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리그 (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빈셜 리그(프로리그)는 1999년 태국 스포츠청에 의해 창설된 태국의 축구 리그이다. 타이 프리미어리그가 방콕 연고의 아마추어 클럽 위주로 운영되면서 발생한 지방 클럽의 지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 축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9년부터 2006년까지 프로 리그 1과 프로 리그 2로 운영되었으며, 이후 타이 프리미어 리그 및 태국 디비전 1 리그와 통합되거나, 리저널 리그 디비전 2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해체된 스포츠 리그 - 노스 아메리칸 위민스 베이스볼 리그
노스 아메리칸 위민스 베이스볼 리그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운영된 여자 야구 리그로, 뉴잉글랜드 여자 야구 리그의 후신이며, 캔-암 리그 구단주들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었고, 2009년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 - 태국의 축구 리그 - 태국 축구 협회
태국 축구 협회는 1916년 창설되어 FIFA, AFC 회원국으로서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국내 리그 시스템, 컵 대회를 관리하며 태국 축구 발전을 주도하는 기관으로, 2024년에는 새로운 협회장이 취임하여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 태국의 축구 리그 - 타이 리그 1
타이 리그 1은 태국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6개 클럽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리그 우승팀에게는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이 주어진다.
| 프로리그 (태국) | |
|---|---|
| 기본 정보 | |
![]() | |
| 스포츠 | 축구 |
| 주최 | 태국 스포츠 관리청 |
| 설립 | 1999년 |
| 해체 | 2008년 |
| 참가 팀 수 | 다양 |
| 국가 | 태국 |
| 최근 우승팀 | 사뭇 쁘라깐 FC |
| 리그 명칭 | |
| 태국어 | โปรวินเชียลลีก (Provinzialliga) |
| 로마자 표기 | Pro Win Chian Lik |
| 약칭 | โปรลีก (Pro Lik) |
2. 역사
프로빈셜 리그(프로리그)는 1999년 태국 스포츠청(SAT)에 의해 창설되었다.[6] 프로 리그 창설 이전, 태국 축구 최상위 리그였던 타이 프리미어리그는 방콕을 연고로 하는 정부 기관, 군대, 대기업 소속 아마추어 클럽들이 주를 이루었다.[6] 지방 클럽들은 상대적으로 지원이 부족했고, 태국 스포츠청은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방 축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프로빈셜 리그를 창설했다.[6]
프로 리그는 완전한 프로 축구 선수를 도입하고, 지역 축구 클럽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6] 1999년부터 2006년까지 프로 리그는 프로 리그 1과 프로 리그 2, 두 개의 디비전으로 운영되었다.[7] 프로 리그 1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하위 두 팀은 프로 리그 2로 강등되었다.[7] 프로 리그 2는 5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지역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시즌 말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프로 리그 1으로 승격되었다.[7]
2005년과 2006년에는 프리미어 리그 소속 클럽 수를 늘리는 정책에 따라 상위 2팀이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2005년에는 촌부리와 수판부리가, 2006년에는 TOT SC와 나콘파톰 유나이티드가 승격했다.
2007년, 프로 리그 1은 타이 프리미어 리그와 태국 디비전 1 리그로 통합되었다.[7] 프로 리그 2는 "프로빈셜 리그"로 이름을 바꾸고 SAT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의 시즌 말 토너먼트를 통해 상위 두 팀을 2008년 태국 디비전 2 리그로 승격시켰다. 2009년에는 프로빈셜 리그가 태국 축구 협회에 의해 2009년 리저널 리그 디비전 2로 완전히 통합되었다.
2. 1. 창설 배경
프로빈셜 리그(프로리그)는 1999년 태국 스포츠청(SAT)에 의해 창설되었다.[6] 프로 리그 창설 이전, 태국 축구 최상위 리그였던 타이 프리미어리그는 방콕을 연고로 하는 정부 기관, 군대, 대기업 소속 아마추어 클럽들이 주를 이루었다.[6] 지방 클럽들은 상대적으로 지원이 부족했고, 태국 스포츠청은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방 축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프로빈셜 리그를 창설했다.[6]프로 리그는 완전한 프로 축구 선수를 도입하고, 지역 축구 클럽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6] 1999년부터 2006년까지 프로 리그는 프로 리그 1과 프로 리그 2, 두 개의 디비전으로 운영되었다.[7] 프로 리그 1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하위 두 팀은 프로 리그 2로 강등되었다.[7] 프로 리그 2는 5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지역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시즌 말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프로 리그 1으로 승격되었다.[7]
2005년과 2006년에는 프리미어 리그 소속 클럽 수를 늘리는 정책에 따라 상위 2팀이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2005년에는 촌부리와 수판부리가, 2006년에는 TOT SC와 나콘파톰 유나이티드가 승격했다.
2007년, 프로 리그 1은 타이 프리미어 리그와 태국 디비전 1 리그로 통합되었다.[7] 프로 리그 2는 "프로빈셜 리그"로 이름을 바꾸고 SAT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의 시즌 말 토너먼트를 통해 상위 두 팀을 2008년 태국 디비전 2 리그로 승격시켰다. 2009년에는 프로빈셜 리그가 태국 축구 협회에 의해 2009년 리저널 리그 디비전 2로 완전히 통합되었다.
2. 2. 리그 운영 방식 (1999년 ~ 2006년)
프로빈셜 리그는 1999년에 창설되었다. 프로 리그는 완전한 프로 축구 선수를 도입하고, 지역 축구 클럽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프로 리그 이전에는 타이 프리미어리그의 많은 클럽들이 정부 기관, 군부, 대형 사기업의 아마추어 클럽이었고, 방콕에 위치하여 지역 클럽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 그래서 태국 스포츠청은 각 지방의 팀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리그를 제안했다.[6]1999년부터 2006년까지 프로 리그는 프로 리그 1과 프로 리그 2, 두 개의 디비전으로 운영되었다. 프로 리그 1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최하위 두 팀은 프로 리그 2로 강등되었다. 프로 리그 2는 5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나뉘어 각 지역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시즌 말 토너먼트를 통해 프로 리그 1 승격팀을 결정했다.[7] 2005년과 2006년에는 타이 프리미어 리그 클럽 수를 늘리기 위해 상위 2팀이 승격되었다.
2. 3. 타이 프리미어 리그와의 통합 (2007년)
2007년, 프로 리그 1은 타이 프리미어리그 (1부) 및 태국 디비전 1 리그 (2부)와 통합되었다.[6][7] 프로 리그 2는 "프로빈셜 리그"로 명칭을 변경하고 기존 운영 방식을 유지했다.[6][7] 시즌 말 토너먼트는 SAT 챔피언십으로 명명되었고, 상위 2팀은 타이 디비전 2 리그(3부)로 승격했다.[6][7]2. 4. 리저널 리그 디비전 2로의 통합 (2009년)
1999년 태국 스포츠청(SAT)과 관광・스포츠부는 완전한 프로 선수 도입과 지방 축구 클럽 지원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프로빈셜 리그를 창설하였다.[6] 프로 리그 창설 이전, 타이 프리미어리그의 많은 클럽들은 정부 기관, 군부, 대형 사기업의 아마추어 클럽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방콕에 위치해 지역 클럽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했다.[6]2007년, 프로 리그 1은 타이 프리미어리그와 태국 디비전 1 리그로 통합되었다. 프로 리그 2는 "프로빈셜 리그"로 이름을 변경하고 SAT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의 시즌 말 토너먼트를 통해 상위 두 팀이 2008년 태국 디비전 2 리그로 승격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2009년, 프로빈셜 리그는 태국 축구 협회에 의해 2009년 리저널 리그 디비전 2로 완전히 통합되었다.[6]
3. 역대 우승 팀
| # |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 1 | 1999-00 | 시사켓 | 수판부리 | 사툰 |
| 2 | 2001 | 나콘 사완 | 수판부리 | 촌부리 |
| 3 | 2002 | 수판부리 | 촌부리 | 나콘 사완 |
| 4 | 2003 | 나콘 사완 | 수판부리 | 촌부리 |
| 5 | 2004 | 수판부리 | 나콘 사완 | 나콘 파톰 |
| 6 | 2005 | 촌부리 | 수판부리 | 나콘 파톰 |
| 7 | 2006 | TOT | 태국 항만청 2 | 나콘 파톰 |
| 8 | 2007 | 롭부리 | 송클라 | 부리람 끄라비 |
| 9 | 2008 | 사뭇 프라칸 유나이티드 | 차이야품 | 앙통 끄라비 |
* 굵은 글꼴의 팀은 태국 디비전 2 리그로 승격되었다.
3. 1. 프로 리그 1
프로 리그 1은 1999/2000 시즌 시사켓 FC의 우승을 시작으로, 2001년과 2003년에는 나콘사완 FC가 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과 2004년에는 수판부리 FC가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05년에는 촌부리 FC가, 2006년에는 TOT가 우승을 차지했다.2007년 프로 리그 1은 롭부리 FC가 우승하였고, 송클라가 준우승, 부리람과 끄라비가 3, 4위를 기록했다. 롭부리 FC는 10개 클럽 토너먼트에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에는 사뭇 프라칸 유나이티드가 우승을, 차이야품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앙통과 끄라비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 연도 | 우승 | 준우승 | 3위 |
|---|---|---|---|
| 1999/00 | 시사켓 | 수판부리 | 사툰 |
| 2001 | 나콘사완 | 수판부리 | 촌부리 |
| 2002 | 수판부리 | 촌부리 | 나콘사완 |
| 2003 | 나콘사완 | 수판부리 | 촌부리 |
| 2004 | 수판부리 | 나콘사완 | 나콘파톰 |
| 2005 | 촌부리 | 수판부리 | 나콘파톰 |
| 2006 | TOT | 타이 포트 2 (타이 포트의 리저브팀) | 나콘파톰 |
| 2007 | 롭부리 | 송클라 | 부리람(3위) 끄라비(4위) (준결승 패배 후 3위 결정전) |
| 2008 | 사뭇프라칸 | 차이야품 | 앙통(3위) 끄라비(3위) (토너먼트 방식의 준결승 패배) |
3. 2. 프로 리그 2
2004 시즌에는 사툰이 팡 응아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고, 짠타부리와 팟탈룽이 그 뒤를 이었다. 2005 시즌에는 핏사눌록이 사콘 나콘을 꺾고 우승했으며, 콘깬과 차층사오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2006 시즌에는 랏차부리가 사뭇 송크람을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고, 라용과 끄라비가 3, 4위를 차지했다.4. 프로 리그 2006 순위 (참고)
wikitable
| 순위 | 클럽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승점 | +/- |
|---|---|---|---|---|---|---|---|---|---|
| 1 | Telephone Organization of Thailand FC | 30 | 19 | 10 | 1 | 72 | 22 | 67 | 50 |
| 2 | Port Authority of Thailand FC | 30 | 20 | 6 | 4 | 52 | 22 | 66 | 30 |
| 3 | Nakhon Pathom FC | 30 | 17 | 11 | 2 | 42 | 15 | 62 | 27 |
| 4 | Nakhon Sawan FC | 30 | 14 | 9 | 7 | 42 | 28 | 51 | 14 |
| 5 | Narathiwat FC | 30 | 13 | 6 | 11 | 37 | 34 | 45 | 3 |
| 6 | Phitsanulok FC | 30 | 11 | 9 | 10 | 44 | 38 | 42 | 6 |
| 7 | Surat Thani FC | 30 | 11 | 8 | 11 | 44 | 46 | 41 | -2 |
| 8 | Chanthaburi FC | 30 | 11 | 7 | 12 | 52 | 45 | 40 | 7 |
| 9 | Bangkok FC | 30 | 9 | 12 | 9 | 31 | 34 | 39 | -3 |
| 10 | Nakhon Ratchasima FC | 30 | 8 | 12 | 10 | 37 | 43 | 36 | -6 |
| 11 | Khon Kaen FC | 30 | 9 | 8 | 13 | 32 | 35 | 35 | -3 |
| 12 | Si Sa Ket FC | 30 | 9 | 6 | 15 | 47 | 59 | 33 | -12 |
| 13 | Sakon Nakhon FC | 30 | 8 | 7 | 15 | 30 | 44 | 31 | -14 |
| 14 | Chachoengsao FC | 30 | 8 | 7 | 15 | 32 | 55 | 31 | -23 |
| 15 | Satun FC | 30 | 6 | 6 | 18 | 33 | 51 | 24 | -18 |
| 16 | Chiang Mai FC | 30 | 3 | 4 | 23 | 19 | 75 | 13 | -56 |
5. 프로 리그 2007 참가팀 (참고)
2007년 프로 리그(구 프로 리그 2)에는 다음과 같은 10개 팀이 참가하였다.
- 롭부리 FC (승리팀)
- 송클라 FC (입상팀)
- 부리람 FC (3등)
- 끄라비 FC (4등)
- 아유타야 FC
- 치앙라이 FC
- 나콘파놈 FC
- 라용 FC
- 사무트쁘라깐 FC
- 딱 FC
참조
[1]
웹사이트
จาก ศรีสะเกษ เอฟซี ถึง พัทยา ยูไนเต็ด วิบากกรรมทีมไทยลีกที่ต้องสูญพันธ์ุเพราะปัญหา ‘ย้ายถิ่น’
https://themomentum.[...]
[2]
웹사이트
“ฟุตบอลไทย” จากกีฬาสู่การเมืองระดับชาติ-ท้องถิ่น (3) ฟุตบอลกับการพัฒนาเศรษฐกิจท้องถิ่น
https://prachatai.co[...]
[3]
웹사이트
จากไทยแลนด์คัพ สู่ โปรวินเชียลลีก พลวัตของ “จังหวัดนิยม” และพลังของระบบอุปถัมภ์ในกีฬาฟุตบอลไทย
https://so06.tci-tha[...]
[4]
웹사이트
เติบโตเป็นหมู่คณะ : การพัฒนาเมืองกีฬาสร้างการเติบโตให้ทีมฟุตบอลไทยได้อย่างไร | Ball Thai Stand
https://mainstand.co[...]
[5]
웹사이트
“บุรีรัมย์”ซิวแชมป์“โปรลีก”ภาค 3 พร้อมเงินแสน
https://mgronline.co[...]
[6]
웹사이트
อดีตที่หายไป : ทัวร์นาเมนต์ฟุตบอลที่เหลือเพียงในความทรงจำของคนไทย
https://www.sanook.c[...]
[7]
웹사이트
“ฟุตบอลไทย” จากกีฬาสู่การเมืองระดับชาติ-ท้องถิ่น (1) ทำไมทีมฟุตบอลไทยส่วนใหญ่จึงขาดทุน?
https://prachata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