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장은 로제 트리고가 1979년에 결성한 밴드이다. 유니버스 제로의 음악적 유산을 계승하여 강렬하고 독자적인 사운드를 선보였으며, 1980년 데뷔 앨범을 발표했다. 1990년대에는 듀오 형태로 활동했으며, 이후 여러 멤버 변화를 겪었다. 1998년에는 이스라엘 밴드 트랙터스 리벤지와 협업하여 앨범을 발표했고, 2000년대 이후에는 프랑스와 독일 등지에서 공연 활동을 펼쳤다. 쁘레장 어쿠스틱이라는 프로젝트로 쁘레장의 음악을 클래식 악기 편성으로 연주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그레시브 록 - 로저 워터스
    로저 워터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핵심 멤버로서 전쟁과 사회 불의를 주제로 음악을 만들고 솔로 아티스트로도 활동하며 사회·정치적 이슈에 대해 발언하는 영국의 뮤지션, 작사가, 영화 제작자, 사회 운동가이다.
  • 프로그레시브 록 - 스페이스 록
    스페이스 록은 우주를 주제로 삼거나 몽환적이고 사이키델릭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는 록 음악의 하위 장르이며,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핑크 플로이드, 호크윈드 등 다양한 밴드들에 의해 발전해왔다.
프레장
기본 정보
원어명Present
국적벨기에
장르아방 록
활동 기간1979년–현재
관련 활동유니베르 제로
아라니스
웹사이트Present 홈페이지
구성원
현재 구성원프랑수아 미뇨
데이브 커먼
피에르 슈발리에
키스 맥소드
피에르 데사시스
마티외 사파틀리
우디 쿰란
리즈베트 람브레흐트
이전 구성원알랭 로셰트
다니엘 드니
크리스티앙 주네
브루노 베르나스
기 세게르
데이비드 데이비스터
레지날드 트리고
로저 트리고

2. 역사

1979년, 로제 트리고는 유니버스 제로를 탈퇴하고 자신의 음악적 비전을 담은 밴드 '''프레장'''을 결성했다. 초기 멤버로는 유니버스 제로에서 함께 활동했던 다니엘 드니(드럼)와 크리스티앙 제네(베이스) 등이 참여했다.

1980년, 데뷔 앨범 ''Triskaidekaphobie''(13 공포증)를 발표했으며, 1985년에는 두 번째 앨범 ''Le poison qui rend fou''(정신 붕괴 유발제)를 발표했다. 이 두 앨범을 통해 프레장은 유니버스 제로의 음악적 유산을 계승하면서도 더욱 강렬하고 독자적인 사운드를 선보였다. 초기 앨범 발매 이후, 프레장은 유럽 투어를 진행하며 인지도를 높여갔다.

1990년, 로제 트리고는 아들 레지날드 트리고(기타)와 함께 듀오 형태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들은 '쁘레장 C.O.D. Performance'라는 이름으로 앨범을 발표했는데, 기존 쁘레장의 곡들을 단순화하고 증폭시킨 스타일로 연주했다. 1993년에는 이 앨범이 발매되었다.

1993년, 다니엘 드니가 유니버스 제로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밴드를 떠났고, 그 자리를 미국의 드러머 데이브 커먼(5uu's, 씽킹 플레이그 등)이 대신했다. 이 새로운 라인업으로 쁘레장은 25개의 유럽 투어를 진행했으며, 마지막 공연은 녹음되어 1995년에 큐니폼 레코드에서 ''Present Live!''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1996년에는 앨범 ''Certitudes''를 녹음했는데, 데이브 커먼의 계약 문제로 인해 다니엘 드니가 다시 참여했다. 이 앨범은 1998년 큐니폼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1997년에는 키보디스트 피에르 슈발리에가 합류했고, 1998년에는 뉴욕 출신의 키스 맥수드가 베이시스트로 합류하여 5주간의 미국 투어를 진행했다. 이 투어는 25회의 공연과 1만 마일의 여정으로 이루어졌으며, 마지막 콘서트 역시 라이브 앨범으로 녹음되었으나 발매는 몇 년 뒤로 미뤄졌다.

1998년, 로제 트리고는 이스라엘 밴드 트랙터스 리벤지(Tractor's Revenge)와의 협업을 위해 텔아비브로 갔다. 이 프로젝트의 엔지니어였던 우디 쿰란(Udi Koomran)의 제안으로 쁘레장은 트랙터스 리벤지와 함께 1999년 봄에 다음 녹음 세션을 진행하였고, 타악기 연주자 데이비드 다비스터와 함께 이스라엘에서 2주 동안 머무르며 100분 이상의 새로운 음악을 녹음했다. 완성된 프로젝트는 두 장의 앨범 ''No. 6''(1999)와 ''High Infidelity''(2001)로 나뉘어 발표되었다.

2000년, 프랑스 출신의 첼리스트 마티유 사파틀리마티유 사파틀리/Matthieu Safatly프랑스어가 쁘레장에 합류했다. 이후 쁘레장은 프랑스와 독일 등지에서 여러 페스티벌에 참여하며 활발한 공연 활동을 펼쳤다. 블레 레 민스 페스티벌에서는 , 아시안 덥 파운데이션 등과 함께 연주했고, 독일의 Freakshow Festival에서는 아넥도텐, 마그마 등과 연주했다.

2001년, 9.11 테러로 인해 쁘레장의 북미 투어가 취소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밴드는 그날 저녁 뉴욕의 JFK 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2004년, 밴드는 브뤼셀에서 새 앨범 ''Barbaro (ma non troppo)''를 녹음했다.

2005년, 쁘레장은 다시 미국을 방문하여 투어를 진행했고, North East Art Rock Festival (NEARfest)에 참여했다. 이 공연은 DVD로 발매되기도 했다.

2007년, 쁘레장은 프랑스에서 Rock In Opposition Festival을 부활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기서 쁘레장은 어쿠스틱 셋과 록 밴드 셋, 두 가지 형태로 공연을 선보였으며 실황 DVD가 출시되었다. 2009년의 두 번째 RIO 페스티벌에서는 유니버스 제로도 등장했다.

2010년 RIO 페스티벌에서 쁘레장, 유니버스 제로, 그리고 벨기에 챔버록 밴드 아라니스(Aranis)가 함께 연합하여 'Once Upon A Time In Belgium'이라는 이름으로 합동 공연을 펼쳤다. 이 공연은 다큐멘터리 ''Romantic Warriors II: A Progressive Music Saga About Rock in Opposition''에 기록되었다.

2. 1. 결성 초기 (1979-1985)

1979년, 로제 트리고는 유니버스 제로를 탈퇴하고 자신의 음악적 비전을 담은 밴드 '''프레장'''을 결성했다. 초기 멤버로는 유니버스 제로에서 함께 활동했던 다니엘 드니(드럼)와 크리스티앙 제네(베이스) 등이 참여했다.

1980년, 데뷔 앨범 ''Triskaidekaphobie''(13 공포증)를 발표했으며, 1985년에는 두 번째 앨범 ''Le poison qui rend fou''(정신 붕괴 유발제)를 발표했다. 이 두 앨범을 통해 프레장은 유니버스 제로의 음악적 유산을 계승하면서도 더욱 강렬하고 독자적인 사운드를 선보였다. 초기 앨범 발매 이후, 프레장은 유럽 투어를 진행하며 인지도를 높여갔다.

2. 2. 듀오 활동과 멤버 변화 (1990-1999)

1990년, 로제 트리고는 아들 레지날드 트리고(기타)와 함께 듀오 형태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들은 '쁘레장 C.O.D. Performance'라는 이름으로 앨범을 발표했는데, 기존 쁘레장의 곡들을 단순화하고 증폭시킨 스타일로 연주했다. 1993년에는 이 앨범이 발매되었다.

1993년, 다니엘 드니가 유니버스 제로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밴드를 떠났고, 그 자리를 미국의 드러머 데이브 커먼(5uu's, 씽킹 플레이그 등)이 대신했다. 이 새로운 라인업으로 쁘레장은 25개의 유럽 투어를 진행했으며, 마지막 공연은 녹음되어 1995년에 큐니폼 레코드에서 ''Present Live!''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1996년에는 앨범 ''Certitudes''를 녹음했는데, 데이브 커먼의 계약 문제로 인해 다니엘 드니가 다시 참여했다. 이 앨범은 1998년 큐니폼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1997년에는 키보디스트 피에르 슈발리에가 합류했고, 1998년에는 뉴욕 출신의 키스 맥수드가 베이시스트로 합류하여 5주간의 미국 투어를 진행했다. 이 투어는 25회의 공연과 1만 마일의 여정으로 이루어졌으며, 마지막 콘서트 역시 라이브 앨범으로 녹음되었으나 발매는 몇 년 뒤로 미뤄졌다.

2. 3. 이스라엘 밴드와의 협업 (1998-2001)

1998년, 로제 트리고는 이스라엘 밴드 트랙터스 리벤지(Tractor's Revenge)와의 협업을 위해 텔아비브로 갔다. 이 프로젝트의 엔지니어였던 우디 쿰란(Udi Koomran)의 제안으로 쁘레장은 트랙터스 리벤지와 함께 1999년 봄에 다음 녹음 세션을 진행하였고, 타악기 연주자 데이비드 다비스터와 함께 이스라엘에서 2주 동안 머무르며 100분 이상의 새로운 음악을 녹음했다. 완성된 프로젝트는 두 장의 앨범 ''No. 6''(1999)와 ''High Infidelity''(2001)로 나뉘어 발표되었다.

2. 4. 2000년대 이후 활동

2000년, 프랑스 출신의 첼리스트 마티유 사파틀리마티유 사파틀리/Matthieu Safatly프랑스어가 쁘레장에 합류했다. 이후 쁘레장은 프랑스와 독일 등지에서 여러 페스티벌에 참여하며 활발한 공연 활동을 펼쳤다. 블레 레 민스 페스티벌에서는 , 아시안 덥 파운데이션 등과 함께 연주했고, 독일의 Freakshow Festival에서는 아넥도텐, 마그마 등과 연주했다.

2001년, 9.11 테러로 인해 쁘레장의 북미 투어가 취소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밴드는 그날 저녁 뉴욕의 JFK 공항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2004년, 밴드는 브뤼셀에서 새 앨범 ''Barbaro (ma non troppo)''를 녹음했다.

2005년, 쁘레장은 다시 미국을 방문하여 투어를 진행했고, North East Art Rock Festival (NEARfest)에 참여했다. 이 공연은 DVD로 발매되기도 했다.

2007년, 쁘레장은 프랑스에서 Rock In Opposition Festival을 부활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기서 쁘레장은 어쿠스틱 셋과 록 밴드 셋, 두 가지 형태로 공연을 선보였으며 실황 DVD가 출시되었다. 2009년의 두 번째 RIO 페스티벌에서는 유니버스 제로도 등장했다.

2010년 RIO 페스티벌에서 쁘레장, 유니버스 제로, 그리고 벨기에 챔버록 밴드 아라니스(Aranis)가 함께 연합하여 'Once Upon A Time In Belgium'이라는 이름으로 합동 공연을 펼쳤다. 이 공연은 다큐멘터리 ''Romantic Warriors II: A Progressive Music Saga About Rock in Opposition''에 기록되었다.

3. 쁘레장 어쿠스틱

쁘레장 어쿠스틱은 쁘레장의 음악을 클래식 악기 편성으로 연주하는 프로젝트이다. 두 대의 그랜드 피아노와 타악기, 보컬 등으로 구성된다.[1] 2007년 4월 남프랑스에서 열린 록 인 오퍼지션 페스티벌에서 처음으로 쁘레장 어쿠스틱 공연을 선보였다.[1]

4. 음악 스타일

5. 한국과의 관계

6.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 Triskaidekaphobie (1980)
  • Le poison qui rend fou (1985)
  • C.O.D Performance (1993)
  • Certitudes (1998)
  • No. 6 (1999) (Tractor's Revenge와 함께)
  • High Infidelity (2001) (Tractor's Revenge와 함께)
  • A Great Inhumane Adventure (2005)
  • Barbaro (ma non troppo) (2009)
  • No. 6 - 리마스터드/확장판 (일본, 2014)
  • High Infidelity - 리마스터드/확장판 (일본, 2014)
  • Barbaro (ma non troppo) - 리마스터드/확장판 (일본, 2014)
  • 디스 이즈 낫 디 엔드 (2024)


;라이브 앨범

  • Live! (1996)
  • Romantic Warriors 2: A Progressive Music Saga About Rock In Opposition (2012)

6. 1. 스튜디오 앨범


  • Triskaidekaphobie(1980)
  • Le poison qui rend fou(1985)
  • C.O.D Performance (1993)
  • Certitudes (1998)
  • No. 6(1999) (with Tractor's Revenge)
  • High Infidelity (2001) (with Tractor's Revenge)
  • A Great Inhumane Adventure (2005)
  • Barbaro (ma non troppo) (2009)
  • No. 6 - 리마스터드/확장판 (일본, 2014)
  • High Infidelity - 리마스터드/확장판 (일본, 2014)
  • Barbaro (ma non troppo) - 리마스터드/확장판 (일본, 2014)
  • 디스 이즈 낫 디 엔드 (2024)

6. 2. 라이브 앨범


  • ''트리스카이데카포비'' (1980)
  • ''르 푸아종 키 랑 푸'' (1985)
  • ''C.O.D 퍼포먼스'' (1993)
  • ''라이브!'' (1996)
  • ''어 그레이트 인휴메인 어드벤처'' (2005)

참조

[1] 웹사이트 Present, 2 pianos, percussions & vocals http://www.rocktime.[...] 2007-07-17
[2] 웹사이트 Present, 2 pianos, percussions & vocals http://www.rocktime.[...] 2007-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