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제1대 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 제1대 의회는 1907년 핀란드 의회 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이 선거는 핀란드 최초의 총선으로, 다당제 선거 제도 하에 200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주요 정당으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 핀란드당, 청년 핀란드당, 핀란드 스웨덴인당 등이 있었으며, 각 정당은 다양한 선거구에서 의석을 확보했다. 선거 결과, 핀란드 사회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제1대 의회의원 - 라우리 잉만
라우리 잉만은 핀란드의 정치인으로서 총리, 의회 의장, 교육장관을 역임했으며, 두 차례 핀란드 총리를 지냈다. - 핀란드의 제1대 의회의원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는 핀란드의 독립과 냉전 시대 생존에 기여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총리, 스웨덴/소련 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소련과의 우호 관계 구축 및 '파아시키비 독트린'을 통해 핀란드의 안보와 독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핀란드 제1대 의회 | |
---|---|
제1대 핀란드 의회 | |
![]() | |
선거 정보 | |
선거일 | 1907년 3월 15일 ~ 16일 |
이전 의회 | 핀란드 신분제 의회 |
다음 의회 | 제2대 핀란드 의회 |
구성 | |
의원 수 | 200석 |
정당별 의석 수 | |
사회민주당 | 84석 |
핀란드당 | 59석 |
청년 핀란드당 | 26석 |
스웨덴 국민당 | 24석 |
농업 연맹 | 9석 |
기독교 노동자 연맹 | 2석 |
기타 정보 | |
소집 | 1907년 5월 23일 |
해산 | 1908년 5월 6일 |
2. 핀란드 의회 선거 (1907년)
2. 1. 선거 제도
2. 2. 주요 정당
3. 의원 목록 (1907년)
1906년 12월 17일 선거구 결정에 따라[6] 우시마주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 9석, 핀란드당 4석, 청년 핀란드당 1석, 핀란드 스웨덴인당 9석으로 총 23석이 배정되었다.
- '''핀란드 사회민주당''': 에드바르드 헬레, 알베르트 잉그만, 오스카르 요한손, 유호 락소, 에밀 페르틸래, 발프리드 페르틸래, 미나 실란패, 아토 시렌, 에드바르드 발파스[6]
- '''핀란드당''': 힐다 캐키코스키, 오스카리 라이네, 에른스트 팔멘, 빌호 레이마[6]
- '''청년 핀란드당''': 에로 에르코[6]
- '''핀란드 스웨덴인당''': 프란스 알로스, 크리스티안 폰 알프탄, 레오 에른로트, 프리돌프 구스타브손, 칼 올례마르크, 구스타브 로젠퀴스트, 에밀 슈위베리손, 칼 쇠데르홀름, 오스발드 바사스톄르나[6]
3. 1. 우시마주 선거구
1906년 12월 17일 선거구 결정에 따라[6] 우시마주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 9석, 핀란드당 4석, 청년 핀란드당 1석, 핀란드 스웨덴인당 9석으로 총 23석이 배정되었다.- '''핀란드 사회민주당''': 에드바르드 헬레, 알베르트 잉그만, 오스카르 요한손, 유호 락소, 에밀 페르틸래, 발프리드 페르틸래, 미나 실란패, 아토 시렌, 에드바르드 발파스[6]
- '''핀란드당''': 힐다 캐키코스키, 오스카리 라이네, 에른스트 팔멘, 빌호 레이마[6]
- '''청년 핀란드당''': 에로 에르코[6]
- '''핀란드 스웨덴인당''': 프란스 알로스, 크리스티안 폰 알프탄, 레오 에른로트, 프리돌프 구스타브손, 칼 올례마르크, 구스타브 로젠퀴스트, 에밀 슈위베리손, 칼 쇠데르홀름, 오스발드 바사스톄르나[6]
3. 2. 투르쿠주 남부 선거구
투르쿠주 남부 선거구에서는 1906년 12월 17일에 핀란드 제1대 의회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6] 이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SDP)에서 4명, 핀란드당(SP)에서 6명, 청년 핀란드당(NSP)에서 1명, 핀란드 스웨덴인당(RKP)에서 5명, 핀란드 중앙당(ML)에서 1명이 당선되었다.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이다 알레텔리오, 세트 헤이킬래, 타비 타이니오, 배이뇌 부올리요키가 당선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칼 율리안 칼손, 다우마 네오비우스, 빌헬름 로젠퀴스트, 오스카르 슐츠, 율리우스 순드블롬이 당선되었다.[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안티 미콜라, 핀란드 스웨덴인당에서는 알렉산드라 그리펜베리, 아우구스트 혤트, 카를레 크누틸라, 알렉시 캐퓌, 유호 라니코, 빌호 시필래가 당선되었다.[6] 핀란드 중앙당에서는 카를로 헤이니넨이 당선되었다.[6]3. 3. 투르쿠주 북부 선거구
투르쿠주 북부 선거구에서는 1907년 핀란드 의회 선거에서 총 17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 10명,[6] 핀란드당에서 5명,[6] 청년 핀란드당에서 1명,[6] 핀란드 중앙당에서 1명이 선출되었다.[6]- 핀란드 사회민주당: 에마누엘 아로마, 타베티 칼리오코르피, 미미 카네르보, 프란스 코스키넨, 빌호 라이네, 오스카리 레이보, 유시 메리넨, 프란스 란타넨, 칼레 살미넨, 배이뇌 탄네르[6]
- 핀란드당: 에밀 헬키외, 라우리 잉그만,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프란스 라폴라, 이다 베멜푸[6]
- 청년 핀란드당: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6]
- 핀란드 중앙당: 마티 메리비르타[6]
3. 4. 해메주 남부 선거구
해메주 남부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제1대 의회 의원 선거에서 핀란드 사회민주당이 7석, 핀란드당이 3석, 청년 핀란드당이 1석을 확보했다.[6]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보이토 엘로란타, 에베르트 호카넨, 오스카리 얄라바, 산테리 누오르테바, 마리아 파소, 아르투리 시베니우스, 술로 부올리요키가 당선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요한 리카르드 다니엘손칼마리, 오스발드 카이라모, 햘마르 가브리엘 팔로헤이모가 당선되었고,[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루키나 하그만이 당선되었다.[6]3. 5. 해메주 북부 선거구
해메주 북부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 핀란드당, 청년 핀란드당이 의석을 확보했다.[6] 핀란드 사회민주당은 헤이키 해위뤼넨, 카를 구스타프 회이예르, 산드라 레흐티넨, 헤이키 린드로스, 페나 파우누, 위리외 시롤라, 닐스 로베르트 아브 우르신 7명이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헤드비그 게브하르드, 에른스트 네반린나, 에이노 사카리 위리외코스키넨 3명이,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칼레 빌랴카이넨 1명이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3. 6. 비푸리주 서부 선거구
비푸리주 서부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SDP)에서 6명, 핀란드당(SP)에서 4명, 청년 핀란드당(NSP)에서 3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6]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빌레 헤이모넨, 유호 키르베스, 마티 파시부오리, 힐리아 패르시넨, 마티 투르키아, 비흐토리 비타넨이 당선되었다. 핀란드당에서는 유하니 아라얘르비, 유호 툴리코우라, 요하네스 빌스크만, 아르투르 부오리마가 당선되었다.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요나스 카스트렌, 타흐보 리헬래, 카를로 비크만이 당선되었다.[6]
3. 7. 비푸리주 동부 선거구
비푸리주 동부 선거구에서는 1907년 핀란드 제1대 의회 선거에서 총 17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수는 핀란드 사회민주당 5석, 핀란드당 5석, 청년 핀란드당 3석, 핀란드 중앙당 4석이었다.[6]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오스카리 프레드릭 라이네, 야네 마르티카이넨, 비흐토리 매켈래, 바실리 수오사리, 네스토리 발라바라가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배이뇌 키빌리나, 올리 파야리, 에르키 풀리넨, 헤이키 레포, 미코 시포넨이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구스타프 아로칼리오, 네스토르 후오포넨, 피에타리 쿠이스마가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핀란드 중앙당에서는 유하니 레팰래, 칼레 쿠스타 퓌캘래, 힐마 래새넨, 라우리 투나넨이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3. 8. 미켈리주 선거구
미켈리주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 7명, 핀란드당에서 5명, 청년 핀란드당에서 2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6]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비흐토리 아로마, 올리베르 에로넨, 칼레 페테르 후투넨, 요수아 얘르비넨, 안스헬름 카니스토, 오스카리 오라스마, 알빈 발랴카가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카를로 카레스, 유호 레피스퇴, 다니엘 뉘캐넨, 유스투스 리파티, 미카엘 소이니넨이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헤이키 가브리엘 렌발,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가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3. 9. 쿠오피오주 서부 선거구
쿠오피오주 서부 선거구에서는 1906년 12월 17일에 핀란드 제1대 의회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6] 이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 7명, 핀란드당에서 1명, 청년 핀란드당에서 4명, 핀란드 중앙당에서 1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아니 후오타리, 안티 매켈린, 페카 뫼뫼, 안티 파르타넨, 타비 리사넨, 아로 살로, 유호 수오말라이넨이 당선되었다. 핀란드당에서는 사무엘 헤이스카넨, 알리 니시넨, 마티 페소넨, 유호 스넬만이 당선되었다.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마티 알토가 당선되었으며, 핀란드 중앙당에서는 아우구스트 라티카이넨이 당선되었다.
3. 10. 쿠오피오주 동부 선거구
쿠오피오주 동부 선거구에서는 1906년 12월 17일에 핀란드 제1대 의회 선거를 통해 총 11명의 의원을 선출했다.[6] 이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 6명, 핀란드당에서 2명, 청년 핀란드당에서 3명의 의원이 당선되었다.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안티 해맬래이넨(1864년), 알빈 코포넨, 아르비 라흐티넨, 아펠리 수오말라이넨, 파보 티카넨, 예뉘 누오티오가 당선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헤르만 하쿨리넨과 에마누엘 콜키가 당선되었고,[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우노 브란데르, 페카 레패넨, 페카 페나넨이 당선되었다.[6]
3. 11. 바사주 남부 선거구
1906년 12월 17일에 선거구가 결정되었다.[6] 바사주 남부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 1명, 핀란드당에서 4명, 핀란드 스웨덴인당에서 6명, 핀란드 중앙당에서 1명이 당선되었다.정당 | 의석 수 |
---|---|
핀란드 사회민주당 (SDP) | 1 |
핀란드당 (SP) | 4 |
핀란드 스웨덴인당 (RKP) | 6 |
핀란드 중앙당 (ML) | 1 |
총계 | 12 |
-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마티 알토(Matti Alto)가 당선되었다.[6]
- 핀란드당에서는 유호 에르키 안틸라(Juho Erkki Antila), 리사 키비오야(Liisa Kivioja), 사멜리 라얄라(Sameli Rajala), 위리외 코스키넨 위리외코스키넨(Yrjö Koskinen Yrjö-Koskinen)이 당선되었다.[6]
- 핀란드 스웨덴인당에서는 악셀 세더베리(Axel Cederberg), 에른스트 에스틀란더(Ernst Estlander), 레인홀드 헤드베리(Reinhold Hedberg), 아르비드 네오비우스(Arvid Neovius), 오스카르 닉스(Oskar Nix), 오토 시에티스(Otto Sjöstedt)가 당선되었다.[6]
- 핀란드 중앙당에서는 산테리 알키오(Santeri Alkio)가 탈당하고, 다시 입당하였다.[6]
3. 12. 바사주 북부 선거구
오스카리 토코이는 핀란드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바사 주 북부 선거구에서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하네스 게브하르드, 빌헬미 말미바라, 투오마스 포흐얀팔로, 유호 토르파, 유시 윌리코르피가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 핀란드 스웨덴인당에서는 알프레드 요하네스 베크, 야콥 네스, 요한 빌헬름 루네베리, 요한 스토르비외르크가 선거구에서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3. 13. 바사주 동부 선거구
바사주 동부 선거구에서는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 6명, 핀란드당에서 3명, 청년 핀란드당에서 2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6]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사물리 해키넨, 카를레 맨튀, 조엘 나랄라이넨, 에마누엘 포흐야배레, 사물리 란타넨, 마리아 라우니오가 당선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에벨리나 알라쿨류, 알렉산테리 코이비스토, 악셀리 리스토가 당선되었다.[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유호 하베리와 빌리암 코스키넨이 당선되었다.[6]
3. 14. 오울루주 남부 선거구
오울루주 남부 선거구에서는 1907년 핀란드 제1대 의회 총선거에서 13명의 의원을 선출했다.[6]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마티 호이카, 칼레 해맬래이넨(1881년 출생), 유호 코무 3명이 당선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아르투르 라게를뢰프, 카를레 뮐륄래, 아테 올코넨, 이사키 바헤 4명이 당선되었다.[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미코 크누틸라, 알베르트 루오마 2명이 당선되었다.[6] 핀란드 중앙당에서는 유호 헤이키넨, 퀴외스티 칼리오, 오토 카르히, 헤이키 키스키넨 4명이 당선되었다.[6]3. 15. 오울루주 북부 선거구
오울루주 북부 선거구에서는 1906년 12월 17일 의회 선거를 통해 총 6명의 의원을 선출했다.[6] 핀란드 사회민주당에서는 아테 만테레(Atte Mantere)가 당선되었다.[6] 핀란드당에서는 아우쿠스티 히툴라(Aukusti Hiltula), 이사키 호이카(Iisakki Hoikka), 요제프 룬티(Joosef Lunti), 유호 에르키 바랄라(Juho Erkki Vahala)가 당선되었다.[6] 청년 핀란드당에서는 페카 아흐마바라(Pekka Ahmavaara)가 당선되었다.[6]3. 16. 라피 선거구
핀란드 제1대 의회 라피 선거구에서는 핀란드당 소속으로 마티 테르바니에미가 의원으로 선출되었다.[6]4. 정당별 의석 분포
1907년 핀란드 의회 선거에서 각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6]
정당 ▶ | width="12.5%" rowspan=2 style="background:; color:#ffffff;" | ; color:#ffffff;" | ; color:#ffffff;" | ; color:#ffffff;" | RKP | width="12.5%" rowspan=2 style="background:; color:#ffffff;" | ML | {{color | 계 | |||
---|---|---|---|---|---|---|---|
선거구 ▼ | |||||||
1. 우시마주 | 9석 | 4석 | 1석 | 9석 | 23석 | ||
2. 투르쿠주 남부 | 4석 | 6석 | 1석 | 5석 | 1석 | 17석 | |
3. 투르쿠주 북부 | 10석 | 5석 | 1석 | 1석 | 17석 | ||
4. 해메주 남부 | 7석 | 3석 | 1석 | 11석 | |||
5. 해메주 북부 | 7석 | 3석 | 1석 | 11석 | |||
6. 비푸리주 서부 | 6석 | 4석 | 3석 | 13석 | |||
7. 비푸리주 동부 | 5석 | 5석 | 3석 | 4석 | 17석 | ||
8. 미켈리주 | 7석 | 5석 | 2석 | 14석 | |||
9. 쿠오피오주 서부 | 7석 | 1석 | 4석 | 1석 | 13석 | ||
10. 쿠오피오주 동부 | 6석 | 2석 | 3석 | 11석 | |||
11. 바사주 남부 | 1석 | 4석 | 0석 | 6석 | 1석 | 12석 | |
12. 바사주 북부 | 1석 | 5석 | 4석 | 10석 | |||
13. 바사주 동부 | 6석 | 3석 | 2석 | 11석 | |||
14. 오울루주 남부 | 3석 | 4석 | 2석 | 4석 | 13석 | ||
15. 오울루주 북부 | 1석 | 4석 | 1석 | 6석 | |||
16. 라피 | 1석 | 1석 | |||||
계 | 80석 | 59석 | 25석 | 24석 | 10석 | 2석 | 200석 |
- 핀란드 사회민주당(SDP)은 80석을 얻어 원내 제1당이 되었다.
- 핀란드당(SP)은 59석을 얻었다.
- 청년 핀란드당(NSP)은 25석으로 의석수가 감소하였다.
- 핀란드 스웨덴인당(RKP)은 24석을 얻었다.
- 핀란드 중앙당(ML)은 초창기에는 9석이었으나, 산테리 알키오가 입당하면서 10석으로 늘어났다.
- 핀란드 기독교노동자동맹(SKrTL)은 2석을 얻었다.
5. 의회 활동과 주요 쟁점
6. 1907년 핀란드 의회의 역사적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Ensimmäinen yksikamarinen eduskunta
http://www.kerhokesk[...]
2007-12-06
[2]
핀란드 의회
Santeri Alkio
https://www.eduskunt[...]
2007-12-06
[3]
웹사이트
Eduskunnan ensimmäiset naiset
http://www.turunsuku[...]
Riitta Sihvonen Turun Seudun Sukututkijat, www.turunsuku.fi
2009-07-11
[4]
웹사이트
Äänioikeutetut
http://www.vaalit.fi[...]
2009-07-16
[5]
웹사이트
Kansanedustajien keski-ikä puolueittain vuonna 1907
https://web.archive.[...]
2007-12-06
[6]
웹사이트
4. vaalipiirit
http://www.vaalit.fi[...]
Oikeusministeriö: Punawiivan perässä – Eduskuntavaalit 1907
2009-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