소륜현(索倫縣)에 흥안동분성(興安東分省)이 새롭게 설치되었고, 1934년 12월 1일에는 흑룡강성이 룡강성(竜江省)과 흑하성(黑河省)으로 분할되었고, 더 나아가 1939년 6월 1일에는 룡강성과 함강성(浜江省)의 일부에 북안성(北安省)이 신설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전으로 만주국이 해체되고 국민당 정부의 통치권이 부활하자 같은 해 11월에 북안성과 흑하성이 통합되어 흑룡강성이 새롭게 설치되어 북안(北安),덕도(徳都), 극동(克東), 극산(克山), 배천(拝泉), 의안(依安), 명수(明水), 망규(望奎), 해륜(海倫), 통북(通北), 수릉(綏棱), 수화(綏化), 칭안(慶安), 아이훈(璦琿), 손오(孫呉), 손극(遜克), 호마(呼瑪), 오운(烏雲), 구포(鴎浦), 막하(漠河)의 20현을 관할했다. 1947년 2월 2일, 흑룡강, 넌강(嫩江) 양성 정부는 합병을 결정하고 흑룡강넌강연합성(黑龍江嫩江聯合省)(약칭 흑농성)을 설치했지만, 같은 해 9월 16일에 동북행정위원회는 양성의 분할을 결정했고, 1949년 4월 21일에 발표된 『중획동북행정구획령(重劃東北行政区画令)』에 따라 다시 합병되는 동시에, 쑹장성(松江省) 불산현(仏山縣)을 흑룡강에 통합하는 것이 결정되어 5월 15일에 1시 41현을 관할하는 인구 552만의 흑룡강성이 성립되었다.

1945년 일제 패망 이후 소련 군대가 동북지방에 들어와서 거의 대부분의 통제권을 중국의 공산주의자들에게 주었다. 헤이룽장성은 처음으로 중국인 공산주의자들에 의하여 완전히 통치되는 지역이 되었다. 동북지역으로부터 공산주의자들은 국공 내전을 실행할 준비를 했다.

공산당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헤이룽장성은 치치하얼을 성도로 하여 현재의 서부 지역만을 차지하게 되었다. 나머지 지역은 하얼빈을 성도로 하는 쑹장성(쑹장 성)이 통치하였다. 1954년 8월 1일, 쑹장성이 폐지되고 흑룡강성에 통합되는 동시에 하얼빈시가 흑룡강성으로 이관되었고, 성회도 하얼빈시로 이전되었다. 이때 성 남부의 7현이 지린성으로 이관되는 등의 행정 조정이 실시되어 3전구(専区), 5시, 64현, 2기, 1광구(鉱区)를 관할하는 총면적 46만 여 평방킬로미터, 인구 1,250만으로 성장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 동안 헤이룽장성은 네이멍구 자치구의 후룬베이얼 맹을 흡수하여 팽창하였으나 복귀되었다. 그 후 다칭 유전이 발견되는 등 중국의 공업화에 큰 역할을 한 흑룡강성은 성내의 행정 구획의 변천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고대 ~ 청나라

헤이룽장성 지역은 역사적 기록이 많지 않다. 진(秦)나라 때부터 숙신, 예맥, 동호의 3대 민족이 살았다. 숙신은 한(漢)나라 때 읍루, 위진(魏晉) 시대에는 물길, 수당(隋唐) 시대에는 말갈, 송(宋)나라 때에는 여진이라 불렸고, 청(淸)나라 때에는 만주라고 불렸다.

헤이룽장성 일대에서 처음으로 일어선 국가는 예맥 계통의 부여이다. 고구려부여에서 갈라져 나왔다. 헤이룽장성 동부는 발해가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지배했다. 그 후 여진족의 금 왕조가 회령부(지금의 하얼빈시 아청구 바이청) 지역에서 일어나 중국 북부를 지배했다.

원(元)나라 때에는 개원로(開元路), 수달달로(水達達路)가 설치되어 랴오양행성(遼陽行省)에 속했다. 명(明)나라 때에는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가 여진족을 간접적으로 지배했다.

청나라 초기에는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이 설치되었다가 후에 현재의 지린성으로 옮겨 지린장군으로 바뀌었다. 1683년(강희 22년) 헤이룽장 장군이 증설되어 헤이룽장성 유역의 넓은 지역을 관할했다. 그 범위는 북쪽으로 스타노보이산맥까지 이르렀다. 동북 지방한족이 이주할 수 없었다.

그러나 1858년과 1860년에 청나라 정부가 아무르강우수리강 사이의 땅을 러시아에 넘기면서 헤이룽장성은 현재의 북동쪽 경계를 가지게 되었다. 동시에 한족에 대한 동북 지역의 봉금령이 풀리면서 한족들이 대거 이주하기 시작하여 20세기 초에는 한족 인구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2. 2. 청나라 ~ 현대

헤이룽장성 일대에서 처음으로 일어선 국가는 예맥 계통의 부여이다. 고구려부여로부터 갈라져 나왔다. 헤이룽장성의 동부는 발해가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지배했었다. 그 후 여진족의 금 왕조가 회령부(지금의 하얼빈시 아청구 바이청) 지역에서 발흥하여 중국 북부를 지배했었다.

원대에는 개원로(開元路), 수달달로(水達達路)가 설치되어 랴오양행성(遼陽行省)에 속하게 되었다.

명대에는 노아간도사(奴兒干都司)가 여진족들을 간접적으로 지배했었다.

청 초기에는 영고탑앙방장경(寧古塔昻邦章京)이 설치되었다가 후에 현재의 지린성으로 옮긴 후 지린장군으로 개칭한다. 1683년 (강희 22년) 새로 헤이룽장 장군이 증설되어 헤이룽장성 유역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하였다. 그 범위는 북쪽으로 스타노보이산맥에까지 이르렀다. 동북 지방한족이 이주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1683년에 설립된 흑룡강 군사 총독의 본거지는 흑룡강시(아이훈 또는 흑하, 만주어로 사할리엔 울라라고도 함)로 아무르 강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1690년에 이미 총독의 본거지는 넌강현(머르겐)의 넌강으로 옮겨졌고, 1699년에는 더 남쪽인 치치하얼로 옮겨졌다.[10]

1858년과 1860년에 청 정부가 아무르강우수리강 사이의 땅을 포기하고 러시아에게로 넘기게 되면서 헤이룽장성은 현재의 북동쪽 경계를 가지게 되었다. 동시에 한족에 대한 동북 지역의 봉금령이 풀리면서 한족들이 대거 이주하기 시작하여 이미 20세기 초반에는 한족 인구가 주가 되게 되었다.[11] 1932년에는 헤이룽장성이 일제의 괴뢰정부인 만주국의 한 부분이 되기도 했다. 1945년 일제의 패망 이후 소련 군대가 동북지방에 들어와서 거의 대부분의 통제권을 중국의 공산주의자들에게 주게 된다. 헤이룽장성은 처음으로 중국인 공산주의자들에 의하여 완전히 통치되는 지역이 된다. 동북지역으로부터 공산주의자들은 국공 내전을 실행할 준비를 하게 된다.

공산당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헤이룽장성은 치치하얼을 성도로 하여 현재의 서부 지역만을 차지하게 되었다. 나머지 지역은 하얼빈을 성도로 하는 쑹장 성이 통치를 하였다. 1954년에 두 지역이 합쳐지면서 현재의 헤이룽장성을 이루게 되었다. 문화 대혁명 시기 동안 헤이룽장성은 네이멍구 자치구의 후룬베이얼 맹을 흡수하여 팽창하였으나 복귀되었다.

1959년 다칭 유전이 개발되면서 전국 최대의 생산을 자랑하기도 했으나, 근래에 생산량이 급감하였다.

하얼빈 성 소피아 성당

3. 지리

헤이룽장성의 지형은 산악 지대와 평원이 교차하는 형태이다. 주요 산지로는 다싱안링산맥, 샤오싱안링산맥, 장광차이산, 랴오예링, 완다산 등이 있다. 가장 높은 곳은 지린성과의 경계에 있는 다투딩쯔산으로 1690m이다.

산맥들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원이 펼쳐져 있는데, 둥베이 평원을 이루는 싼장 평원, 싱카이호 평원, 쑹넌 평원 등이 주요 평원이다. 아무르강의 지류인 쑹화강, 눈강(넌장강), 무단강 등이 평원을 흐른다. 성의 북쪽 경계는 아무르강이며, 싱카이호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크라이와의 경계에 있다.

헤이룽장성은 아한대기후이다. 겨울은 춥고 길며 1월 평균 기온은 -31도에서 -15도 사이이고, 여름은 짧고 시원하며 평균 기온은 18도에서 23도 정도이다. 연평균 강우량은 500mm~600mm이며 여름에 대부분 내린다.

북쪽은 아무르강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 연방 극동 연방관구의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주, 유대인 자치주와 접하고, 동쪽은 우수리강을 사이에 두고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의 프리모르스키 지방과 접한다. 남쪽은 지린성, 서쪽은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와 접한다.[1]

4. 행정 구역

헤이룽장성은 12개의 지급시와 1개의 지구, 총 13개의 지급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이룽장성의 행정 구역
헤이룽장성의 행정 구역
이름한자병음면적
(km2)
인구
(2020년)
시청소재지
부성급시
1하얼빈시哈尔滨市Hā'ěrbīn Shì53523.5km210,009,900쑹베이 구
지급시
2치치하얼 시齐齐哈尔市Qíqíhā'ěr Shì42205.81km24,067,500젠화 구
3무단장 시牡丹江市Mǔdānjiāng Shì38679.8km22,290,200둥안 구
4자무쓰 시佳木斯市Jiāmùsī Shì32704km22,156,500첸진 구
5다칭 시大庆市Dàqìng Shì21222.03km22,781,600싸얼투 구
6지시 시鸡西市Jīxī Shì22488.46km21,502,100지관 구
7솽야산 시双鸭山市Shuāngyāshān Shì22036.19km21,208,800젠산 구
8이춘 시伊春市Yīchūn Shì32759.66km2878,900이춘 구
9치타이허 시七台河市Qītáihé Shì6221.42km2689,600타오산 구
10허강 시鹤岗市Hègǎng Shì14679.98km2891,300싱산 구
11헤이허 시黑河市Hēihé Shì66802.65km21,286,400아이후이 구
12쑤이화 시绥化市Suíhuà Shì34964.17km23,756,200베이린 구
지구
13다싱안링 지구大兴安岭地区Dàxīng'ānlǐng Dìqū46755km2331,300자거다치 구


4. 1. 하위 행정 구역

헤이룽장성은 12개의 지급시와 1개의 지구, 총 13개의 지급 행정구역으로 구성된다.

헤이룽장성의 행정 구역
이름한자병음면적
(km2)
인구
(2020년)
시청소재지
부성급시
1하얼빈시哈尔滨市Hā'ěrbīn Shì53523.5km210,009,900쑹베이 구
지급시
2치치하얼 시齐齐哈尔市Qíqíhā'ěr Shì42205.81km24,067,500젠화 구
3무단장 시牡丹江市Mǔdānjiāng Shì38679.8km22,290,200둥안 구
4자무쓰 시佳木斯市Jiāmùsī Shì32704km22,156,500첸진 구
5다칭 시大庆市Dàqìng Shì21222.03km22,781,600싸얼투 구
6지시 시鸡西市Jīxī Shì22488.46km21,502,100지관 구
7솽야산 시双鸭山市Shuāngyāshān Shì22036.19km21,208,800젠산 구
8이춘 시伊春市Yīchūn Shì32759.66km2878,900이춘 구
9치타이허 시七台河市Qītáihé Shì6221.42km2689,600타오산 구
10허강 시鹤岗市Hègǎng Shì14679.98km2891,300싱산 구
11헤이허 시黑河市Hēihé Shì66802.65km21,286,400아이후이 구
12쑤이화 시绥化市Suíhuà Shì34964.17km23,756,200베이린 구
지구
13다싱안링 지구大兴安岭地区Dàxīng'ānlǐng Dìqū46755km2331,300자거다치 구



이 13개의 지급 행정구역은 다시 128개의 현급 행정구역(64개 시할구, 18개 현급시, 45개 현, 1개 자치현)으로 나뉜다.[23]

5. 경제

헤이룽장성은 중공업 위주의 공업과 넓고 비옥한 토지를 바탕으로 한 농업이 발달했다.

1990년대부터 중국 정부의 원시림 채벌 금지 정책으로 목재 산업은 영향을 받았지만, 헤이룽장성은 여전히 중국의 중요한 목재 공급지이다. 소나무, 한국 소나무, 낙엽송이 주요 수종이며, 삼림은 주로 대흥안링산맥과 소흥안링산맥에 분포한다. 이곳에는 시베리아호랑이, 두루미, 스라소니 등 희귀 동물도 서식한다.

헤이룽장성은 다칭 유전과 치치하얼 유전이 위치한 중국의 주요 석유 생산지이다. 석유 외에도 석탄, 금, 흑연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하며, 풍력 에너지 발전 잠재력도 크다.

헤이룽장성은 비옥한 토지와 넓은 경작지를 가진 중국의 대표적인 농업 지역이다. '북방의 거대한 곡창'(北大倉)이라고 불릴 만큼 옥수수, 수수, 등 식량 생산량이 많다. 동북평원의 일부인 각 연하 평야에서는 고품질의 동북 쌀이 생산되며, 동북평원 농업의 기계화 수준은 매우 높다. 사탕무아마 생산량은 중국 내 1위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지력 저하로 인해 목축업으로 전환하는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 헤이룽장성은 세계적으로 비옥한 토양인 체르노젬 지대에 위치하며, 20세기 초부터 경작 면적이 크게 확대되었다. 특히 자포니카 쌀의 주요 생산지이며, 내한성 품종 도입과 기후 변화 등으로 쌀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헤이룽장성은 담수 어류 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연어가 많이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경 지대 항구 개방으로 대외 무역이 빠르게 성장했으며, 무단장시 아래의 수분하는 중국러시아 간 무역의 주요 항구이다.

2022년 헤이룽장성의 GDP는 1조 5900억 위안(명목 GDP 기준 2.36조달러)이었으며, 1인당 GDP는 51,906위안(명목 기준 7717USD)이었다. 1차, 2차, 3차 산업은 각각 3,600억 위안(22.7%), 4,650억 위안(29.2%), 7,640억 위안(48%)을 GDP에 기여했다. 2003년 이후 GDP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민영 경제 규모도 확대되어 2006년에는 GDP의 37.6%를 차지했다.

주요 산업은 석탄, 석유, 목재, 기계, 식품 등이며, 러시아와의 무역에서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한다. 1990년대 민영화 이후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동북 지역 활성화 계획 등을 통해 경제 회복을 추진하고 있다.

헤이룽장성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경제 개발구가 있다.

6. 교통

헤이룽장성은 철도 노선이 가장 긴 성으로, 거의 모든 주요 도시에 기차가 개통되었고 하얼빈에는 기관차 차량 제조 공장이 있다.[12] 도로와 내륙하천의 항로도 비교적 발달해 있다. 타이핑 국제공항(하얼빈), 무단장 하이랑 공항(무단장), 싼자쯔국제공항(치치하얼) 등의 항로는 전국 주요 도시와 일부 외국 도시로 통한다. 쑤이펀허시는 중국 최초의 민영공항을 건설했다.[12]

6. 1. 도로

헤이룽장성은 광범위한 도로망을 자랑한다. 2020년 10월 기준으로 고속도로, 국도 및 기타 도로는 165989km에 달한다.[13] 베이징-하얼빈 고속도로는 흑룡강성으로 이어지는 가장 중요한 고속도로이며, 흑룡강성-지린성 경계에서 시작하여 하얼빈 순환 고속도로 내에서 끝난다. 하얼빈-퉁장 고속도로는 북동쪽으로 달리며 하얼빈, 자무쓰 등 흑룡강성 북동부의 주요 지역과 여러 군(縣)을 연결한다. 하얼빈-퉁장 고속도로 끝 부분 근처에서 지앤싼장-헤이샤즈다오 고속도로가 지앤싼장에서 분기되어 성의 극동부에 있는 많은 국영 농장을 연결한 후 중-러 국경 근처에서 끝난다. 수이펑허-만저우리 고속도로는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달리며 무단장, 하얼빈, 다칭, 치치하얼 등 성의 가장 중요한 인구 밀집 지역 중 일부를 연결한 후 흑룡강성-내몽골 자치구 경계에서 끝난다. 허강-다롄 고속도로는 흑룡강성 동부의 허강과 흑룡강성-지린성 경계 사이를 달리며 목재와 석탄 운송을 용이하게 한다.

6. 2. 철도

헤이룽장성은 철도 노선이 가장 긴 성으로, 거의 모든 주요 도시에 기차가 개통되었고 하얼빈은 기관차 차량 제조 공장을 가지고 있다.[12] 유라시아 대륙횡단철도의 일부 구간을 포함하여 약 5300km에 달하는 60개의 철도 노선이 있다. 2012년에 완공된 하얼빈-다롄 고속철도는 헤이룽장성 성도인 하얼빈에서 창춘과 선양을 거쳐 랴오닝성 다롄까지 이어지며 23개의 정차역이 있다. 2020년까지 연간 3,700만 명, 2030년까지 5,100만 명의 승객 수송을 예상하고 있다.

6. 3. 공항

하얼빈의 타이핑 국제공항, 무단장의 무단장 하이랑 공항, 치치하얼의 싼자쯔국제공항 항로는 전국 주요 도시와 소수 경외 도시로 통한다. 쑤이펀허시(绥芬河市)는 중국 최초의 민영공항을 세웠다.[12] 주요 공항으로는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 치치하얼 공항, 무단장 하이랑 공항, 자무쓰 공항, 허허 공항이 있다.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은 연간 6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70개 이상의 국내외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6. 4. 수로

헤이룽장성은 철도 노선이 가장 긴 성으로, 거의 모든 주요 도시에 기차가 개통되었고 하얼빈은 기관차 차량 제조 공장을 가지고 있다. 도로와 내륙하천의 항로도 비교적 발달해 있다.

6. 5. 동강-니즈넬레닌스코예 철교

동강-니즈넬레닌스코예 철교는 2007년 러시아 유대인 자치주 부주지사였던 발레리 솔로모노비치 구레비치가 제안했다. 아무르 강을 가로지르는 이 철교는 동강과 유대인 자치주 마을인 니즈넬레닌스코예를 연결한다.[14]

철교의 중국 측 구간은 2016년 7월에 완공되었다.[15] 2016년 12월에는 러시아 측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다. 양측의 구조물 연결은 2019년 3월에 완료되었다.[16][17] 철도 운행 개통은 여러 차례 연기되었으며, 2019년 12월에는 "2020년 말"[18], 그 후에는 2021년 3분기로 예상되었다.[19]

7. 인구

헤이룽장성의 인구는 2022년 기준 3,090만 명으로 추산되며, 2010년 3,830만 명으로 최고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이다. 2021년 기준 도시 지역에 65.7%, 농촌 지역에 34.3%가 거주한다.

헤이룽장성 역사적 인구[40]
연도인구
19122,029,000
19283,725,000[41]
1936–373,751,000[42]
19472,844,000[43]
195411,897,309[44]
196420,118,271[45]
198232,665,546[46]
199035,214,873[47]
200036,237,576[48]
201038,312,224[49]
202031,850,088



2019년 헤이룽장성 인구 피라미드


헤이룽장성 인구의 다수는 한족이며, 만주족, 조선족(한민족), 몽골족, 후이족, 시버족, 허저족 등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헤이룽장성의 민족 구성 (2000년 인구 조사)[50]
민족인구비율
한족34,465,03995.20%
만주족1,037,0802.86%
조선족388,4581.07%
몽골족141,4950.39%
후이족124,0030.34%
시버족43,6080.12%
허저족8,8860.03%


8. 문화

헤이룽장성의 문화는 만주어로 "둥베이"(동북)라고 알려진 지역 전반에 걸쳐 비교적 동질적인 중국 동북부 문화의 일부이다. 헤이룽장성에는 한 곳의 국가역사문화도시와 28곳의 국가중요문물보호단체가 있다.


  • 국가역사문화도시: 하얼빈
  • 국가중요문물보호단체: 치치하얼, 닝안, 아청, 이란, 후란 (1996년)

8. 1. 종교

헤이룽장성 주민 대부분은 무종교이거나 중국 민간 종교를 믿으며, 그중 도교가 포함된다. 만주족은 만주 샤머니즘을 믿는다. 중국 불교와 티베트 불교는 이 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얼빈의 불교 사찰인 극락사

8. 2. 미디어



헤이룽장 텔레비전과 하얼빈 경제 라디오가 방송사로 활동한다.

9. 여행

하얼빈 시베리아 호랑이 공원의 시베리아 호랑이


하얼빈은 중국,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의 영향을 받은 도시이다. 국가 문화재인 북극사원(Bukui Mosque)은 헤이룽장성에서 가장 큰 유리 타일 건물이다.[51] 도시 곳곳에는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 프로테스탄트 교회와 회당이 있다.[52]

길고 추운 겨울은 하얼빈 얼음 조각 전시회의 배경이 된다. 2007년에는 제8회 얼음과 눈의 세계가 열렸고, 2,000개가 넘는 얼음 조각이 전시되었다.[53]

무단장시의 무단롄츠 호수는 1719년부터 1721년 사이 화산 폭발로 아무르강 지류가 변형되어 형성된 다섯 개의 호수이다. 특히 두 번째 호수는 불규칙한 지질 경관으로 유명하다. 닝안 현의 징보 호는 화산 폭발로 좁아진 무단강의 일부로, 댜오수이루 폭포 등 다양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헤이룽장성에는 하얼빈 시베리아 호랑이 공원이라는 동물원이 있다.[54]

9. 1. 중국 국가 5A급 여행관광 풍치지구

哈尔滨市太阳岛公园|하얼빈스 타이양다오 궁위안중국어

하얼빈은 지방의 중심 도시로, 중국, 러시아 및 다양한 세계적 영향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대조적인 도시이다. 국가 문화재인 북극사원(Bukui Mosque)은 이 성에서 가장 큰 유리 타일 건물이다.[51] 도시 곳곳에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 프로테스탄트 교회뿐만 아니라 회당도 있다.[52]

길고 추운 겨울은 유명한 얼음 조각 전시회의 배경이 된다. 2007년 하얼빈에서는 이미 8번째 얼음과 눈의 세계가 관광객들에게 문을 열었고, 연례 행사에는 2,000개가 넘는 얼음 조각이 전시되었다.[53]

무단장 유역에는 1719년부터 1721년 사이에 화산 폭발로 형성된 무다리안치 호수(다섯 개의 서로 연결된 호수)와 닝안 현의 징보 호가 있다. 특히 무다리안치 호수의 두 번째 호수는 불규칙한 지질학적 경관으로 유명하며, 징보 호는 화산 폭발로 좁아지고 모양이 변형된 무단 강의 일부로, 댜오수이루 폭포를 포함한 일련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 성에는 하얼빈 시베리아 호랑이 공원이라는 동물원이 있다.[54]

9. 2. 중국 국가 4A급 여행관광 풍치지구

도시4A급 여행관광 풍치지구
하얼빈시
이춘시
다칭시
헤이허시
무단장시
치치하얼시


9. 3. 국가 중요풍경명소 지구


  • 경박호(镜泊湖|징보후중국어)
  • 오대련지(五大连池|우다롄츠중국어)


무단장시 무다롄츠 호수는 1719년부터 1721년 사이에 화산 폭발로 아무르강의 지류 한 구역이 다섯 개의 서로 연결된 호수로 변형되면서 형성되었다. 특히 두 번째 호수는 불규칙한 지질학적 경관으로 유명하다. 닝안 현의 경박호는 화산 폭발로 좁아지고 모양이 변형된 무단강의 일부로, 댜오수이루 폭포를 포함한 일련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9. 4. 기타

하얼빈은 지방의 중심 도시로, 중국, 러시아 및 다양한 세계적 영향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대조적인 도시이다. 국가 문화재인 북극사원(Bukui Mosque)은 이 성에서 가장 큰 유리 타일 건물이다.[51]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 프로테스탄트 교회뿐만 아니라 회당도 도시 곳곳에 있다.[52]

길고 추운 겨울은 유명한 얼음 조각 전시회의 배경이 된다. 2007년 하얼빈에서는 이미 8번째 얼음과 눈의 세계가 관광객들에게 문을 열었다. 연례 행사에는 2,000개가 넘는 얼음 조각이 전시되었다.[53]

무단장(牡丹江) 호수는 1719년부터 1721년 사이에 화산 폭발로 아무르 강의 지류 한 구역이 다섯 개의 서로 연결된 호수로 변형되면서 형성된 일련의 다섯 개 호수이다. 특히 두 번째 호수는 불규칙한 지질학적 경관으로 유명하다. 닝안 현의 징보 호수(Lake Jingbo)는 화산 폭발로 좁아지고 모양이 변형된 무단 강의 일부로, 댜오수이러우 폭포를 포함한 일련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 성에는 "하얼빈 시베리아 호랑이 공원(Harbin Siberian Tiger Park)"이라는 동물원이 있다.[54]

10. 교육



헤이룽장성에는 여러 대학교가 있다.

10. 1. 대학교


  • 다칭 직원 및 노동자 대학교
  • 하얼빈 공과대학교
  • 하얼빈 공정대학교
  • 하얼빈 의과대학교
  • 하얼빈 사범대학교
  • 하얼빈 과학기술대학교
  • 헤이룽장 8.1 간척대학교
  • 헤이룽장 상업대학교
  • 헤이룽장 대학교
  • 헤이룽장 중의약대학교
  • 헤이룽장 국제대학교
  • 헤이룽장 공과대학교
  • 동북 농업대학교
  • 동북 임업대학교
  • 동북 석유대학교
  • 치치하얼 대학교
  • 무단장 대학
  • 무단장 의학원
  • 자무쓰 대학
  • 치치하얼 의과대학
  • 다칭 석유학원
  • 다칭 사범대학
  • 수이화 학원

11. 스포츠

헤이룽장성은 중국에서 동계 스포츠와 동계 스포츠 산업을 홍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55] 특히, 밴디올림픽 종목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56]

11. 1. 주요 스포츠 이벤트 및 리그

헤이룽장성은 중국에서 동계 스포츠와 동계 스포츠 산업을 홍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55] 특히, 헤이룽장성은 밴디올림픽 종목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56]

헤이룽장성에서 개최되었거나 개최될 예정인 주요 스포츠 이벤트 및 리그는 다음과 같다.

12. 저명한 인물


  • 마오 부이: 싱어송라이터
  • 멍 난: 싱어송라이터
  • 닝닝: K팝 걸그룹 에스파의 가수
  • 송 야둥: UFC 파이터
  • 왕 만유: 중국 여자 탁구 선수
  • 장 산치: 레이싱 드라이버

참조

[1] 웹사이트 Doing Business in China – Survey http://english.mofco[...] Ministry Of Commerce –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8-05
[2]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No. 3)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5-11
[3]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China NBS 2024-03-00
[3] 웹사이트 zh: 2023年黑龙江省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tjj.hlj.gov.c[...] heilongjiang.gov.cn 2024-06-11
[3] 보도자료 Statistical communiqué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2023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https://www.stats.go[...] China NBS 2024-02-29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8.0)- China https://globaldatala[...] 2024-09-23
[5]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Education ESL 2008
[6] 웹사이트 Heilongjiang and China's Food Security https://worldview.st[...] Stratfor 2012-03-05
[7] 웹아카이브 Origins of Minority Ethnic Groups in Heilongjiang http://www.orientald[...]
[8] 웹사이트 zh:浅谈黑龙江省地名的特点 http://www.iqh.net.c[...] 2011-01-16
[9] 서적 Northern Frontiers of Qing China and Tokugawa Japan: A Comparative Study of Frontier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aper No. 213
[10] 서적 Northern Frontiers of Qing China and Tokugawa Japan: A Comparative Study of Frontier Policy
[11] 서적 Taming China's Wilderness: Immigration, Settlement, and the Shaping of the Heilongjiang Frontier, 1900–1931 Ashgate
[12] 웹사이트 Climate map of Asia, excluding (South)west-Asia (from the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s://commons.wiki[...] 2007-10-12
[13] 웹사이트 黑龙江省交通运输厅 http://jt.hlj.gov.cn[...]
[14] 뉴스 Proposed bridge to boost bilateral trade http://english.peopl[...] China Daily 2007-06-19
[15] 뉴스 An Unfinished Bridge, and Partnership, Between Russia and Chin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6-07-16
[16] 뉴스 Russia Completes Construction of First-Ever Rail Bridge to China https://www.themosco[...] The Moscow Times 2019-03-21
[17] 뉴스 Россия и Китай соединил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мост через Амур https://www.rbc.ru/r[...] RBK Group 2019-03-21
[18] 웹사이트 Railway bridge over Amur river to China will be built by end of 2020, envoy says https://tass.com/eco[...]
[19] 웹사이트 Новости Хабаровска https://www.dvnovost[...]
[20] 웹사이트 zh:中华人民共和国县以上行政区划代码 http://files2.mca.go[...] Ministry of Civil Affairs
[21] 서적 《深圳统计年鉴2014》 http://www.sztj.gov.[...] China Statistics Print
[22] 서적 中国2010人口普查分乡、镇、街道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12
[23] 서적 《中国民政统计年鉴2014》 China Statistics Print 2014-08-00
[24] 서적 中国2020年人口普查分县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22
[25] 서적 中国2010年人口普查分县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12
[26] 웹사이트 中国城市建设统计年鉴2018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 Publishing House 2019
[27] 뉴스 China Focus: "Grain barn" promotes new rice varieties for better yields http://www.xinhuanet[...] 2020-10-28
[28] 뉴스 Xinhua Headlines: China embraces bumper harvest with macro-adjusting in "grain barn" http://www.xinhuanet[...] 2019-10-15
[29] 뉴스 Illegal trade in rich black soil from Heilongjiang is robbing farmers in China's cereal food bowl of a future https://www.scmp.com[...] South China Morning Post 2021-04-21
[30] 학술지 Soil Fertility Quality and Agricultural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Black Soil Region of Northeast China https://link.springe[...] 2001
[31] 학술지 The formation of high-class brand rice production area and functions of farmers' cooperatives in north east China: Case study of Wuchang City, Heilongjiang Province https://agris.fao.or[...] 2010
[32] 학술지 Rice production and climate change in Northeast China: evidence of adaptation through land use shifts 2019
[33] 웹사이트 Harbin — the capital city of China's high-quality rice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17-10-17
[34] 서적 China's Contained Resource Curse: How Minerals Shape State-Capital-Labor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5] 학술지 Wind energy rejection in China: Current status, reasons and perspectives 2016-12-01
[36] 웹사이트 Daqing New & Hi-Tech Industrial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37] 웹사이트 Harbin New & Hi-Tech Industrial Zone http://rightsite.asi[...]
[38] 웹사이트 Sino-Russia Dongning-Piurtaphca Trade Zone http://rightsite.asi[...]
[39] 웹사이트 Suifenhe Border Economic Cooperation District http://rightsite.asi[...]
[40]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41]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42]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43] 웹사이트 http://www.ier.hit-u[...] 2014-03-06
[44]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5]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6]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7]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8]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9]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50] 서적 Publishing House of Minority Nationalities
[51] 웹사이트 Bukui Mosque - the Largest Glazed-Tile Building in Heilongjiang Province http://www.foreigner[...] 2022-03-12
[52] 웹사이트 China Expat city Guide http://www.chinaexpa[...] China Expat 2009-02-08
[53] 웹사이트 Ice and Snow Festival in Harbin -- china.org.cn http://www.china.org[...] 2022-03-12
[54] 서적 DK Eyewitness Travel Guide: Chin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4-06-02
[55] 웹사이트 2018 World Bandy Championship Men's Group B will be held in Harbin on 27th http://men.chinaband[...] 2018-12-12
[56] 웹사이트 Heilongjiang Province Promotes Bandy as Olympic Sport! https://web.archive.[...]
[57] 기타
[58] 웹인용 http://www.ier.hit-u[...] 2014-03-06
[59] 웹인용 http://www.ier.hit-u[...] 2014-03-06
[60] 웹인용 http://www.ier.hit-u[...] 2014-03-06
[61] 웹인용 http://www.ier.hit-u[...] 2014-03-06
[62]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3]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4]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5]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6]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67] 웹인용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