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마 가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스마 가속은 플라스마 내에서 전하 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입자를 가속하는 기술로, 1979년에 기본 개념이 처음 제시되었다. 이 기술은 기존 가속기보다 훨씬 강력한 가속장을 생성할 수 있어, 소형 입자 가속기 개발이나 더 높은 에너지의 가속기 건설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플라스마 가속에는 레이저 펄스나 전자 빔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웨이크필드 가속, 타겟 노멀 쉴드 가속(TNSA) 등이 있다. 현재 CERN, SLAC 국립 가속기 연구소 등에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레이저 플라스마 가속기는 기존 가속기보다 짧은 거리에서 높은 에너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저 -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는 비활성 기체와 할로겐 혼합물에서 전기 자극으로 생성된 엑시머 분자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레이저로, 다양한 파장을 가지며 포토리소그래피, 시력 교정 수술, 피부 질환 치료,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레이저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 플라스마 물리학 - 이온 빔
이온 빔은 전하를 띤 입자들의 좁은 흐름으로, 전류 밀도와 에너지로 측정되며, 격자형 또는 격자 없는 이온 소스를 통해 생성되어 다양한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플라스마 물리학 - 형광등
형광등은 저압 기체 방전을 이용해 빛을 내는 조명 기구이며, 수은 증기 방전으로 자외선을 발생시켜 형광 물질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원리를 사용하고, 백열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수은 사용 등의 단점이 있으며, LED 조명으로의 전환으로 생산 및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 핵물리학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핵물리학 - 알파 붕괴
알파 붕괴는 원자핵이 헬륨-4 원자핵인 알파 입자를 방출하여 원자 번호와 질량수가 감소하는 방사성 붕괴의 한 형태로, 무거운 원자핵에서 주로 발생하며 양자 터널링 효과로 설명되고 연기 감지기 등에 활용되지만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다.
플라스마 가속 | |
---|---|
개요 | |
유형 | 입자 가속 기술 |
분야 | 물리학, 플라스마 물리학, 입자 물리학 |
관련 인물 | 존 M. 도슨 찬드라세카르 J. 조시 |
상세 정보 | |
설명 | 플라스마를 이용하여 하전 입자를 가속하는 기술이다. |
원리 | 고강도 레이저 또는 입자 빔을 플라스마에 조사하여 플라스마 파동을 생성하고, 이 파동의 전기장을 이용하여 입자를 가속한다. |
개발 연도 | 1979년 (레이저 플라스마 가속) |
주요 연구 | T. Tajima와 J. M. Dawson (1979): 레이저 전자 가속 제안 C. Joshi 등 (1984): 레이저 구동 플라스마 밀도파를 이용한 초고 기울기 입자 가속 연구 |
2. 역사
플라스마 가속의 기본 개념과 가능성은 1979년 UCLA의 타지마 토시키와 존 M. 도슨에 의해 처음으로 구상되었다.[1] "웨이크필드" 가속기에 대한 초기 실험 설계는 찬드라셰카르 J. 조시 등이 UCLA에서 구상했다.[2]
플라스마 가속에서 웨이크필드 가속은 플라스마 내에서 발생하는 전하 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입자를 가속하는 방식이다. 플라스마는 양전하와 음전하 입자로 구성된 유체로, 일반적으로 희석된 가스를 가열하거나 광이온화하여 생성된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플라스마는 중성 또는 준중성 상태를 유지하지만, 강한 외부 전기장이나 전자기장이 가해지면 플라스마 전자가 이온으로부터 분리되어 전하 불균형이 발생한다.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의 텍사스 페타와트 레이저 시설에서는 약 2cm (1.6×1021 gn)에 걸쳐 전자를 2 GeV까지 가속했다.[3] 2014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의 BELLA 센터 과학자들은 최대 4.25 GeV의 전자 빔을 생성하여 이 기록을 경신했다.[4]
2014년 말, SLAC 국립 가속기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첨단 가속기 실험 테스트 시설(FACET)을 사용하여 플라스마 가속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는 일반적인 선형 가속기 설계에 비해 400~500배 더 높은 에너지 전달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6]
초강력 양성자 싱크로트론에서 400 GeV 양성자 빔을 사용하는 원리 증명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기 실험이 현재 CERN에서 진행 중이다.[7] AWAKE라고 명명된 이 실험은 2016년 말에 실험을 시작했다.[8]
2020년 8월, 과학자들은 레이저-플라스마 가속기 개발의 이정표를 달성하고 30시간의 가장 긴 안정적인 작동을 시연했다고 보고했다.[9][10][11][12][13]
3. 개념
플라스마 내에 주입된 입자는 이러한 전하 분리장에 의해 가속된다. 플라스마는 전자기파의 횡파를 플라스마파의 종파로 변환하는 효율적인 매질 역할을 한다. 기존 가속기에서는 강한 횡파를 종파로 변환하기 위해 특수 물질을 사용하지만, 플라스마 가속은 플라스마 자체를 이용하여 이 과정을 수행하므로 더 높은 가속도를 얻을 수 있다.
웨이크필드 가속은 플라스마를 통해 전파되는 높은 전하 분리 파동을 생성하여 입자를 가속한다. 이때, 가속되는 입자는 파동에 위상 고정되어 속도가 증가한다. 플라스마 웨이크는 주로 레이저 펄스나 전자 빔에 의해 발생한다. 플라스마 전자는 여기장의 힘에 의해 웨이크 중심에서 밀려나고, 플라스마 이온은 상대적으로 무거워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장이 플라스마를 통과하면, 플라스마 전자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강한 인력을 경험하며, 이는 높은 종방향 및 횡방향 전기장을 형성한다.
빔 구동 웨이크는 상대론적 양성자 또는 전자 빔을 플라스마 또는 가스에 보내어 생성할 수 있다.[14] 어떤 경우, 가스는 전자 빔에 의해 이온화되어 플라스마와 웨이크를 모두 생성한다. 레이저 펄스 또한 플라스마 웨이크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빛의 전기장이 전자와 핵자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장이 충분히 강하면, 이온화된 모든 플라스마 전자가 웨이크 중심에서 제거되는 "블로우아웃 정권"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전하의 "거품"이 광속에 가깝게 플라스마를 통과하며, 이는 매우 강한 전위 기울기를 발생시킨다. 선형 정권에서는 플라스마 전자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지만, 여전히 블로우아웃 정권과 유사한 가속이 가능하다.
웨이크필드 가속은 고밀도 영역 근처에 주입된 입자가 웨이크필드를 따라 가속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입자를 웨이크필드의 면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면 더 높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서핑과 유사한 원리이다. 이러한 가속기를 "서파트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웨이크필드 가속은 전자 플라스마파 형성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일부 실험은 다음과 같다.[16]
가속 유형 | 실험 |
---|---|
레이저 웨이크필드 가속 | BELLA, TREX, CLF, LUX |
전자를 사용한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 | FACET, [https://facet-ii.slac.stanford.edu/ FACET II], [https://forward.desy.de/ DESY FLASHForward] |
양전자를 사용한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 | FACET, FACET II |
양성자를 사용한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 | AWAKE |
3. 1. 웨이크필드 가속 (Wakefield Acceleration)
플라스마 가속에서 웨이크필드 가속은 플라스마 내에서 발생하는 전하 분리 현상을 이용하여 입자를 가속하는 방식이다. 플라스마는 양전하와 음전하 입자로 구성된 유체로, 일반적으로 희석된 가스를 가열하거나 광이온화하여 생성된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플라스마는 중성 또는 준중성 상태를 유지하지만, 강한 외부 전기장이나 전자기장이 가해지면 플라스마 전자가 이온으로부터 분리되어 전하 불균형이 발생한다.플라스마 내에 주입된 입자는 이러한 전하 분리장에 의해 가속된다. 플라스마는 전자기파의 횡파를 플라스마파의 종파로 변환하는 효율적인 매질 역할을 한다. 기존 가속기에서는 강한 횡파를 종파로 변환하기 위해 특수 물질을 사용하지만, 플라스마 가속은 플라스마 자체를 이용하여 이 과정을 수행하므로 더 높은 가속도를 얻을 수 있다.
플라스마 웨이크에 의해 생성된 가속 기울기는 파동 붕괴장의 차수이며 이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이 방정식에서, 는 전기장이고, 는 진공에서의 광속, 는 전자의 질량, 는 플라스마 전자 밀도(단위 부피당 입자 수)이며, 는 자유 공간의 유전율이다.
웨이크필드 가속은 플라스마를 통해 전파되는 높은 전하 분리 파동을 생성하여 입자를 가속한다. 이때, 가속되는 입자는 파동에 위상 고정되어 속도가 증가한다. 플라스마 웨이크는 주로 레이저 펄스나 전자 빔에 의해 발생한다. 플라스마 전자는 여기장의 힘에 의해 웨이크 중심에서 밀려나고, 플라스마 이온은 상대적으로 무거워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장이 플라스마를 통과하면, 플라스마 전자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강한 인력을 경험하며, 이는 높은 종방향 및 횡방향 전기장을 형성한다.
빔 구동 웨이크는 상대론적 양성자 또는 전자 빔을 플라스마 또는 가스에 보내어 생성할 수 있다.[14] 어떤 경우, 가스는 전자 빔에 의해 이온화되어 플라스마와 웨이크를 모두 생성한다. 레이저 펄스 또한 플라스마 웨이크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빛의 전기장이 전자와 핵자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장이 충분히 강하면, 이온화된 모든 플라스마 전자가 웨이크 중심에서 제거되는 "블로우아웃 정권"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전하의 "거품"이 광속에 가깝게 플라스마를 통과하며, 이는 매우 강한 전위 기울기를 발생시킨다. 선형 정권에서는 플라스마 전자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지만, 여전히 블로우아웃 정권과 유사한 가속이 가능하다.
웨이크필드 가속은 고밀도 영역 근처에 주입된 입자가 웨이크필드를 따라 가속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입자를 웨이크필드의 면을 가로질러 이동시키면 더 높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서핑과 유사한 원리이다. 이러한 가속기를 "서파트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웨이크필드 가속은 전자 플라스마파 형성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 (PWFA): 전자 또는 양성자 빔으로 전자 플라스마파를 형성한다.
- '''레이저 웨이크필드 가속''' (LWFA): 레이저 펄스로 전자 플라스마파를 형성한다.
- '''레이저 비트파 가속''' (LBWA): 두 레이저 펄스의 다른 주파수 생성을 기반으로 전자 플라스마파를 발생시킨다. "서파트론"은 이 기술의 개선된 버전이다.[15]
- '''자기 변조 레이저 웨이크필드 가속''' (SMLWFA): 유도 라만 전방 산란 불안정성에 의해 변조된 레이저 펄스로 전자 플라스마파를 형성한다.
일부 실험은 다음과 같다.[16]
가속 유형 | 실험 |
---|---|
레이저 웨이크필드 가속 | BELLA, TREX, CLF, LUX |
전자를 사용한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 | FACET, [https://facet-ii.slac.stanford.edu/ FACET II], [https://forward.desy.de/ DESY FLASHForward] |
양전자를 사용한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 | FACET, FACET II |
양성자를 사용한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 | AWAKE |
3. 2. 타겟 노멀 쉴드 가속 (Target Normal Sheath Acceleration, TNSA)
플라스마를 이용한 입자 가속 방법 중 하나인 타겟 노멀 쉴드 가속(Target Normal Sheath Acceleration, TNSA)은 활발한 연구 분야이다.[17] TNSA는 하드론 치료[18], 핵융합 급속 점화[19], 기초 연구용 소스[20] 등에 응용될 수 있다.TNSA는 레이저-고체 표적 기반 이온 가속 방식이다. TNSA는 이온을 직접 가속하는 대신,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먼저, 레이저 예비 펄스가 고체 표적과 상호 작용하여 표적을 플라스마로 만들고 표적 전면에 저밀도 플라스마 영역(전(前)플라스마)을 생성한다. 주 레이저 펄스가 이 저밀도 영역을 통과하면서 전자를 가열하고 가속한다.[22] 가열된 전자는 고체 표적을 통과하며 후면으로 빠져나가면서 TV/m 수준의 강력한 전기장(쉴드장)을 생성한다.[20] 이 쉴드장은 표적 뒷면에 있는 오염 물질(주로 경수소화합물 및 수증기)을 이온화하고 가속시켜 고에너지 이온 빔을 생성한다.
TNSA 메커니즘에 대한 완벽한 이론적 모델은 아직 존재하지 않으며,[20] 입자-전산 모형 시뮬레이션이 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팽창하는 플라스마의 빠른 이온 전면은 이온파 붕괴 과정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삭-샤멜 방정식으로 설명된다.[24]
4. RF 가속과의 비교
플라스마 가속은 기존의 입자 가속기인 RF 가속보다 훨씬 강력한 가속장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5] RF 가속에서는 가속 튜브의 전기적 절연 파괴 임계값에 의해 가속장의 상한선이 결정되어, 특정 길이에서 가속량이 제한된다.[26] 따라서 고에너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매우 긴 가속기가 필요하다. 반면 플라스마의 최대 전계는 기계적 특성 및 난류에 의해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 RF 가속기보다 수십 배 더 강하다.
현재 실험 장치는 매우 짧은 거리에서 기존 입자 가속기보다 수십 배 더 우수한 가속 기울기를 보인다. 1미터 규모에서 RF 가속기는 0.1 GeV/m의 가속 기울기를 갖는 반면, 플라스마 가속기는 1 GeV/m의 가속 기울기를 갖는다.[25][26]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의 레이저 플라스마 가속기는 약 3.3 cm 거리에서 전자를 1 GeV까지 가속시켰다.[27] 이는 SLAC의 기존 가속기가 동일한 에너지에 도달하는 데 64m가 필요한 것과 비교된다. 또한,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기를 사용하여 SLAC SLC 빔(42 GeV)을 85 cm에서 40 GeV 이상의 에너지로 가속하는 데 성공했다.[28]
10 GV/m의 가속장으로 긴 가속기를 실현할 수 있다면 플라스마 가속 기술을 기반으로 소형 입자 가속기를 만들거나 훨씬 더 높은 에너지의 가속기를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응용 분야
Horizon 2020의 틀 내에서, 즉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인 [https://www.eupraxia-project.eu/ EuPRAXIA] 프로젝트 “(응용 분야에서 뛰어난 유럽 플라즈마 연구 가속기)”의 개념 설계 보고서가 74개의 과학 연구소에 의해 작성되었다. 가장 적합한 기술을 찾기 위해 레이저 구동 방식(레이저 웨이크 필드 가속, LWFA), 전자 빔 구동 방식(플라즈마 웨이크 필드 가속, PWFA) 및 하이브리드 방식(LWFA와 PWFA 결합)의 가속 접근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빔 구동 플라즈마 웨이크 필드 가속 시설은 이탈리아 프라스카티 근처 INFN 국립 연구소(LNF)에 건설될 예정이다. 레이저 구동 방식(레이저 웨이크 필드 가속, LWFA) 시설의 두 번째 부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결정은 2025년 중반에 내려질 예정이다.
6. 대한민국 현황 및 전망
6. 1. 주요 연구 기관
6. 2. 과제
참조
[1]
논문
Laser Electron Accelerator
[2]
논문
Ultrahigh gradient particle acceleration by intense laser-driven plasma density waves
[3]
논문
Quasi-monoenergetic laser-plasma acceleration of electrons to 2 GeV
Springer Nature
2013-06-11
[4]
논문
Multi-GeV Electron Beams from Capillary-Discharge-Guided Subpetawatt Laser Pulses in the Self-Trapping Regime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2014-12-08
[5]
논문
High-efficiency acceleration of an electron beam in a plasma wakefield accelerator
https://www.osti.gov[...]
Springer Nature
[6]
웹사이트
Researchers Hit Milestone in Accelerating Particles with Plasma
https://www6.slac.st[...]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2014-11-05
[7]
논문
Proton-driven plasma wakefield acceleration: a path to the future of high-energy particle physics
http://bib-pubdb1.de[...]
2014
[8]
웹사이트
AWAKE: Making waves in accelerator technology
https://home.cern/ab[...]
2017-07-20
[9]
뉴스
World record: Plasma accelerator operates right around the clock
https://phys.org/new[...]
phys.org
2020-09-06
[10]
뉴스
Rekord: Längster Lauf eines Plasmabeschleunigers
https://www.scinexx.[...]
scinexx
[11]
뉴스
Important Milestone Reached on the Road to Future Particle Accelerators
https://www.azom.com[...]
AZoM.com
2020-08-20
[12]
뉴스
Plasma accelerators could overcome size limitations of Large Hadron Collider
https://phys.org/new[...]
phys.org
2020-09-06
[13]
논문
Decoding Sources of Energy Variability in a Laser-Plasma Accelerator
2020-08-18
[14]
논문
Path to AWAKE: Evolution of the concept
http://strathprints.[...]
[15]
논문
A Plasma Wave Accelerator - Surfatron I
[16]
웹사이트
The potential of plasma wakefield acceleration
https://www.symmetry[...]
2024-03-22
[17]
논문
Intense High-Energy Proton Beams from Petawatt-Laser Irradiation of Solids
https://journals.aps[...]
2000-10-02
[18]
논문
Oncological hadrontherapy with laser ion accelerators
https://www.scienced[...]
2002-07-01
[19]
논문
Fast Ignition by Intense Laser-Accelerated Proton Beams
https://journals.aps[...]
2001-01-15
[20]
서적
Ion Acceleration: TNSA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06-10
[21]
논문
Near-100 MeV protons via a laser-driven transparency-enhanced hybrid acceleration scheme
2018-02-20
[22]
논문
Stochastic heating in ultra high intensity laser-plasma interaction
https://www.scienced[...]
2005-06-15
[23]
논문
Enhanced laser-driven proton acceleration via improved fast electron heating in a controlled pre-plasma
2021-07-02
[24]
문서
Plasma expansion into vacuum - A hydrodynamic approach
1987
[25]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1997 Particle Accelerator Conference (Cat. No.97CH36167)
IEEE
[26]
논문
Electron Linac Of Test Accelerator Facility For Linear collider
https://core.ac.uk/d[...]
2018-10-13
[27]
논문
GeV electron beams from a centimetre-scale accelerator
Springer Nature
2006-09-24
[28]
논문
Energy doubling of 42 GeV electrons in a metre-scale plasma wakefield accelerator
Springer Na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