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형광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형광등은 저압 기체 방전을 이용해 빛을 내는 조명 기구이다. 1856년 가이슬러 관을 시작으로, 1920년대에 현재의 형광등과 유사한 형태가 갖춰졌다. 수은 증기 방전으로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형광 물질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백열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지만, 수은 사용, 자외선 방출, 점멸 시 수명 단축 등의 단점도 있다. 2010년대 이후 LED 조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생산 및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2027년 말에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생산이 금지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전관 - 크룩스관
    크룩스관은 윌리엄 크룩스가 개량한 진공관으로, 음극선 연구와 X선 발견에 기여했으며, 음극선을 이용해 물리적 현상을 탐구하고 전자의 존재 확인과 X선관 실용화, 진공관 및 브라운관 개발의 토대가 되었다.
  • 방전관 - 냉음극관
    냉음극관은 히터 없이 방전 현상으로 빛을 내는 램프로, 불활성 기체를 이용해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형광 물질로 가시광선을 내지만, LED 기술 발전으로 LCD 백라이트로서의 사용이 줄어 특수 용도로만 생산된다.
  • 형광 - 형광현미경
    형광 현미경은 형광체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더 긴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시료 내 특정 구조나 분자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며, 대물 형광 현미경이 널리 쓰이고 생물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형광 - 소형 형광등
  • 기체방전등 - 나트륨등
    나트륨등은 나트륨 증기의 방전 현상을 이용해 빛을 내는 램프로, 봉입된 증기압에 따라 저압과 고압 나트륨 램프로 나뉘며 각각 특징과 활용 분야가 다르다.
  • 기체방전등 - 호광등
    호광등은 가스가 이온화될 때 발생하는 방전 현상을 이용하는 아크 램프를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등을 의미하며, 탄소 아크 램프에서 형광등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형광등
지도
기본 정보
종류가스 방전 램프
작동 원리전기 방전으로 수은 증기에서 생성된 자외선을 이용하여 형광 물질을 발광시켜 빛을 내는 원리
사용 물질수은
형광 물질
형광 물질할로인산 칼슘
유로퓸
바나듐산 이트륨
삼붕산 이트륨
발광 파장253.7 나노미터
수명백열전구보다 길고 수명이 다하면 광속이 떨어짐
장점백열전구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다.
다양한 색온도와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넓은 면적을 비출 수 있다.
단점수은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오염 문제가 있다.
안정기 등 부가 장치가 필요하다.
점등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저온에서 광속이 감소할 수 있다.
에너지 효율백열전구의 약 4배 이상
역사
발명1890년대 후반~1930년대 초
초기 형태긴 유리관 형태
대중화1930년대 후반~1950년대
컴팩트 형광등 등장1980년대
친환경적 노력수은 함량 저감 노력
고효율 형광등 개발
구조
유리관저압의 수은 증기와 비활성 기체가 채워져 있음
전극관 양쪽에 위치
형광 물질유리관 내벽에 코팅
안정기전압을 조절하고 초기 점등을 돕는 역할
종류
직관형광등가장 일반적인 형태
컴팩트 형광등소형화된 형태
다양한 디자인
백열전구 대체용으로 개발
고휘도 형광등높은 광속
산업 시설 등에 사용
특수 목적 형광등살균, 의료용 등 특정 용도에 사용
환경 및 안전
수은 함유폐기 시 주의 필요
유해 폐기물 처리적절한 방법으로 재활용 권장
안전 기준국제 표준 및 각국 기준 준수
응용
가정용 조명실내등
상업용 조명사무실, 상점, 공장
산업용 조명특수 작업 환경
기타광고판, 간판, 백라이트

2. 역사

형광등의 역사는 특정 암석이나 물질에서 나타나는 형광 현상의 관찰에서 시작되었다. 1852년 조지 스톡스 경은 형석(fluorite)에서 이 현상을 발견하고 "형광"이라고 명명했다.[4]

19세기 중반, 과학자들은 진공 처리된 유리관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빛이 나는 현상을 발견했다. 1856년 독일의 하인리히 가이슬러는 수은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가이슬러 관을 발명했는데, 이는 글로 방전 현상을 이용해 빛을 냈다. 줄리우스 플뤼커는 가이슬러 관의 발광 현상을 설명했고, 알렉상드르 에드몽 베크렐은 특정 물질이 가이슬러 관에서 빛을 방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4]

윌리엄 크룩스는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크룩스 관을 만들었고, 이는 전자와 X선 발견에 기여했다. 토마스 에디슨은 텅스텐산칼슘(Scheelite)을 사용한 형광등을 발명했지만, 상업화에는 실패했다.[5] 니콜라 테슬라도 형광 전구를 개발했지만, 역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다니엘 맥퍼런 무어는 이산화탄소나 질소를 사용한 램프를 개발하여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6] 1904년부터 무어의 조명 시스템은 여러 곳에 설치되었고, 제너럴 일렉트릭이 백열등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다. 피터 쿠퍼 휴이트는 1901년에 수은등을 발명했는데, 이는 에너지 효율이 높았지만 청록색 빛을 냈다.

피터 쿠퍼 휴이트


조르주 클로드는 네온을 이용한 네온 램프를 개발했으며, 붉은색 빛을 냈다.[9][10][11] 클로드는 전극 스퍼터링 문제를 해결하여 램프 수명을 연장했다. 1926년 자크 리슬러는 네온등에 형광 코팅을 적용하는 특허를 받았다.[12][13][14]

1930년대 후반, 제너럴 일렉트릭(GE)은 조지 이먼을 중심으로 형광등 시제품을 제작했다. GE는 알버트 헐의 전극 특허 등 핵심 특허를 확보하고, 독일의 마이어, 스패너, 거머의 특허 출원을 인수하여 법적 분쟁을 해결했다.[15][16]

1938년, GE는 "형광 루미라인 램프" 판매를 시작했고, 1939년 뉴욕 세계 박람회와 금문교 국제 박람회에서 형광등이 홍보되었다.[17][1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형광등은 빠르게 확산되었고, 1951년에는 미국에서 백열등보다 더 많은 조명을 생산하게 되었다.[19] 초기 형광등에는 베릴륨이 사용되었으나, 베릴륨 중독 문제로 인해 할로포스페이트계 형광체로 대체되었다.

형광등에 사용되는 수은은 금속 수은이다.[70] 수은 봉입량은 1975년 40W 직관형에서 약 50mg이었지만, 2007년에는 약 7mg으로 감소되었다.[70]

2. 1. 초기 발견

특정 암석 및 기타 물질의 형광 현상은 그 본질이 이해되기 수백 년 전부터 관찰되어 왔다. 이를 최초로 설명한 사람 중 한 명은 1852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아일랜드 과학자 조지 스톡스 경으로, 그는 많은 샘플이 불순물 때문에 강하게 빛나는 광물인 형석(fluorite)에서 따와 이 현상을 "형광"이라고 명명했다.

2. 2. 초기 방전 램프 개발

19세기 중반까지 실험자들은 부분적으로 진공 처리된 유리 용기(관)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빛나는 광채가 방출되는 것을 관찰했다. 이에 대한 설명은 1840년대 영국의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와 1860년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발전시킨 전기와 빛 현상의 본질에 의존했다.[4]

1856년 독일 유리 세공사 하인리히 가이슬러가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수준으로 유리관을 진공 처리할 수 있는 수은 진공 펌프를 만들 때까지 이 현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전이 없었다. 가이슬러는 양쪽 끝에 금속 전극이 있는 부분적으로 진공 처리된 유리관으로 구성된 최초의 기체 방전 램프인 가이슬러 관을 발명했다.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가하면 관 내부가 글로 방전으로 밝게 빛났다. 내부에 다른 화학 물질을 넣음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생성할 수 있었고, 정교한 가이슬러 관은 오락용으로 판매되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과학 연구에 대한 기여였다. 줄리우스 플뤼커는 1858년 가이슬러 관에서 발생하는 발광 효과를 체계적으로 설명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또한 관 내부의 빛이 전자기장 근처에 있을 때 위치가 이동한다는 중요한 관찰을 했다. 1859년 알렉상드르 에드몽 베크렐은 특정 물질이 가이슬러 관에 놓였을 때 빛을 방출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그는 이러한 관의 표면에 발광 물질의 얇은 코팅을 적용했다. 형광이 발생했지만, 관의 효율이 낮고 수명이 짧았다.

가이슬러 관에서 시작된 연구는 더 나은 진공이 생성됨에 따라 계속되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윌리엄 크룩스가 과학 연구에 사용한 진공관이었다. 그 관은 헤르만 슈프렝겔이 만든 매우 효과적인 수은 진공 펌프에 의해 진공 처리되었다. 크룩스와 다른 사람들이 수행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1897년 J. J. 톰슨에 의한 전자의 발견과 1895년 빌헬름 뢴트겐에 의한 X선의 발견으로 이어졌다. 크룩스 관으로 알려지게 된 이 관은 진공도가 너무 높아 전기적으로 자극된 발광에 필요한 미량의 기체가 부족했기 때문에 약간의 빛만 생성했다.

토마스 에디슨은 형광등의 상업적 가능성을 잠시 연구했다. 그는 1896년에 텅스텐산칼슘(Scheelite) 코팅을 형광 물질로 사용하고 X선으로 여기를 시키는 형광등을 발명하여 1907년에 특허를 받았지만[5] 생산에는 들어가지 않았다. 다른 몇몇 가이슬러관을 조명에 사용하려는 시도와 마찬가지로 수명이 짧았고, 백열등의 성공을 고려할 때 에디슨은 대체 조명 방식을 추구할 이유가 거의 없었다. 니콜라 테슬라는 1890년대에 유사한 실험을 수행하여 밝은 녹색빛을 내는 고주파 전력 형광 전구를 고안했지만, 에디슨의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에디슨의 전 직원 중 한 명인 다니엘 맥퍼런 무어는 상업적으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 가스 방전 램프를 만들었다. 1895년 무어는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사용하여 흰색 또는 분홍색 빛을 방출하는 램프를 시연했는데, 이 램프는 백열 전구보다 훨씬 복잡하여 고전압 전원 공급 장치와 충전 가스의 압력 조절 시스템이 모두 필요했다.[6] 무어는 전자기적으로 제어되는 밸브를 발명하여 튜브 내의 가스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명을 연장했다.[7] 무어의 램프는 복잡하고 비쌌으며 매우 높은 전압이 필요했지만, 백열등보다 훨씬 효율적이었고, 당시 백열등보다 자연광에 가까운 빛을 냈다. 1904년부터 무어의 조명 시스템은 여러 상점과 사무실에 설치되었다. 그 성공은 제너럴 일렉트릭이 백열등, 특히 필라멘트를 개선하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GE의 노력은 텅스텐 기반 필라멘트의 발명으로 결실을 맺었다. 백열 전구의 수명 연장과 효율 향상은 무어 램프의 주요 장점 중 하나를 무효화했지만, GE는 1912년 관련 특허를 매입했다. 이러한 특허와 이를 뒷받침하는 발명 노력은 회사가 20년 이상 후에 형광등을 채택할 때 상당한 가치를 지녔다.

무어가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던 무렵 피터 쿠퍼 휴이트는 1901년에 수은등을 발명하여 특허를 받았다. 휴이트의 램프는 저압에서 수은 증기에 전류를 통과시키면 빛을 냈다. 무어의 램프와 달리 휴이트의 램프는 표준 크기로 제조되었고 저전압으로 작동했다. 수은등은 당시 백열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뛰어났지만, 청록색 빛만 냈기 때문에 적용 분야가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사진 및 일부 산업 공정에 사용되었다.

수은등은 특히 유럽에서 개발 속도가 느렸다. 1930년대 초 대규모 조명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부는 형광 코팅을 사용했지만, 이는 주로 색상 보정을 위해 사용되었고 광 출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지는 않았다. 수은등은 또한 일정한 전류를 유지하기 위해 안정기를 통합함으로써 형광등을 예상했다.

쿠퍼-휴이트가 최초로 수은 증기를 조명에 사용한 것은 아니었으며, 이전에 Way, Rapieff, Arons, Bastian 및 Salisbury가 시도한 바 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독일에서 Küch와 Retschinsky가 발명한 수은등이었다. 이 램프는 더 작은 구경의 전구와 더 높은 압력으로 작동하는 더 높은 전류를 사용했다. 전류의 결과로 전구는 더 높은 온도로 작동하여 석영 전구를 사용해야 했다. 전기 소비량 대비 광 출력은 다른 광원보다 좋았지만, 스펙트럼의 붉은색 부분이 없어 일반 조명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전극을 석영에 밀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수명이 짧았다.[8]

2. 3. 네온 램프

1898년 대기에서 분리되어 발견된 비활성 기체인 네온을 이용한 것은 가스 기반 조명의 다음 단계였다. 네온은 가이슬러 관에서 사용될 때 밝은 붉은색으로 빛났다.[9] 1910년까지 공기 액화 기술과 성공적인 사업을 개발한 프랑스인 조르주 클로드는 네온 조명 산업을 지원할 만큼 충분한 네온을 부산물로 얻고 있었다.[10][11] 네온 조명은 1930년경 프랑스에서 일반 조명으로 사용되었지만, 기존 백열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더 높지는 않았다. 아르곤과 수은 증기를 대체 가스로 사용하는 네온관 조명은 주로 눈길을 끄는 간판과 광고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네온 조명은 클로드가 개선한 전극(1915년 특허)이 전극 열화의 주요 원인인 "스퍼터링"을 극복했기 때문에 형광등 개발과 관련이 있었다. 스퍼터링은 이온화된 입자가 전극에 부딪혀 금속 조각을 떼어낼 때 발생했다. 클로드의 발명에는 표면적이 큰 전극이 필요했지만, 가스 기반 조명의 주요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네온등의 개발은 형광등의 마지막 핵심 요소인 형광 코팅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1926년 자크 리슬러는 네온등에 형광 코팅을 적용하는 프랑스 특허를 받았다.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형광등으로 간주될 수 있는 이 램프의 주요 용도는 일반 조명이 아니라 광고였다. 그러나 이것은 형광 코팅의 첫 번째 사용이 아니었다. 베크렐은 이전에 이 아이디어를 사용했고 에디슨은 그의 실패한 램프에 텅스텐산 칼슘을 사용했다.[12][13][14] 다른 노력들이 있었지만, 모두 낮은 효율과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중요한 것은 1927년 베를린의 독일 회사 직원인 프리드리히 마이어, 한스-요아힘 스패너, 에드문드 게르머가 저전압 "금속 증기 램프"를 발명한 것이다. 독일 특허는 부여되었지만, 이 램프는 상업 생산에 들어가지 않았다.

2. 4. 상업화

1930년대 후반, 아서 컴프턴의 보고에 자극받은 제너럴 일렉트릭(GE)은 조지 이먼을 중심으로 넬라 파크 연구소에서 형광등 시제품을 제작했다. 이 과정에서 램프 크기, 모양, 음극, 기체 압력, 형광 물질 등 다양한 요소에 대한 실험이 진행되었다.[15] GE는 형광등 관련 핵심 특허들을 확보하고 있었는데, 특히 알버트 헐이 발명한 전극 특허는 형광등 상용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독일의 마이어, 스패너, 거머의 특허 출원으로 인해 GE는 어려움을 겪었다. GE는 이들의 특허 출원을 인수하여 법적 분쟁을 해결했다.[16]

1938년, GE는 "형광 루미라인 램프" 판매를 시작했으며, 라이트올리어, 아트크래프트 형광 조명 주식회사, 글로브 라이팅 등의 회사가 제조한 조명기구에 사용되었다. 1946년에는 웨스팅하우스와 GE가 슬림라인 형광등 안정기를 처음으로 공개했고, 아트크래프트 형광 조명 주식회사는 쇼케이스/디스플레이 케이스 조명기구를 선보였다.[17][18] 1939년 뉴욕 세계 박람회와 금문교 국제 박람회에서 형광등이 홍보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시 생산으로 인해 형광등은 빠르게 확산되었다. 1951년에는 미국에서 백열등보다 형광등으로 생산되는 조명이 더 많아졌다.[19]

초기 형광등에는 베릴륨이 함유된 규산아연이 형광체로 사용되었으나, 베릴륨 중독 문제로 인해 할로포스페이트계 형광체로 대체되었다.

3. 작동 원리

형광등은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수은 원자 내 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자는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낮은 에너지 준위로 이동하면서 광자를 방출한다. 형광등 내부에서 흐르는 전자는 수은 원자와 충돌하는데, 이때 충분한 운동 에너지를 가진 전자는 수은 원자의 바깥쪽 전자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 에너지를 받은 전자는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높은 에너지 준위로 올라간다. 이후, 전자가 다시 안정적인 낮은 에너지 준위로 돌아오면서 자외선 광자를 방출한다.

수은 원자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광자는 자외선(UV) 영역에 속하며, 주로 253.7nm와 185nm의 파장을 가진다. 이 자외선은 사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형광등 내부의 형광체 코팅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바뀐다.[20] 형광체는 자외선 광자를 흡수하여 가시광선 광자를 방출하며, 이 과정에서 에너지 차이로 인해 형광체 코팅이 가열된다.

전류는 낮은 압력의 아크 방전을 통해 형광등 관 내부를 흐른다. 전자는 필라멘트 주변의 비활성 기체 원자와 충돌하여 충격 이온화 과정을 통해 플라스마를 만든다. 사태 이온화 현상으로 인해 이온화된 기체의 전도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는 램프를 통해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한다.

충전 가스는 램프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는 않는다. 충전 가스는 전자가 관을 통과하는 거리를 늘려 전자가 수은 원자와 상호 작용할 확률을 높인다. 또한, 전자의 충격으로 준안정 상태가 된 아르곤 원자는 수은 원자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이온화시키는데, 이를 페닝 효과라고 한다. 이 효과 덕분에 크립톤과 같은 다른 충전 가스를 사용할 때보다 램프의 항복 전압과 작동 전압이 낮아진다.[20]

형광등은 낮은 압력으로 만들어진 유리관 내부의 수은 증기에서 방전을 일으켜 발생하는 자외선(파장 253.7 nm)을 형광체를 통해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형광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광원색과 연색성을 가진 빛을 얻을 수 있다.[70]

4. 구조

형광등 관은 아르곤, 크세논, 네온, 크립톤 등의 가스와 수은 증기 혼합물로 채워져 있다. 램프 내부 압력은 대기압의 약 0.3% 정도이다.[21] 램프 내부 표면에는 여러 금속과 희토류 원소 인광체 염 혼합물로 만들어진 형광 코팅이 씌워져 있다. 램프 전극은 주로 코일형 텅스텐으로 만들어지며, 열전자 방출을 돕기 위해 바륨, 스트론튬, 칼슘 산화물 혼합물로 코팅된다.

살균등은 형광등과 동일한 저압 수은 증기 글로우 방전을 사용하지만, 코팅되지 않은 융용 실리카 봉투를 통해 자외선이 투과된다.


형광등 관은 보통 직선 형태이며, 소형 램프는 약 100mm에서 고출력 램프는 2.43m까지 길이가 다양하다. 일부는 원형 관을 사용하며, 탁상 램프나 소형 광원이 필요한 곳에 쓰인다. 더 큰 U자형 램프는 좁은 공간에서 같은 양의 빛을 제공하며, 특수 건축 용도로 사용된다. 소형 형광등은 2개, 4개, 6개의 작은 관을 묶거나, 작은 관을 나선형으로 감아 최소 부피로 많은 빛을 낸다.

발광 인광체는 관 내부에 페인트처럼 칠해진다. 유기 용매를 증발시킨 후, 관을 유리의 녹는점 근처까지 가열하여 남은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고 코팅을 램프 관에 붙인다. 인광체 입자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큰 입자는 약한 코팅을, 작은 입자는 빛 유지와 효율을 떨어뜨린다. 대부분의 인광체는 약 10마이크로미터 크기에서 가장 잘 작동한다. 코팅은 수은 아크가 생성하는 자외선을 모두 흡수할 수 있을 만큼 두꺼워야 하지만, 가시광선을 너무 많이 흡수하지 않도록 얇아야 한다. 초기 인광체는 자연 형광 광물을 합성한 것으로, 소량의 금속을 활성제로 첨가했다. 이후 다른 화합물이 발견되어 다양한 색상의 램프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형광등에는 물과 실리콘 용액에 관을 담근 후 건조시켜 외부 실리콘 코팅을 할 수 있다. 이 코팅은 관에 부드러운 표면 마감을 제공하고 수분으로부터 보호하여 시동 시 예측 가능한 표면 저항을 보장한다.[22]

전극(음극)에 전류를 흘리면 가열되어 고온이 된 에미터에서 다량의 열전자가 방출된다. 방출된 전자는 다른 한쪽 전극(양극)으로 이동하고 방전이 시작된다(일반적으로 교류를 흘리기 때문에 음극과 양극은 같은 형태이다). 방전으로 흐르는 전자는 유리관 속에 봉입된 수은 원자와 충돌한다. 그러면 수은 원자가 전자의 에너지를 받아 자외선을 발생시킨다. 발생한 자외선은 유리관 내부에 도포된 형광 물질에 조사되어 가시광선이 발생한다.

5. 안정기

형광등은 백열등과 달리 일정한 전력이 흐르게 해주는 안정기가 필요하다.[94] 안정기는 전류 흐름을 조절하여 형광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안정기는 보통 전등틀의 접점 부분에 들어있거나, 전구 모양 형광등의 경우 전구 안에 내장되어 있어 일반 전구 소켓에 바로 끼울 수 있다.

형광등과 방전등용 다양한 안정기


형광등은 음전압-전압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류가 많이 흐를수록 전기 저항이 감소하여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정전압 전원에 직접 연결하면 과도한 전류로 인해 형광등이 빠르게 손상될 수 있다.

작동 중인 램프의 단자 전압은 아크 전류, 관 직경, 온도, 충전 가스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인 T12[23] 램프는 430mA에서 작동하며 100V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고출력 램프는 800mA에서 작동하며, 일부는 최대 1.5A까지 작동한다. T12 램프의 전력은 램프 길이 1미터당 33~82와트(10~25W/ft)이다.[24]

교류(AC) 전원용 안정기는 인덕터를 직렬로 배치하여 전류 흐름을 제한한다. 이러한 유형은 220~240V 국가에서 일반적이며, 북미에서는 최대 30W 램프까지 사용된다. 안정기는 램프 크기와 전력 주파수에 따라 정격이 지정된다. 북미에서는 AC 전압이 긴 형광등을 켜기에 충분하지 않아 안정기가 승압 자동 변압기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역률 보정을 위해 축전기가 포함되기도 한다.

18~20W용 230V 안정기


직류(DC) 전원에서는 저항성 안정기가 사용되어 램프와 거의 같은 전력을 소비한다. DC 작동 시에는 시동 스위치를 통해 극성을 반전시켜 수은이 한쪽 끝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형광등은 DC에서 직접 작동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인버터를 통해 DC를 AC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전자식 안정기는 기존 안정기에 비해 수명이 길어 등만 교체하고 5~10년, 길게는 20년까지 사용할 수 있다.[94]

5. 1. 종류

비상구 표지판의 냉음극 형광등


=== 냉음극 형광등 ===

대부분의 형광등은 열을 가해 전극에서 전자를 방출하는 열음극을 사용한다. 그러나 냉음극관은 전극 간의 큰 전압으로 인해 전자를 방출하는 음극을 가지고 있다. 냉음극등은 마모되는 열전자 방출 코팅이 없기 때문에 열음극관보다 훨씬 더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와 같이 긴 수명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냉음극등은 일반적으로 음극 강하 전압이 훨씬 높기 때문에 열전자 방출등보다 효율이 낮다. 음극 강하 전압으로 인해 소비되는 전력은 빛 출력에 기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은 더 긴 관에서는 덜 중요하다. 관 끝에서의 전력 소비 증가는 일반적으로 냉음극관이 열전자 방출 등가물보다 낮은 부하에서 작동해야 함을 의미한다. 더 높은 관 전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관은 쉽게 길게 만들 수 있으며 심지어 직렬로 연결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은 글자와 간판을 위해 특수한 모양으로 구부리기에 더 적합하며, 즉시 켜거나 끌 수도 있다.

5. 2. 시동 방식

형광등은 백열등과 달리, 일정한 전력이 흐르게 해주는 안정기가 필요하다.[94] 안정기는 전등틀의 접점 부분이나 전구 안에 들어 있어 일반 전구 소켓에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자식 안정기의 등장으로 안정기 수명이 길어져 등만 교체하고 5~10년, 길게는 20년까지 사용하기도 한다.[94]

형광등의 기체는 아크 방전 전에 이온화되어야 하는데, 작은 형광등은 큰 전압이 필요 없지만, 큰 형광등은 수천 볼트의 상당한 전압이 필요하다. 점등 회로는 비용, 교류 전압, 관 길이, 순간 점등 여부, 온도 범위, 부품 가용성에 따라 선택된다.

  • 예열 방식 (스위치 스타트 방식): 램프 양쪽 끝의 필라멘트-음극 조합과 기계식 또는 자동(이중 금속) 스위치를 사용하여 필라멘트를 안정기와 직렬로 연결하여 예열한다. 예열 후 시동 스위치가 열리면 안정기가 튜브에 높은 전압을 유도하여 시동 아크를 시작한다.[25] 1960년대 이전에는 4핀 열 시동기와 수동 스위치가 사용되었다. 글로우 스위치 시동기는 비활성 가스가 들어 있는 작은 방전 램프에 개방된 이중 금속 스위치로 구성되어 필라멘트를 가열하고 아크를 발생시키는 펄스 전압을 시작한다. 고장난 튜브는 반복적으로 작동하며, 일부 시동기는 열 과전류 트립을 사용해 회로를 비활성화한다.[25] 역률 보정(PFC) 커패시터는 램프 회로에서 소비되는 지상 전류를 보상한다.[25]

  • 전자식 시동기: 음극을 예열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며,[26] 플러그인 방식으로 글로우 시동기와 교체할 수 있다. 반도체 스위치를 사용해 램프를 "소프트 스타트"하여 램프 수명을 연장하고 검게 변하는 현상을 줄인다.[25] 복잡성은 집적 회로 칩에 내장되어 있으며, 빠른 시동 또는 낮은 온도와 낮은 공급 전압에서도 안정적인 시동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27][28][29] 전자식 시동기는 고장난 램프를 켜려는 시도를 자동으로 중지하기도 한다.[26]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20년 또는 조명기구 수명만큼의 수명을 보장한다.[28][29]

  • 인스턴트 스타트: 1944년에 발명되었으며, 가스 기둥을 높은 전압으로 분해하여 아크 전도를 시작한다. 램프 홀더에는 등을 제거할 때 안정기를 분리하는 "분리" 소켓이 있다. 인스턴트 스타트 램프는 작동 중 음극에 지속적으로 가열 전류를 보내지 않아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수명은 래피드 스타트 램프의 절반 정도이다.[31]

  • 래피드 스타트: 안정기 내부에 음극 필라멘트를 지속적으로 가열하는 권선을 사용한다. 낮은 아크 전압으로 작동하며, 시동 시 유도 전압 서지가 발생하므로 램프를 접지된 반사경 근처에 장착해야 한다. 일부 램프에는 접지된 "시동 보조" 스트립이 부착되어 있다. 래피드 스타트 안정기는 유지 관리 비용이 낮아 상업 시설에서 많이 사용되며, 가정용 설비에도 사용된다. 240V 회로에서만 사용되며 구형 T12 형광등과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 반공진 시동: Thorn Lighting이 T12 형광관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방법으로, 이중 권선 변압기와 축전기를 사용한다. 아크 전류가 없을 때 변압기와 축전기가 공진하여 선로 주파수에서 약 두 배의 공급 전압을 관에 생성하고, 작은 전극 가열 전류를 발생시킨다.[32] 전극이 가열됨에 따라 램프는 3~5초에 걸쳐 최대 밝기에 도달한다. 반공진 시동 회로는 초기 비용이 높아 상업 시설에 주로 사용되지만, 램프 수명이 길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높은 개방 회로 관 전압으로 인해 추운 곳에서 관을 시동하는 데 적합하며, 회로 역률이 거의 1.0이다.

  • 전자식 안정기: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공급 주파수를 고주파수 AC로 변환하고 램프의 전류 흐름을 조절한다. 램프 효율이 향상되며,[33] 저렴한 안정기는 간단한 발진기와 직렬 공진 LC 회로를 포함한다. 복잡한 전자식 안정기는 프로그램된 시동을 사용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디지털 안정기는 램프 시동 및 작동에 복잡한 로직을 적용할 수 있다. 1990년대에 도입된 이후 고주파 안정기는 래피드 스타트 또는 예열 램프가 있는 일반 조명 기구에 사용되었다.

  • 기타 시동 방식:
  • 수동 스타터 방식: 글로우 스타터 대신 시동용 스위치를 연결한다. 시동 스위치를 길게 누르면 필라멘트가 예열되고, 버튼을 놓는 순간 안정기에서 킥 전압이 발생하여 방전이 시작된다. 구형 데스크 스탠드나 초기 형광등 기구에서 볼 수 있다.
  • 전자식 점등관 방식: 글로우스타터 대신 전자식 점등관 또는 전자식 점등회로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거의 순간적으로 점등한다(약 0.6~1초). 조명기구에 내장된 경우와 별매품을 글로우 소켓에 꽂는 경우가 있다. 시동 시의 점멸이 없으므로 전극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다. 램프 수명이 다하면 점멸을 반복하지 않고 소등한다. 무접점이므로 일반 점등관에 비해 수명이 길다(동작 횟수는 10만~20만 회). 대형 원형 형광등에 많이 사용된다.
  • 직렬 2등 스타터 방식: 일본에서는 볼 수 없지만 해외 200~250V 지역에서는 직렬 2등 스타터 방식도 사용된다. 4~20W(30W) 램프에 사용된다. 글로우스타터 방식, 수동 스타터 방식, 전자식 스타터 방식이 있다.

  • 라피드 스타트 방식의 시동 보조 방식:
  • 외면 실리콘식 A: 램프 외면에 발수성 피막을 도포하고, 시동 보조 도체(기구 반사판으로 대용)를 사용한다. 일반용·고출력용.
  • 외면 도전 스트라이프식 M: 램프 외면에 도전 스트라이프를 도포하고, 한쪽 전극에 고저항을 매개로 연결하는 동시에 램프 표면에 발수 처리한다(파나소닉). 조광기구용·일반용. 또는 램프 외면에 도전 스트라이프를 도포하고, 램프 표면에 발수 처리한다. 전용 기구를 사용하여 도전 스트라이프를 접지시킨다(도시바·미쓰비시). 조광기구용.
  • 내면 도전 피막식 M: 램프 내면에 투명 도전성 피막을 도포한다. 일반용.
  • 내면 도전 스트라이프식 M-N: 램프 내면에 도전 스트라이프를 도포한다(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6. 형광관의 종류

기종에 따라 FL, FCL, FLR, FPL, FPR, FHP, FHC, FHD, FHG, FDL, FHT, FML, FWL, FHF 램프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램프 프리 타입도 있다.

원형 또는 환형이라고도 한다. 도넛 모양의 형광관(환형 형광등을 통칭하여 "사크라인(サークライン)"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동시바 라이텍(東芝ライテック)의 등록상표(일본 제468682호)이다).[70]

종류설명와트(W)
일반형 (FCL)현재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기지는 G109, 15, 20, 30, 32, 40
래피드 스타트형 (FCR)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0, 30, 40
슬림형 (FHC)주로 가정용, 고주파 점등 전용. 기지는 GZ1013, 20, 27, 34, 41
트윈형 (FHD)주로 가정용, 고주파 점등 전용40, 70, 85, 100
스퀘어형 (FHG, FHW)주로 가정용, 고주파 점등 전용30, 40, 50, 60, 70, 73, 103
스파이럴형 (FHSC)주로 가정용, 고주파 점등 전용15, 20, 30, 63, 75, 93



발광관을 구부리거나 브리지로 결합하여 소형화한 형광관도 있다.

종류설명와트(W)
FUL (FUL)유리관을 U자 형태로 만든 형광등4, 6, 9, 13, 14, 18, 36W
FPL, FPR (FPL, FPR) (일반용)두 개의 유리관을 브리지로 연결한 형태
굵은 글씨의 램프는 라피드식 기구 또는 일부 고효율형광램프(Hf) 기구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4, 6, 9, 13, 18, 27, 28, 30, 36, 55, 96W
FHP (FHP) (고효율형광램프(Hf) 전용)두 개의 유리관을 브리지로 연결한 형태
램프는 고효율형광램프(Hf) 기구 전용이다.
32, 45, 105W
FDL (FDL) (일반용)네 개의 유리관을 다발로 브리지 결합한 형태4, 6, 9, 13, 18, 27, 36W
FHT (FHT) (고효율형광램프(Hf) 전용)여섯 개의 유리관을 다발로 브리지 결합한 형태
( )는 고효율형광램프(Hf) 기구 전용(소켓 형태가 다르므로 FDL과 호환되지 않음)
16, 24, 32, 42W
FML, FMR, FWL (FML, FMR, FWL)네 개의 유리관을 평행으로 브리지 결합한 형태
FPL과 유사한 W 사이즈가 있다.
FGL (FGL)발광관을 글로브로 덮은 형태



나사식 램프 기구 부분에 점등 회로를 내장하여 전구와 바로 교체할 수 있는 형광 램프이다.


  • 일반 전구형 - EFA
  • 원통형 - EFT
  • 발광관형 - EFD
  • 구형 - EFG, BFG
  • 환형 - CFL


초기에는 환형, U자형, 더블 U자형 발광관이 많았다. 점등 회로도 초크 코일, 점등관, 트랜지스터 인버터를 사용했기 때문에 전구에 비해 크고 무거웠다. 현재는 브리지형(도시바 등), 스파이럴형(파나소닉(구 마쓰시타전기) 등) 발광관이 많아지고 소형화, 경량화, 고효율화가 진행되고 있다. 점등 회로도 소형화, 경량화되어 점등 회로를 램프 기구 내에 수납하여 치수적으로 일반 전구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도 등장했다. 종래에는 일체형이었던 발광관을 교체할 수 있는 타입도 있다.

종래 제품은 조광 기구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지만, 현재는 조광 기구 대응 램프도 시판되고 있다. 램프 기구는 E26, E17 타입이 시판되고 있다.

  • 나선형 형광등 - 트루라이트 등의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 자연 채광에 가까운 연색성을 가지고 있다.

7. 광원의 종류



형광등은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 삼파장형 형광등 (EX): 전체 광속(밝기)이 높고, 연색성도 Ra80~90으로 비교적 양호하여 일반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동시바(東芝)의 메로우5(メロウ5)는 5색 발광이지만 삼파장형으로 분류된다. 식품 진열용으로 사파장을 사용한 제품도 있으며, 수명 연장을 강조한 고가 제품도 있다.
  • 고연색형 형광등: AA와 AAA 등급이 있다. 전체 광속은 삼파장형의 60% 정도로 낮지만, 연색성이 Ra90~99로 매우 높아 미술적으로 정교한 색채 표현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대부분 직관형 제품이며, 스탠드용 콤팩트형도 있다. 태양광을 재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자외선을 방사하거나, 미술품 보호를 위해 자외선 흡수막을 붙인 제품도 있다. 전구색부터 주광색까지 다양한 색온도의 고연색형이 있지만, 백색에서 연색 AAA인 제품은 드물다.
  • 일반형(보급형) 형광등: 연색성이 Ra60~75로 낮고, 전체 광속도 삼파장형의 75~80% 정도로 높지 않지만, 가격이 저렴하다. "일파장형"이라고도 불리지만, 단색 광원은 아니다. 안색이나 목재 제품의 색이 나쁘게 보일 수 있다. 이름과 달리 일반 가정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슈퍼마켓 등에서도 판매되는 경우가 적지만, 인터넷 쇼핑몰이나 할인점, 100엔숍에서는 많이 취급된다. 사무실, 창고 등 색 표현이 중요하지 않은 장소나, 학교처럼 채광 조건이 좋은 환경에서 보조 조명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기타: 컬러 형광등 등이 있다. 최근 심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가로등을 파랗게 하면 범죄 발생이 줄어든다는 가설이 있어, 파란색 형광등의 사용이 늘고 있다(청색 방범등, 자살#자살의 방법 참조). 반도체 공장의 클린룸이나 곤충 퇴치(기피등)에는 단파장(500 nm~자외선)을 차단한 노란색 형광등이 사용되고, 수족관용으로는 다양한 색온도의 형광관이 판매되고 있다. 대부분 직관형 제품이다.


색채 관련 사업장, 병원, 미술관, 박물관 등에서는 각 광원색에 연색성을 중시한 설계의 고연색형 "SDL"이나 색 평가용 "EDL"이 사용된다. 이 경우의 연색성은 "특수 연색 평가 수"로, 원색을 기준색으로 한 보이는 모양의 충실도를 나타낸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간색을 기준색으로 한 "평균 연색 평가 수"보다 달성하기 어렵다. 드물게 Ra가 90을 넘는 삼파장형 제품이 있지만, 특수 연색 평가 수 측면에서는 연색 AA 제품과 차이가 있다.

태양광은 태양 자체에서 나오는 빛(직사광선)뿐만 아니라, 푸른 하늘 등 태양 이외의 부분에서 나오는 방사(하늘빛)도 지표에 도달하기 때문에, 푸른빛이어도 이상하지 않다. 따라서, 하늘빛만 있는 그늘이나 흐린 날, 비오는 날의 색온도는 높아진다.

형광등의 카탈로그에는 분광분포가 실려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어떤 색의 파장이 많은지를 나타낸 것으로, 단순히 색온도를 보는 것보다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하지만, 분광분포의 기울기가 완만하다고 해서 반드시 우수한 것은 아니며, 삼파장형은 연색성 면에서 일반형과 고연색형의 중간 정도이다.

7. 1. 색온도

상관색온도(CCT)는 흑체와 비교하여 광원의 "흰색 음영"을 측정하는 값이다. 일반적인 백열등은 2,700,000로 황백색이다.[36] 할로겐 조명은 3,000,000이다.[37] 형광등은 관 내부의 형광체 혼합물을 변경하여 선택된 CCT로 제조된다. 따뜻한 백색 형광등은 2,700,000의 CCT를 가지며 주거용 조명에 인기가 있다. 중성 백색 형광등은 3,000,000 또는 3,500,000의 CCT를 가지고 있다. 차가운 백색 형광등은 4,100,000의 CCT를 가지며 사무실 조명에 인기가 있다. 주광색 형광등은 6,500,000의 CCT를 가지며 청백색이다.

다양한 전구의 색온도


형광등의 색깔은 따뜻한 색(저색온도)인지 차가운 색(고색온도)인지 나타내는 수치이며, 아래 5가지 종류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아래 온도는 색온도).

종류JIS 기준일반적인 값특징
주광색(D)5,700,000~7,100,0006,500,000맑은 날 정오의 햇빛 색깔. 푸른색이 강하다.
주백색(N)4,600,000~5,400,0005,000,000맑은 날 정오를 중심으로 한 시간대의 햇빛 색깔
백색(W)3,900,000~4,500,0004,200,000해돋이 2시간 후의 햇빛 색깔. 일반형 형광등의 경우 형광 물질의 특성에 따라 연한 황록색으로 느껴질 수 있다.
온백색(WW)3,200,000~3,700,0003,500,000저녁의 햇빛 색깔
전구색(L)2,600,000~3,150,0002,800,000, 3,000,000백열전구의 색깔.



이러한 명칭은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것이며, 각 제조업체가 독자적으로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다. 2,500,000, 5,700,000, 8,000,000 등 위 5가지 색의 일반적인 값 이외의 색온도의 제품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웜색", "쿨색", "프레시색" 등 기본색과는 다른 명칭을 붙여 판매되고 있으므로, 소비자는 색온도를 확인하고 구매해야 한다. 백색 부근에는 제품의 종류가 많지 않다. 색온도가 낮은 영역일수록 온도 차이가 적어도 색상의 변화가 심하며, 전구색과 온백색의 차이(500,000~700,000)는 단독 광원을 다른 기회에 눈으로 봐도 구별할 수 있지만, 주광색과 주백색의 차이(1,500,000)는 그렇지 않다(색온도#색온도와 시각 참조).

일반적으로 형광등의 색온도는 가격이 저렴한 일반형 백색[W]과 주광색[D]이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로는 주택이나 점포 등을 중심으로 삼파장형(전구색[EX-L], 주백색[EX-N], 주광색[EX-D] 등)의 보급이 진행되었다. 사무실 등에서는 일반형 백색이나 주광색 대신 주백색[N]이 주류가 되고 있다. 주택용 조명기구에서는 주택 설비 조명 카탈로그에 게재되는 기종의 기구(주로 건설업체 및 전기공사업체용으로 여겨짐)는 주백색과 전구색을 라인업으로 하는 반면, 소매점용 기종의 기구에서는 주백색 대신 주광색을 라인업에 포함시키는 제조업체가 많다.

특히 매장 조명에서는 색온도와 연색성을 포함한 조명 설계가 구매 욕구(매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인식되어,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색온도와 배광성의 램프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품을 더욱 잘 보이게 하려면 연출이 과도해서도 안 되기 때문에, 특정 파장을 강하게 하는 등의 고안이 있다(신선식품 전시용·육류 전시용 형광등 등). 연색성은 색온도마다 정해져 있기 때문에, 연색성이 최고라도 색온도에 따라 파랗게 보이거나 빨갛게 보이기도 한다.[82]

램프의 밝기(효율)에 대해서도, 그 색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가장 밝은 것은 삼파장형의 주백색과 전구색이지만, 삼파장형이 아닌 일반형에서는 백색[W]이 가장 밝다. 주광색 계열의 경우, 보기에는 밝게(청백색으로)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백색 계열에 비해 10% 정도 어둡다(조도나 휘도가 낮다)는 점이 있으나, 실용상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다. 자연광에 대한 충실도(특수 연색 평가 수치)를 중시한 타입에서는 일반 조명용에 비해 30~40%나 어두운 경우도 있다.

7. 2. 연색성

형광등에서 나오는 빛이 CD에 반사되어 각각의 색띠를 보여준다.


회절격자에 반사된 나선형 백색 형광등은 빛을 구성하는 다양한 스펙트럼선을 보여준다.


다른 조명 방식과 비교한 형광등 스펙트럼.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형광등, 백열전구, 양초 불꽃 및 LED 조명.


형광등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은 수은 증기에서 직접 방출되는 빛과 형광체 코팅에서 방출되는 빛이 결합된 것이다. 수은 방출에서 나오는 스펙트럼 선과 형광 효과는 백열전구에서 생성되는 것과는 다른 빛의 결합된 스펙트럼 분포를 제공한다.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각 좁은 파장대에서 방출되는 빛의 상대 강도는 백열등과 비교하여 비율이 다르다. 유색 물체는 스펙트럼 분포가 다른 광원 아래에서 다르게 인식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일부 형광등에서 생성되는 색 재현을 거칠고 불쾌하게 느낀다. 건강한 사람도 형광등 조명 아래에서는 건강하지 않은 피부톤으로 보일 수 있다.[82] 이 현상이 발생하는 정도는 빛의 스펙트럼 구성과 관련이 있으며, 연색 지수(CRI)로 측정할 수 있다.

연색성 지수(CRI)는 흑체 복사체와 비교하여 광원이 다양한 물체의 색상을 얼마나 충실하게 나타낼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색상은 색온도가 같은 주광 또는 흑체와 같은 기준 광원의 빛에 비해 광원의 빛을 사용하여 인식할 수 있다. 정의에 따르면 백열등은 CRI가 100이다. 실제 형광등은 50에서 98까지의 CRI를 달성한다. CRI가 낮은 형광등은 적색광을 너무 적게 방출하는 형광체를 가지고 있다. 백열등 조명과 비교할 때 피부가 덜 분홍색으로 보이고 따라서 "건강하지 않게" 보인다. 색상이 있는 물체는 흐릿하게 보인다. 예를 들어, CRI가 낮은 6800K 할로포스페이트 튜브(극단적인 예)는 빨간색을 칙칙한 빨간색 또는 갈색으로 보이게 한다. 눈이 적색광을 감지하는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스펙트럼의 적색 부분에서 에너지가 증가하면서 연색성 지수가 향상되면 전체 광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조명 배치는 다양한 색조의 흰색 형광등을 사용한다. 피팅 내에서 튜브 유형을 혼합하면 품질이 낮은 튜브의 색 재현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의 색온도는 가격이 저렴한 일반형 백색[W]과 주광색[D]이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로는 주택이나 점포 등을 중심으로 삼파장형(전구색[EX-L], 주백색[EX-N], 주광색[EX-D] 등)의 보급이 진행되었다. 사무실 등에서는 일반형 백색이나 주광색 대신 주백색[N]이 주류가 되고 있다. 주택용 조명기구에서는 주택 설비 조명 카탈로그에 게재되는 기종의 기구(주로 건설업체 및 전기공사업체용)는 주백색과 전구색을 라인업으로 하는 반면, 소매점용 기종의 기구에서는 주백색 대신 주광색을 라인업에 포함시키는 제조업체가 많다.

특히 매장 조명에서는 색온도와 연색성을 포함한 조명 설계가 구매 욕구(매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인식되어,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색온도와 배광성의 램프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품을 더욱 잘 보이게 하려면 연출이 과도해서도 안 되기 때문에, 특정 파장을 강하게 하는 등의 고안이 있다.

8. 장점

형광등은 백열등보다 입력 전력을 가시광선으로 더 많이 변환한다. 일반적인 100와트 텅스텐 필라멘트 백열등은 입력 전력의 5%만 가시 백색광(400~700nm 파장)으로 변환하는 반면, 일반적인 형광등은 입력 전력의 약 22%를 가시 백색광으로 변환한다.[39]

형광관의 광효율은 일반 안정기가 있는 4와트 형광관의 경우 와트당 약 16루멘에서 최신 전자식 안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와트당 100루멘을 넘는 범위이다.[40]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50~67 lm/W의 평균을 나타낸다.[41] 안정기 손실은 전자식 안정기의 경우 약 10%인 반면, 자기식 안정기의 경우 램프 전력의 약 25%에 달할 수 있다.

형광등의 광효율은 램프에서 가장 차가운 부분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T8 램프의 경우에는 튜브 중앙이며, T5 램프의 경우에는 글자가 새겨진 튜브 끝부분이다. T8 램프의 이상적인 온도는 25°C인 반면, T5 램프의 이상적인 온도는 35°C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은 동등한 백열등에 비해 여러 시간 동안 작동할 경우 10배에서 20배 더 오래간다. 표준 시험 조건에서 형광등은 6,000시간에서 90,000시간(하루 8시간 사용 시 2년에서 31년) 동안 지속된다.[42]

형광등의 초기 비용이 백열등에 비해 높지만, 수명 동안 에너지 소비량이 적어 일반적으로 그 비용을 상쇄한다.[43]

백열전구에 비해 형광등은 더 확산되고 물리적으로 더 큰 광원이다. 적절히 설계된 램프에서는 확산되지 않은 백열 필라멘트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점광원의 눈부심 없이 빛을 더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다. 램프는 램프와 조명된 표면 사이의 일반적인 거리에 비해 크다.

형광등은 백열등과 비교했을 때 약 1/5의 열만 방출한다. 이는 창문이 적고 조명이 많은 사무실 건물의 에어컨 크기, 비용 및 에너지 소비량을 크게 줄인다.

형광등은 에너지를 빛으로 바꾸는 효율이 좋다. 일반적으로 백열전구의 5배의 발광 효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백색 발광 다이오드(LED)도 고효율화가 진행되어 거의 동등한 조도가 나오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램프의 밝기 단위는 전체 광속·루멘(lm)이다. 이것은 램프에서 방출되는 모든 방향의 빛의 합계이다. 최신형 삼파장의 경우, 32 W 환형 램프는 2640 lm에 달한다. 램프에 표시되어 있는 전체 광속의 수치는 표준 시험용 안정기(安定器)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의 수치이므로, 효율이 좋은 인버터 기구를 사용한 경우, 램프 표시의 전체 광속을 크게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인버터의 성능이 좋기 때문이며, 과부하가 아니다). 형광램프 자체의 발광 효율은 1980년대 무렵부터 거의 진보하지 않았다(신방식의 램프 제외).

형광등 기구의 발광 효율은 루멘 매 와트로 나타낸다. 이것은 기구에 따라 크게 다르며, 일반적인 28 mm 관의 기구에서도 90 lm/W 정도의 것부터 50 lm/W 정도의 것까지 있다. 인버터식은 고효율이고, 자기 안정기식은 저효율이다. 램프가 길수록 발광 효율이 좋다. 슬림관·슬림트윈관의 경우 기존 관보다 밝다.

기구의 커버도 밝기에 영향을 미친다. 다실용 조명 등 장식이 붙어 있는 것이나 두꺼운 플라스틱제 커버는 밝기를 낮춘다. 경년 변화에 의한 변색도 밝기와 색온도가 변하는 원인이 된다.

9. 단점

형광등의 수명은 주로 음극 전극의 수명에 의해 제한된다. 전극에는 금속 산화물 방출 혼합물이 코팅되어 있는데, 램프가 켜질 때마다, 그리고 작동 중에도 소량의 음극 코팅이 관 내부의 전자와 무거운 이온의 충격에 의해 전극에서 스퍼터링된다.[34] 스퍼터링된 물질은 관 벽에 달라붙어 어두워지게 한다. 필라멘트가 끊어져 램프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관은 여러 번 켜진 후 고장났다. 열전자 방출 혼합물이 너무 많이 음극에서 스퍼터링되어 유리에 달라붙어 검게 되었다.


thumb 코팅이 열 음극 역할을 한다. 코팅의 일부는 매번 시작할 때마다 스퍼터링되어 제거된다. 결국 램프는 고장난다.]]

수은 함량이 낮은 램프는 수은이 유리관, 형광체 및 내부 부품에 흡수되어 충전 가스에서 증발할 수 없게 되면 고장날 수 있다. 수은 손실은 처음에는 예열 시간이 길어지고, 결국 램프가 희미한 분홍색으로 빛나게 된다.[34]

관에 비대칭 전류 흐름을 가하면 수은 증기압의 국부적인 고갈이 발생하여 램프의 작동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는 설계가 잘못된 일부 인버터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35]

램프 내벽의 형광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램프의 광 출력이 감소한다. 소형 형광등의 일체형 전자 안정기 고장 또한 사용 수명을 종료시킨다.

수은 흡착으로 인해 수명이 다한 소형 형광등. 빛은 기본 아르곤 충전 가스에 의해서만 생성된다.


자주 켜고 끄는 행위는 형광등의 수명을 단축시킨다.[43] 각 시작 주기마다 음극의 전자 방출 표면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모든 방출 물질이 소모되면 형광등이 점등되지 않는다. 점멸등에 사용되는 조명기구는 아크가 꺼져 있을 때 음극의 온도를 유지하는 안정기를 사용하여 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형광등을 시작하는 데 사용되는 추가 에너지는 정상 작동 몇 초에 해당한다. 몇 분 동안 필요하지 않을 때는 형광등을 끄는 것이 더 에너지 효율적이다.[44][45]

형광등이 깨지면 소량의 수은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수은의 약 99%는 형광체에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수명이 다 된 램프에 많이 남아 있다.[46] 깨진 램프는 올바르게 청소해야 한다.[47] 수은 함량 때문에 버려진 형광등은 위험 폐기물로 처리해야 한다. 형광등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재활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규정에 따라 의무화될 수도 있다.[48][49]

형광등은 소량의 자외선(UV)을 방출한다. 형광등 아래에서 8시간 동안 앉아 있을 때 받는 자외선 노출량은 태양에 1분간 노출되는 것과 같다.[51] 소형 형광등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광과민성 개인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52][53][54] 박물관 유물은 안료나 섬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받아야 할 수 있다.[55]

thumb

형광등은 안정기가 필요하다. 안정기는 전류를 안정화하고, 초기 점화 전압을 제공한다. 전자기식 안정기는 웅웅거림이나 윙윙거리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고주파 전자식 안정기를 사용하는 램프에서는 웅웅거리는 소음이 제거된다. 1978년 GE 자료에 따르면 전자기식 안정기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는 램프 입력 전력의 약 10%이다.[24] 전자식 안정기는 이 손실을 줄인다.

단순한 유도형 형광등 안정기는 역률이 1보다 작다. 유도형 안정기는 역률 보정 축전기에 연결될 수 있거나, 포함될 수도 있다. 단순한 전자식 안정기도 정류기 입력 단계 때문에 역률이 낮을 수 있다. 형광등은 비선형 부하이며 전력 공급에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킨다. 램프 내부의 아크는 무선 주파수 잡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전력 배선을 통해 전도될 수 있다. 무선 간섭의 억제가 가능하지만 형광등기구의 비용이 증가한다. 수명이 다 된 형광등은 심각한 무선 주파수 간섭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56]

형광등은 실온에서 가장 잘 작동하며, 온도가 낮거나 높으면 효율이 감소한다. 영하의 온도에서는 표준 형광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추운 날씨의 옥외에서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특수 형광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형광등은 고휘도 방전등, 백열등, 할로겐 램프 및 고출력 LED에 비해 긴 형태의 저휘도 광원이다. 하지만, 발광 표면의 낮은 휘도는 눈부심을 줄이는 데 유용하다. 램프 고정구 설계는 긴 형태의 튜브에서 나오는 빛을 제어해야 한다. 소형 형광등(CFL)은 공간이 허용되는 많은 조명 기구에서 일반 백열등을 대체한다.

자기식 안정기를 사용하는 형광등은 100 또는 120 Hz의 주파수로 깜빡거리며, 이러한 깜빡임은 빛 민감성을 가진 일부 사람들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57] 특히 자폐증, 간질,[58] 루푸스,[59] 만성피로증후군, 라임병,[60] 그리고 현기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1]

표준 형광등 조명 아래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 발생하는 "맥놀이 효과" 문제


적절한 속도로 회전하는 물체가 단일 형광등으로만 조명될 경우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스트로보스코프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형광등은 전원 공급 주파수(50 또는 60 Hz)로 깜빡거릴 수 있다. 손상되거나 고장난 음극 때문에 약한 정류가 발생하고 양수 및 음수 AC 사이클에서 불균일한 광 출력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수명이 다 된 형광등은 전원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깜빡거리기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아크 방전의 음의 저항 불안정성 때문이며,[62] 램프 또는 안정기의 고장이나 불량한 연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새로운 형광등은 램프의 일부분에서 회전하는 나선형 광 패턴을 보일 수 있다.

표준 형광등 조명 아래에서 영화를 촬영할 때 발생하는 "맥놀이 효과" 문제


전자식 안정기는 비디오 녹화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데, 비디오 프레임 속도와 형광등의 강도 변동 사이에 "맥놀이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식 안정기를 사용하는 형광등은 깜빡이지 않는다. 전자식 안정기의 작동 주파수는 적외선 리모컨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선택된다. 저품질이거나 결함이 있는 전자식 안정기는 상당한 100/120 Hz 광 변조를 가질 수 있다.

형광등 기구는 백열등용으로 설계된 조광기에 연결할 수 없다. 조광 설비에는 호환 가능한 조광 안정기가 필요하다. 일부 소형 형광등 모델은 조광이 가능하며, 미국에서는 이러한 램프가 UL 표준 1993을 준수하는 것으로 식별된다.[63]

형광등의 수명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6000~20000시간이다. 형광등이 수명을 다해 점등되지 않는 원인은 주로 점등 중에 전극에 도포된 전자 방출 물질(주로 바륨텅스텐산 등)의 증발, 비산에 의한 소모이다. 형광등은 시동 시에 부하가 가장 크며, 글로 스타터(점등관 방식)의 경우 한 번 점등할 때마다 수명이 약 1시간 단축되므로, 빈번하게 점멸시키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고, 장시간 점등하는 장소에 적합하다. 파나소닉(Panasonic)은 자사 램프 종합 카탈로그에서 소등 시간이 대략 수 분 정도를 기준으로, 연속 점등에 의한 전력 소비 손실이 소등 후 재시동에 의한 램프 수명 손실을 상회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고주파 점등 방식에서는 전자 기기로 제어함으로써 시동 시의 전극 예열을 최적화하여, 종래 방식에 비해 불점이 되는 수명을 크게 향상시켰다. 직관형은 일반적으로 소비 전력이 클수록 정격 수명이 길다. 따라서, 기구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20W 관 2개 타입보다 40W 관 1개 타입을 선택함으로써 교체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형광등 기구에 따라서도 램프 수명이 달라진다.

점등은 되지만 휘도는 점차 저하되므로, JIS 규격에서는 광속이 초기의 70%로 저하된 시점도 수명으로 하고 있다. 단, 제조사에 따라서는 80%로 하는 경우도 있다. 휘도가 저하되는 원인으로는, 수은 증기가 유리 내의 나트륨과 반응하여 검은색 부착물이 되는 것, 유리가 자외선을 흡수하여 투명도가 저하되는 것 등이 있다.

북유럽에서는 유리에서 나트륨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 기술과 전자 방출 물질(바륨텅스텐산 등)의 스퍼터링을 방지하는 특수한 음극을 조합함으로써, 8만 시간을 초과하는 형광관이 실용화되고 있다. 글로우 램프의 수명은 형광등의 점등 시간이 아니라 점등 횟수에 비례한다. 글로우 램프는 형광등 교체와 동시에 교체하는 것이 형광등을 오래 사용하는 요령이라고 말해지기도 하지만, 너무 소모되지 않았다면 교체하지 않아도 좋다. 단, 형광관의 말기에 점등 동작이 반복되면 글로우 램프도 그때마다 소모되므로, 이 상태로 방치하면 열화가 심해진다.

10. 특수 가공 형광관

유리관 외면 전체에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피막을 처리한 형광등은 P타입이라고도 불린다.[70] 파손 시 수지 필름이 파편 비산을 방지하여 방비산형이라고도 불린다. 얇은 유리 소재인 형광등은 파손 시 매우 미세한 파편이 비산하여 위험하므로, 이물질 혼입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현장이나 파편 제거 및 청소가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된다.

공공시설, 철도 차량, 시내버스, 가공식품 공장, 학교, 서버·컴퓨터실, 국제우주정거장 등에서 사용되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는 보급되지 않았다.[70] 필름에 자외선 차단 기능을 부여하여 방충 효과를 겸비한 제품도 있다.

형광등 표면에 이산화티탄(酸化チタン) 피막을 입힌 형광등[70]은 PC타입이라고 불린다.[70] 광촉매 작용으로 램프 표면에 붙은 유기물 오염을 분해하고 실내 냄새를 줄이는 기능이 있다.[70]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특수 가공 형광관이 있다.

종류설명비고
황색 형광등 (Y형)야간 활동성 곤충의 시각 기능 저하를 이용하여 과수원 등에서 흡즙 피해를 방지한다.[70]
BL형 형광관야행성 곤충 유인용 자외선 영역 빛을 방출한다.[70]
식품 진열용 형광등신선 식품 및 육류를 신선하고 맛있게 보이도록 한다.[70]저온용 형광 램프는 냉장·냉동 쇼케이스 내부에 사용된다.[70]
BR 타입 형광등파란색과 빨간색 발광 성분을 조합하여 관엽식물, 열대어 관상 및 광합성 촉진 식물 재배용으로 사용된다.[70]
NU형 형광등형광등 내부에 자외선 흡수막을 코팅하였다.[70]미술관 등에서 작품 색 변색 방지, 매장 및 식품 공장에서 유충 방지용 백색 계열 램프로 사용된다.[70]
색채 평가용 램프섬유, 도장, 염색 등 분야에서 표면 색채 평가용 표준 광원으로 사용된다.[70]인쇄 공장, 사진 현상소, 미술관, 박물관에서도 사용된다.[70]
블랙라이트 형광램프 (BL-B형)근자외선만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문서/광물 감정·감식, 무대/간판용 효과 조명으로 사용된다.[70]
양계장용 형광등광 조사를 통한 산란 시기 조절에 사용된다.[70]
순수 노란색 형광등 (Y-F 타입)반도체 공장 클린룸 내부에서 사용된다.[70]
살균 형광등 (GL 타입)자외선 조사에 의한 살균에 사용된다.[70]
냉음극관컴퓨터 모니터텔레비전용으로 사용되는 가는 형광등이다.[70]


11. 기타 형광등

블랙라이트는 자외선A파를 방출하는 형광등의 한 종류이다. 일반 형광등과 유사하게 제작되지만, 유리관 내부에 특수 형광체가 코팅되어 있어 가시광선 대신 장파장 자외선을 방출한다. 이는 블랙라이트 페인트를 사용한 연출, 특정 물질 검출, 곤충 유인 등에 활용된다. "블랙라이트 블루" 램프는 우드 유리라는 짙은 자주색 유리를 사용하여 가시광선을 줄이고 자외선에 의한 형광을 더 잘 보이게 한다. 전기 파리채에 사용되는 블랙라이트 램프는 이러한 개선이 필요하지 않아 일반 유리로 제작된다.

썬베드에 사용되는 램프는 UVA와 UVB를 모두 방출하는 형광체 혼합물을 포함하여 피부 태닝 반응을 유발한다. 출력은 UVB가 3~10%, 나머지는 UVA로 구성된다. 초기 램프에는 탈륨이 사용되었으나 독성 문제로 현재는 납 활성화 바륨 이규산염, 유로피움 활성화 스트론튬 플루오로붕산염 등이 사용된다.

광선 치료용 램프는 UVB 자외선만 방출하며, 광대역 UVB와 협대역 UVB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협대역 UVB 램프는 파장이 더 길어 피부 홍반을 유발하지 않으며, 건선, 습진, 백반증 등 특정 피부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다. 광대역 UVB는 비타민 D3 증가에 더 효과적이다.

식물 생장등은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하는 인광 혼합물을 포함하며, 주로 적색 및 청색 범위의 빛을 방출한다.[65]

철 활성화 알루민산리튬 형광체는 675~875나노미터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가시광선의 짙은 빨간색 부분에서도 약한 빛을 낸다.

유로피움(Europium) 활성화 형광체에서 생성되는 짙은 청색광은 황달 광선 치료에 사용된다. 이 빛은 피부에 침투하여 과도한 빌리루빈 분해를 돕는다.

살균등은 형광체가 없는 수은 증기 방전등으로, 석영유리 관을 통해 UVC 광선을 방출한다. 이 광선은 세균을 죽이고 산소오존으로 이온화한다. OF 표시 램프는 오존 생성을 줄이기 위해 184.45 nm 원자외선을 차단한다. UVC는 눈과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지질학자들은 특정 광물 식별에 사용하며, EPROM 지우개에도 사용된다. 살균등은 G로 시작하는 명칭을 가진다. (예: G30T8)

무전극 유도 램프는 내부 전극 없이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류를 유도하는 형광등이다. 수명이 매우 길지만, 구매 가격이 높다.

냉음극 형광등(Cold-cathode fluorescent lamp)은 LED 백라이트 LCD 이전 컴퓨터 모니터와 텔레비전 백라이트로 사용되었으며, 컴퓨터 케이스 개조에도 사용되었다.

기존 형광램프 전용 전자식 안정기는 고주파 점등으로 깜빡임이 적고, 구리철 형 안정기에 비해 소형, 경량이다.


  • 자력식: 회로는 차단형·LC형, 전원 전압은 DC 3 - 100 V.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손전등, 비상등, 버스 차내등에 사용된다.
  • 정전류 푸시풀식: 발진회로에 정전류 푸시풀 회로 사용.
  • 하프브리지식
  • 고주파 점등 전용 형광등(Hf 형광등): FHF, FHP, FHT
  • 외부전극형광등: EEFL
  • 장시간잔광형 형광등
  • 무전극 형광등
  • 살균등: 형광체 없이 자외선을 투과하는 석영 유리 사용.
  • 희유기체 형광램프: 수은을 사용하지 않는 형광등

12. 생산 및 사용 중단 동향

2010년대 이후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부하 저감의 관점에서 LED 조명으로의 전환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일반 조명으로서의 형광등과 수은램프는 사용이 중단되는 추세에 있다. 아카사키 이사무, 아마노 히로시, 나카무라 슈지 등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발명과 고휘도화 성공, 그리고 이를 응용한 고휘도 백색 LED 개발을 통해 2000년대에 실용화된 LED 조명은 형광등보다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길어 장기간에 걸쳐 램프 교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으로 인해 빠르게 보급되고 가격이 저렴해졌다. 특히 일본에서는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일본 원자력 발전소의 전면 가동 중단으로 인한 전력 부족이 보급에 박차를 가했다.

이에 따라 일본의 주요 전기 제조업체들은 2012년 이후 형광등 조명 기구의 신제품 발표를 중단했으며, 특히 조명 기구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인 파나소닉은 2015년을 기점으로 형광등과 백열전구를 사용하는 일반 주택용 기존 조명 기구 생산을 종료하고, LED 기구로 완전히 전환한다고 발표했다.[85] 백열전구 생산은 2012년도를 기점으로 일본의 모든 제조업체가 완전히 종료했다.

히타치 글로벌 라이프 솔루션즈는 LED 기구 및 전구의 보급으로 기존 형광등의 수요가 감소하고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2019년 12월 말로 형광등 생산을 완전히 종료한다고 발표했다.[85] 2021년 3월에는 미쓰비시 전기 조명이 형광등 생산을 완전히 종료할 예정이다.[85] 도시바 라이텍은 2016년을 기점으로 형광등 자체 생산에서 철수했다.[85]

2015년 11월 26일 여러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에너지 절약법을 개정하여 2020년도를 목표로 형광등과 백열등의 생산 및 수입을 사실상 금지하는 방향이라고 보도되었지만,[86][87][88] 경제산업성은 이를 부정했다.[89]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조약이 2017년 8월 16일에 발효됨에 따라, 일본에서도 폐기 형광등이 ‘유해 폐기물’로 관리되도록 요구되는 등, 처리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형광등을 대체하는 기술로 LED 조명이 이미 실용화되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형광등의 사용이 도태되는 방향으로 상황이 크게 변하고 있다.

2027년 말까지 직관형 형광등의 생산을 금지하는 데 국제 회의에서 합의했다.[91] 전구형 형광등은 2025년에 생산 금지된다.[91] 파나소닉은 2027년 말에 형광등 생산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92][93]

13. 유지 보수

형광등의 수명은 주로 음극 전극의 수명에 의해 제한된다. 전극에는 금속 산화물의 방출 혼합물이 코팅되어 있는데, 램프가 켜질 때마다, 그리고 작동 중에도 소량의 음극 코팅이 관 내부의 전자와 무거운 이온의 충격에 의해 전극에서 스퍼터링되어 떨어진다. 스퍼터링된 물질은 관 벽에 달라붙어 어두워지게 한다. 시동 방법과 빈도는 음극 스퍼터링에 영향을 미치며, 필라멘트가 끊어져 램프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수은 함량이 낮은 램프는 수은이 유리관, 형광체 및 내부 부품에 흡수되어 충전 가스에서 증발할 수 없게 되면 고장날 수 있다. 수은 손실은 처음에는 전체 광 출력까지의 예열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야기하고, 결국 아르곤 가스가 주 방전이 되면서 램프가 희미한 분홍색으로 빛나게 된다.[34]

관에 비대칭 전류 흐름을 가하면 직류 바이어스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고, 관을 따라 수은 이온의 비대칭 분포를 야기한다. 수은 증기압의 국부적인 고갈은 전극 중 하나 근처에서 기체의 분홍색 발광으로 나타나며, 램프의 작동 수명이 극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이것은 설계가 잘못된 일부 인버터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35]

램프 내벽의 형광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어 램프가 더 이상 초기 광 출력의 허용할 수 있는 비율을 생성하지 못하게 된다. 소형 형광등의 일체형 전자 안정기 고장 또한 사용 수명을 종료시킨다.

대형 제조업체는 일반 주택용 형광등 기구 중 "FL형 형광관"과 "FCL형 형광관"을 사용하는 기존형 기구의 생산을 대폭 축소하고 있으며, 현재 모델은 슬림형(FHF, FHD, 스파이럴, 이중환형)이 대부분이다. 기존형 FL, FCL 형광관을 사용하는 기구의 현재 모델은 욕실등, 싱크대등, 창고용 등에 한정된다. 또한 글로램프(점등관)를 사용하는 기존형 기구도 일반 주택용은 생산이 대폭 축소되어 현재 모델은 싱크대등이나 복도, 창고용 등에 한정되었다.

램프를 2개 이상 사용하는(점등관이 필요 없는) 인버터 기구의 경우, 1개라도 램프의 수명이 다하면 모든 램프가 켜지지 않으므로, 램프 교체는 모두 동시에 해야 한다. 새 램프와 오래된 램프를 섞어 사용하거나, 램프를 일부 제거하고 사용하면 기구가 고장날 우려가 있다.

램프를 2개 이상 사용하는 기구의 밝기 조절 방법도 기존형 점등관 기구와 인버터 기구가 다르다. 전자는 점등 개수를 증감시키는 반면("2등, 3등, 4등 중 하나 → 1등, 2등 중 하나 → 소등구 → 꺼짐"), 후자는 램프 전체의 밝기를 바꾸는 "단조광"을 채택하고 있다(전등 → 단조광 → 소등구 → 꺼짐).

형광등의 수명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6000~20000시간이다. 형광등이 수명을 다해 점등되지 않는 원인은 주로 점등 중에 전극에 도포된 전자 방출 물질(주로 바륨텅스텐산 등)의 증발, 비산에 의한 소모이다. 형광등은 시동 시에 부하가 가장 크며, 글로 스타터(점등관 방식)의 경우 한 번 점등할 때마다 수명이 약 1시간 단축되므로, 빈번하게 점멸시키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고, 장시간 점등하는 장소에 적합하다. 형광등 대기업인 파나소닉(Panasonic)은 자사 램프 종합 카탈로그에서 소등 시간이 대략 수 분 정도를 기준으로, 연속 점등에 의한 전력 소비 손실이 소등 후 재시동에 의한 램프 수명 손실을 상회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고주파 점등 방식에서는 전자 기기로 제어함으로써 시동 시의 전극 예열을 최적화하여, 종래 방식에 비해 불점이 되는 수명을 크게 향상시켰다(재시동에 의한 램프 수명 손실이 감소).

직관형은 일반적으로 소비 전력이 클수록 정격 수명이 길다. 따라서, 기구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20W 관 2개 타입보다 40W 관 1개 타입을 선택함으로써 교체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형광등 기구에 따라서도 램프 수명이 달라지며, 양질의 설계 기구일 경우 오래가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발생한다. 글로우 방식과 인버터 방식의 차이 외에도, 제조사 간의 차이도 있다.

점등은 되지만 휘도는 점차 저하되므로, JIS 규격에서는 광속이 초기의 70%로 저하된 시점도 수명으로 하고 있다. 단, 제조사에 따라서는 80%로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형광등은 점등 후 서서히 밝아지므로, 수 분 후에 측정해야 한다. 휘도가 저하되는 원인으로는 수은 증기가 유리 내의 나트륨과 반응하여 검은색 부착물이 되는 것, 유리가 자외선을 흡수하여 투명도가 저하되는 것 등이 있다.

북유럽에서는 유리에서 나트륨이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 기술과 전자 방출 물질(바륨텅스텐산 등)의 스퍼터링을 방지하는 특수한 음극을 조합함으로써, 8만 시간을 초과하는 형광관이 실용화되고 있다.

글로우 램프의 수명은 형광등의 점등 시간이 아니라 점등 횟수에 비례한다. 글로우 램프는 형광등 교체와 동시에 교체하는 것이 형광등을 오래 사용하는 요령이라고 말해지기도 하지만, 너무 소모되지 않았다면 교체하지 않아도 좋다. 단, 형광관의 말기에 점등 동작이 반복되면 글로우 램프도 그때마다 소모되므로, 이 상태로 방치하면 열화가 심해진다.

; 애노드 스폿(anode spot)

: 수명 말기에 발생한다. 필라멘트에 도포된 바륨 산화물 등의 방출체(에미터)가 비산하여 전극 주변의 유리관 벽에 부착된 것이다.

:* 형광등에서는 전극 부근이 검게 보인다(살균등에서는 방출체가 증착하여 게터와 같은 상태가 된다).

:* 점멸이 빈번하거나 전압이나 전류, 안정기가 부적절하면 필라멘트에 부담이 걸려 조기에 나타날 수 있다. 래피드스타트형 램프는 필라멘트 주변에 보호관이 있어 유리관 벽에 방출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램프 수명 말기에 점멸을 반복하거나 양단의 필라멘트만 붉게 빛나는 것은 필라멘트의 방출체가 소모되어 안정적인 방전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

; 엔드밴드(end band)

: 점등 중 방출체의 증발로 발생하는 미량의 가스와 수은이 결합한 것이다. 밝기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 내면 도전성 피막(EC 흑화·황변)

: 래피드스타트형 램프의 시동 보조로 관내에 도포된 투명 도전 피막과 수은이 반응하여 발생한다.

; 전극 부근의 수은 부착에 의한 검게 변색

: 처음으로 램프를 점등할 때 필라멘트 내부로 들어간 수은이 필라멘트가 가열됨에 따라 증발하여 유리관 벽에 부착되어 발생한다. 한동안 점등하면 수은이 증발하여 사라진다.

; 유리관 중앙 부근의 수은 부착에 의한 흑화 현상

: 냉방의 송풍 등으로 관이 저온이 되는 부위에서 발생한다. 수명,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형광등 조명기구의 수명은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안정기는 약 8~10년, 그 외 부분은 약 15년이 기준으로 여겨진다. 기구의 수명은 주변 온도, 점등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점등 시간이 길고 주변 온도가 높을수록 수명이 짧아진다. 이는 열에 의한 안정기 절연체의 열화가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일반 가정용 제품에서는 안정기만 교체하는 것은 고려되지 않으므로, 대부분 기구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사무용 제품의 경우 안정기만 교체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 가정용이든 사무용이든 설계 수명을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20년 이상 사용되는 것도 드물지 않다.

오래된 안정기는 "지지직"하는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 안정기에는 안전 장치가 내장되어 수명이 다하면 코일이나 퓨즈가 끊어져 전원을 차단하므로, 발연, 발화의 우려는 거의 없다. 그러나 안전 장치가 없는 구형 안정기를 계속 사용하면 누전이 발생하여 과열되어 최악의 경우 발연, 발화와 함께 누전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전자식 안정기의 경우 콘덴서 용량 저하 등으로 퓨즈가 끊어지거나 콘덴서가 파열, 소손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안정기가 원인이 된 사고는 드물다.

글로우식 기구에 래피드스타트형 에너지 절약형(36 W)을 사용하면 소음이 커지거나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1957년 1월부터 1972년 8월까지 제조된 업무용, 시설용 형광등 기구 및 수은등 기구, 저압나트륨등 기구의 안정기에 내장된 역률 개선용 콘덴서의 절연체에는 PCB가 사용되었으며, 최근 학교에 설치된 형광등 기구 내 안정기가 파열되어 누출된 PCB가 어린이에게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PCB 사용 조명 기구의 안정기는 설치 후 40년 이상이 경과하여 이미 수명을 다했다. 위험하므로 긴급히 교체해야 한다. PCB 함유 안정기는 배출자가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https://www.env.go.jp/chemi/pcb2/index.html]

시링라이트 등 형광등이 직접 보이지 않는 구조의 기구의 경우, 빛을 투과하는 플라스틱이 형광등에서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어 누렇게 변색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조도가 저하되어 효율이 나빠진다. 현재는 변색이 어렵고 투과율이 높은 커버가 제조사에 따라 클린 아크릴 등의 이름으로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기구 본체와는 별개의 수명이지만, 피복 코드라고 불리는 코타츠 코드와 비슷한 발열에 견딜 수 있는 코드만으로 매달아 사용하는 형광등 기구의 경우, 코드가 노후화되어 기구의 무게로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걱정된다면 사슬로 매달면 좋다. 대부분의 형광등 기구에는 사슬을 걸 수 있는 구멍이 있다. 이는 천장 쪽이 일반 콘센트이거나 전구 소켓에 세파라보디라는 조합을 고려한 것이다. 형광등 기구에 따라서는 걸이식 천장 조명 설치대를 콘센트용으로 변환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입하지 않아도 상부 뚜껑을 분리하면 콘센트에 꽂을 수 있는 플러그가 들어 있는 경우도 있다.

램프에 먼지가 쌓이면 광 출력이 감소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도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70] 램프 청소에는 스펀지가 적합하며, 청소 시에는 도전부, 소켓, 안정기, 배선 부분 등에 물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70]

램프 교체는 램프 가격, 교체 비용, 교체 작업, 미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정격 수명의 70% 정도가 경과했을 때 교체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여겨진다.[70] 일반 가정에서는 램프가 소등되었을 때 해당 램프를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개별 교체로 충분하지만, 커버가 있는 조명기구처럼 형광등이 직접 보이지 않아서 하나가 소등되어도 알아채기 어려운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70] 램프 교체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개별 교체

: 램프가 소등되었을 때 해당 램프를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방법이다.[70] 소규모로 램프 교체가 용이한 경우에 적합하지만, 램프 수가 많은 장소에서는 교체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비경제적이 될 수도 있다.[70]

; 개별 집단 교체

: 램프가 소등되었을 때 해당 램프를 새 제품으로 교체하면서, 소등된 램프 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기 시작할 때 모든 램프를 교체하는 방법이다.[70] 대규모로 램프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경제적이라고 여겨진다.[70]

; 일제 집단 교체

: 개별 램프가 소등되었을 때 교체하지 않고, 예정된 유지보수 주기 또는 소등된 램프 수가 일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 모든 램프를 교체하는 방법이다.[70] 이 방법 또한 대규모로 램프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경제적이라고 여겨진다.[70]

형광등은 유리 제품이기 때문에 충격을 가하면 파손될 우려가 있다.[70] 또한, 설치가 부실하면 점등되지 않고 떨어지거나, 접촉 불량으로 인해 램프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발열의 원인이 된다.[70] 형광등은 점등 중이나 소등 직후에는 열이 나는 성질이 있다.[70] 에어컨 등으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는 흑화나 반점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70]

적정 전압은 안정기에서 지정 전압의 ±6%로 규정되어 있다.[70]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 지역의 상용 전원 주파수에 맞는 형광등 기구 및 안정기를 사용해야 한다.

형광등은 점등 시 안정기가 필요하지만, 적합한 전원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시설 조명기구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파나소닉(구: 파나소닉전공, 마쓰시타전공)과 도시바 라이텍에서는 주파수 구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기구 형번 스티커와 전선 색깔을 구분하고 있다.

주파수스티커 제조사 마크 색상 및 형번 인쇄전선 색상
50 Hz용녹색흑색 - 백색
60 Hz용적색갈색 - 백색
겸용 기구청색 또는 흑색흑색 - 백색



건축기준법에 따른 비상등은 주파수 구분과 관계없이 적색이다.


  • 50 Hz용 안정기를 60 Hz에서 사용
  • ; 초크형·누설 변압기형 저역률의 경우

: 램프의 밝기는 약간 어두워지고 점등이 어려워진다. 사진 필름 감상용 라이트 박스 등은 50 Hz 안정기만으로 50~60 Hz를 공용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특히 와트수가 낮은(8 W 이하) 것은 60 Hz 설치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다.

  • ; 플리커리스형 진상 회로·2등 직렬 진상형 고역률의 경우

: 큰 램프 전류가 흘러 안정기가 과열된다. 최악의 경우, 소손·발화의 위험이 있다. 래피드스타트형의 경우 파형의 균형이 무너져 점등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 60 Hz용 안정기를 50 Hz에서 사용
  • ; 초크형·누설 변압기형 저역률의 경우

: 안정기의 리액턴스가 감소하기 때문에 램프 전류가 증가하여 램프는 약간 밝아진다. 하지만 안정기 내부 코일을 흐르는 전류도 증가하여 안정기 자체가 과열된다. 그대로 사용을 계속하면 최악의 경우, 소손·발화의 위험이 있다.

  • ; 플리커리스형 진상 회로·2등 직렬 진상형 고역률의 경우

: 램프의 밝기는 어두워진다. 또한 점등이 어려워진다. 깜빡임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안정기 내부의 코일은 주파수가 높은 교류일수록 흐르기 어렵고, 반대로 콘덴서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교류를 흐르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 안정기를 사용하는 기구를 주파수가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 안정기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인버터식 안정기는 일본 국내라면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어린이용 학습 책상에 부착되는 형광등 조명은 "깜빡임이 적고 눈에 편하다"는 이유로 인버터 방식의 보급이 급속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볼 수 없지만, 스타터 방식 조명 시대에는 주파수 전환 스위치가 부착된 것이 많아, 이것을 전환함으로써 주파수가 다른 지역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다.

적정 주변 온도는 5°C에서 40°C이며, 5°C 이하가 되면 점등 직후 어둡거나 깜빡임 현상이 발생한다.[70]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조명 기구의 시동 방식에 맞는 형광등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다중 방식에 대응하는 램프 프리 안정기가 탑재되어 방식 자체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기구 전체적으로는 관 지지 방식, 커버 부착, 방열 설계 등 여러 제약으로 인해 적합한 램프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아래 설명에서 호환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취급 설명서나 기구 본체의 표시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래피드 스타트형 형광등: 기본적으로 모든 기구에 물리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면 사용 가능하다. 예외적으로 절전형 형광등(36 W)을 글로우 방식 기구에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래피드 스타트형 절전형 형광등은 저전압 대전류로 절전하기 때문이다(램프 전류: FLR40: 0.435 A, FLR40S: 0.42 A, FLR40S36: 0.44 A).
  • 래피드 스타트 방식의 절전형 형광등을 글로우 방식 기구에 장착하면 안정기에 과전류가 흘러 최악의 경우 안정기가 손상될 수 있다.
  • 장착이 가능하다면 Hf 인버터 전용관의 대체로 사용 가능하다.

  • 글로우 스타트형 형광등: 글로우 스타트 방식 기구 전용이다. 래피드 스타트 방식 기구에 장착한 경우, 일반 FL 램프는 시동성이 다소 좋지 않지만 점등될 수 있다(2등식 직렬 및 리드 피크형 래피드 스타트 안정기에서는 점등되기 쉽다). 하지만 일부 램프는 방전이 시작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절전형 40W 이상 램프 FL40SS37 등은 장착해도 방전이 시작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안정기 종류, 주변 온도, 근접 도체 유무 등에 따라 매우 드물게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수명이 매우 짧아진다.
  • 장착이 가능하다면 Hf 인버터 전용관의 대체로 사용 가능하다(단, 점멸이 많은 장소에는 적합하지 않다). 글로우 스타트형 절전형 형광등은 중전압 소전류 설계이기 때문에(램프 전류: FL40: 0.435 A, FL40S: 0.42 A, FL40SS37: 0.41-0.415 A), 저온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사용 권장 온도: FL40SS37 -10~40 ℃).

  • 고주파 점등 전용관(Hf관): 이 램프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동철 안정기 방식 래피드 기구에 장착한 경우 시동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전자식 래피드 스타트 안정기 기구에 장착한 경우 램프 전압 상승으로 인해 전자 회로가 과열될 위험이 있다(최악의 경우, 안전 기능이 작동하여 기구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글로우 스타트 기구에 장착한 경우, 온도 및 전압 변동에 따라 재시동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반대로 Hf 기구는 램프 프리화가 진행되어 램프 지정이 없어지고 있지만, Hf관만 지정하는 기구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본래의 밝기가 나오지 않거나, 엔드 밴드가 생기기 쉽거나, 기구 크기 문제로 Hf관만 들어가는 등).


형광등에는 수은을 포함하는 가스가 봉입되어 있으므로, 깨뜨려 매립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는 깨뜨릴 때 가스가 환경에 방출되거나 최종처분장이 수은으로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절히 회수되어 재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에서는 폐형광등을 전문 업체가 회수하며, 이때 깨뜨리지 않고 회수해야 하며, 깨진 경우 고액의 회수 비용이 청구된다. 회수된 폐형광등은 전문 설비를 통해 갓(口金) 금속 부분과 관형 부분으로 조심스럽게 분해되고, 내부의 수은은 구리 캐니스터에 회수된다. 나머지 부재는 알루미늄, 전극, 유리, 형광체로 분류되어 완전 재활용되는 체계가 확립되어 있다. 북유럽에서는 폐기 형광등의 총량을 줄이기 위해 형광등의 장수명화에 대한 노력이 활발하다.

한편, 일본에서는 회수하여 수은을 재활용할 수 있는 전용 시설(예: 이토무카 광산 참조)에 처리를 위탁하는 방법이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경경영 시스템 ISO 14000 인증을 취득한 기업 등에서는 이 방법이 일반적이다. 일반 가정에서 폐기되는 형광등은 일부 지자체가 회수하고 있지만, 현재에도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불연쓰레기로 배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환경 의식의 고조와 함께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자체가 회수를 하지 않는 지역이라도, 일부 가전양판점이나 전기점, 홈센터 등이 "형광등 회수 협력점"으로서 매장에서 무료로 회수하거나, 형광등 구매를 조건으로 회수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대일본 프로레슬링이 경기장이나 우편으로 무료 회수하고 있다. 회수된 형광등은 실제로 형광등 데스매치에 사용된다.

14. 한국의 형광등

한국에서 형광등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 왔다. 초기에는 현재보다 두꺼운 직관형 형광등이 사용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더 가늘고 효율적인 형광등이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초기 직관형 형광등은 두께가 38mm였으며, 형광등 번호의 와트(W)를 나타내는 숫자 뒤에 'S'가 없거나 하나만 붙어 있었다.(예: 32.5mm) 이후 더 가는 직관형 형광등(28mm)이 일반화되면서, 기존의 두꺼운 형광등을 사용하는 기구와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밀폐형 기구(방수형 등)의 경우, 규격에 맞지 않는 형광등을 사용하면 발열량이 증가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

2010년을 기준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직관형 형광등의 직경은 다음과 같다.[1]


  • 일반형: 32.5mm
  • 에너지 절약형: 28mm
  • Hf형: 25.5mm
  • T5관: 15.5mm


형광등의 종류는 점등 방식에 따라 스타터형(FL), 래피드 스타트형(FLR), 고주파 점등 전용형(FHF) 등으로 구분된다. 각 형식에 따라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가 다르다.[1]

  • 스타터형 (FL): 관경 16mm(4-8W, G5 구금), 25mm 또는 28mm(10-65W, G13 구금), 32.5mm(20S-52S, G13 구금), 38mm(20-65W, G13 구금) 등 다양한 굵기와 와트(W) 수의 제품이 있다. 주로 비상등, 손전등(4, 6, 8W), 화장대, 정원등(10, 15W), 일반 사무실, 가정(20, 40W), 쇼케이스, 자판기, 간판, 사무실(30, 32, 65, 52W) 등에 사용된다.
  • 래피드 스타트형 (FLR): 관경 38mm(20-110H, G13 구금), 32.5mm(20S, 40S, 40S/36, G13 구금) 등이 있으며, 회사, 점포, 학교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 고주파 점등 전용형 (FHF): 관경 25mm(G13 구금, 86W는 Rx17d 구금)이며, 회사, 학교, 상업 시설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도로 터널 조명에도 사용된다.
  • 슬림 FHF (FHF): 관경 16mm(G5 구금)이며, 책상 스탠드 등에 사용된다.
  • 슬림형 (FHL): 6, 10, 18, 27, 36W 등의 제품이 있다.
  • ES형 (FL): 13, 23, 27, 32W 등의 제품이 있다.
  • 슬림 라인 (FSL, FSR, FLR): 진열대 조명용으로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ercury-containing Lights and Lamps as Universal Waste http://www.ecy.wa.go[...]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Ecology 2016-06-11
[2] 서적 Electrical Engineer's Reference Book Sixteenth Edition Newnes 2003
[3] 웹사이트 Mercury-Containing Light Bulb (Lamp) Recycling | Universal Waste | US EPA http://www.epa.gov/w[...]
[4] 서적 The Scientists; A History of Science Told Through the Lives of Its Greatest Inventors Random House 2004
[5] 특허 Fluorescent Electric Lamp
[6] 뉴스 Mr. Moore's Etheric Light. The Young Newark Electrician's New And Successful Device. https://www.nytimes.[...] 1896-10-02
[7] 서적 Modern illuminants and illuminating engineering https://archive.org/[...] Whittaker & Co. 1915
[8] 웹사이트 Article about Küch and Retschinsky lamp http://lamptech.co.u[...]
[9] 서적 Discovery of the Elements: Third Edition (reprint)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03
[10]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Neon Tubes https://books.google[...] 1913-11
[11] 서적 Inventing the 20th century: 100 inventions that shaped the world : from the airplane to the zipper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2
[12] 서적 Building Systems for Interior Designers – Corky Binggeli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
[13] 서적 Uncle Tungsten: Memories of a Chemical Boyhood – Oliver Sacks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2011-06-16
[14] 웹사이트 Discover Lighting! History > Milestones in Lighting https://web.archive.[...] Ies.org
[15] 특허 Electrical Discharg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16] 특허 Metal Vapor Lamp
[17] 간행물 Electrical Consultant 1946
[18] 간행물 Westinghouse Engineer 1952
[19] 웹사이트 Lighting A Revolution: 20th Century Store-room https://americanhist[...]
[20] 서적 Practical Applications of Phosphors CRC Press 2006
[21] 서적 Basic Electrical Engineer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2009
[22] 서적 Lamps and Light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8-21
[23] 문서 T12 bulb diameter
[24] 간행물 Fluorescent Lamps Technical Bulletin TP 111R General Electric 1978-12
[25] 웹사이트 Chapter 8. Lighting https://web.archive.[...] Philips Semiconductors
[26] 웹사이트 Datasheet of typical electronic starter (not fast start), with detailed explanation of operation http://www.tabelek.c[...]
[27] 웹사이트 Datasheet of typical fast start electronic starter, with detailed explanation of operation http://www.tabelek.c[...]
[28] 웹사이트 Electronic Tube Starter 300C Fastlux for fluorescent strip lights http://www.tabelek.c[...]
[29] 웹사이트 Soft Start Electronic Starter for fluorescent tubes the UM2 Multi Pulse http://www.tabelek.c[...]
[30] 웹사이트 Fast electronic starters for fluorescent lights http://users.tpg.com[...] 2004-06-20
[31] 서적 Mechanical and Electrical Equipment for Buildings Wiley Publishing 2010
[32] 간행물 Thorn Lighting Technical Handbook
[33] 웹사이트 Energy Conservation Standards for Fluorescent Lamp Ballasts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Energy
[34] 컨퍼런스 Mercury Dosing in Fluorescent Lamps IEEE 2008-10-05
[35] 웹사이트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https://web.archive.[...] Harison Toshiba Corp.
[36] 서적 Lighting Design Basic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10-17
[37] 서적 Practical Lighting Design with LED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10-17
[38] 서적 Quality Lighting for High Performance Buildings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2020-10-17
[39] 웹사이트 Panasonic Spiral Fluorescent ceiling lights, 124.3lm/W http://panasonic.co.[...] 2010-09-27
[40] 웹사이트 Light and Lighting Facts and Bits of Data! https://web.archive.[...] 2007-12-29
[41] 웹사이트 Philips lighting catalog https://images.phili[...] Philips 2019-11-24
[42] 간행물 Building illumination: the effect of new lighting levels National Academies 1959
[43] 웹사이트 Compact Fluorescent Lighting http://www1.eere.ene[...] eere.energy.gov 2012-07-24
[44] 뉴스 Science Fact or Science Fiction: Fluorescent Lights http://www.cbc.ca/qu[...] CBC 2011-10-27
[45] 웹사이트 When to Turn Off Your Lights http://energy.gov/en[...] 2012-11-28
[46] 보고서 Toolkit for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ercury Sources, Reference Report and Guideline for Inventory Level 2, Version 1.4 http://wedocs.unep.o[...] UN Environment Chemicals Branch 2019-09-30
[47]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formation on Compact Fluorescent Light Bulbs (CFLs) and Mercury http://www.energysta[...] 2020-06-04
[48] 웹사이트 Commercial Lighting: Lamp Recyclers http://lamprecycle.o[...] 2010-03-16
[49] 웹사이트 Mercury-Containing Light Bulb (Lamp) Regulatory Framework https://web.archive.[...]
[50] 웹사이트 Mercury-Containing Light Bulb (Lamp) Collection and Recycling Programs Where You Live https://web.archive.[...]
[51] 학술지 An Estimat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Risk from Ultraviolet Radiation Emitted by Fluorescent Lamps 1993-12
[52] 학술지 Ultraviolet leaks from CFLs 2012
[53] 학술지 The risk to normal and photosensitive individuals from exposure to light from compact fluorescent lamps 2011
[54] 웹사이트 Scientific opinion on light sensitivity http://ec.europa.eu/[...] 2008-09-23
[55] 간행물 Museum Handbook: Museum collections. Part I United States National Park Service, Department of the Interior 1991
[56] 웹사이트 RF Emissions of Compact Fluorescent Lights https://interference[...] 2019-03-14
[57] 웹사이트 Working with Light Sensitivity http://www.jan.wvu.e[...] 2007-12-28
[58] 웹사이트 Accommodation Ideas for Employees with Epilepsy http://www.jan.wvu.e[...] 2007-12-28
[59] 웹사이트 Accommodation and Compliance Series: Employees with Lupus http://www.jan.wvu.e[...] 2007-12-28
[60] 학술지 Musculoskeletal and neurologic outcomes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Lyme disease 1999-12
[61] 웹사이트 Accommodating People with Vertigo https://web.archive.[...]
[62] 학술지 Dynamic Interaction Analysis of HF Ballasts and Fluorescent Lamps Based on Envelope Simulation 2001-09-10
[6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Regarding CFLs and Dimming https://www.nema.org[...] 2020-03-18
[64] 웹사이트 Why overdriving could burn down your home https://www.practica[...] 2016-06-13
[65] 학술지 Photomorphogenesis, photosynthesis, and seed yield of wheat plants grown under red light-emitting diodes (LEDs) with and without supplemental blue lighting 1997
[66] 뉴스 「蛍光灯」が照らした時代は過去になりゆく…パナソニックが生産終了へ LED照明に切り替える際の注意点は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TOKYO Web
[67] 웹사이트 蛍光管リサイクルによる CO2・健康リスク及び資源消費削減効果の推計 https://www.jstage.j[...] 北九州市立大学
[68] 웹사이트 水銀添加製品処理の現状と今後の課題 https://www.env.go.j[...] 京都大学環境科学センター
[69] 뉴스 社説:蛍光灯製造の全面禁止 脱水銀へLEDの拡大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70] 웹사이트 蛍光ランプガイドブック https://www.jlma.or.[...] 一般社団法人 日本照明工業会 2019-11-18
[71] 웹사이트 Alexandre Edmond Becquerel http://micro.magnet.[...]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2015-11-28
[72] 간행물 Vacuum-Tube Lighting https://books.google[...] 1904-09
[73] 웹사이트 ムーア灯 https://www.aozora.g[...] 1907
[74] 웹사이트 東芝未来科学館:日本初の蛍光ランプ http://toshiba-mirai[...] 2019-04-18
[75] 웹사이트 中谷宇吉郎 壁画摸写 https://www.aozora.g[...]
[76] 서적 松下電器五十年の略史 松下電器 1968
[77] 논문 高周波点灯専用形蛍光ランプ(2) 一般社団法人照明学会
[78] 논문 細径環形蛍光ランプの開発と技術動向 一般社団法人照明学会
[79] 보도자료 高周波点灯専用二重環形蛍光灯「ツインパルック プレミア」を発売 https://news.panason[...] 松下電器産業 2023-06-24
[80] 웹사이트 パナソニック あかりの歴史 https://panasonic.jp[...] パナソニック 2023-06-24
[81] 뉴스 蛍光灯、27年末で製造禁止 水銀規制の水俣条約会議で合意: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3-11-04
[82] 문서 사진촬영용 형광등 설명
[83] 뉴스 「明るさは電球の三倍」 日本経済新聞 1950-07-05
[84] 웹사이트 照明器具・蛍光灯の価格改定について https://www2.panason[...]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022-10-21
[85] 문서 전구형 형광등 생산 중단 관련 설명
[86] 뉴스 蛍光灯なくなる?政府、照明の省エネ基準強化へ https://web.archive.[...] 2015-11-28
[87] 뉴스 蛍光灯、実質製造禁止へ 20年度めど、LEDに置換 http://www.asahi.com[...] 2015-11-28
[88] 뉴스 蛍光灯の製造規制へ LED化促進、課題は http://www.tokyo-np.[...] 2015-11-28
[89] 보도자료 【60秒解説】「蛍光灯は禁止?」の誤解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20-07-03
[90] 웹사이트 직관 LED램프 교체시 주의사항 https://www.tfd.metr[...]
[91] 뉴스 蛍光灯、27年末で製造禁止 水銀規制の水俣条約会議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11-05
[92] 뉴스 パナソニック、蛍光灯生産終了へ 27年末、長年の歴史に幕 https://news.yahoo.c[...] 共同通信 2024-08-17
[93] 뉴스 パナソニック、蛍光灯生産終了へ 2027年9月末までに https://ascii.jp/ele[...] ASCII 2024-10-02
[94] 뉴스 소비자들은 모르는 LED 조명기구의 비밀을 공개한다 http://www.architect[...] 2018-01-24
[95] 웹사이트 Light Design Lab의 형광등 소모 전력과 사용 시간에 대한 글 http://www.lightingd[...] 2008-03-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