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메테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티탄 신족의 인물로, "선견지명"을 의미하며, 동생 에피메테우스와 대조적인 이름을 갖는다. 그는 인간에게 불을 훔쳐 준 죄로 제우스에게 벌을 받아 카프카스 산에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형벌을 받았다. 프로메테우스는 불을 통해 인류에게 문명과 기술을 가져다주었지만, 전쟁의 씨앗을 뿌리기도 했다. 그의 이야기는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플라톤의 철학, 괴테의 시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인류에게 지식과 문명을 가져다준 영웅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령의 신 - 트리톤 (신화)
트리톤은 그리스 신화 속 바다의 신으로, 포세이돈과 암피트리테의 아들이며, 소라 껍질을 불어 파도를 다루고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현대에는 마스코트나 위성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전령의 신 - 헤임달
헤임달은 노르드 신화에서 '세상을 비추는 자'라는 뜻을 가진 신으로, 할린스키디, 굴린타니, 빈들레르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며, 신들의 감시자로서 비프로스트 다리를 지키고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는 걀라르호른을 불며, 인간의 세 계급을 창조한 신 리그르와 동일시되고, 로키와 브리싱가멘을 놓고 싸우거나 라그나로크에서 함께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 - 프로메테우스 - 프로메테우스 (카프카)
프란츠 카프카의 단편 소설인 프로메테우스는 그의 단편집 《The Complete Stories》에 수록되어 있으며 그의 다양한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 프로메테우스 - 프로메테우스 (나무)
프로메테우스는 1950년대에 발견된 브리슬콘 소나무로, 한때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로 여겨졌으나, 연구 과정에서 벌목되어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 종족의 신 - 마케마케 (신화)
마케마케는 부활절 섬의 새 인간 숭배와 관련된 종교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신이며, 하우아와 함께 활동하고 티베, 로라이, 호바, 아랑기-코테-코테 등의 자녀를 두었으며, 2000년에는 다큐멘터리로 제작되기도 했다. - 종족의 신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프로메테우스 | |
---|---|
프로메테우스 | |
![]() | |
신화 속 역할 | 불, 예지, 교활한 지혜의 신, 인간 창조자, 인간의 옹호자 |
소속 | 티탄 |
가계 | |
아버지 | 이아페토스 |
어머니 | 아시아 또는 클리메네 |
형제자매 | 아틀라스, 에피메테우스, 메노이티오스 |
배우자 | 헤시오네(또는 아시아) |
자녀 | 데우칼리온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Promētheús |
그리스어 표기 | Προμηθεύς |
IPA 표기 | /pro.mɛː.tʰeú̯s/ |
2. 어원 및 명칭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반적인 견해는 그의 형제 에피메테우스가 "나중에 생각하는 자"를 의미하는 것처럼, 프로메테우스는 "먼저 생각하는 자", 즉 "선견지명(forethought)"을 의미한다는 것이다.[1]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인간과 신이 제물을 두고 협정을 맺을 때, 프로메테우스는 소를 잡아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한쪽에는 살코기와 내장을 가죽으로 덮고, 다른 한쪽에는 뼈를 윤기 나는 비계로 감싸 제우스에게 어느 쪽을 택할지 고르게 했다. 프로메테우스의 계략을 간파한 제우스는 분노하여 인류에게서 불을 빼앗았다.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우스는 프로메테우스의 다른 이름으로 이타스(Ithas)를 제시하며, "다른 이들이 이탁스(Ithax)라고 부른다"고 덧붙이며 그를 티탄의 전령으로 묘사한다.[15] 케레니는 이러한 이름들이 "명확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같은 이름의 다른 표기일 수도 있지만, "프로메테우스"라는 이름은 서술적인 이름이라고 말한다.
또한, 프로메테우스의 어원이 "훔치다"라는 뜻의 베다 산스크리트어 ''pra math''를 비롯한 원인도유럽어족에서 유래했다는 이론도 있다. 따라서 ''pramathyu-s''는 "도둑"을 의미하며, 불을 훔친 프로메테우스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 마타리슈반이 불을 훔친 베다 신화는 그리스 신화의 이야기와 유사하다.[16] ''Pramant''는 불을 만드는 데 사용된 도구인 마찰 발화기였다.[17]
프로메테우스가 원래 불을 피우는 데 사용되는 불지팡이를 발명한 인간이었다는 주장은 기원전 1세기 디오도루스 시쿨루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마찰을 이용하여 불을 피우는 전 세계적인 원시적인 방법인 마찰 발화기, 즉 수직과 수평 나무 조각을 사용하여 불을 만드는 방법을 다시 언급하는 것이다.[18]
그리스어로 "pro"(앞서, 전에) + "mētheus"(생각하는 자)로 나눌 수 있으며, "선견지명이 있는 자", "숙고하는 자"라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그의 동생 에피메테우스는 "epi"(나중에) + "mētheus"로 나눌 수 있으며, 대조적인 이름으로 지어졌다.
다른 해석으로는, "Promē"(촉진하다, 승진시키다) + "theus / theos"(신)으로 해석하여, 인류에게 신의 불을 준 것으로 "신으로 승진시킨 자"라는 의미라는 설도 있다.
3. 신화 속 프로메테우스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를 속이고 꺼지지 않는 불을 회향 줄기 안에 넣어 인간에게 몰래 주었다. 이에 분노한 제우스는 인간을 벌하기 위해 최초의 여자인 판도라를 만들어 그의 동생 에피메테우스에게 보냈다. 프로메테우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에피메테우스는 판도라를 아내로 맞이했고, 이로 인해 "판도라의 상자" 사건이 발생하여 인류에게 재앙이 찾아오게 되었다.
프로메테우스는 예언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는데, 제우스가 자신의 미래를 묻자 이를 알려주기를 거부했다. 이 때문에 제우스는 분노하여 프로메테우스를 카프카스 산 바위에 쇠사슬로 묶어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게 했다. 훗날 헤라클레스가 독수리를 죽이고 그를 구해 주었다. 헤라클레스가 12과업을 수행할 때 아틀라스의 꾐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준 것도 프로메테우스였다고 한다.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라는 이름은 "선견지명(forethought)"을 의미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1] "훔치다"라는 뜻의 베다 산스크리트어 ''pra math''에서 유래했다는 이론도 있는데, 이 경우 ''pramathyu-s''는 "도둑"을 의미한다.[16] 프로메테우스 이야기는 수메르 신화의 엔키와도 닮아 있는데, 엔키 또한 인류에게 문명을 가져다주고 다른 신들로부터 인류를 보호했으며, 진흙으로 인간을 창조했다.[19]
티타노마키아는 그리스 신들과 티탄들 간의 전쟁을 다룬 서사시로,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또 다른 원천으로 여겨진다.[25] 아이시킬로스의 비극 '''프로메테우스의 고뇌'''는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재해석한 작품 중 하나로, 인류에게 불뿐만 아니라 글쓰기, 수학, 농업, 의학, 과학 등 문명의 기술을 가르쳤다고 묘사한다.[30]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에서 프로타고라스는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불과 문명화된 기술을 주었다고 주장한다.[42]
아테네에서는 프로메테우스가 아테나, 헤파이스토스와 함께 숭배되었다. 파나테나이아 축제에서는 횃불 경주가 프로메테우스의 제단에서 시작되었다.[45] 기원전 5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여러 작가들이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재구성하고 발전시켰으며, 프로메테우스가 점토로 인간을 만들었다는 내용을 추가했다.[55]
3. 1.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인간이 신에게 바칠 제물을 두고 신과 협정을 맺을 때, 소의 뼈를 윤기가 흐르는 비계로 감싸고, 살코기와 내장을 가죽으로 감싸 제우스에게 선택하게 하였다고 한다. 프로메테우스의 계략을 간파한 제우스는 분노하여 인류에게서 불을 빼앗았다.[119]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를 속이고 꺼지지 않는 불을 회향 안에 넣어 인간에게 몰래 주었다. 분노한 제우스는 최초의 여자인 판도라를 만들어 그의 동생 에피메테우스에게 보냈고, 에피메테우스는 판도라를 아내로 맞이했다. 이로 인해 "판도라의 상자" 사건이 발생하여 인류에게 재앙이 찾아왔다.
프로메테우스는 예언 능력이 있었는데, 제우스가 자신의 미래를 묻자 알려주기를 거부했다. 이 때문에 제우스의 분노를 사 카프카스 산 바위에 쇠사슬로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형벌을 받았다. 이 독수리는 티폰과 에키드나의 자식인 거대한 아이톤[121] 이었다. 프로메테우스는 불멸의 존재였기 때문에 간은 밤마다 재생되었고, 헤라클레스에게 구출될 때까지 고통은 계속되었다. 그 기간은 3만 년이었다고 한다.[123]
3. 2. 아이스킬로스의 프로메테우스의 고뇌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프로메테우스의 고뇌'''는 프로메테우스가 불을 훔친 죄로 제우스에게 벌을 받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다.[30] 이 작품은 헤시오도스의 기록에 기반하면서도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주었다.
프로메테우스는 티타노마키아에서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우스에게 배신당해 가혹한 형벌을 받게 된다. 그는 인류에게 불뿐만 아니라 글쓰기, 수학, 농업, 의학, 과학 등 문명의 기술을 가르쳐 인류를 파멸로부터 구원했다고 묘사된다.
아이스킬로스는 제우스의 또 다른 희생자인 이오를 시대착오적으로 이야기에 삽입하고, 프로메테우스에게 제우스의 몰락을 예견할 수 있는 비밀 지식을 부여한다. 프로메테우스는 가이아와 동일시되는 어머니 테미스로부터 제우스를 몰아낼 아들을 낳을 결혼에 대한 예언을 듣는다.
'''프로메테우스의 고뇌'''에서는 판도라 이야기가 생략되고, 제물 속임수에 대한 언급도 없다.[30] 대신,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눈먼 희망"을 심어주었다는 간접적인 언급이 나타난다.
아이스킬로스의 프로메테우스 4부작은 '''프로메테우스의 고뇌''', '''프로메테우스 해방''', '''프로메테우스 불을 가져온 자''', '''프로메테우스 불을 지핀 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프로메테우스의 고뇌'''만이 현존한다.
해럴드 블룸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아이스킬로스의 작품에서 제우스의 정의와 신정론에 대한 문제를 다루며, 그의 종교적 관심사를 분석했다.[33] 자클린 드 로밀리는 아이스킬로스의 시간 묘사가 신의 정의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34] 토마스 로젠마이어는 아이스킬로스의 작품에서 초자연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의 인과 관계가 공존한다고 주장하며, 등장인물의 행동을 신학적, 종교적 관점으로만 해석하는 것을 경계했다.[36]
칼-마틴 디츠는 아이스킬로스의 프로메테우스가 인류 문명의 발전을 상징한다고 평가했다.[24]
3. 3. 기타 전승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인간과 신이 제물을 두고 협정을 맺을 때,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를 속이기 위해 소의 뼈를 윤기 있는 비계로 감싸고, 살코기와 내장은 가죽으로 감싸는 계략을 꾸몄다. 제우스는 이 계략을 간파하고 분노하여 인류에게서 불을 빼앗았다.[119]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다시 제우스를 속이고 꺼지지 않는 불을 회양목 안에 넣어 인간에게 몰래 주었다. 이에 분노한 제우스는 최초의 여자인 판도라를 만들어 프로메테우스의 동생 에피메테우스에게 보냈고, 에피메테우스는 판도라를 아내로 맞이했다. 이로 인해 "판도라의 상자" 사건이 발생하여 인류에게 재앙이 찾아왔다.[120]
프로메테우스는 예언 능력이 있었으나, 제우스에게 미래를 알려주기를 거부하여 코카서스 산 바위에 쇠사슬로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형벌을 받았다. 훗날 헤라클레스가 독수리를 죽이고 그를 구해주었다. 헤라클레스가 12과업을 수행할 때 아틀라스의 꾐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준 것도 프로메테우스였다고 한다.
프로메테우스(Prometheus)라는 이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의 형제 에피메테우스(Epimetheus)가 "후견(afterthought)"을 의미하는 것처럼, 프로메테우스는 "선견지명(forethought)"을 의미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1]
또한, 프로메테우스의 어원이 "훔치다"라는 뜻의 베다 산스크리트어(Vedic Sanskrit) ''pra math''에서 유래했다는 이론도 있다. 이 경우 ''pramathyu-s''는 "도둑"을 의미하며, 불을 훔친 프로메테우스와 관련이 있다. 마타리슈반(Mātariśvan)이 불을 훔친 베다 신화(Vedic myth)는 그리스 신화와 유사하다.[16]
프로메테우스 이야기는 수메르 신화의 엔키(후대 바빌로니아 신화에서는 에아)와도 닮아 있다. 엔키 또한 인류에게 문명을 가져다주고 다른 신들로부터 인류를 보호했으며, 진흙으로 인간을 창조했다.[19]
티타노마키아는 그리스 신들과 티탄들 간의 전쟁을 다룬 서사시로,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또 다른 원천으로 여겨진다.[25] 이 서사시에는 티탄이었던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와 올림포스 신들 편에 서서 크로노스와 다른 티탄들과의 전투를 피했다는 이야기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7]
아이시킬로스의 비극 '''프로메테우스의 고뇌'''는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재해석한 작품 중 하나이다.[30] 이 작품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인류에게 불뿐만 아니라 글쓰기, 수학, 농업, 의학, 과학 등 문명의 기술을 가르쳤다고 묘사된다.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에서 프로타고라스는 신들이 인간과 동물을 창조했지만, 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 형제에게 각 생명체에게 특징적인 속성을 부여하는 임무를 맡겼다고 주장한다. 에피메테우스의 실수로 인간에게는 아무런 특징도 남지 않게 되자, 프로메테우스는 인간에게 불과 문명화된 기술을 주기로 결정한다.[42]
아테네에서는 프로메테우스가 아테나, 헤파이스토스와 함께 숭배되었다. 아카데미아 숲에 있는 프로메테우스의 제단은 아테네 달력에서 중요한 행사의 출발지였다. 파나테나이아 축제에서는 횃불 경주가 이 제단에서 시작되어 케라메이코스를 거쳐 아크로폴리스에 있는 아테나의 제단에서 끝났다.[45]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횃불 릴레이는 프로메테우스를 기리기 위해 아테네에서 처음 시작되었다.[47]
기원전 5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여러 작가들이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재구성하고 발전시켰다. 이들은 프로메테우스가 점토로 인간을 만들었다는 내용을 추가했다.[55]
4. 프로메테우스 신화의 영향과 상징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인간이 신에게 바칠 제물을 두고 신과 협정을 맺을 때,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를 속이고 불을 인간에게 몰래 주었다. 분노한 제우스는 인간을 벌하기 위해 판도라를 만들고, 프로메테우스는 코카서스 산 바위에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먹히는 벌을 받게 되었다. 후일 헤라클레스가 그를 구해주었다.[30]
기원전 5세기 그리스 비극 작가 아이시킬로스의 프로메테우스의 고뇌는 프로메테우스의 불 도둑질과 제우스에 의한 처벌을 다룬다. 아이시킬로스는 헤시오도스의 내용에 여러 가지 변화를 주었는데, 프로메테우스는 인류에게 불뿐만 아니라 글쓰기, 수학, 농업, 의학, 과학 등 문명의 기술을 가르쳤다고 주장한다. 또한 제우스가 인류를 말살하려 했지만 프로메테우스가 막았다고 한다.[29]
아이시킬로스는 이오를 프로메테우스 이야기에 삽입하고, 프로메테우스에게 제우스의 몰락을 예견하는 비밀 지식을 부여했다. 3부작의 두 번째 극인 프로메테우스 해방에서 헤라클레스가 프로메테우스를 해방시키고, 마지막 극인 프로메테우스 불을 가져온 자에서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의 잠재적인 몰락에 대한 비밀을 밝힌 후 화해하는 것으로 보인다.
해럴드 블룸은 아이시킬로스가 아테네에서 철학적 중요성을 가진다고 평가했다.[33] 자클린 드 로밀리는 아이시킬로스의 시간 묘사가 신의 정의에 대한 믿음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34] 토마스 로젠마이어는 아이시킬로스의 극에서 초자연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이 공존한다고 보았다.[36]
칼-마틴 디츠는 아이시킬로스의 작품에서 프로메테우스가 "원시적인 시작에서 현재의 문명 수준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상승"을 나타낸다고 평가했다.[24]
아테네에서는 프로메테우스가 아테나와 헤파이스토스와 함께 숭배되었다. 아카데미아 숲에 있는 프로메테우스의 제단은 아테네 달력에서 중요한 행사의 발상지였다. 파나테나이아 축제에서는 횃불 경주가 이 제단에서 시작되어 케라메이코스를 거쳐 아크로폴리스에서 마무리되었다.[45] 프로메테우스의 축제는 프로메테이아(τὰ Προμήθεια)였고, 쓰여진 화환은 프로메테우스의 사슬을 상징했다.[50]
파우사니아스는 그리스에서 프로메테우스에게 헌정된 다른 종교 유적지를 기록했다. 아르고스와 오푸스는 프로메테우스의 무덤을 주장했고, 파노페이우스에는 프로메테우스의 숭배 조각상이 있었다.[42]
기원전 5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여러 작가들이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재구성하고 장식했다. 이들은 인류 창조에서 프로메테우스의 중심적인 역할을 강조했다.[55] 후대의 작가들은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에게 테티스와 결혼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전한다.
조지아 신화의 아미라니는 프로메테우스처럼 코카서스 산맥에 묶여 새들이 그의 내장을 먹는 벌을 받았다. 조셉 캠벨은 프로메테우스와 예수를 비교하며, 둘 다 인류에게 선물을 주고 그에 대한 벌을 받았다고 보았다.[68]
세르비우스는 프로메테우스가 뛰어난 예지력을 가진 사람 ''(vir prudentissimus)''이라는 뜻으로 명명되었다고 설명했다.[71] 풀겐티우스 플라키아데스의 신화 해설서는 중세 시대 프로메테우스 신화 수용에 큰 영향을 미쳤다.[53] 조반니 보카치오는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우의적, 역사적으로 해석했다.[54] 마르실리오 피치노는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인간 영혼의 이미지로 해석했다.[54]
르네상스 이후 프로메테우스 신화는 서양 미술과 문학에서 즐겨 다루어지는 주제였다. 낭만주의 시대에 프로메테우스는 제도적 폭정에 저항하는 반역자로 여겨졌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시 프로메테우스는 신에게 반항하는 프로메테우스를 묘사한다. 퍼시 비시 셸리의 프로메테우스 해방은 아이스킬로스의 희곡을 재구성하여 프로메테우스가 제우스에게 굴복하지 않는 내용을 담았다.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또는 현대의 프로메테우스는 인류가 위험한 지식 영역으로 진출한다는 주제를 다룬다.
프란츠 카프카는 프로메테우스라는 단편에서 신화의 네 가지 측면에 대한 관점을 제시했다. 애인 랜드는 앤섬, 샘솟는 샘, 아틀라스 슈러그드에서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창조적인 사람들과 생산자들에 대한 은유로 사용했다.
화학 원소 프로메튬과 토성의 위성 프로메테우스는 프로메테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로버트 J. 오펜하이머에 관한 책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가 출판되었다.[87] 프로메테우스는 호세 클레멘테 오로스코의 프로메테우스[88][89]와 폴 맨십의 프로메테우스 등 여러 예술 작품에 묘사되었다.
프로메테우스 신화는 프란츠 리스트의 교향시 프로메테우스[90], 알렉산더 스크랴빈의 프로메테우스: 불의 시[91][92], 가브리엘 포레의 오페라 프로메테우스[93], 베토벤의 프로메테우스의 피조물[95] 등 여러 고전 음악, 오페라, 발레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5. 프로메테우스 관련 명칭
토성의 제16위성 프로메테우스 (위성)과 소행성대의 프로메테우스는 프로메테우스(Προμηθεύς)에서 이름을 따왔다.
6. 가계도
프로메테우스는 티탄 신족의 자식이기 때문에, 형제들과 함께 광의의 티탄에 포함된다. 계보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이아페토스와 클뤼메네의 아들이며, 아틀라스와 메노이티오스의 동생이고, 에피메테우스의 형이다.[107]
하지만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케』에 따르면 어머니의 이름은 아시아이다.[108] 아이슈퀼로스의 비극 『프로메테우스의 고뇌』에서는 여신 테미스이다.[111] 알렉산드리아의 시인 Euphorion of Chalcis|에우포리온영어은, 기간테스의 왕 에우뤼메돈이 결혼 전의 헤라를 범하여 프로메테우스를 낳았다는 다른 설을 전하고 있다.[112]
아내에 대해서도 클뤼메네[113], 프로노에[114], 헤시오네[115][116], 또는 판도라라고도 한다.[117]
참조
[1]
웹사이트
Prometheus
https://www.perseus.[...]
2021-02-25
[2]
웹사이트
Prometheus | Description & Myth
https://www.britanni[...]
2020-09-08
[3]
서적
The Longman Anthology of British Literature: Volume 2A: The Romantics and Their Contemporaries
Pearson Education, Inc.
[4]
서적
Classical Mythology: A Guide to the Mythical World of the Greeks and Romans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Frankenstein and Its Classics: The Modern Prometheus from Antiquity to Science Fiction
http://www.bloomsbur[...]
Bloomsbury Academic
2018
[6]
서적
Prometheus
Routledge
[7]
간행물
Prometheus Orientalized
[8]
웹사이트
Apollodorus, 1.7.1
http://www.theoi.com[...]
2021-10-23
[9]
서적
Theogony
[10]
웹사이트
Prometheus: The Complete Guide to the Greek Titan (2021)
https://mythologysou[...]
2020-05-04
[11]
서적
Book of the High Mountains
Julian Messner
[12]
웹사이트
Prometheus – Greek Titan God of Forethought, Creator of Mankind
https://www.theoi.co[...]
2022-04-04
[13]
서적
The Cults of the Greek States
Oxford: Clarendon Press
[14]
서적
Prometheus
Routledge
[15]
참고문헌
[16]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ing
[17]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Volume 1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2-05
[18]
참고문헌
[19]
간행물
Prometheus Orientalized
[20]
서적
Hesiod
[21]
서적
La famiglia di Pandora: analisi filologica dei miti di Pandora e Prometeo nella tradizione esiodea
[22]
문서
Angelo Casanova biography
[23]
서적
Theogony
[24]
서적
Metamorphosen des Geistes
[25]
서적
Aischylos als Regisseur und Theologe
[26]
간행물
'Eumelos': A Corinthian Epic Cycle?
[27]
서적
Untersuchungen uber griechischen Mythos: Genealogie als mythische Form
https://archive.org/[...]
Rhein-Verlag
[28]
참고문헌
[29]
희곡
Prometheus Bound
http://www.perseus.t[...]
[30]
웹사이트
Prometheus Bound
http://www.theoi.com[...]
2012-05-18
[31]
서적
Christ and Prometheu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32]
참고문헌
[33]
서적
Bloom's Major Dramatists: Aeschylus
Chelsea House Publishers
[34]
서적
Time in Greek Tragedy
Cornell University Press
[35]
참고문헌
[36]
서적
The Art of Aeschylu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37]
서적
Bloom's Guides: Oedipus Rex
Chelsea Press
2007
[38]
논문
The Myth of Prometheus: Its Survival and Metamorphoses up to the Eighteenth Century
1958
[39]
서적
Protagoras
1958
[40]
문서
Protagoras
[41]
서적
Classical Mythology
[42]
웹사이트
Theoi Project: Prometheus
http://www.theoi.com[...]
Theoi.com
2012-05-18
[43]
서적
Prometheus
[44]
서적
Prometheus
[45]
서적
Polytheism and Society at Athe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6]
서적
The Athenian Institution of the Khoreg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7]
서적
[48]
문서
The Athenian Institution of the Khoregia
[49]
서적
Polytheism and Society at Athens
[50]
서적
Polytheism and Society at Athens
[51]
웹사이트
Iliad
https://books.google[...]
[52]
서적
https://books.google[...]
[53]
서적
Archeologische Beitrage
1847
[54]
서적
Die Befreiung des Prometheus
1882
[55]
서적
Metamorphoses
[56]
웹사이트
30 Years
http://www.mlahanas.[...]
Mlahanas.de
1997-11-10
[57]
웹사이트
30,000 Years
http://www.theoi.com[...]
Theoi.com
2012-05-18
[58]
서적
Legends of the Caucasus
Saqi Books
2012
[59]
서적
Myth and the Human Sciences: Hans Blumenberg's Theory of My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60]
서적
Shahnameh: The Persian Book of Kings
Penguin Books
2016
[61]
서적
Xerxes: A Persian Life
Yale University Press
2015
[62]
논문
In the Enemy's Camp: Homer's Helen and Ferdowsi's Hojir
1992
[63]
서적
Apologeticum
[64]
서적
I Sarcofagi Christiani
1932
[65]
서적
[66]
서적
Die Antiken Gemmen
1910
[67]
서적
op. cit.
[68]
서적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69]
서적
Christ and Prometheus
[70]
서적
The Brothers Karamazov
[71]
서적
Vergil's Eclogue
https://www.perseus.[...]
[72]
웹사이트
Dionysos
http://www.theoi.com[...]
Theoi.com
2012-05-18
[73]
간행물
Alte Pinakothek Katalog
Munich
1930
[74]
서적
Parmigianino: The Drawings
[75]
서적
Shelley's Mythmaking
Yale University Press
1959
[76]
서적
Shelley's Mythmaking
Yale University Press
1959
[77]
서적
Percy Bysshe Shelley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78]
서적
Percy Bysshe Shelley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79]
서적
Shelley's Mythmaking
Yale University Press
1959
[80]
서적
Being and Time
[81]
서적
Percy Bysshe Shelley
Chelsea House Publishers
1985
[82]
뉴스
Are Fears of A.I. and Nuclear Apocalypse Keeping You Up? Blame Prometheus. – How an ancient Greek myth explains our terrifying modern reality.
https://www.nytimes.[...]
2023-10-21
[83]
서적
Franz Kafka: The Complete Stories
Schocken Book, Inc.
1971
[84]
서적
Kafka: The years of Insi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85]
서적
Lucifer and Prometheus
Brill
1987
[86]
웹사이트
Welcome Back, 'Prometheus' The Eulenspiegel Society
http://www.tes.org/2[...]
2017-07-07
[87]
뉴스
Behind 'Oppenheimer,' a Prizewinning Biography 25 Years in the Making
https://www.nytimes.[...]
2023-07-10
[88]
웹사이트
José Clemente Orozco's Prometheus
https://www.pomona.e[...]
2020-05-18
[89]
뉴스
Framed: 'Prometheus' — the hunk without the junk at Frary
https://tsl.news/the[...]
2020-02-28
[90]
음반
Liszt: Les Preludes / Tasso / Prometheus / Mephisto Waltz No. 1
1990
[91]
음반
Scriabin: Symphony No. 3 The Divine Poem, Prometheus Op. 60 The Poem of Fire
1995
[92]
음반
Scriabin: Complete Symphonies/Piano Concerto/Prometheus/Le Poeme de l'extase
2003
[93]
서적
Prométhée; Tragédie Lyrique En 3 Actes De Jean Lorrain & F.a. Hérold (French Edition)
2012-09-24
[94]
음반
Grand Sonata, Op. 33, "Les quatre ages" (The four ages): IV. 50 ans Promethee enchaine (Prometheus enchained)
[95]
음반
Beethoven: Creatures of Prometheus
2005
[96]
음반
Goethe lieder
2000-07-25
[97]
음반
Prometheus
2006-02-14
[98]
음반
Prometheus
2005-05-31
[99]
음반
Prometheus
1999-11-29
[100]
서적
Prometheus libretto in modern Greek and German translation
Schott
1976-06-01
[101]
서적
Theology of Wagner's Ring Cycle I: The Genesis and Development of the Tetralogy and the Appropriation of Sources, Artists,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0
[10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03]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04]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105]
서적
Critias
http://data.perseus.[...]
[106]
서적
Prometheus Bound
http://www.loebclass[...]
Loeb Classical Library
[107]
서적
신통기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묶인 프로메테우스
[112]
서적
일리아스
[113]
서적
오디세이아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묶인 프로메테우스
[117]
서적
[118]
서적
헤시오도스 전작
[119]
서적
그리스 신화
청토사
[120]
문서
프로메테우스의 불
[121]
서적
[122]
서적
그리스 로마 신화 사전
이와나미 쇼텐
[123]
서적
그리스 신화 신들의 시대
[124]
서적
그리스 신화
[125]
서적
고대 그리스 갬치쿠 도감
바질리코
[126]
서적
그리스 로마 신화 사전
[127]
웹사이트
Theoi Project: Prometheus
http://www.theoi.com[...]
Theoi.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