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피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피코스는 711년부터 713년까지 비잔틴 제국의 황제였다. 본래 바르다네스라는 이름으로 아르메니아 출신 귀족의 아들이었으며, 단의설 파의 지지를 받아 유스티니아누스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티베리우스 3세에 의해 유배되었으나, 하자르족의 도움을 받아 반란에 성공하여 황위에 올랐다. 즉위 후 단의설을 옹호하고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립했으며, 군사적 위협에 직면했다. 713년 반란으로 폐위되어 맹인이 된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세기 동로마 황제 - 레온 3세
레온 3세는 8세기 초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이슬람 제국의 침공을 막아냈지만, 말년의 성상 파괴 운동으로 동서 교회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 8세기 동로마 황제 - 아나스타시오스 2세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아르테미오스라는 이름의 관료 출신으로, 713년부터 715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재임하며 종교적 안정과 제국 방어 강화를 추구했으나 반란으로 폐위 후 처형당했다. - 동로마 제국의 집정관 -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527년부터 38년간 동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로마법 대전 편찬,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고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통한 정복 전쟁, 교회 정책 추진 등으로 제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결코 잠들지 않는 황제"였다. - 동로마 제국의 집정관 - 아나스타시우스 1세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491년부터 518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서, 검소한 통치와 대외 위협 대응, 화폐 및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종교적 갈등과 반란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겪다가 후계자를 정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필리피코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필리피코스 |
로마자 표기 | Filepicus |
그리스어 표기 | Φιλιππικός |
통치 | |
작위 | 로마인의 황제 |
재위 기간 | 711년 12월 11일 - 713년 6월 2일 |
이전 통치자 | 유스티니아노스 2세 |
다음 통치자 | 아나스타시오스 2세 |
인물 정보 | |
본명 | 바르다네스 |
아버지 | 니케포로스 |
출생지 | 페르가뭄 (현재 튀르키예, 이즈미르 주, 베르가마) |
사망 년도 | 713년 |
기타 | |
왕조 | 20년의 무정부 시대 |
2. 생애
필리피쿠스는 본래 바르다네스(Βαρδάνης|바르다네스el)라는 이름을 가졌으며, 페르가뭄 출신의 아르메니아인계 귀족 니케포루스의 아들이었다.[6] 그의 혈통에 대해서는 아르메니아계라는 설과 페르시아인계라는 설이 대립하고 있다.[7] 동시대 자료는 바르다네스의 가정교습, 학문적 관심사, 학식, 웅변술 등을 증언하는데, 이 모든 것이 그리스어로 이루어졌다.[7] 레슬리 브루베이커와 존 홀든은 바르다네스가 아르메니아 마미코니안 가문과 연관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지만,[8] 앤서니 칼델리스는 이를 부인한다.[9]
그는 단의설을 지지하여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종교 정책에 반대하였고, 이로 인해 티베리우스 3세에 의해 케팔로니아로 유배되었다. 이후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명령으로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로 추방되었다. 이곳에서 바르다네스는 필리피쿠스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하자르족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했고,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도주 중 체포되어 참수되었다. 그의 아들 티베리우스 역시 필리피쿠스의 장교 요안네스와 마우로스에게 체포되어 교회에서 살해되었다.[6]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주요 장교였던 바라스바쿠리오스도 처형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반란
필리피쿠스는 본래 '''바르다네스'''(Βαρδάνης|바르다네스el; Վարդան|바르단hy)라는 이름을 가졌으며, 페르가뭄 출신의 아르메니아인계 귀족 니케포루스의 아들이었다.[6] 필리피쿠스의 혈통에 대해서는 아르메니아계라는 설과 페르시아계라는 설이 대립하고 있다.그는 단의설을 지지하여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종교 정책에 반대하였고, 이로 인해 티베리우스 3세에 의해 케팔로니아로 유배되었다. 이후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명령으로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로 추방되었다. 이곳에서 바르다네스는 필리피쿠스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하자르족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했고,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도주 중 체포되어 참수되었다. 그의 아들 티베리우스 역시 필리피쿠스의 장교 요안네스와 마우로스에게 체포되어 교회에서 살해되었다.[6]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주요 장교였던 바라스바쿠리오스도 처형되었다.

2. 2. 치세
필리피코스는 즉위 후, 정통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키로스를 폐위하고 단의설파인 요한 6세를 옹립하였다.[10] 그는 제6차 에큐메니컬 공의회의 결정을 부정하고 단의설을 옹호하는 임시 공의회를 소집하여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립하였다.[10]한편, 불가르족의 통치자 테르벨은 712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까지 약탈했다.[10] 필리피코스가 옵시키온 테마의 군대를 발칸 반도로 이동시키자, 알-왈리드 1세 치하의 우마이야 칼리파조는 약화된 소아시아 방어선을 넘어 침입했다.[10]
713년 5월 말, 옵시키온 군대가 트라키아에서 반란을 일으켰다.[10] 몇몇 장교들은 도시에 잠입하여 713년 6월 3일, 필리피코스가 전차 경기장에 있는 동안 그를 맹인으로 만들었다.[10] 그의 뒤를 잠시 그의 수석 비서 아르테미우스가 이어받아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2세로 즉위했다.[10] 필리피코스는 같은 해에 사망했다.[10]
2. 3. 폐위와 죽음
713년 5월, 트라키아에서 옵시키온 군대가 반란을 일으켰다.[10] 반란군 장교 몇 명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잠입하여, 713년 6월 3일 전차 경기장에 있던 필리피코스를 맹인으로 만들었다.[10]필리피코스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으며, 그의 수석 비서였던 아르테미우스가 황제 아나스타시오스 2세로 즉위했다.
3. 더 보기
더 보기 섹션은 본문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3. 1. 관련 인물
- 유스티니아누스 2세: 필리피쿠스에게 살해당한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이다.[6]
- 테르벨: 필리피쿠스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한 불가르족의 칸이다.
- 아나스타시우스 2세: 필리피쿠스를 폐위시키고 황제가 된 인물이다.[10]
3. 2. 관련 사건
티베리우스 3세에 의해 케팔로니아로 유배되었던 필리피쿠스는 유스티니아누스 2세의 명령으로 케르소네소스 타우리카로 추방되었다. 이곳에서 필리피쿠스는 하자르족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여 황제가 되었다.[6]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처형되었고, 그의 아들 티베리우스도 살해되었다.필리피쿠스는 단의설을 지지하여 제6차 에큐메니컬 공의회의 법규를 폐지하고, 키로스를 폐위하고 요한 6세를 옹립했다. 이러한 종교적 조치는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갈등을 야기했다.[6]
한편, 불가리아 통치자 테르벨은 712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까지 약탈했다. 필리피쿠스가 군대를 이동시키자, 우마이야 칼리파조는 소아시아를 침입했다.[6]
713년, 옵시키온 군대가 반란을 일으켜 필리피쿠스는 맹인이 되었고,[10] 그의 수석 비서 아르테미우스가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2세로 즉위했다.
참조
[1]
서적
Kerkelijke geschiedenis: bd
Van Rossum
1840
[2]
서적
Beknopt chronologisch Overzigt des Kerkgeschiedenis, in synchronistisch verband met de wereldgeschiedenis, etc
1863
[3]
서적
VAL. MAX. LIBRI IX
Henricum Petrum
1536
[4]
서적
Byzantine Coins and Their Values
https://books.google[...]
Spink Books
1987
[5]
서적
The Symbolic Language of Royal Authority in the Carolingian World (c. 751–877)
https://books.google[...]
Brill
2008
[6]
간행물
Ethnic Changes in the Byzantine Empire in the Seventh Century
Dumbarton Oaks
[7]
서적
Romanland: Ethnicity and Empire in Byzantium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Byzantium in the Iconoclast Era, c. 680–850: A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9]
간행물
Anthony Kaldellis, Romanland: Ethnicity and Empire in Byzantium
https://www.cambridg[...]
2021-03-08
[10]
문서
Theophanes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