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메테우스 (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메테우스는 토성의 위성으로, 1980년 보이저 1호에 의해 발견되었다. S/1980 S 27로 명명되었다가, 1986년 그리스 신화의 프로메테우스를 따라 이름이 붙여졌으며, 공식 번호는 Saturn XVI이다. 길쭉한 형태에 표면에는 충돌구가 있으며, 밀도가 낮고 알베도가 높은 얼음 천체로 추정된다. 토성의 F 고리 안쪽을 공전하는 목자 위성으로, F 고리에 굴곡과 매듭을 만들며, 판도라와의 궤도 공명과 아틀라스에 영향을 미친다. 보이저 2호와 카시니 탐사선에 의해 관측되었으며, F 고리와의 상호작용이 영상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발견한 천체 - 칼립소 (위성)
    칼립소는 토성의 위성으로, 테티스와 궤도를 공유하는 트로이 위성이며, 불규칙한 모양에 높은 반사율을 가진 얼음 표면을 가지고 있고, 카시니 탐사선 관측 결과 산사태 흔적과 같은 무늬가 확인되었다.
  • 1980년 발견한 천체 - 텔레스토 (위성)
    텔레스토는 1980년 발견된 토성의 위성으로, 테티스와 같은 궤도상의 라그랑주점(L4)에 위치하는 트로이 위성이며, 카시니 탐사선 관측 결과 표면이 비교적 매끄럽고 2024년에는 테티스를 가리는 식 현상이 관측되었다.
  • 토성의 위성 - 에피메테우스 (위성)
    에피메테우스는 야누스와 비슷한 궤도를 공유하며 4년마다 궤도를 교환하는 토성의 위성으로, 불규칙한 모양에 낮은 밀도와 높은 알베도를 가지며 토성의 A 고리 외곽 형태를 유지하는 목자 위성이다.
  • 토성의 위성 - 이아페투스 (위성)
    1671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견한 토성의 위성 이아페투스는 뚜렷한 명암 대비 표면, 적도 산맥, 특이한 궤도 경사각이 특징이며, 그리스 신화의 티탄족 이름에서 유래했고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로메테우스 (위성)
명칭
영어 명칭Prometheus
한국어 명칭프로메테우스
로마자 표기Peurometeu
임시 명칭S/1980 S 27
기타 명칭Saturn XVI
발견
발견자스튜어트 A. 콜린스
D. 칼슨
보이저 1호
발견일1980년 10월
궤도 특성
궤도 기준2003년 12월 31일 (JD 2453005.5)
궤도 장반경139,380 ± 10 km
궤도 이심률0.0022
공전 주기0.612990038 일
궤도 경사0.008 ± 0.004° (토성 적도 기준)
위성토성
고리F 고리 내부 양치기 위성
물리적 특성
크기137.0 x 81.0 x 56.2 km (± 1.0 x 2.8 x 0.8 km)
평균 지름85.6 ± 1.4 km
부피327,740 ± 1710 km³
질량1.59720 ± 0.00072 x 10^17 kg
평균 밀도0.4873 ± 0.0026 g/cm³
표면 중력0.0007 ~ 0.0056 m/s²
탈출 속도장축에서 0.0685 km/s ~ 극지방에서 0.0281 km/s
자전동기
자전축 기울기0도
반사율0.6
표면 온도약 74 K
시각적 자료
카시니 탐사선이 촬영한 프로메테우스
카시니-하위헌스 탐사선이 촬영한 프로메테우스 (2009년 12월 26일)

2. 발견과 명명

프로메테우스는 1980년 10월 중순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사진에서 브래드포드 A. 스미스가 이끄는 보이저 촬영팀이 발견했으며, '''S/1980 S 27'''이라는 임시 명칭이 부여되었다. 판도라도 이때 함께 발견되었다. 1986년 1월 3일, 그리스 신화의 거인족으로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주었다가 벌을 받은 프로메테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Saturn XVI'''라는 공식 번호도 부여받았다.

3. 물리적 특징

프로메테우스는 매우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약 136km × 79km × 59km이다. 표면에는 산등성이와 계곡, 그리고 여러 개의 지름 약 20km 정도의 충돌 크레이터가 보이지만, 근처를 공전하는 판도라, 에피메테우스, 야누스와 비교하면 충돌구의 수는 적다.

밀도가 매우 낮고, 알베도가 비교적 높다는 점으로 미루어 프로메테우스는 매우 다공질인 얼음으로 이루어진 천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이러한 값에는 불확실성이 많다.

4. F 고리와의 상호작용

프로메테우스는 토성의 F 고리 안쪽에서 고리의 형태를 유지하는 목자 위성이다. 판도라는 F 고리 바깥쪽을 공전하며, 과거에는 판도라 역시 F 고리의 바깥쪽 목자 위성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프로메테우스만이 F 고리의 밀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4]

카시니 탐사선의 영상은 프로메테우스의 중력이 F 고리에서 물질을 끌어들이면서 F 고리에 굴곡과 매듭을 만드는 것을 보여준다.

4. 1. 다른 위성과의 관계

프로메테우스의 궤도는 판도라와의 121:118 평균 운동 공명으로 인해 혼돈적인 것으로 보인다.[3] 이들의 궤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약 6.2년마다 발생하며,[4] 이때 판도라의 근점이 프로메테우스의 원점과 일직선상에 놓이면서 약 1400km까지 접근한다. 프로메테우스는 아틀라스에 상당한 교란을 일으키는 위성이기도 하며, 53:54 평균 경도 공명 상태에 있다.[4]

5. 관측

2015년 12월 6일, 프로메테우스 근접 비행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이겐스호는 프로메테우스의 중력이 F 고리에 꼬임과 혹 모양의 구조를 만들고 있음을 확인했다.

참조

[1] 백과사전 Prometheus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Promethean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On the masses and motions of mini-moons: Pandora's not a "shepherd," but Prometheus still is http://www.planetary[...] Planetary Society 2015-04-17
[4] 학술지 Saturn's F Ring core: Calm in the midst of chaos 2014-04-00
[5]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天文学辞典 朝倉書店
[6] 웹사이트 태양계내의 위성표 https://www.kahaku.g[...] 국립과학박물관 2019-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