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모르스크 (레닌그라드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모르스크는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비보르크구에 위치한 도시이다. 1268년 러시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스웨덴, 핀란드 등의 지배를 받았다. 1721년 니스타드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는 비보르크구에 속하며, 발트해 최대의 석유 터미널인 프리모르스크 항이 위치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닌그라드주의 도시 - 가치나
가치나는 레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가치나 궁전으로 유명하며, 여러 지배를 거쳐 러시아 황실의 거처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박물관이자 레닌그라드주의 주도이며 과학 기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레닌그라드주의 도시 - 콜피노
콜피노는 1722년 설립되어 1912년 도시가 된 러시아 도시로, 주요 제철소와 성 니콜라스 성상이 있는 삼위일체 교회가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 재건을 거쳐 산업 도시로 발전했고, 콜핀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로서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블라디보스토크
블라디보스토크는 "동방을 지배하다"라는 뜻을 가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행정 중심지이자 항구 도시로, 태평양 함대 기지가 주둔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종착역이자 주요 무역항으로 발전했고, 한때 폐쇄 도시였다가 현재는 극동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이다. - 러시아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발트해의 항구 도시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 발트해의 항구 도시 - 코펜하겐
코펜하겐은 셸란 섬과 아마거 섬에 걸쳐 외레순 해협에 접한 덴마크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1167년 크리스티안스보르 성 건설 이후 발전하여 1416년경 덴마크 수도가 되었으며, 발트해 무역 중심지로서 번영한 후 현재는 서비스업과 금융업 중심의 선진 경제를 갖춘 북유럽의 주요 국제 도시이다.
프리모르스크 (레닌그라드주) | |
---|---|
지리 | |
좌표 | 60 |
일반 정보 | |
도시 이름 (한국어) | 프리모르스크 |
도시 이름 (러시아어) | Примо́рск |
도시 이름 (핀란드어) | Koivisto |
도시 이름 (스웨덴어) | Björkö |
위치 | 레닌그라드주 |
행정 구역 (법률) | 비보륵스키군 |
행정 구역 (지방 자치) | 프리모르스코예 정착촌 도시 |
중심지 | 프리모르스코예 정착촌 도시 |
도시 유형 | 도시 |
기념일 | 9월 셋째 주 토요일 |
![]() | |
![]() | |
역사 | |
최초 언급 | 1268년 |
현재 지위 획득 | 1940년 |
인구 | |
2010년 인구 조사 | 6,119명 |
2002년 인구 조사 | 5,332명 |
1989년 인구 조사 | 6,637명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188910 |
지역 번호 | 81378 |
전화 코드 참고 자료 | 전화 번호 |
2. 역사
프리모르스크는 13세기부터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1293년부터 1721년까지는 스웨덴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세 번째 스웨덴 십자군 동안 합병되어 1323년 노테보리 조약을 통해 공식적으로 스웨덴 영토가 되었다. 1721년 니스타드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양도되었고, 1811년에는 핀란드 대공국에 포함되었다. 1917년 핀란드가 독립하면서 핀란드 영토가 되었으나, 1918년에는 잠시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에 속하기도 했다. 1918년 핀란드 공화국으로 재편입되었으나, 1940년 겨울 전쟁 이후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따라 소련에 양도되었다. 1941년 계속 전쟁 기간 동안 핀란드가 다시 점령했지만, 1944년 모스크바 휴전 협정으로 소련에 재양도되었고,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을 통해 최종 확정되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에는 러시아 연방 소속이 되었다.
시기 | 국가 |
---|---|
1293년–1721년 | 스웨덴 왕국sv |
1721년–1811년 | 러시아 제국한국어 |
1811년-1917년 | 핀란드 대공국 (러시아 제국) |
1917년–1918년 | 핀란드 공화국fi |
1918년 |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 공화국 |
1918년–1940년 | 핀란드 공화국fi |
1940년–1941년 | 소련한국어 |
1941년–1944년 | 핀란드 공화국fi |
1944년–1991년 | 소련한국어 |
1991년–현재 | 러시아 연방한국어 |
2. 1. 초기 역사 (13세기 ~ 18세기)
프리모르스크는 1268년 러시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는데, 당시 고틀란드 출신의 한자 상인들이 노브고로드 공화국에 네바강으로의 통행을 확보해 달라고 청원하면서 '베료조프스코예'(Берёзовскоеru, 문자 그대로 '자작나무 정착지')로 기록되었다.[4] 원래 핀란드 이름인 '코이비스토'는 "자작나무 무리", "자작나무 숲"을 의미하며, 스웨덴 이름인 '비외르쾨'는 "자작나무 섬"을 의미한다.스웨덴은 세 번째 스웨덴 십자군 동안 이 지역을 합병했고, 1323년 노테보리 조약을 통해 스웨덴 영토로 공식 인정되었다. 1575년에는 비보리 교구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교구가 되었다.[5]
러시아는 1721년 대북방 전쟁이 끝날 무렵 니스타드 조약을 통해 이 섬들을 되찾았다. 1710년, 대북방 전쟁 중 차르 표트르 대제의 군대는 오늘날의 레닌그라드주 비보르크구 전체를 러시아에 포함시켰다. 표트르의 두 번째 행정 개혁 과정에서 이 지역은 상트페테르부르크 현의 비보르크 현의 일부가 되었다.[6]
2. 2. 러시아 제국 시기 (18세기 ~ 20세기 초)
1721년 니스타드 조약을 통해 프리모르스크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4] 표트르 대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상트페테르부르크 현 비보르크 현에 속하게 되었다.[6] 1744년 비보르크에 거점을 둔 비보르크 현이 설립되었고,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쳐 1802년 핀란드 현으로 개칭되었다.[7] 1811년 다시 개칭되어 핀란드 대공국에 포함되었으며,[7] 핀란드에서는 비푸리 현으로 불렸다.1905년 7월 24일, 독일 제국의 빌헬름 2세와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는 이곳에서 비밀 상호 방어 협정인 비외르쾨 조약(코이비스토 조약)을 체결했다.[8][9]
2. 3. 핀란드 시기 (20세기 초 ~ 중반)
1918년, 비푸리 주는 독립 핀란드의 일부가 되었다.코이비스토는 카렐리야 지협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겨울 전쟁의 결과로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의해 핀란드에서 소련으로 양도되었다.[10] 1941년 9월 초 포르람피 전투에서 소련이 패배한 후 핀란드군에 의해 재탈환되었다. 핀란드는 계속 전쟁 동안 코이비스토를 점령했지만, 모스크바 휴전 협정 이후 다시 소련에 양도되었다. 이 분리는 1947년 파리 평화 조약 서명 이후 공식화되었다. 핀란드 주민들은 핀란드로 재정착되었고, 중앙 러시아의 인구가 카렐리야 지협으로 이동하여 정착했다.
2. 4. 소련 및 러시아 연방 시기 (20세기 중반 ~ 현재)
1940년 5월 16일, 소련은 겨울 전쟁의 결과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의해 핀란드로부터 카렐리야 지협의 코이비스토를 양도받아 레닌그라드주 프리모르스키 구를 신설하고 그 행정 중심지로 삼았으며, 동시에 코이비스토에 도시 지위를 부여했다.[10] 1941년 9월 초 포르람피 전투에서 소련군이 패배한 후 핀란드군이 재탈환했으나, 계속 전쟁 중 모스크바 휴전 협정에 따라 다시 소련에 양도되었고, 1947년 파리 평화 조약으로 확정되었다. 핀란드 주민들은 핀란드로 재정착되었고, 중앙 러시아 인구가 카렐리야 지협으로 이주해 정착했다.1948년 10월 1일, 코이비스토는 프리모르스크로, 프리모르스키 구는 로쉬치노를 행정 중심지로 하는 로쉬친스키 구로 개칭되었다.[10] 1957년 1월 4일, 프리모르스크는 비보르크 구로 이관되었다.[11]

20세기 동안 프리모르스크는 비보르크 시의 외항으로 발전했다.
3. 행정 구역 및 지방 자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비보르그스키 구에 20개의 농촌 거주지와 함께 프리모르스코예 지구 행정 구역으로 통합되어 있다.[12] 지방 자치체로는 비보르그스키 시립 지구 내 프리모르스코예 도시형 정착지로 통합된다.[13]
4. 경제
프리모르스크는 발트해 최대 석유 터미널인 프리모르스크 항이 있는 곳이다. 이 항구는 발트 송유관 시스템의 종착역이다.
4. 1. 프리모르스크 항
발트 송유관 시스템의 종착역으로, 20억달러를 들여 개발되었다. 2001년 12월부터 운영을 시작하여 1년 안에 벤츠필스 및 기타 외국 경쟁사를 대체했다.[14] 2006년에는 원유 수출량 5863000ton으로 러시아 내에서 원유 수출 1위를 기록했다.[15]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로스네프트는 서방 제재로 인해 유럽의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2022년 5월에 프리모르스크에서 디젤 수출 계획이 없었다.[16] 이러한 상황은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과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5. 교통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비보르크를 연결하는 철도가 지나가며, 상트페테르부르크 핀란드 역으로 가는 교외 열차가 운행된다.[1] 비보르크, 젤레노고르스크 등 인근 지역과 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 노선도 운행된다.[1]
6. 인물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웹사이트
Телефонный код Приморска
http://kod-gorod.ru/[...]
Телефонные коды всех го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014-03-21
[3]
문서
Björkö names and Bjarkey law
https://runeberg.org[...]
[4]
웹사이트
Берёзовское-Бьёрке-Койвисто-Приморск
http://www.primorsk.[...]
Приморск -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сайт
2014-03-21
[5]
서적
Koivisto - Sen vaiheista, asukkaista ja elinkeinoista
Koivikko-Säätiö
[6]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Выборгского района, история Выборгской земли
http://vbglenobl.ru/[...]
Муниципальное образование Выборгский район Ленинградской Области
2014-03-20
[7]
웹사이트
Изменение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деления России за последние 300 лет
http://geo.1septembe[...]
[8]
문서
Fay, pp. 68-69. The treaty was published in ''[[Izvestia]]'' on December 29, 1917. On December 31, 1917, the treaty was copied in the ''Paris Excelsior''. Afterwards, the treaty was copied (with slight paraphrasing) in narratives by Bompard, French ambassador at Petrograd 1902-08, and the Russian diplomat Anatoly Neklyudov.
[9]
문서
Historical pictures from
http://www.bild.bund[...]
[10]
웹사이트
Койвистовский район (май 1940 г. - октябрь 1948 г.), Приморский район (октябрь 1948 г. - апрель 1954 г.)
http://classif.spb.r[...]
Система классификаторов исполнительных орган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2014-03-21
[11]
웹사이트
Каннельярвский район (май 1940 г. - август 1945 г.), Райволовский район (август 1945 г. - октябрь 1948 г.), Рощинский район (октябрь 1948 г. - февраль 1963 г.)
http://classif.spb.r[...]
Система классификаторов исполнительных орган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власти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а
2014-03-21
[12]
문서
Oblast Law #32-oz
[13]
문서
Law #17-oz
[14]
뉴스
Baltic lessons for EU in dealing with a resurgent Russia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6-11-24
[15]
문서
Fearnleys Russia
http://www.fearnleys[...]
[16]
뉴스
Rosneft cuts diesel exports from key Russian port to zero
https://www.reuters.[...]
Reuters
2022-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