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토타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토타일은 테셀레이션에서 사용되는 타일 집합의 일종으로, 이 집합 내의 모든 타일은 서로 합동이 아니며, 테셀레이션에 사용된 모든 타일은 프로토타일 집합 내의 타일과 합동이다. 프로토타일 집합은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프로토타일의 개수는 잘 정의된다. 프로토타일 개수가 1개뿐인 테셀레이션을 일면 테셀레이션이라고 한다. 프로토타일 집합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테셀레이션이 비주기적이면 해당 프로토타일을 비주기적이라고 하며, 2차원 비주기적 일면 테셀레이션의 존재 여부는 오랫동안 미해결 문제(아인슈타인 문제)였으나, 2023년 데이비드 스미스 등에 의해 해결되었다. 3차원에서는 슈미트-콘웨이-댄저 타일이 비주기적 일면 프로토타일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셀레이션 - 준결정
    준결정은 주기적인 결정 구조가 아닌 규칙적인 회절 패턴을 보이는 고체 물질이며, 댄 셰흐트만이 발견하여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다각형과 이코사헤드럴의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하고, 높은 열 및 전기 저항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 테셀레이션 - 펜로즈 테셀레이션
    펜로즈 테셀레이션은 로저 펜로즈가 발견한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으로, 유한한 종류의 프로토타일로 평면을 채울 수 있으며, 초기 6개에서 2개로 줄어든 프로토타일을 사용하고 황금비와 관련되어 현대 건축 및 디자인에서 활용된다.
프로토타일
기본 정보
유형기하학적 도형
정의평면을 채우는 데 사용되는 기본 모양
상세 정보
특징반복적인 패턴을 만드는 데 사용됨
관련 개념테셀레이션

2. 정의

테셀레이션은 '타일'이라고 하는 닫힌 모양으로 평면 등의 공간을 채우는 것을 말하는데, 이때 타일은 내부서로소여야 한다. 즉, 겹치지 않아야 한다. 다른 타일과 합동인 타일도 있을 수 있다. 테셀레이션에서 쓰인 타일 집합을 S라 하자. 그러면 프로토타일의 집합 R에서는 어느 두 도형도 서로 합동인 것이 없고, S에 있는 모든 타일은 R에 있는 타일 하나와 항상 합동이어야 한다.[6][2]

테셀레이션에서 다양한 프로토타일 집합 중에서 선택해서 쓸 수 있다. 프로토타일 중 어느 하나를 평행, 회전, 대칭 이동시키면 프로토타일 집합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프로토타일 집합은 모두 크기가 같아서, 프로토타일의 개수는 잘 정의된다. 테셀레이션에서 프로토타일 개수가 1개뿐이면 '''일면'''(monohedral영어) 테셀레이션이라고 한다.

3. 비주기성

어떤 프로토타일 집합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테셀레이션이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 된다면, 그 프로토타일은 비주기적이라고 한다. 고차원에서는 이 문제가 더 일찍 해결되었는데, 슈미트-콘웨이-댄저 타일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을 주기적으로 채울 수 없고 비주기적으로만 채우는 일면 프로토타일이다.

3. 1. 아인슈타인 문제와 해결

어떤 프로토타일 집합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테셀레이션이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 된다면, 프로토타일이 비주기적이라고 한다. 2차원에서 비주기적 일면 테셀레이션이 존재하는지는 오랫동안 미해결 문제(아인슈타인 문제)였다. 2010년에 발견된 소콜라-테일러 타일은 2차원 비주기적 일면 프로토타일이지만 그 모양이 연결집합이 아니다.

소콜라-테일러 타일


스미스-마이어스-캐플런-구드먼스트라우스 타일


2023년에 구드먼스트라우스, 스미스, 마이어스, 캐플런이 연결집합인 비주기적 일면 프로토타일을 발견함으로써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프로토타일 집합은 해당 프로토타일을 사용한 모든 타일링이 비주기적 타일링일 경우 비주기적이라고 한다. 2023년 3월, 차임 굿맨-스트라우스, 데이비드 스미스, 조셉 새뮤얼 마이어스, 크레이그 S. 캐플런 등 4명의 연구원이 비주기적 단면 프로토타일(모노타일)을 발견하고, 데이비드 스미스가 발견한 타일이 비주기적 모노타일, 즉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아인슈타인 문제의 해답임을 증명했다고 발표했다.[3][4]

고차원에서 이 문제는 더 일찍 해결되었는데, 슈미트-콘웨이-댄저 타일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을 주기적으로 채울 수 없고 비주기적으로만 채우는 일면 프로토타일이다.

3. 2. 고차원에서의 비주기성

어떤 프로토타일 집합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테셀레이션이 비주기적 테셀레이션이 된다면, 그 프로토타일은 비주기적이라고 한다. 2차원에서 비주기적 일면 테셀레이션이 존재하는지는 오랫동안 미해결 문제(아인슈타인 문제)였다. 2010년에 발견된 소콜라-테일러 타일은 2차원 비주기적 일면 프로토타일이지만 그 모양이 연결집합이 아니다. 2023년에 구드먼스트라우스, 스미스, 마이어스, 캐플런이 연결집합인 비주기적 일면 프로토타일을 발견함으로써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고차원에서 이 문제는 더 일찍 해결되었는데, 슈미트-콘웨이-댄저 타일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을 주기적으로 채울 수 없고 비주기적으로만 채우는 일면 프로토타일이다. 프로토타일 집합은 해당 프로토타일을 사용한 모든 타일링이 비주기적 타일링일 경우 비주기적이라고 한다. 2023년 3월, 차임 굿맨-스트라우스, 데이비드 스미스, 조셉 새뮤얼 마이어스, 크레이그 S. 캐플런 등 4명의 연구원이 비주기적 단면 프로토타일(모노타일)을 발견하고, 데이비드 스미스가 발견한 타일이 비주기적 모노타일, 즉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아인슈타인 문제의 해답임을 증명했다고 발표했다.[3][4]

더 높은 차원에서는 이 문제가 더 일찍 해결되었다. 슈미트-콘웨이-댄저 타일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단면 비주기적 타일링의 프로토타일이며, 공간을 주기적으로 타일링할 수 없다.

참조

[1] 서적 A Course in Modern Geometries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 서적 Introductory Tiling Theory for Computer Graphics https://books.google[...] Morgan & Claypool Publishers
[3] 뉴스 Elusive 'Einstein' Solves a Longstanding Math Problem https://www.nytimes.[...] 2023-06-02
[4] 논문 An aperiodic monotile
[5] 서적 A Course in Modern Geometries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6] 서적 Introductory Tiling Theory for Computer Graphics https://books.google[...] Morgan & Claypool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