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의 5부 리그로, 1950년에 테르세라 데 아센소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다. 리그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단일리그로 진행되며, 우승팀은 프리메라 C로 자동 승격되고, 2위부터 9위까지의 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팀을 결정한다. 최하위 팀은 다음 시즌 리그에 참가할 수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일본 프로 야구
일본 프로 야구(NPB)는 1950년 일본야구연맹 재편으로 출범하여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로 구성, 12개 구단이 참가하며, 1936년 JBL 창설과 2차 세계대전 중단, 2004년 선수 파업 및 구단 재편을 거쳐 현재 체제를 갖추고 일본 국민 스포츠로 자리매김했다. - 1950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LPGA
LPGA는 1950년 13명의 여성 골퍼들에 의해 설립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여성 프로 스포츠 조직으로, LPGA 투어와 엡손 투어를 운영하며, 한국 선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2024년 트랜스젠더 선수 참가 관련 정책을 발표했다. - 아르헨티나의 축구 리그 - 프리메라 나시오날
프리메라 나시오날은 1986년에 창설되어 202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아르헨티나의 프로 축구 리그로,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소속 팀들이 참가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 다음으로 높은 수준의 리그이다. - 아르헨티나의 축구 리그 -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
프리메라 B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서 부에노스 아이레스 지역 클럽들이 주로 참가하며, 1899년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창설되어 1986년 3부 리그로 재편, 매 시즌 우승팀은 2부 리그로 승격하고 하위 두 팀은 4부 리그로 강등된다. - 아르헨티나 축구에 관한 -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는 1893년 설립되어 아르헨티나 축구를 관장하는 최고 기관으로, 대표팀 운영, 선수 육성, 리그 운영에 관여하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르헨티나 축구의 국제적 성공에 기여해왔다. - 아르헨티나 축구에 관한 - CA 우라칸
클럽 아틀레티코 우라칸은 1903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항공 개척자의 기구에서 영감을 얻은 이름과 유니폼을 사용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 아마추어 시대 황금기와 '메노티 혁명' 시대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재정난 등으로 부침을 겪었고,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와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으로 부활했으며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와 중요한 라이벌 관계를 가진 축구 클럽이다.
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 | |
---|---|
리그 정보 | |
명칭 | 프리메라 D |
대륙 | CONMEBOL |
주최 기관 | AFA |
리그 등급 | 5 |
개최 주기 | 매년 |
팀 수 | 11개 구단 (2022) |
상위 리그 | 프리메라 C |
하위 리그 | 없음 |
홈페이지 | 공식 홈페이지 |
설립 연도 | 1950년 |
최근 우승 | 리니에르스 (2021, 3번째 우승) |
최다 우승 | 아르헨티노 페로카릴 미들란드 리니에르스 사카치스파스 (3회) |
기타 정보 | |
이름 | 프리메라 D |
연맹 | CONMEBOL |
창립 | 1950년 |
폐지 | 2023년 |
팀 | 11 (2023) |
승격 | 프리메라 C |
강등 | 1시즌 제명 |
레벨 | 5 |
국내 컵 | 코파 아르헨티나 |
우승팀 | 센트로 에스파뇰 |
시즌 | 2023 |
최다 성공 클럽 | 아르헨티노 (메를로) 페로카릴 미들란드 리니에르스 사카치스파스 (각 3회 우승) |
TV | DirecTV Sports |
2. 역사
1950년부터 1961년까지는 테르세라 데 아센소(Tercera de Ascenso), 1962년부터 1973년까지는 아피시나도스(Aficionados), 1974년부터 1986년까지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D(Primera División D)라는 명칭으로 4부 리그 역할을 했다. 1986년부터 현재의 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Primera D Metropolitana)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5부 리그가 되었다.
기간 | 리그 명칭 | 디비시온 |
---|---|---|
1950년~1961년 | 테르세라 데 아센소 (Tercera de Ascenso) | 4부 |
1962년~1973년 | 아피시나도스 (Aficionados) | |
1974년~1986년 | 프리메라 디비시온 D (Primera División D) | |
1986년~ | 프리메라 D 메트로 폴리타나 (Primera División D Metropolitana) | 5부 |
프리메라 D 우승팀은 자동으로 프리메라 C로 승격된다. 2위부터 9위까지 팀들은 플레이오프 시리즈에 진출하며, 최종 승자는 프리메라 C에서 두 번째로 낮은 순위를 기록한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3. 리그 진행 방식
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팀은 강등된다. 그러나 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시스템에서 가장 낮은 리그이기 때문에, 강등된 팀은 다음 시즌 리그 시스템에 참여하지 못한다.
3. 1. 일반적인 리그 진행 방식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단일리그로 진행되어 통합 순위에 따라 우승 팀을 가린다.
기간 | 리그 진행 방식 |
---|---|
1950년~1986년 | 연간 단일 시즌 |
1986/87~1992/93 | 연년제 단일리그 |
1993/94~2001/02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
2002/03~2004/05 | 연년제 단일리그 |
2005/06~2006/07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
2007/08 | 연년제 단일리그 |
3. 2. 시즌별 진행 방식 변화
시즌 | 진행 방식 |
---|---|
1950년~1986년 | 연간 단일 시즌 |
1986/87~1992/93 | 연년제 단일리그 |
1993/94~2001/02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
2002/03~2004/05 | 연년제 단일리그 |
2005/06~2006/07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
2007/08 | 연년제 단일리그 |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단일리그로 진행되어 통합 순위에 따라 우승 팀을 가린다.
3. 3. 승격과 강등
매 시즌 종료 후 우승 팀은 4부 리그인 프리메라 C 메트로폴리타나로 바로 승격하고, 2위부터 9위까지 여덟 개 팀은 4부 리그 팀과의 프로모시온(Promoción)에 진출할 팀을 결정하기 위한 플레이오프인 레두시도(Torneo Reducido)를 펼친다.[1]프리메라 D는 최하위 디비시온이기 때문에, 최하위(18위) 팀은 강등이 아니라 다음 시즌 참여 자격이 박탈되는 방식으로 리그가 진행된다.[1] 우승 팀은 자동으로 프리메라 C로 승격된다.[1] 2위부터 9위까지의 팀은 플레이오프 시리즈에 진출하며, 최종 승자는 프리메라 C에서 두 번째로 낮은 순위를 기록한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1]
최하위를 기록한 팀은 강등된다.[1] 그러나 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시스템에서 가장 낮은 리그이기 때문에, 강등된 팀은 다음 시즌 리그 시스템에 참여하지 못한다.[1]
4. 역대 우승팀
프리메라 D 메트로폴리타나는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5부 리그에 해당하며, 부에노스아이레스와 그 주변 지역 팀들이 참가한다. 1950년 '테르세라 데 아센소'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1962년 '프리메라 데 아피시오나도스', 1974년 '프리메라 D'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3년 시즌 이후 프리메라 C와 통합되었다.
- 1951년에는 몇몇 팀들이 함께 경쟁하는 특별 토너먼트가 열렸고, 티로 페데랄이 우승하여 프리메라 디비시온 B로 승격했다.
- 1965년 우승팀 제네랄 미트레(사란디)는 1963년 AFA에 가입하여 1965년까지 협회에 있었다.
- 1966년 우승팀 루스 이 푸에르사는 노동 조합 축구팀으로, 비야 우다온도에 위치했으며 1964년에 AFA에 가입했다.
- 1967년 우승팀 마카비는 아르헨티나 유대인 단체 팀으로, 1953년에 AFA에 가입하여 프리메라 C로 승격한 지 1년 만인 1968년에 탈퇴했다.
- 2014년에는 챔피언이 결정되지 않았고, 카뉴에라스, 산 마르틴 데 부르자코, 산 미겔 3팀이 승격했다.
-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대회가 중단되고 시즌 종료가 선언되었다.
4. 1. 대회 명칭
- 1950–1961: 테르세라 데 아센소
- 1962–1973: 프리메라 데 아피시오나도스
- 1974–2023: 프리메라 D
4. 2. 역대 우승팀 목록
# | 시즌 | 우승팀 | 준우승팀 |
---|---|---|---|
1 | 1950 | 리니에르스 | 브라운 (A) |
– | 1951 | (챔피언십 없음) | |
2 | 1952 | 플란드리아 | J. J. 데 우르키사 |
3 | 1953 | 데포르티보 리에스트라 | 후벤투드 데 베르날 |
4 | 1954 | 사카치스파스 | 후벤투드 데 베르날 |
5 | 1955 | 데포르티보 모론 | 후벤투드 데 베르날 |
6 | 1956 | 알미란테 브라운 | 후벤투드 데 베르날 |
7 | 1957 | 레안드로 N. 알렘 | 데펜소레스 데 캄바세레스 |
8 | 1958 |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데펜소레스 데 캄바세레스 |
9 | 1959 | 데펜소레스 데 캄바세레스 | 스포르티보 이탈리아노 |
10 | 1960 | 스포르티보 이탈리아노 | 데펜소레스 데 알마그로 |
11 | 1961 | 비야 달미네 | 아르세날 |
12 | 1962 | 아르세날 | 에스투디안테스 (BA) |
13 | 1963 | 루한 | 에스투디안테스 (BA) |
14 | 1964 | 아르세날 (야바요) | 이투자인고 |
15 | 1965 | 제네랄 미트레 (사란디) | 피라냐 |
16 | 1966 | 루스 이 푸에르사 | 페로카릴 미들랜드 |
17 | 1967 | 마카비 | 센트랄 아르헨티노 |
18 | 1968 | 페로카릴 미들랜드 | 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19 | 1969 | 데펜소레스 우니도스 | 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20 | 1970 | 데펜소레스 데 알마그로 | 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21 | 1971 | 아카수소 | 센트랄 아르헨티노 |
22 | 1972 | 데포르티보 아르메니오 | 리니에르스 |
23 | 1973 | 루한 | 비야 산 카를로스 |
24 | 1974 | 바라카스 센트랄 | 빅토리아노 아레나스 |
25 | 1975 | 트리스탄 수아레스 | 데포르티보 메를로 |
26 | 1976 | 데펜소레스 데 캄바세레스 | 베라사테기 |
27 | 1977 | 제네랄 라마드리드 | 페로카릴 미들랜드 |
28 | 1978 | 피라냐 | J. J. 데 우르키사 |
29 | 1979 | 산 미겔 | 브라운 (A) |
30 | 1980 | 브라운 (A) | 후벤투드 우니다 |
31 | 1981 | 바라카스 센트랄 | 무니즈 |
32 | 1982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 이투자인고 |
33 | 1983 | 산 마르틴 (B) | 레안드로 N. 알렘 |
34 | 1984 | 독 수드 | 아르헨티노 (메를로) |
35 | 1985 | 아르헨티노 (메를로) | 데포르티보 라페레레 |
36 | 1986–87 | 무니즈 | 브라운 (A) |
37 | 1987–88 | 루가노 | 푸에르토 누에보 |
38 | 1988–89 | 페로카릴 미들랜드 | 리니에르스 |
39 | 1989–90 | 리니에르스 | 데포르티보 파라과요 |
40 | 1990–91 | 빅토리아노 아레나스 | 푸에르토 누에보 |
41 | 1991–92 | 데포르티보 파라과요 | 후벤투드 우니다 |
42 | 1992–93 | 비야 산 카를로스 | 아카수소 |
43 | 1993–94 | 푸에르토 누에보 | 카뉴에라스 |
44 | 1994–95 | J. J. 데 우르키사 | 빅토리아노 아레나스 |
45 | 1995–96 | 센트랄 바예스터 | 산 마르틴 (B) |
46 | 1996–97 | 클레이폴 | 코무니카시오네스 |
47 | 1997–98 | 후벤투드 우니다 | 사카치스파스 |
48 | 1998–99 | 아르헨티노 (메를로) | 빅토리아노 아레나스 |
49 | 1999–00 | 사카치스파스 | 페닉스 |
50 | 2000–01 | 아카수소 | 비야 산 카를로스 |
51 | 2001–02 | 비야 산 카를로스 | 사카치스파스 |
52 | 2002–03 | 사카치스파스 | 빅토리아노 아레나스 |
53 | 2003–04 | 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페닉스 |
54 | 2004–05 | 페닉스 | 리니에르스 |
55 | 2005–06 | 이투자인고 | 리니에르스 |
56 | 2006–07 | 레안드로 N. 알렘 | 베라사테기 |
57 | 2007–08 | 데펜소레스 우니도스 | 베라사테기 |
58 | 2008–09 | 페로카릴 미들랜드 | 데포르티보 리에스트라 |
59 | 2009–10 | UAI 우르키사 | 산 마르틴 (B) |
60 | 2010–11 | 독 수드 | 아틀라스 |
61 | 2011–12 | 페닉스 | 아르헨티노 (Q) |
62 | 2012–13 | 아르헨티노 (Q) | 데포르티보 리에스트라 |
63 | 2013–14 | 데포르티보 리에스트라 | 산 마르틴 (B) |
64 | 2014 | (챔피언 없음) | |
65 | 2015 | 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아틀라스 |
66 | 2016 | 엘 포르베니르 | 이투자인고 |
67 | 2016–17 | 이투자인고 | 레안드로 N. 알렘 |
68 | 2017–18 | 빅토리아노 아레나스 | 아르헨티노 (메를로) |
69 | 2018–19 | 아르헨티노 (메를로) | 리니에르스 |
70 | 2019–20 | (대회 중단) | |
71 | 2020 | 클레이폴 | 아틀라스 |
72 | 2021 | 리니에르스 | 푸에르토 누에보 |
73 | 2022 | 유팡키 | 센트로 에스파뇰 |
74 | 2023 | 센트로 에스파뇰 | 아르헨티노 (R) |
5.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아르헨티노 (메를로) | 3 | 1985, 1998–99, 2018–19 |
페로카릴 미들랜드 | 3 | 1968, 1988–89, 2008–09 |
리니에르스 | 3 | 1950, 1989–90, 2021 |
사카치스파스 | 3 | 1954, 1999–00, 2002–03 |
데포르티보 리에스트라 | 2 | 1953, 2013–14 |
아카수소 | 2 | 1971, 2000–01 |
바라카스 센트랄 | 2 | 1974, 1981 |
클레이폴 | 2 | 1996–97, 2020 |
데펜소레스 데 캄바세레스 | 2 | 1959, 1976 |
데펜소레스 우니도스 | 2 | 1969, 2007–08 |
도크 수드 | 2 | 1984, 2010–11 |
페닉스 | 2 | 2004–05, 2011–12 |
이투자인고 | 2 | 2005–06, 2016–17 |
레안드로 N. 알렘 | 2 | 1957, 2006–07 |
루한 | 2 | 1963, 1973 |
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2 | 2003–04, 2015 |
빅토리안 아레나스 | 2 | 1990–91, 2017–18 |
비야 산 카를로스 | 2 | 1992–93, 2001–02 |
알미란테 브라운 | 1 | 1956 |
아르헨티노 (Q) | 1 | 2012–13 |
아르세날 (야바요) | 1 | 1964 |
아르세날 (사란디) | 1 | 1962 |
브라운 (A) | 1 | 1980 |
센트랄 바예스테르 | 1 | 1995–96 |
센트로 에스파뇰 | 1 | 2023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 1 | 1982 |
데펜소레스 데 알마그로 | 1 | 1970 |
데포르티보 아르메니오 | 1 | 1972 |
데포르티보 에스파뇰 | 1 | 1958 |
데포르티보 파라과요 | 1 | 1991–92 |
데포르티보 모론 | 1 | 1955 |
엘 포르베니르 | 1 | 2016 |
플란드리아 | 1 | 1952 |
헤네랄 라마드리드 | 1 | 1977 |
헤네랄 미트레 | 1 | 1965 |
J. J. 데 우르키사 | 1 | 1994–95 |
후벤투드 우니다 | 1 | 1997–98 |
루가노 | 1 | 1987–88 |
루스 이 푸에르사 | 1 | 1966 |
마카비 | 1 | 1967 |
무니즈 | 1 | 1986–87 |
피라냐 | 1 | 1978 |
푸에르토 누에보 | 1 | 1993–94 |
산 마르틴 (B) | 1 | 1983 |
산 미겔 | 1 | 1979 |
스포르티보 이탈리아노 | 1 | 1960 |
트리스탄 수아레스 | 1 | 1975 |
UAI 우르키사 | 1 | 2009–10 |
비야 달미네 | 1 | 1961 |
유판키 | 1 | 2022 |
참조
[1]
웹사이트
Campeones de la Cuarta División
https://web.archive.[...]
2013-08-13
[2]
뉴스
Marcha atrás en el Ascenso: no se juega la fecha de la B Metropolitana y la Primera C
http://www.clarin.co[...]
Clarín
2017-03-04
[3]
웹사이트
Argentina fourth level champions - RSSSF
https://www.rsssf.or[...]
[4]
웹사이트
Campeones de la Quinta División (1986-)
https://web.archive.[...]
2013-08-13
[5]
웹사이트
la AFA confirmó la unificación de la Primera C y la D
https://www.pagina12[...]
[6]
웹사이트
Desafiliados: General Mitre
http://pieldeascenso[...]
[7]
웹사이트
Argentina - Primera C AFA 1971
http://josecarluccio[...]
[8]
웹사이트
Desafiliados: Luz y Fuerza
http://pieldeascenso[...]
2013-08-14
[9]
뉴스
Querido ascenso - El año inolvidable de Macabi
http://www.clarin.co[...]
Clarín
2011-11-10
[10]
뉴스
Oficial: suspendido el fútbol argentino por el coronavirus
https://argentina.as[...]
As
2020-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