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스 제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니버스 제로는 1973년 벨기에에서 결성된 밴드로, 처음에는 네크로노미콘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록 인 오퍼지션(RIO) 운동에 참여했으며, 바르토크, 스트라빈스키, 알베르트 휘브레흐츠 등의 영향을 받았다. 1977년 데뷔 앨범 《1313》을 시작으로 1980년대까지 여러 앨범을 발표했으나 1987년 해체했다. 1999년 재결성 후에도 활동을 이어가며, 2011년에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벨기에'라는 앙상블을 결성하여 공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토킹 헤즈
토킹 헤즈는 데이비드 번, 크리스 프란츠, 티나 웨이머스, 제리 해리슨으로 구성된 1975년 결성된 미국의 펑크 록 밴드로, 실험적인 음악과 다양한 장르 융합을 통해 독창적인 사운드를 구축하고 록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쳐 2002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74년 결성된 음악 그룹 - 라몬즈
1974년 뉴욕에서 결성된 라몬즈는 조이, 조니, 디 디, 토미 라몬으로 시작하여 멤버 교체를 거치며 단순하고 강력한 음악으로 펑크 록의 시초로 평가받는 미국의 펑크 록 밴드이다. - 1987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허스커 두
허스커 두는 1979년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결성되어 하드코어 펑크 기반에 멜로디를 강조한 음악으로 1980년대 미국 인디 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멤버 간 갈등과 매니저의 죽음으로 1987년 해체된 밥 몰드, 그랜트 하트, 그렉 노턴으로 구성된 미국의 록 밴드이다. - 1987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베이 시티 롤러스
베이 시티 롤러스는 1965년 결성된 스코틀랜드 록 밴드로, 1970년대 중반 롤러마니아 팬덤을 형성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여러 멤버 교체와 재결성을 거쳐 2023년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유니버스 제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국적 | 벨기에 |
| 활동 기간 | 1974년–1987년, 1999년–현재 |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락 인 오퍼지션 제울 아방-프로그 기악 실내악 |
| 관련 활동 | Art Zoyd Present Aranis |
| 웹사이트 | Univers Zero 공식 웹사이트 |
| 구성원 (2013년 기준) | |
| 드럼, 퍼커션, 키보드, 작곡 | 다니엘 드니 (Daniel Denis) |
| 전기 베이스, 작곡, 편곡, 프로그래밍 | 디미트리 에베르 (Dimitri Evers) |
| 클라리넷, 색소폰 | 쿠르트 뷔데 (Kurt Budé) |
| 피아노 | 앙투안 주네 (Antoine Guenet) |
| 기타 | 니콜라 데셴 (Nicolas Dechêne) |
2. 역사
1973년 벨기에의 쥴 밴드 아캄이 해산된 후, 클로드 드롱과 다니엘 드니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처음에는 네크로노미콘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다가 1974년에 유니버스 제로로 이름을 바꾸었다.[1]
이들은 1970년대 후반 디스코와 펑크 록이 유행하던 시기에, 이와 반대로 밀도 있고 도전적인 음악을 만들고자 했던 록 인 오퍼지션(RIO) 운동에 동참했다. 유니버스 제로는 벨러 버르토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같은 클래식 작곡가뿐만 아니라, 벨기에 작곡가 알베르트 휘브레흐츠에게도 영향을 받았다.[1]
초기에는 오보에, 스피넷, 하모늄, 멜로트론 등을 활용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선보였다. 1977년에 발매된 데뷔 앨범 《1313》과 1979년에 발매된 2집 《Heresie》는 어두운 분위기를 특징으로 한다. 2집 발매 이후, 로제 트리고는 밴드를 탈퇴하여 프레장을 결성했다.[1]
1981년에 발매된 3집 《Ceux du Dehors》부터는 신시사이저와 일렉트릭 기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이전보다 더 전자적인 사운드로 변화했다. 1987년에 밴드는 해체되었지만, 1999년에 재결성하여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3]
2. 1. 결성 이전 (1973년 이전)
Claude Deron|클로드 데론프랑스어과 Daniel Denis|다니엘 드니프랑스어는 1973년 쥴 밴드 아캄의 멤버였다. 아캄은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에 등장하는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밴드 해산 후 이들은 네크로노미콘(Necronomicon)을 결성했는데, 여기에는 Roger Trigaux|로제 트리고프랑스어도 참여했다.2. 2. 네크로노미콘과 유니버스 제로 결성 (1973년 ~ 1974년)
1973년, 벨기에의 쥴 밴드 아캄이 해체된 후, 클로드 드롱(트럼펫)과 다니엘 드니(드럼)는 새로운 밴드 네크로노미콘(Necronomicon)을 결성했다. 네크로노미콘은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에 등장하는 마도서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초기 멤버는 다니엘 드니(드럼), 클로드 드롱(트럼펫), 로제 트리고(기타), 기 세게르스(베이스 기타), 파트릭 하나피에(바이올린), 존 반 리메난트(색소폰) 등이었다.[1] 1974년, 밴드 이름을 유니버스 제로로 변경했다.[1]2. 3. 초기 활동과 RIO 운동 (1974년 ~ 1980년대)
1973년, 벨기에의 제울 밴드 아캄의 멤버였던 클로드 드롱과 다니엘 드니는 새로운 그룹 "네크로노미콘"을 결성했다. 네크로노미콘은 1974년에 유니버스 제로로 이름을 바꾸었다.[1]유니버스 제로는 록 인 오퍼지션(RIO) 운동의 일원이었다. RIO는 1970년대 후반 디스코와 펑크 록에 반대하여, 밀도 있고 도전적인 음악을 추구하는 운동이었다.[1] 이는 대한민국의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시기, 상업주의적인 대중음악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언더그라운드 음악 씬과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당시 언더그라운드 음악 씬은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노래들을 통해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유니버스 제로는 벨러 버르토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알베르트 휘브레흐츠 등에게서 영향을 받았다.[1]
초기에는 오보에, 스피넷, 하모늄, 멜로트론 등을 사용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추구했다.[1] 1977년, 데뷔 앨범 《1313》을 발매했다.[1] 1979년에는 2집 《Heresie》를 발매했는데, 이 앨범은 더욱 어두운 분위기를 띠었다.[1] 2집 발매 후, 로제 트리고는 탈퇴하여 프레장을 결성했다.[1]
2. 4. 80년대의 변화와 해체 (1981년 ~ 1987년)
1981년, 유니버스 제로는 3집 《Ceux du Dehors》를 발매했다. 이 앨범부터 신시사이저와 일렉트릭 기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신시사이저와 일렉트릭 기타를 활용하여 더욱 일렉트릭한 사운드를 추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앨범은 높은 일관성을 유지했다. 1987년, 밴드는 해체되었다.2. 5. 재결성과 현재 (1999년 ~ 현재)
1999년 유니버스 제로는 재결성되었다. 재결성 이후 5장의 스튜디오 앨범을 발매했다.[3] 2011년에는 프레장, 아라니스와 함께 17인조 앙상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벨기에'를 결성하여 공연했다.[3] 이들은 2011년 9월 프랑스 카르모에서 열린 제4회 록 인 오퍼지션 페스티벌에서 쿠르트 부데가 작곡한 "뉴욕 트랜스포메이션"을 초연했다.[3]3. 음악적 특징
유니버스 제로는 록,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다. 특히 벨러 버르토크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에게서 영향을 받은 실내악적인 어두운 사운드가 특징이다.[1] 초기에는 오보에, 스피넷, 하모늄, 멜로트론 등을 사용한 어쿠스틱 사운드를 추구했다.[1] 1980년대에는 신시사이저와 일렉트릭 기타를 활용하여 더욱 일렉트릭한 사운드를 추구했다.[1] 록 인 오퍼지션(RIO) 운동의 일원으로서, 디스코와 펑크 록에 반대하는 밀도 있고 도전적인 음악을 추구했다.[1]
4. 음반 목록
유니버스 제로는 벨기에의 챔버 록 밴드로, 1974년 다니엘 드니(Daniel Denis)에 의해 결성되었다. 이들은 1977년 첫 정규 앨범 ''1313''을 발표한 이후, 여러 정규 앨범과 라이브 앨범, 싱글 및 EP를 발표했다.
| 종류 | 발매 연도 | 음반명 | 비고 |
|---|---|---|---|
| 정규 앨범 | 1977 | 1313 | 첫 정규 앨범 |
| 정규 앨범 | 1979 | 이단 | |
| 정규 앨범 | 1981 | Ceux du dehors | |
| 싱글 | 1981 | Triomphe des mouches | 한 면 7" 싱글 |
| EP | 1983 | 기어가는 바람 | 2001년 재발매 |
| 정규 앨범 | 1984 | Uzed | |
| 정규 앨범 | 1986 | 열파 | |
| 정규 앨범 | 1999 | The Hard Quest | |
| 정규 앨범 | 2002 | Rhythmix | |
| 정규 앨범 | 2004 | Implosion | |
| 라이브 앨범 | 2006 | Live영어 | |
| 라이브 앨범 | 2008 | Relaps (Archives 1984/85/86)영어 | |
| 정규 앨범 | 2010 | 클리바주 | |
| 정규 앨범 | 2014 | Phosphorescent Dreams | |
| 정규 앨범 | 2023 | Lueur |
4. 1. 스튜디오 앨범
- 1977년: 1313 (원래 제목은 ''Univers Zero''였음)
- 1979년: 이단
- 1981년: Ceux du dehors
- 1983년: 기어가는 바람
- 1984년: Uzed
- 1986년: 열파
- 1999년: ''The Hard Quest''
- 2002년: ''Rhythmix''
- 2004년: ''Implosion''
- 2010년: 클리바주
- 2014년: ''Phosphorescent Dreams''
- 2023년: ''Lueur''
4. 2. 라이브 앨범
- Live영어 (2006년)
- Relaps (Archives 1984/85/86)영어 (2008년)
4. 3. 싱글 및 EP
- 1981: ''Triomphe des mouches'' (한 면 7" 싱글)
- 1983: ''기어가는 바람'' (원래 일본에서만 발매된 스튜디오 3곡 수록 한정판 12" EP였으나, 2001년에 스튜디오 및 라이브 6곡을 수록한 CD로 재발매)
참조
[1]
문서
In French, the word "Zéro" when in upper case may correctly be written either "ZÉRO" or "ZERO".
[2]
웹사이트
Romantic Warriors II: A Progressive Music Saga About Rock in Opposition
"{{Allmusic|class=al[...]
AllMusic
2013-03-15
[3]
웹사이트
Romantic Warriors II: A Progressive Music Saga About Rock in Opposition
"{{Allmusic|class=al[...]
AllMusic
2013-03-15
[4]
문서
In French, the word "Zéro" when in upper case may correctly be written either "ZÉRO" or "ZE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