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마 가톨릭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가톨릭교회는 '보편적인'을 의미하는 '가톨릭'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110년경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가 처음 사용했다. 1054년 교회 대분열 이후 교황과 친교를 유지한 서방 교회가 가톨릭교회를 자처했으며, 16세기 종교개혁 시기 교황청과 관계를 유지한 서방 교회가 현재의 로마 가톨릭교회로 이어졌다. '가톨릭교회'라는 명칭은 공식 문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동아시아에서는 '천주교'로 불리기도 한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1세기경 예수 그리스도가 설립한 유일한 참 교회라고 여기며, 사도 전승을 통해 교황의 수위권을 강조한다. 주요 교리로는 천주존재, 삼위일체, 상선벌악, 강생구속이 있으며, 성경과 성전을 근거로 교리를 해석한다. 조직은 교황을 정점으로 주교, 사제, 부제로 구성되며, 전례는 미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양식이 존재한다. 타 기독교 교파와는 교리적 차이를 보이며, 에큐메니즘 운동을 통해 관계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교회 - 교황 관련 결혼과 불륜 기록
    역사적으로 교황들의 혼인 관계, 성 추문, 정부를 둔 사실, 사생아 출산 등의 기록은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12세기까지 성직자 결혼이 금지되지 않았던 배경과 함께 서방교회의 독신주의 강조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
  • 로마 가톨릭교회 - 바티칸 시국
    바티칸 시국은 로마 북서쪽 바티칸 언덕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독립국가로, 1929년 라테라노 조약으로 이탈리아로부터 독립했으며 교황이 국가원수이자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수많은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교황청을 통해 국제 사회에 참여한다.
로마 가톨릭교회
개요
성 베드로 대성당 정면
세계 최대 규모의 가톨릭 성당인 성 베드로 대성당
공식 명칭가톨릭교회
로마자 표기Ecclesia Catholica
분류가톨릭
정치 체제주교제
통치 기구교황청과 로마 교황청
수장 직함교황
구성 교회 종류자율 교회
구성 교회라틴 교회 및 23개의 동방 가톨릭교회
교구대교구: 640개
교구: 2,851개
본당약 221,700개
위치전 세계
언어교회 라틴어 및 모국어
전례라틴 및 동방
본부바티칸 시국
설립자예수, 성전에 따르면
설립 시기1세기
설립 장소유대 속주, 로마 제국
분리개신교
구 가톨릭교회
독립 가톨릭교회
교황좌 공석주의
신자 수 (World Christian Database (2024) 기준)12억 8천만 명
신자 수 (교황청 연감 (2022) 기준)13억 9천만 명
성직자 종류성직자
성직자주교: 5,353명
사제: 407,730명
부제: 50,150명
병원5,500개
초등학교95,200개
중등학교43,800개
공식 웹사이트바티칸 공식 웹사이트
역사적 맥락
기원1세기 유대 지역에서 시작
초기 지도자베드로와 바울로
주요 사건니케아 공의회, 동서 교회 분열, 종교 개혁,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 및 교리
핵심 교리삼위일체, 강생, 성사
주요 교리성체성사, 고해성사,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앙
성경가톨릭 성경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교황의 역할교황의 수위권과 무류성
조직 및 구조
교황교회의 최고 지도자
교황청교황을 보좌하는 행정 기구
교구지역 교회 공동체
수도회다양한 수도회와 선교회 존재
사회적 영향
사회 활동교육, 의료,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논란낙태, 동성애, 사제 성추행 문제 등
기타 정보
관련 단체가톨릭 의료 협회, 가톨릭 학교 연맹
관련 인물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교황 프란치스코

2. 명칭

253x253px


'가톨릭 교회'라는 명칭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1990), 1983년 교회법,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36] 제1차 바티칸 공의회(1869~1870),[37]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38] 등 여러 공식 문서에서 사용된다.[39][40] 교회헌장(Lumen Gentium)[427]에서는 “사도의 수장인 베드로의 후계자(로마 교황)와 사도들의 후계자들(주교)에 의해 다스려지는 ‘하나이며 거룩하고, 공동(가톨릭)의, 사도적인 교회’(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라고 가톨릭교회의 "가톨릭" 정의를 나타내고 있다.

1054년 동서교회 분열 이전의 교회로서, 니케아 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칼케돈 신경을 믿는 교회를 가톨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리우스파 등의 이단에 반대되는 정통교리라는 의미) 이 경우 현재의 가톨릭교회와 정교회를 포함한다.

기독교 여러 교파의 성립 개요


"로마 가톨릭"은 교황청 발행 문서[34]와 일부 국가 주교회의 및 지역 교구 문서[35]에서 가끔 등장한다.

“가톨릭”(보편적인)을 자칭하는 기독교 교파는 이 외에도 여럿 있으며, “가톨릭”은 교파명뿐 아니라 개념을 가리키기도 한다.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교회는 단순한 인간 조직이 아니라 약 2000년 전 팔레스타인에서 탄생한 초대 교회의 전통을 계승하며, 본질적으로 “신으로부터 오는 것”이다.[429]

1054년 동서교회 분열 이전 교회의 정통 후계자임을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 모두 자처한다. "가톨릭"과 "정교회(오르토독스)"는 모두 동서교회 분열 이전 교회에서도 중요한 개념이었기에 어느 견해도 틀리지 않으며, 자신이 중시하는 개념에서 유래하는 교회 이름을 과거 교회 이름에도 적용하기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

현재 가톨릭교회와 정교회 모두 자신의 "가톨릭"(보편성)과 "정교회(오르토독스)"(올바른 찬미)를 자각하며, 이 둘은 배타적인 개념이 아니다.

잉글랜드 국교회 계보를 잇는 성공회의 동아시아 명칭 "성공회"는 "거룩한 보편 교회"()를 의미하며,[430] 다른 나라 성공회도 보편적(catholic)이며 사도 계승(apostolic) 교회임을 자처한다. 성공회 내부 경향인 "고교파"(고교파)는 "앵글로 가톨릭"()이라고도 불린다.

네스토리우스파 계보를 잇는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정식 명칭은 "거룩하고 사도적이며 보편적인 아시리아 동방 교회"()이다.[431]

2. 1. 어원

'가톨릭'(그리스어: καθολικός|katholikos|보편적인el)이라는 용어는 2세기 초 교회를 묘사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25] "가톨릭 교회"(καθολικὴ ἐκκλησία|katholikḕ ekklēsía|el)라는 구절이 처음으로 알려진 것은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 성인이 스미르나인들에게 보낸 서한(서기 110년경)에서이다.[26] 예루살렘의 키릴 성인의 『교리 강론』(서기 350년경)에서 "가톨릭 교회"라는 이름은 자신들을 "교회"라고 부르는 다른 집단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6][27] "가톨릭"이라는 개념은 서기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가 발표한 칙령 『가톨릭 신앙에 관하여』(De fide Catolica)에서 더욱 강조되었는데, 이 칙령에서 로마 제국의 국교를 수립하였다.[28]

1054년 동서 분열 이후 동방 정교회는 '정교회'라는 형용사를 그 특징적인 이름으로 삼았다. 그러나 공식 명칭은 여전히 정교회 가톨릭 교회이다.[29] 라틴 교회는 '가톨릭'으로 묘사되었으며,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교황청과의 친교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30][31]

'로마 교회'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초기 중세(6세기~10세기)까지 교황의 로마 교구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는 16세기 후반 종교 개혁 이후 영어권에서 전체 교회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32] 또한 일부는 동방 가톨릭 교회와 구별하여 라틴 교회를 '로마 가톨릭'으로 지칭하기도 한다.[33]

"가톨릭"의 어원은 그리스어 "카톨리케́(καθολική: 보편적인, 세계적인)"의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ος)"에서 유래하며, 라틴어에서는 "카톨리쿠스(Catholicusla)"로 표기된다.[428]

2. 2. 한국에서의 명칭

'가톨릭'이라는 용어는 2세기 초 교회를 묘사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25]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서기 100년경에 '그리스도교'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기록한 사람으로도 여겨진다.[24] “가톨릭 교회”(καθολικὴ ἐκκλησία|katholikḕ ekklēsía|el)라는 구절이 처음으로 알려진 것은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가 스미르나인들에게 보낸 서한(서기 110년경)에서이다.[26]

1054년 동서 분열 이후 동방 정교회는 '정교회'라는 형용사를 그 특징적인 이름으로 삼았다. 그러나 공식 명칭은 여전히 정교회 가톨릭 교회이다.[29] 라틴 교회는 '가톨릭'으로 묘사되었으며,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교황청과의 친교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30][31]

일본에서는 과거 catholic Church를 "공교회"라고 번역하여, 조직명으로 "천주공교회", "일본천주공교교단"이라고 칭했다. 이는 1884년(메이지 17년)부터 1959년(쇼와 34년)까지 하느님을 일본 가톨릭교회에서는 "천주"라고 부르며 가르쳤기 때문이며, 성당을 "천주당"(예: 오우라 천주당), 교리서를 "공교요리"라고 하는 표현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다이쇼부터 쇼와 초기에는 카타카나의 "가톨릭"을 冠한 신문사·정기 간행물이 나타났고, 1948년(쇼와 23년) 이후에는 가톨릭 표기가 공적으로 채택되었다.[433]

현재는 가톨릭중앙협의회가 공식 표기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일본의 가톨릭교회 측이 "카소릭"이라는 표기·호칭을 사용하는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다.

3. 역사

로마 가톨릭교회의 역사는 서기 30년경 예루살렘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초기에는 로마 제국의 박해를 받았으나,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신앙의 자유를 얻었고, 380년 테살로니카 칙령으로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었다. 초기 7대 세계 공의회를 통해 교리가 정립되었고, 로마 교구베드로바오로의 순교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게르만족의 침입과 이슬람교의 발흥 등 외부 위협 속에서도 교회는 수도원을 통해 고대 문명을 보존하고, 십자군 원정을 통해 성지 회복을 시도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 역할을 했으며, 아비뇽 유수와 서방 교회의 분열 등 내부 갈등을 겪기도 했다.

16세기에는 마르틴 루터종교 개혁으로 개신교가 등장하면서 서방 교회가 분열되었다. 이에 트리엔트 공의회를 통해 가톨릭 교리를 재확인하고 예수회를 중심으로 교회 쇄신 운동을 전개했다. 대항해 시대에는 스페인포르투갈의 식민지 확장에 따라 아메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에 가톨릭 신앙이 전파되었다.

18세기 계몽주의프랑스 혁명을 거치며 교회는 세속 권력과 갈등을 겪었고, 교황령을 상실하기도 했다. 20세기에는 반성직자주의 정부와 공산주의 정권의 박해를 받았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현대 사회에 적응하고 교회 일치 운동과 타 종교와의 대화를 추진하는 등 변화를 모색했다.

3. 1. 초대 교회와 로마 제국 시대

장레옹 제롬의 '''기독교 순교자들의 마지막 기도'''.


서기 30년경,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교회는 로마 제국의 여러 조건 덕분에 빠르게 전파될 수 있었다. 제국 전역의 도로망과 수로는 이동을 편리하게 했고, 팍스 로마나는 안전한 여행을 보장했다. 또한, 그리스 문화에 기반을 둔 로마 제국의 문화는 사상을 쉽게 표현하고 이해하도록 도왔다.[553]

그러나 기독교는 유대교와 함께 황제 숭배를 포함한 다른 신들을 우상숭배로 여겨 거부했다. 그리스도인들은 비기독교적 종교 의식에 참여하지 않아 공적 생활에서 배제되었고, 이는 제국 당국과 비그리스도인들의 반감을 샀다. 그들은 그리스도인들이 신들의 분노를 일으켜 제국의 평화와 번영을 위협한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재난이 발생하자 기독교 반대 세력은 이를 기독교 탓으로 돌리며 군중을 선동하기도 했다. 로마 황제들은 종교를 통해 제국을 강화하려 했고, 황제 숭배를 거부하는 그리스도인들은 국가의 적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로마 제국은 기독교를 박해했으며, 이는 4세기에 기독교가 합법화될 때까지 계속되었다.[554]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그리스도인들이 방화범으로 몰려 처형되었고, 이 시기에 베드로바오로도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와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년)에 참석한 교부들의 모습을 묘사한 이콘.


312년,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는 막센티우스와의 전투에서 그리스도인의 신에게 도움을 청했고, 하늘에서 빛나는 십자가와 '이것을 가지고 승리하라'는 문구를 보았다. 그는 그리스어를 사용하여 그리스도를 의미하는 키(Χ)와 로(Ρ)로된 군기를 만들어 승리했다. 이 승리로 콘스탄티누스는 로마 제국의 주인이 되었고 그리스도를 수호신으로 숭배하게 되었다.[555]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했고,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는 테살로니카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선포했다. 이로써 300년간의 박해를 이겨낸 기독교는 로마 제국의 국가교회가 되었다.

로마 제국의 기독교화는 복음 전파와 대중의 입교로 이어져 양적으로 성장했다. 초기 7대 세계 공의회 시기에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알렉산드리아 등 다섯 주교좌가 부각되었고, 6세기 중엽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에 의해 펜타르키아로 공식화되었다.[556][557]

로마는 기독교 공동체 박해의 중심지였고, 베드로와 바오로 두 사도의 순교지라는 특수성 때문에 초대 교회부터 일치의 기준이자 중심지였다. 로마는 다른 지역 교회의 문제에 가르침을 내렸는데, 클레멘스 1세가 코린토스 교회의 분쟁에 개입한 것이 그 예이다. 당시 지역 공동체 지도자들은 로마를 방문하여 로마 공동체와의 일치를 확인받았다.[558]

330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오늘날의 이스탄불)로 이전했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좌를 로마 주교좌에 이어 서열 2위로 격상하는 교령이 제정되어 논쟁이 벌어졌다.[559] 350년경부터 500년경까지 로마 주교(교황)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560]

3. 2.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로마 가톨릭교회는 고대 말엽부터 근대 초기까지 서구 문명에 큰 영향을 끼쳤다.[564] 로마네스크 양식, 고딕 양식, 매너리즘 양식, 바로크 양식 등 미술, 건축, 음악 분야의 주요 후원자였다.[565]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보티첼리, 프라 안젤리코, 티치아노, 베르니니, 카라바조르네상스 시대 대표적인 예술가들은 모두 교회로부터 후원을 받아 작품을 만들었다.[566]

미켈란젤로의 '''천지 창조'''. 르네상스 황금기의 대표작이다.


프랑스 샤르트르의 샤르트르 대성당. 1220년 완공되었다.


미켈란젤로가 그린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 15세기와 16세기 르네상스 시대는 가톨릭 미술의 황금기였다.


11세기 중반 교황 알렉산데르 2세(재위: 1061년~1073년) 때부터 추기경단이 생겨났다.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추기경단 체제에 대한 기본적인 지침을 세웠는데, 이는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다. 그레고리오 7세는 그레고리오 개혁이라 불리는 개혁을 단행하여 주교 서임 권한을 놓고 교황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사이에 서임권 투쟁이 일어났다.

1095년 이슬람 국가인 셀주크 튀르크의 침략에 시달리던 동로마 황제 알렉시오스 1세교황 우르바노 2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우르바노 2세는 십자군 원정을 호소하였다.[567] 1099년 제1차 십자군예루살렘을 탈환하고 예루살렘 왕국을 세웠으나 대부분 실패했다. 11세기 교회 대분열 시기에 교황 권위 허용 범위를 놓고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 간에 갈등이 빚어졌는데, 제4차 십자군콘스탄티노폴리스를 침공하여 라틴 제국을 세우면서 동서 교회 분열은 더욱 심화되어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

13세기 초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도미니코에 의해 탁발 수도회가 등장하였다. 탁발 수도회가 세운 학교들은 훗날 유럽의 유명한 대학들의 모태가 되는 교회 학교 및 왕립 학교들이 되었으며, 교회는 이들 학교를 통해 교육계를 후원하였다.[568] 토마스 아퀴나스를 비롯한 수많은 스콜라 신학자와 철학자들이 탁발 수도회 학교에서 공부하고 교수가 되어 학생들을 가르쳤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주장 원리를 기독교 교리와 종합한 지적 산물이었다.[569]

14세기 교회와 세속 국가 간 갈등이 커져가기 시작했다. 1309년 교황 클레멘스 5세아비뇽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후 6명의 교황이 아비뇽에서 지냈는데, 이 시기를 아비뇽 유수라고 부른다.[570] 아비뇽 유수는 1375년 교황이 로마로 돌아오면서 종식되었지만,[571] 1378년 서방 교회의 분열이 38년간 지속되었다.[571] 이 문제는 1417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마르티노 5세를 선출함으로써 매듭지어졌다.[572]

1438년 피렌체 공의회가 소집되었다.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사이에 주요 교리 논쟁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573] 최종적으로 동방 교회 측이 서방 교회 측 입장을 대부분 수용했으나,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오스만 제국에 함락되면서 효력을 잃었다. 이후 몇몇 동방 교회들이 로마 가톨릭교회에 귀일하였는데, 이들을 동방 가톨릭교회라고 부른다.

3. 3. 종교개혁과 근대

제수 성당에 전시된 피에르 르 그로의 '''증오와 이단을 타도하는 교회'''. 십자가와 벼락을 쥐고 있는 젊은 여인은 교회를, 늙은 여자는 증오를, 아래의 늙은 남자는 이단을 상징한다. 여인 옆에 있는 아기 천사가 찢는 책은 츠빙글리의 것이고, 늙은 남자 아래에 깔려 있는 책에는 마르틴 루터의 이름이 적혀 있다고 한다.


1517년 독일에서 마르틴 루터가 몇몇 주교들에게 95개조 반박문을 작성하여 보냈다.[574] 반박문에서 루터는 대사(면죄부)의 특전 등 당시 서방교회의 교리들을 공격하였다.[574][575] 스위스에서는 울리히 츠빙글리장 칼뱅 등이 등장하여 서방교회와 교황청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독자적인 신학 노선이 유럽 안에 퍼져갔는데, 이러한 운동을 종교 개혁이라고 부른다.[576] 잉글랜드 종교 개혁헨리 8세 치세에 정치적 분쟁으로 촉발되었다. 헨리 8세는 교황에게 당시 왕비였던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혼인을 무효화해달라고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수장령을 선포하여 자신이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임을 선언하였다.[577] 엘리자베스 1세는 중용(Via Media)적인 종교개혁을 하였는데 이는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사이의 갈등과 분쟁을 중재했다는 점에서 현명한 종교정책이다.

독일에서 발생한 종교 개혁은 개신교 슈말칼덴 동맹과 로마가톨릭 측 대표인 카를 5세 황제 사이에 전쟁을 불러왔다. 첫 번째 충돌은 9년 전쟁으로 1555년에 종전했지만, 긴장 상태는 계속 이어져 1618년에는 30년 전쟁이 발발하였다. 30년 전쟁은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가톨릭교회와 개신교 모두 동등한 권리를 갖는 데 합의함으로써 종식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권위는 크게 실추되었다.[578] 프랑스에서는 1562년부터 1598년까지 위그노 교도와 프랑스 가톨릭 동맹 간에 위그노 전쟁이 일어났다. 이 시기에 재임한 교황들은 가톨릭 동맹 편에 서서 재정적으로 지원하였다. 프랑스 내 가톨릭 동맹과 위그노 세력의 분쟁은 1598년 앙리 4세가 종교적 관용 정신에 따라 개신교도들을 국가 시민으로 인정하고 예배 자유를 인정하는 낭트 칙령을 반포하고 교황 클레멘스 8세가 이를 받아들임으로써 끝을 맺게 되었다.[579]

서방교회는 현재의 로마 가톨릭교와 개신교로 분열되면서 이 분열을 치유하려는 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됐는데, 이러한 교회 쇄신 운동을 19세기 초 역사가들은 가톨릭 종교 개혁 또는 대응 종교 개혁이라고 불렀다. 가톨릭 개혁은 개신교 종교 개혁 이후 일어난 반가톨릭 운동의 확산을 저지하고 교회의 가르침을 명확히 하려고 했다.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는 이러한 가톨릭 개혁을 이끌어낸 원동력이 되었다. 트리엔트 공의회는 교리적으로는 성변화와 구원을 받기 위해서는 믿음과 소망, 사랑이 필수 조건이라는 가르침과 같이 가톨릭교회의 핵심 교리들을 재차 확인하였다.[580] 로욜라의 이냐시오가 설립한 예수회는 영성 생활 지도와 유럽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 다른 나라의 전통을 존중하는 선교 활동, 자선 활동, 청소년 교육과 신학 연구 등을 통해 가톨릭 개혁과 신앙 복구의 원동력이 됨으로써 가톨릭 쇄신 운동의 중추가 되었다.

브라질 상 미겔 다스 미소에스에 있는 예수회 감축 유적


대항해 시대가 열리면서 서유럽의 정치적·문화적 영향력이 세계 전역으로 뻗어 나갔다. 스페인포르투갈 등 로마 가톨릭 국가들은 서구 식민지 정책에 있어 큰 역할을 하였다. 이들 나라들의 활발한 탐험과 정복 활동을 통해 식민지들의 사회적·정치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가톨릭 신앙이 아메리카와 아시아, 오세아니아로 널리 전파될 수 있었다. 교황 알렉산데르 6세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새로 발견된 땅을 식민지로 삼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으며,[581] 이들 나라에 국왕 교회 보호권을 부여하여 식민지의 새 성직자 임명권을 바티칸이 아니라 세속 국가 정부가 갖는 것을 허용하였다.[582] 1521년 포르투갈의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필리핀을 처음으로 가톨릭으로 개종시켰다.[583]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의 주도 아래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인도와 중국, 일본에 복음을 전하였다.[584]

17세기 중반부터 계몽주의가 서구 사회를 휩쓸면서 로마 가톨릭교회의 권위와 질서에 대한 의구심과 반발심이 생겨났으며,[585] 18세기에는 볼테르백과전서 편집자들이 교회를 비판하는 글들을 썼다. 그들이 비판한 것 중 하나는 1685년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가 100여년간에 걸친 개신교 위그노교도들에 대한 종교적 관용의 상징이었던 낭트 칙령을 철회하고, 퐁텐블로 칙령을 반포한 것이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면서 권력의 중추가 교회에서 혁명 정부로 이동하였으며, 프랑스 전역에서 수많은 성당이 파괴되고 이성 숭배가 들어섰다.[586] 1798년에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장군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교황 비오 6세를 사로잡아 감금하였다. 비오 6세는 프랑스군으로부터 풀려나지 못하고 선종하였다. 나폴레옹은 1801년 정교협약을 체결함으로써 프랑스에 로마 가톨릭교회가 재건되었다.[587] 나폴레옹 전쟁이 종식되면서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는 재부흥하였으며, 교황령도 회복되었다.[588]

3. 4. 20세기와 현대

20세기에는 정치적으로 근본주의적이고 반성직자주의적 성향의 정부들이 증가했다. 1926년 멕시코에서 정교 분리를 내세운 칼레스법이 통과되어, 3천 명 이상의 사제들이 추방당하거나 살해당했으며,[594] 성당들은 세속적인 용도로 사용되었고, 전례는 조롱의 대상이 되었으며, 수녀들은 강간당하고 수감당한 사제들은 총살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났다.[595] 결국 크리스테로 전쟁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595] 러시아에서는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수립된 소비에트 연방 정부의 주도로 1930년대까지 현지에 있는 가톨릭 교회가 박해당하였다.[596] 수많은 성직자와 수도자들, 평신도들이 처형이나 유배형에 처해졌으며, 교회 재산은 압류당했고, 모든 성당이 사실상 문을 닫게 되었다.[597] 1936년부터 1939년까지 전개된 스페인 내전 기간 동안 가톨릭 교회는 사회주의를 표방한 인민 전선 정부의 교회에 대한 적색 테러[598]에 대항하기 위해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파시스트들과 동맹을 맺었다.[599] 교황 비오 11세는 이들 세 나라를 ‘끔찍한 삼위일체’로 언급하면서 결국 몰락할 것이며,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이들에 대해 침묵을 지키며 방관하는 것은 사실상 묵인한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크게 질타하였다.

1933년 바티칸 시국나치 독일 간에 교회의 보호와 권리를 보장하는 제국종교협약이 체결된 이후,[600] 교황 비오 11세는 공개적으로 교회에 대한 나치스의 억압과 더불어 그들의 인종우월주의 사상과 신이교주의를 비판하는 회칙 《극도의 슬픔으로》(Mit brennender Sorge)를 1937년에 반포하였다.[601] 1939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 교회는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과 뒤이은 1940년의 계속된 침공들을 단죄하였다.[602] 그러자 나치 독일은 자신들이 점령한 지역 도처에서 수천만 명의 로마 가톨릭 사제들과 수도자들을 수감하고 살해하는 방식으로 맞대응하였다. 이때 순교한 성인들로는 막시밀리아노 콜베와 에디트 슈타인이 있다.[603] 홀로코스트가 벌어지는 동안 교황 비오 12세는 가톨릭 관련 기관들에게 나치스로부터 비밀리에 유대인들을 보호할 것을 지시하였다.[604]

전후 수립된 중앙유럽의 공산주의 정부들은 종교적 자유를 심하게 제한하였다.[605] 비록 일부 사제들이 굴복하여 공산주의 체제에 협력하기는 했지만,[606] 절대다수 사제들은 투옥되거나 추방당했으며 심지어는 처형당하기도 하였다. 이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가톨릭 교회는 동유럽 공산주의권의 붕괴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607] 1949년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원들은 모든 외국인 선교사를 추방하였다.[608] 그리고 새로 수립된 중국 공산 정부는 1957년 7월 중국천주교애국회를 만들어 성좌의 승인 없이 일방적으로 주교들을 직접 서품함으로써 로마와 결별을 고했다.[609] 1960년대 일어난 문화 대혁명은 모든 종교 시설의 폐쇄를 초래하였다. 이후 중국의 성당들은 중국천주교애국회의 통제 아래 놓이게 되면서 다시 문을 열게 되었다. 이때부터 중국 정부와 중국천주교애국회의 방침을 거부하고 베드로좌와 일치하려는 성직자들과 신자들은 박해를 피해 지하로 숨어들게 되었다.[610]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석한 추기경들의 모습.


트리엔트 공의회가 폐막한 지 4세기 만인 1963년에 소집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일대 변혁을 가져왔다. 교황 요한 23세의 요청으로 소집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미사를 라틴어 뿐만 아니라 각 나라의 언어로 봉헌하는 것을 허용하고, 평신도들도 적극적으로, 의식적으로 그리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현대화하였다.[611]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회와 현대 세계와의 대화(아조르나멘토)를 목표로 한 획기적인 공의회로서, 이를 두고 어떤 이들은 ‘창문이 활짝 열렸다’고 표현하였다.[61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는 전례의 개정 뿐만 아니라 다른 기독교 교파들과의 교회 일치 운동에 착수하였으며,[613] 다른 종교들, 특히 유대교와의 관계 개선에 나서게 되었다.[614]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쇄신을 시행하면서 커다란 논란을 불러 일으키기도 하였다. 한스 큉과 같은 진보주의자 내지는 해방 신학자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교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충분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였다.[615] 이와는 반대로 마르셀 르페브르 대주교와 같은 일부 전통주의자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강하게 비판하였으며, 특히 전례 개혁이 미사와 성사들의 거룩함을 파괴하도록 이끌었다고 성토하였다.[616]

1978년 당시 공산주의 국가였던 폴란드의 크라쿠프 대교구장이었던 카롤 보이티와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 선출되었다. 이로써 455년 만에 처음으로 비이탈리아인 교황이 선출되었다. 그의 재위기간은 27년으로 오래 재위한 교황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기록되었다.[617] 이 폴란드인 교황은 소비에트 연방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서기장과 더불어 유럽 공산주의의 붕괴를 재촉한 인물로 회자되고 있다.[618]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급속도로 세속화되어가는 세계를 복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한 일환으로 그는 현재 2년 내지는 3년마다 열리는 세계 청년 대회를 만들어, 교황이 전세계 가톨릭 젊은이들과 직접 만나 소통하도록 하였다.[619] 요한 바오로 2세는 또한 생전에 129개국을 방문함으로써 그 어떤 교황들보다 사목 방문을 많이 했으며,[620] 텔레비전과 라디오 등 현대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교회의 가르침을 널리 퍼트리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1992년 요한 바오로 2세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공표하는 등 신자들에게 분명하고 확실한 교의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문헌을 발표했다.

4. 교리

로마 가톨릭교회의 4대 교리는 천주존재(天主存在), 삼위일체(三位一體), 상선벌악(賞善罰惡), 강생구속(降生救贖)이다.[470][471]


  • 천주존재: 우주를 창조하고 다스리는 창조주, 즉 하느님(천주)이 존재함을 믿는다.
  •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三位)가 한 하느님이라는 뜻으로, 세 위격(位格)이 서로 구별됨과 동시에 하나의 신성(神性)을 이룬다는 교리로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확정되었다.
  • 상선벌악: 하느님은 선한 사람에게는 상을 주지만 악한 사람에게는 벌을 내린다고 믿는다.
  • 강생구속: 인간의 죄 때문에 하느님의 영광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으나,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사람이 됨(강생, 성육신)으로써 인간의 죄를 대신 보속하였으므로, 누구든지 그리스도를 믿고 세례를 받으면 구원을 얻는다는 교리이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미사 또는 성체성사라고 불리는 경신례를 행하며, 이 안에서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몸성변화하는 성체성사를 거행한다.[470][471] 4대 교리는 교회의 가장 기초적인 교리로서, 로마 가톨릭에 입교하여 세례를 받는 신자들은 반드시 교육받는다. 임종 등 위급상황에 임박한 사람에게 대세를 베풀 때에도 4대 교리는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472]

가톨릭 교리는 수 세기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초기 기독교인들의 가르침, 이단정통 신앙에 대한 공의회와 교황령의 정의, 학자들 간의 신학적 논쟁을 반영한다. 교회는 새로운 신학적 문제를 분별할 때 성령의 인도를 받으며, 교리적 오류에 빠지는 것을 무류하게 보호받는다고 믿는다.[223][224]

가톨릭은 계시가 하느님이라는 하나의 공통된 근원과 성경과 성전승이라는 두 가지 전달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225][226] 이것들은 교도권에 의해 해석된다고 가르친다.[227][228] 성경은 구약 46권과 신약 27권으로 구성된 73권의 가톨릭 성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전승은 사도 시대부터 교회가 전해 내려왔다고 믿는 가르침들로 구성되어 있다.[229] 성경과 성전승은 "신앙의 계약"(depositum fideila)으로 알려져 있으며, 교황과 로마 주교인 교황과 연합한 주교단에 의해 행사되는 교회의 가르침 권위인 교도권(magisterla)에 의해 해석된다.[230] 가톨릭 교리는 교황청에서 발행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요약되어 있다.[231][232]

1054년의 동서교회 분열 이전의 교회로, 니케아 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칼케돈 신경을 신앙하는 교회(아리우스파 등의 이단의 반의어)를 가리켜 가톨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톨릭”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카톨리케́(καθολική: 보편적인, 세계적인)”의 형용사 “카톨리코스(καθολικος)”에서 유래하며, 라틴어에서는 “카톨리쿠스(Catholicusla)”로 표기된다.[428]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따르면, 교회는 단순한 인간적인 조직이 아니라, 약 2000년 전 팔레스타인에서 탄생한 초대 교회의 전통을 계승하는 사람들의 모임일 뿐만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신으로부터 오는 것”이라고 한다.[429]

가톨릭교회는 그리스도가 제정한 일곱 가지 성사(Sacrament)를 인정한다. 이는 하느님의 은총을 실제로 가져다주는 감각적인 표징으로, 교회에 맡겨진 것이다.[447] 성사의 수와 성격은 여러 차례의 공의회에서 정의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정의되었다.[286]

로마 가톨릭교회는 각 개인의 영혼이 죽은 직후, 그들의 죄와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느님으로부터 특별 심판을 받는다고 가르친다.[255][256] 또한 그리스도께서 모든 인류를 향해 만인을 심판하는 날이 있으며, 이 최후의 심판은 인류 역사의 종말을 가져오고, 하느님께서 의로 통치하는 새롭고 더 나은 천국과 땅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라고 말한다.[257] 죽음 이후 내려지는 심판에 따라, 영혼은 사후 세계의 세 가지 상태 중 하나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어진다.

  • '''천국'''
  • '''연옥'''
  • '''최후의 심판(지옥)'''


가톨릭교회에서의 축복받은 동정 마리아는 매우 존경받으며, 하느님의 어머니, 원죄 없이 잉태되심, 그리고 중보자로 선포된다.


가톨릭 마리아론은 교리와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의 삶에 관한 가르침뿐만 아니라 신자들에 의한 마리아 공경에 대해 다룬다. 마리아는 특별한 존경을 받으며, 하느님의 어머니(Θεοτόκος|lit=하느님-낳으심|translit=Theotokosel)로 선포되었고, 평생 동안 동정녀로 남았다는 것이 교리로 믿어진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공경하는 특징이 두드러지는데, 신약성서의 가르침대로 성령(하느님)의 힘으로 그녀가 처녀의 몸으로 예수를 잉태하였다고 가르친다.

4. 1. 삼위일체

약 1210년경 필사본에 나오는 전통적인 삼위일체의 방패 신학 도표
가톨릭교회는 세상의 시작부터 영원히 존재하는 유일한 하느님이 세 위격(位格), 즉 “성부”, “성자”, “성령”으로서 상호 내주(Perichoresis)하는 삼위일체(三位一體)로 존재한다고 믿는다.[233]

가톨릭 신자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삼위일체의 “제2위격”, 즉 성자라고 믿는다. 성령의 능력으로, 하느님은 성육신이라고 알려진 사건을 통해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태중에서 그리스도의 잉태를 통해 인성과 하나가 되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인간의 영혼을 포함하여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된다. 그리스도의 지상 사명은 네 복음서에 기록된 대로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주고 그들이 따를 본보기를 제공하는 것이었다고 가르친다.[234] 예수는 지상에 계실 때 죄 없이 지내셨고, 인류를 하느님과 화해시키기 위한 자신을 희생 제물로 십자가에 못 박히는 고난을 당하도록 허락하셨다고 믿으며, 이 화해는 파스카 신비로 알려져 있다.[235] 그리스어 "그리스도"와 히브리어 "메시아"는 모두 "기름 부음을 받은 자"를 의미하며,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 구약의 메시아 예언을 성취한 것이라는 그리스도교적 믿음을 가리킨다.[236]

가톨릭교회는 교리적으로 “성령은 두 원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한 원리에서 나오는 성부와 성자에게서 영원히 나온다”고 가르친다.[237] 성부는 “원리 없는 원리”로서 성령의 첫 번째 근원이지만, 외아들의 아버지로서 성자와 함께 성령이 나오는 유일한 원리가 된다고 믿는다.[238] 이러한 믿음은 381년 니케아 신경의 라틴어 번역본에 추가되었지만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하는 그리스어 신경에는 포함되지 않은 Filioque|필리오케la 조항에 나타나 있다.[239]

4. 2. 사도 전승

가톨릭 교회는 적법하게 서품된 모든 주교들이 그리스도의 사도들로부터 이어지는 계승, 즉 사도 계승을 가지고 있다고 가르친다.[247] 특히 로마 주교(교황)는 사도 시몬 베드로의 계승자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교회에 대한 최고 권위를 얻는다.[248]

4. 3. 성사

가톨릭 교회는 그리스도가 제정한 일곱 가지 성사(Sacrament)를 인정한다. 이는 하느님의 은총을 실제로 가져다주는 감각적인 표징으로, 교회에 맡겨진 것이다.[447] 성사의 수와 성격은 여러 차례의 공의회에서 정의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정의되었다.[286]

프랑스 루르드의 성모동굴에서 거행되는 미사. 미사 중 포도주의 성체 변화 직후 신자들에게 성체가 보여지고 있다.


가톨릭교회의 모든 전례의 중심은 성체성사를 포함하는 미사(성찬예배 (동방 교회))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오직 유효하게 수품된 사제만이 미사를 집전하여 제병과 포도주를 그리스도의 몸성변화시킬 수 있다고 가르친다.[507] 가톨릭교회에서는 미사 중에 사제가 제병과 포도주를 축성하면 참으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 즉 성체와 성혈로 바뀐다고 가르친다. 즉 축성된 뒤에는 제병과 포도주 자체가 남아 있지 않고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하되 다만 제병과 포도주의 형상만 남아 있는 것이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성체성사 안에 그리스도가 참으로 실재적으로 그리고 실체적으로 존재한다고 가르친다.[508]

가톨릭 신자라 하더라도 죄중에 있는 사람은 사전에 고해성사를 보고 죄를 용서받은 후에야 비로소 성체를 영할 수 있다.[509] 일반적으로 가톨릭 신자들은 성체를 영하기 전 1시간 동안 공복재를 지켜야 한다. 공복재란 성체에 대한 존경과 영성체를 준비하는 마음에서 어떠한 음식이나 음료의 섭취를 삼가하는 것이다.[509] 하지만 물과 약은 언제든지 먹을 수 있으며, 노인이나 병약자, 병자를 간호하는 사람들은 공복재 규정을 지키지 않고서도 성체를 영할 수 있다.

가톨릭 신자가 아닌 사람들은 성체를 영할 수가 없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가톨릭 신자와 위급한 상황에 처해있는 동방 정교회 신자들에게만 영성체 참여를 허락하며, 성공회를 비롯한 개신교 신자와 타 종교 신자들에게는 영성체 참여를 허락하지 않는다. 아직 가톨릭에서 영세받지 않는 예비신자들도 성체를 영할 수 없다. 만약 성체를 영할 자격이 없는 상태에서 성체를 영하면 모령성체의 죄가 성립된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성체와 성혈은 단순한 밀빵이나 상징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 그 자체로 정의된다. 만약 성체를 독성의 목적으로 내던지거나 파손, 보관하는 자는 사도좌에 유보된 자동파문의 처벌을 받는다.

; 전실체변화설

미사 중의 '''성변화'''에 의해, 봉헌된 포도주의 전 실체(the whole substance)가, 빵과 포도주라는 Accident(외관)만을 남기고, 예수 그리스도의 영혼신성을 가진 성체·성혈로 “참으로(truly), 실제로(really), 실체적으로(substantially)” 변화(Transsubstantiation)한다는 설[439].

성체변화한 성체는, 미사 중에 영성체(성체영성체)하는 이외에도, 성체조배 등에서 그리스도의 임재를 보이는 것으로서 숭배의 대상으로 사용된다.

또한, 빵 또는 포도주 어느 한 형태(외관)만(단형색)의 성체영성체로 성체의 성사로서 유효하다고 한다. 많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성직자를 제외한 일반 신자는 빵만을 영성체한다. 사용하는 빵에 대해,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전용으로 만들어진 효모 없는 무발효빵(“호스티아”라고 불리는 것)의 사용을 의무로 한다.

참고로, 동방전례 가톨릭교회에서는, 동방 교회(정교회·동방 교회)의 전통을 계승하여, 프로스포라라고 불리는, 전용으로 만들어진 발효빵을 사용하고, 물로 묽힌 포도주에 적셔서, 그것을 숟가락으로 떠서 영성체한다.

4. 4. 사후 심판

로마 가톨릭교회는 각 개인의 영혼이 죽은 직후, 그들의 죄와 그리스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느님으로부터 특별 심판을 받는다고 가르친다.[255][256] 또한 그리스도께서 모든 인류를 향해 만인을 심판하는 날이 있으며, 이 최후의 심판은 인류 역사의 종말을 가져오고, 하느님께서 의로 통치하는 새롭고 더 나은 천국과 땅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라고 말한다.[257]

죽음 이후 내려지는 심판에 따라, 영혼은 사후 세계의 세 가지 상태 중 하나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어진다.

  • '''천국'''은 하느님의 신성한 본성과의 끝없는 연합 상태이다. 형이상학적으로가 아니라 은총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영혼이 끊임없는 지복 안에서 하느님을 묵상하는 영원한 삶이다.[258]
  • '''연옥'''은 천국으로 가기로 되어 있지만, 아직 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여 즉시 천국에 들어갈 수 없는 영혼들을 정화하기 위한 일시적인 상태이다.[259] 연옥에서 영혼은 고통을 받고 정화되고 완전해진다. 연옥에 있는 영혼들은 지상의 신자들의 기도와 성인들의 전구를 통해 천국에 이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260]
  • '''최후의 심판(지옥)''' : 죽기 전에 회개하지 않고 죄악된 상태로 사는 사람들은 하느님으로부터 영원히 분리되는 지옥에 처하게 된다.[261] 교회는 스스로 자유롭게 하느님을 거부하기로 결정하지 않고서는 아무도 지옥에 정죄되지 않는다고 가르친다.[262] 아무도 지옥으로 예정되지 않았으며, 누가 지옥에 정죄되었는지 절대적으로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263] 가톨릭교회는 하느님의 자비를 통해 사람은 죽기 전 언제든지 회개하고, 가톨릭 신앙의 진리를 깨닫고,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264] 일부 가톨릭 신학자들은 세례를 받지 않은 유아와 치명적인 죄는 없지만 원죄 상태에서 죽은 비그리스도인들의 영혼은 연옥에 배정된다고 추측해 왔지만, 이것은 교회의 공식적인 교리가 아니다.[265]


가톨릭교회는 자신만이 구원의 완전한 수단을 가지고 있다고 가르치지만,[250] 동시에 성령께서 자신과 분리된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사용하여 "가톨릭 일치를 향해 몰아넣고"[266] "가톨릭 교회를 향해 이끌어"[266] 사람들을 구원으로 이끌 수 있다고 인정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분리된 공동체에는 오류와 섞여 있기는 하지만 적절한 교리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톨릭교회를 통해 구원받는 모든 사람은 구원받지만, 소망의 세례로 알려진 일반적인 수단 외부에서도 구원받을 수 있으며, 피의 세례로 알려진 세례 전 순교를 통해서도 구원받을 수 있으며, 불가항력적 무지의 조건이 존재할 때에도 구원받을 수 있다. 다만 불가항력적 무지 자체가 구원의 수단은 아니다.

4. 5. 성모 마리아



가톨릭 마리아론은 교리와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의 삶에 관한 가르침뿐만 아니라 신자들에 의한 마리아 공경에 대해 다룬다. 마리아는 특별한 존경을 받으며, 하느님의 어머니(Θεοτόκος|lit=하느님-낳으심|translit=Theotokosel)로 선포되었고, 평생 동안 동정녀로 남았다는 것이 교리로 믿어진다. 추가 가르침에는 원죄 없이 잉태되심(원죄의 오점 없이 잉태됨)과 마리아 승천(그녀의 몸이 생애 말에 직접 천국으로 승천됨)의 교리가 포함된다. 이 두 교리는 각각 1854년 교황 비오 9세와 1950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무류 교리로 정의되었지만, 이것이 가톨릭 신앙임을 확인하기 위해 전 세계 가톨릭 주교들과 상의한 후에야 가능했다. 그러나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같은 날짜에 하느님의 어머니 수면이라는 이름으로 승천 축일을 계속 기념한다. 승천되기 전에 마리아가 죽었다는 가르침은 그녀가 죽지 않았다는 생각보다 훨씬 앞선다. 성 요한 담마스케노는 "칼케돈 공의회(451년)에서 예루살렘 주교 성 유베날은 하느님의 어머니의 시신을 소유하고자 했던 마르키아누스 황제와 풀케리아에게 마리아가 모든 사도들의 목전에서 죽었지만, 성 토마스의 요청에 따라 무덤을 열었을 때 빈 것을 발견했고, 이로써 사도들은 시신이 천국으로 올려졌다고 결론지었습니다."라고 썼다.[281]

마리아에 대한 공경은 가톨릭 신심의 일부이지만 하느님께 대한 예배와는 구별된다.[282] 실천에는 기도와 마리아 미술, 음악, 그리고 건축이 포함된다. 여러 마리아 축일이 교회 연도 동안 기념되며, 많은 호칭으로 예를 들어 천국의 왕후와 같이 존경받는다. 교황 바오로 6세는 그리스도를 낳았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신체의 각 구성원의 영적 어머니로 여겨지므로 마리아를 교회의 어머니라고 불렀다. 예수의 삶에서 그녀의 영향력 있는 역할 때문에, 아베 마리아, 묵주기도, 살베 레지나, 그리고 메모라레와 같은 기도와 공경은 일반적인 가톨릭 관행이다.[283] 루르드, 파티마, 과달루페[284] 등 교회에서 확인한 여러 마리아 발현 장소로의 순례도 인기 있는 가톨릭 신심이다.[285]

로마 가톨릭교회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공경하는 특징이 두드러지는데, 신약성서의 가르침대로 성령(하느님)의 힘으로 그녀가 처녀의 몸으로 예수를 잉태하였다고 가르친다. 대부분의 개신교에서 천주교가 마리아를 숭배한다고 하나, 천주교에서는 오해이며 성모 마리아에 대하여 숭배가 아닌 공경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천주교(가톨릭 교회) 역시 다른 교단들과 마찬가지로 유일신에 집중하여 숭배하는 단어는 하느님에게만 사용하며, 마리아는 '원죄 없으신 분'이라는 차원에서 공경한다. 그녀와 관련된 로마 가톨릭교회의 주요 교리는 다음과 같다.

성모 공경에 관련된 4가지 교리는 교황무류성에 의해 선포되어,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자라면 반드시 신앙으로 받아들이고 믿어야한다.

5. 조직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계제도는 1세기경 교회 성립 이래 피라미드식 성직자 제도를 고수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가 오직 하나의 교회만을 세웠으며,[459][460] 그 교회는 사도들의 으뜸인 성 베드로의 계승자인 교황을 단장으로 하고 그에 일치하는 주교들이 있는 집단, 즉 로마 가톨릭교회라고 가르치고 있다.[461][462]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는 교황이 신앙과 도덕에 관한 교리를 확정할 때 오류를 범할 수 없다는 무류성의 특권을 누린다고 가르친다.[463][464][465][466][467][468] 현재 무류권에 의해 확정된 교리는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 '성모의 무염시태'와 '승천' 뿐이다.

교황청의 상징인 엇갈린 열쇠는 시몬 베드로의 열쇠를 상징하며, 삼중관 교황관은 교황의 "왕들의 아버지", "세계의 통치자",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의 삼중 권능을 상징한다. 금십자가는 예수의 주권을 상징한다.


가톨릭교회는 감독 정치를 따르며, 성품성사를 받아 교회 내에서 공식적인 관할권을 부여받은 주교들이 이끈다.[166][167] 성직자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계급으로 나뉜다. 주교는 교구라 불리는 지역을 관할하며, 사제는 주교에게 서품을 받고 현지 교구나 수도회에서 일한다. 부제는 다양한 사목적 역할에서 주교와 사제를 돕는다. 가톨릭교회 전체를 이끄는 것은 로마 교황이며, 그의 관할권은 교황청이라고 한다.[168] 교구 구조와 병행하여 다양한 수도회가 자율적으로 기능하는데, 이들은 종종 교황에게만 종속되거나 때로는 현지 주교에게 종속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수도회는 남성 또는 여성 회원만 있지만, 일부는 남녀 회원을 모두 받는다. 평신도는 예배 중 많은 전례적 기능을 돕는다. 가톨릭교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다국적 기구로 여겨진다.[169][170][171]

로마 가톨릭교회의 지도는 성품성사를 받은 성직자들이 맡는다. 성직자 품계는 주교품, 사제품, 부제품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주교는 교구를 사목하며, 대주교는 교구 규모에 따라 정해진 교회 행정상의 직무를 나타낸다. 사제는 주교로부터 지역 본당을 부여받아 사목하고, 부제는 주교와 사제를 보조한다.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는 로마의 주교, 즉 교황이 지도한다. 여러 수도회 및 단체는 해당 지역 교구장 주교의 재치권을 받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치적으로 활동하며, 교황의 재치권만을 받는 곳도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중앙집권체제가 잘 되어 있어 전 세계 모든 성당을 교황청에서 일괄 통제 및 관리한다. 따라서 전 세계 모든 성당의 방침 및 미사 집전이 동일하며, 말씀의 전례에서 낭독되는 성경 구절도 같다.

본당신부는 일정 기간 간격으로 다른 성당으로 이동하며, 군종신부로 군에 입대하여 대위로 임관하기도 한다. 해당 신부의 연고지에는 보임하지 않는다. 한국 가톨릭에서는 교적 제도와 속지주의 본당제도를 운영하여, 세례성사를 받은 신자는 거주 관할지 구역 성당에 교적을 등록하고 신앙생활을 해야 한다.

로마 가톨릭의 보고체계는 매우 발달하여 본당신부가 알아낸 일이나 시골 성당에서 발생한 사건 등이 소속 교구장 주교에게 보고되며, 중대한 문제는 교황에게 보고된다.

가톨릭 역사의 처음 1000년 동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서구와 동방 기독교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가 발전했다. 1054년 대분열 이후 대부분의 동방 전통 교회들은 가톨릭 교회와 교류하지 않지만, 동방 전통의 23개 자치 특수 교회는 가톨릭 교통권에 참여하며, "sui iuris|자체 권한의la 교회"라고도 알려져 있다.

개별 국가, 지역, 주요 도시는 라틴 교회에서는 교구로,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대교구로 알려진 특수 교회의 서비스를 받으며, 각각 주교가 감독한다. 가톨릭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3,171개의 교구를 가지고 있다.[211] 특정 국가의 주교들은 국가 또는 지역 주교 회의의 회원이다.[212]

교구는 사제, 부제, 평신도 사목 직무자가 있는 본당으로 나뉜다.[213] 본당은 성사의 일상적인 거행과 평신도의 사목적 돌봄을 담당한다.[214] 전 세계적으로 221,700개의 본당이 있다.[7]

주교는 사도들의 후계자이며, 가르치고, 성화시키고, 통치하는 직무를 받았다고 여겨진다. 로마 교황은 주교 중 한 명이지만, 사도 베드로의 권능을 계승했다고 여겨져 주교단 내에서 특별한 지위를 인정받는다. 동방 교회에서는 총대주교나 카톨리코스가 명예상 최고위 성직자이자 자신에게 직속하는 교회의 수장이며, 대주교, 주교 등이 각국 교회의 수장이 된다.

주교의 본래 직무는 교구 책임자로서 교구 내 교회를 통치하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사제·부제의 협력을 얻어 사목을 수행한다.[443] 일반적인 주교(교구 주교) 외에, 대주교 등 직무가 많은 주교를 보좌하기 위해 “협력 주교”나 “보좌 주교”가 임명되는 경우가 있다.[444]

사제와 부제는 주교의 직무를 보좌한다. 사제는 교구에 속한 교구 사제(“재속 사제”)와 수도회에 속한 수도 사제가 있으며, 자유 사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바오로 6세 시대까지는 문지기, 독서사제, 축사사제, 시종사제라는 하급 성직(하급품급)과 부부제라는 성직위계가 존재했으나, 1972년 8월 15일에 발표된 자발 교령 「미니스테리아 쿠에담」에 의해 1973년에 폐지되어, 현대에는 성체 봉사자와 제단 봉사자의 두 가지 “봉사직”으로 개정되어 성직위계로 취급되지 않게 되었다.[445]

라틴 교회에서 가톨릭 남성은 성품 성사를 받음으로써 부제 또는 사제로 봉사할 수 있다. 남성과 여성은 영성체 특별봉사자, 독서자, 미사 서빙으로 봉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소년과 남성만이 미사 서빙을 허용받았지만, 1990년대 이후 소녀와 여성도 허용되었다.[215]

지역 주교들은 정기적으로 주교회의(synoδos)를 열어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주교회의에서는 전례 등에 관해 결의할 수 있지만, 특정 주교 처우 등에 관한 결의를 위해서는 자격 있는 주교 3분의 2 이상의 동의와 교황청 재가가 필요하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3년부터 세계주교대의원회의의 구성과 운영 방식을 개혁하여, 주교 외에 교황이 일반 신자 등 70명을 선출하고 절반을 여성으로 하며, 수녀 5명이 참가하여 모두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했다.[450]

현대에는 성직자 중심주의의 수정이 시도되고 있으며, 「하느님 백성의 교회론」에 따라 모든 신자가 그리스도의 사제 직무에 참여하여 교회의 선교, 전례, 사목 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신자의 사명은 「평신도 사도직」이라고 불린다.[451]

5. 1. 교황과 교황청

가톨릭교회의 계층 구조에서 가장 으뜸은 로마 교구주교이자 라틴 교회와 동방 가톨릭교회를 아우르는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인 교황이다.[481][482] 현재 교황은 2013년 3월 13일 2013년 교황 선거 공의회에서 선출된 프란치스코이다.[177] 교황은 직권으로 칭호를 보유한다. 교황이라는 말이 권위주의적인 뜻이 담긴 낱말이고, Servus in Servum(라틴어: 종들중에서 종)이라는 교종의 서번트 리더십(공동체의 지도자를 권위가 아닌 섬김이라고 보는 리더십)에 어긋난다고 보아 '''교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교황의 직위는 ‘교황직’(敎皇職)이라고 불린다. 교회에서는 그리스도가 성 베드로 사도에게 천국의 열쇠를 부여함으로써 교황직을 세웠다고 설명하고 있다.[481][178] 교회의 법률적·사목적 최고 권위의 주체로서 교황을 가리킬 때는 성좌(聖座, Sancta Sedes) 또는 (성 베드로 위에 세워진) 사도좌(使徒座, Sedes Apostolica)라고 부른다.[482][179]

교황청은 교황을 위하여 최측근에서 일하며 매일 가톨릭교회의 모든 업무를 관리 담당하는 중앙 기구이다. 마리아의 구원방주와 같이 교황과 교황청이 가는 노선과는 다른 방향으로 가는 성당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원이라 할 수 없으며 이단 및 사이비종교라고 봐야 한다. 교황은 또한 로마 시 안에 있는 작은 독립국가인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기도 하다.[483][180] 바티칸 시국과 성좌, 교황청은 서로 별개의 존재이다. 교황이 세계 각국의 대사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외교 사절들을 세계 각국에 파견할 때는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로서가 아니라 성좌의 수장으로서 하는 것이다.[484][181]

추기경은 교황청에서 교황을 최측근에서 보좌하는 고위 성직자로서, 주로 주요 도시를 주교좌로 두고 있는 주교들이나 저명한 신학자들 중에서 교황이 직접 서임한다. 80세 이상의 성직자로 교회에 큰 공헌을 한 성직자 역시 명예직으로 추기경에 임명하는 때도 있는데, 그런 추기경들 중에는 종종 중국이나 베트남 등 독재 정권이나 공산주의 정부에 의해서 장기간 걸쳐 투옥된 성직자도 포함되어 있다. 교황에게 여러 가지 사안에 대해 조언을 하거나 지원을 하기 위해 추기경들로 구성된 단체를 추기경단이라고 부른다.[485][182]

교황이 선종하거나 사임할 경우, 추기경단 가운데 80세 이하의 추기경들이 후임 교황을 선출하기 위한 비밀 선거인 콘클라베에 참석한다.[486] 교회법으로는 남자 가톨릭 신자라면 누구라도 교황으로 선출될 수 있지만, 1389년 이후로는 오직 추기경들 가운데 한 사람을 선출하고 있다.[487][185]

5. 2. 교회법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회법(CIC)은 교회의 조직과 운영, 신자들이 교회의 목적을 이루도록 돕기 위해 교회의 권위로 제정한 법이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영적이면서도 가시적인 형태로 존재하며,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이 함께 있기 때문에 교회법은 신약성경과 성전에 나오는 신법, 그리고 교회와 인간이 제정한 실정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법의 제정 및 공표는 교황만이 할 수 있다. 교황은 보편 교회의 최고 목자로서 교회에서 최고의 완전하고 직접적이며 보편적인 직권을 가지며 이를 언제나 자유로이 행사할 수 있다.[488]

교회법은 교회의 존재 목적을 이루기 위해 교회의 조직, 운영 및 신자 생활의 규율을 정한 모든 법을 가리키며, 여기에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문법과 불문법이 포함된다. 성문법으로는 성경성전에 계시된 하느님의 실정법(jus divinum positivum)과 교회가 제정한 법률이 있고, 불문법으로는 자연법(jus naturale)이 있다.[489] 현행 교회법(1983년 교회법)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1983년 1월 25일에 선포하여 1983년 대림 제1주일(11월 27일)에 발효되었는데, 전체 1725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7권으로 내용은 총칙, 하느님 백성, 교도권, 성화권, 교회 재산 문제, 교회 형법, 교회 재판법 순서로 되어 있다. 동방 가톨릭교회의 경우, 1990년 제정된 동방 교회법(CCEO)의 적용을 받는다.

가톨릭 교회법(jus canonicumla)[186]은 가톨릭 교회의 법적 원칙과 법 체계이며, 위계적 권위에 의해 제정되고 시행되어 교회의 외부 조직과 통치를 규제하고 가톨릭 신자들의 활동을 교회의 사명을 향하도록 질서 있게 지휘한다. 라틴 교회의 교회법은 최초의 근대 서구 법 체계였으며,[187] 서구에서 가장 오래 지속적으로 기능하는 법 체계이다.[188][189] 반면, 동방 가톨릭 교회법의 독특한 전통은 23개의 동방 가톨릭 특수 교회 ''sui iuris''를 관할한다.

불변하는 신의 법 또는 자연법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기반으로 하는 긍정적인 교회법은, 보편적 법의 경우 최고 입법자—즉, 입법, 행정, 사법 권한의 전부를 자신의 인격 속에 가지고 있는 교황—에 의한 공포에서 형식적 권위를 얻는다.[190] 반면, 특수 법은 최고 입법자보다 하급 입법자(일반 입법자 또는 위임 입법자)의 공포에서 형식적 권위를 얻는다. 교령의 실제적 내용은 단순히 교리적이거나 도덕적인 성격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조건을 포괄한다. 그것은 성숙한 법 체계의 모든 일반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다.[191] 법, 재판소, 변호사, 판사,[191] 라틴 교회를 위한 완전히 체계화된 법전뿐만 아니라 동방 가톨릭 교회를 위한 법전, 법 해석의 원칙,[192] 그리고 강제적인 처벌[193][194] 등이다.

교회법은 가톨릭 교회의 삶과 조직에 관한 것이며 민법과는 구별된다. 교회법은 미성년자의 후견과 같은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제정을 통해서만 민법에 효력을 부여한다.[195] 마찬가지로 민법도 교회법에 효력을 부여할 수 있지만, 교회 결혼과 관련된 것과 같이 구체적인 제정을 통해서만 가능하다.[196] 현재 라틴 교회에는 1983년 교회법전이 시행되고 있다.[197] 1990년의 별도 법전인 ''동방 교회 교회법전''(''CCEO'', 라틴어 약자)는 자치적인 동방 가톨릭 교회에 적용된다.[198]

5. 3. 자치 개별 교회

가톨릭 역사의 처음 1000년 동안, 서구와 동방 기독교 지역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가 발전했다. 대부분의 동방 전통 교회들은 1054년 대분열(그리고 그 이전의 네스토리우스 분열과 칼케돈 분열) 이후 가톨릭 교회와 더 이상 교류하지 않지만, 동방 전통의 23개 자치 특수 교회는 가톨릭 교통권에 참여하고 있으며, "''sui iuris'' 교회"(sui iuris|자체 권한의la)라고도 알려져 있다. 가장 크고 잘 알려진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이 넘는 신자를 보유한 유일한 서방 전통 교회인 로마 가톨릭교회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에 비해 신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23개의 자치 동방 가톨릭 교회는 2010년 기준으로 총 1730만 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199][200][201][202]

로마 가톨릭교회는 교황과 그가 직접 임명한 교구 주교에 의해 통치된다.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에 대해 직접적인 총대주교 역할을 수행하며, 로마 가톨릭교회는 서방 기독교의 원초적이자 여전히 주요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동방 가톨릭 교회는 동방 기독교의 전통과 영성을 따르며, 항상 가톨릭 교회와 온전한 교류를 유지해 온 교회이거나 동서 분열이나 이전의 분열 이후 수세기 동안 온전한 교류에 다시 참여하기로 선택한 교회이다. 이 교회들은 가톨릭 신자들의 공동체이며, 예배 형태는 교리의 차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역사적, 문화적 영향을 반영한다. 그러나 교황이 동방 가톨릭 교회를 인정한 것은 동방 정교회 및 다른 동방 교회와의 교회 일치 관계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역사적으로, 대다수인 로마 가톨릭교회가 실천하는 서방 기독교의 규범에 순응하라는 압력은 일부 동방 가톨릭 전통에 대한 일정 수준의 침해(전례 라틴화)로 이어졌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서인 ''동방 교회들''은 이전 개혁을 바탕으로 동방 가톨릭 신자들이 그들의 고유한 전례 관행을 유지할 권리를 재확인했다.[204]

''sui iuris'' 교회는 ''동방 교회 교규집''에서 교회 내 교리 문제에 대한 최고 권위자인 교황에 의해 인정되는 "계층제에 의해 연합된 그리스도인 신자들의 집단"으로 정의된다. 동방 가톨릭 교회는 교황과 온전한 교류를 유지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와는 별개의 통치 구조와 전례 전통을 가지고 있다.[200]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는 그 교회 주교들의 시노드가 선출하는 총대주교가 통치하며,[205] 다른 교회는 대주교가,[206] 또 다른 교회는 대주교가,[207] 그리고 또 다른 교회는 개별 교구로 조직되어 있다.[208] 각 교회는 교황의 권한에만 복종하는 내부 조직, 전례 의식, 전례력 및 영성의 다른 측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209] 로마 교황청에는 동방 교회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 부서인 동방 교회 성성이 있다.[210]

동방교회의 전통적인 독자적인 전례 양식과 각 지역의 전례 언어 등 여러 풍습을 유지하면서, 총대주교()를 수장으로 하여 일정한 자치권을 인정받되, 로마 교황의 교황권을 인정하고 로마 교황청의 휘하에 들어가, 교리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일한 교회인 '''동방 가톨릭 교회''' 여러 교회가 있다.

그중에는 정교회(소위 그리스 정교회)에서 분리·귀일한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나 비칼케돈파 정교회의 계보를 잇는 콥트 가톨릭 교회 등, 또한 레바논을 중심으로 신자를 보유하고 단의론 교회의 계보를 잇는 마론 가톨릭 교회(마론파)나, 네스토리우스파의 계보를 잇는 칼데아 가톨릭 교회 등, 다양한 동방교회를 모체로 한 교회가 있다.

5. 4. 교구와 본당, 수도회

개별 국가, 지역 및 주요 도시는 라틴 교회에서는 교구로,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대교구로 알려진 특수 교회의 서비스를 받으며, 각각 주교가 감독한다. 가톨릭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3,171개의 교구를 가지고 있다.[211] 특정 국가의 주교들은 국가 또는 지역 주교 회의의 회원이다.[212]

교구는 여러 개의 사제, 부제 또는 평신도 사목 직무자가 있는 본당으로 나뉜다.[213] 본당은 성사의 일상적인 거행과 평신도의 사목적 돌봄을 담당한다.[214] 전 세계적으로 221,700개의 본당이 있다.[7]

주교는 사도들의 후계자이며, 가르치고, 성화시키고, 통치하는 직무를 받았다고 여겨진다. 로마 교황 또한 주교 중 한 명이지만, 사도 베드로의 권능을 계승했다고 여겨지며, 주교단 내에서 특별한 지위를 인정받고 있다. 동방 교회에서는 “총대주교”나 “카톨리코스”라 불리는 자가 명예상 최고위 성직자이자 자신에게 직속하는 교회의 수장이며, 대주교, 주교 등이 각국의 교회의 수장이 되는 경우가 있다.

주교의 본래 직무는 교구 책임자로서 교구 내 교회를 통치하는 것이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사제·부제의 협력을 얻어 사목의 직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진다.[443] 일반적인 주교(교구 주교) 외에도, (대주교 등 직무가 많은) 주교를 보좌하기 위해 “협력 주교”나 “보좌 주교”가 임명되는 경우가 있다.[444]

사제부제는 주교의 직무를 보좌한다. 사제는 교구에 속한 교구 사제(이전에는 “재속 사제”라고도 불렸다)와 수도회에 속한 수도 사제가 있으며,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자유 사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교황 바오로 6세 시대까지는 문지기, 독서사제, 축사사제, 시종사제라는 하급 성직(하급품급)과 부부제라는 성직위계가 존재했으나, 1972년 8월 15일에 발표된 자발 교령 「미니스테리아 쿠에담」에 의해 1973년에 폐지되어, 현대에는 성체 봉사자와 제단 봉사자의 두 가지 “봉사직”으로 개정되어, 과거와 같은 성직위계로 취급되지 않게 되었다.[445]

라틴 교회에서 가톨릭 남성들은 성사적 성품 성사를 받음으로써 부제 또는 사제로 봉사할 수 있다. 남성과 여성은 영성체 특별봉사자, 독서자, 또는 미사 서빙으로 봉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소년과 남성만이 미사 서빙을 허용받았지만, 1990년대 이후로 소녀와 여성도 허용되었다.[215]

성직자뿐만 아니라 평신도 회원들도 봉헌 생활에 들어갈 수 있다. 은둔자 또는 봉헌된 처녀로서 개인적으로, 또는 봉헌 생활 수도회(수도회 또는 세속 수도회)에 가입하여 서원을 통해 순결, 가난, 순종의 세 가지 복음적 권고를 따르겠다는 열망을 확인할 수 있다.[216] 봉헌 생활 수도회의 예로는 베네딕토회, 카르멜 수녀회, 도미니코회, 프란치스코회, 자선의 수녀회, 그리스도의 레지오넬리오회, 자비의 수녀회가 있다.[216]

"수도회"는 "수도회"와 "수도회"를 아우르는 현대 용어이며, 과거에는 교회법에서 구분되었다.[217] "수도회"와 "수도회"라는 용어는 구어체로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218]

6. 전례

예수 그리스도의 봉헌을 기념하고 재현하는 장소이자 경신례의 중심인 제대.


《한국 가톨릭 전례사전》은 전례에 대해 ‘그리스도의 신비체이며 하느님 백성인 교회가 거행하는 공적 경배로서 행위로 드러내는 기도이며 그리스도와 그분 교회의 기도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 《하느님의 중개자》(Mediator Dei)에서 “전례는 우리 구세주께서 교회의 머리로서 아버지께 드리는 공적 경배인 동시에 신도들의 공동체가 공동체의 창설자께 바치는 공적 경배이며 그분을 통해 아버지께 바치는 공적 경배이다. 간단히 말해 전례는 머리와 지체가 하나 되어 그리스도의 신비체에 의해 봉헌되는 경배이다.”(20항)라고 설명하였다.

가장 많이 알려진 대표적인 전례 양식은 로마 전례일반 양식이지만, 동방 가톨릭교회들은 물론 라틴 교회 안에서도 다양한 전례 양식이 전해져오고 있다. 가톨릭교회를 구성하는 23개의 개별 교회(sui iuris)마다 여러 가지 전례 양식이 존재하는데, 이는 신앙의 차이라기보다는 역사적·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동방 교회 교회법에서는 “전례 예식은 전례적·신학적·정신적·규율적 유산으로서, 다양한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여 각 개별 교회마다 저마다의 방식에 따라 고유의 형태로 나타난다.”[506]고 정의하고 있지만, 주로 전례적 유산에 한정되어 있다.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는 그리스도가 성사를 제정하고 이를 집전한 권한을 교회에 맡겼다고 정의하였다. 성사의 종류는 총 일곱 가지로, 세례성사와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또는 종부성사), 성품성사, 혼인성사이다. 성사는 하느님의 현존과 은총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그리스도가 교회에 맡긴 은총의 효과적인 표징들로서, 성사를 받는 사람 역시 올바른 자세와 지향, 마음가짐과 열정에 따라 은총을 더욱 풍성하게 받을 수가 있기 때문에 진실한 믿음과 성실한 참여가 요구된다. 아울러 성사는 그리스도가 제정하고 실질적으로 주관하기 때문에, 교회가 정한 합당한 예절과 자격이 있는 도구적 집전자(사제)가 집전한다면 성사의 효력이 생긴다. 즉 집전자의 개인적인 성덕과 관계없이 성사행위 자체(예절)를 올바르게 집전했다면 성사의 은총이 자동적으로 베풀어진다. 그래서 성사는 인효적(ex opere operantis)이 아니라 사효적(ex opere operato)이라 한다.[533]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칠성사를 크게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 ‘치유의 성사’, ‘친교에 봉사하는 성사’로 구분하였다.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는 완전한 신자가 되는 과정의 절차이고, 나머지 성사들은 특수한 경우에 특별한 목적으로 받는 성사들이다. 그리고 칠성사 중 세례성사, 견진성사, 혼인성사, 성품성사는 일생 동안 한 번만 받을 수 있고, 다른 세 가지 성사는 필요할 때마다 계속해서 받을 수가 있다.

성인(聖人, historically known as a hallow)은 탁월한 정도의 거룩함이나 하느님과의 유사성 또는 친밀함을 지닌 것으로 인정받는 사람이며, 시성(Canonization)은 사망한 사람이 성인임을 그리스도교 교회가 선언하는 행위로, 이 선언에 따라 그 사람은 인정된 성인들의 명단인 "성인 목록(canon)"에 포함된다. 최초로 성인으로 공경받은 사람들은 순교자들이었다. 그들의 죽음에 대한 경건한 전설은 그리스도에 대한 그들의 신앙의 진실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4세기에는 죽음으로가 아닌 고난을 통해 신앙을 고백한 사람들인 "신앙의 고백자(Confessors)"가 공개적으로 공경받기 시작했다.

가톨릭교회, 즉 라틴 전례와 동방 가톨릭 교회 모두에서 시성은 사도좌(Apostolic See)에만 예약되어 있으며, 시성 후보자가 모범적이고 거룩한 방식으로 살고 죽어 성인으로 인정받을 만한 가치가 있음을 광범위하게 증명하는 긴 과정이 끝날 때 발생한다. 교회의 성덕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은 그 사람이 이제 천국에 있고, 미사를 비롯한 교회 전례에서 공개적으로 청원하고 공식적으로 언급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성인들의 기도에 포함된다. 시성은 로마 전례의 전례에서 성인에 대한 보편적인 공경을 허용한다. 단순히 지역적으로 공경할 수 있는 허가를 받으려면 시복만으로 충분하다.

신심 행위는 가톨릭교회의 공식 전례의 일부가 아니지만 가톨릭 신자들의 일반적인 영적 실천의 일부인 "경건의 외적 실행"이다. 여기에는 특히 성모 마리아 공경을 포함한 성인 공경과 관련된 다양한 실천이 포함된다. 다른 신심 행위에는 십자가의 길, 예수의 성심, 예수의 성면, 다양한 스카풀라, 여러 성인에게 드리는 9일 기도, 순례, 그리고 성체 공경, 그리고 ''산토스''와 같은 성상 공경이 포함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주교들은 가톨릭 신자들에게 "신심 행위는 전례 시기에 맞추고, 거룩한 전례와 조화를 이루며, 어떤 식으로든 전례에서 파생되고, 사람들을 전례로 이끌도록 구성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전례는 본질적으로 그 어떤 신심 행위보다 훨씬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6. 1. 서방 전례 양식

로마 가톨릭교회 신앙생활의 중심에는 성체성사인 '''미사'''가 있다. 미사 중에 신자는 성체 성사를 받는다(영성체). 주일(일요일)과 지켜야 할 축일에 미사에 참여하는 것은 신자로서의 의무로 여겨진다.

미사 이외의 중요한 전례 행위로는 "성무일과"가 있으며, 수도원 등에서는 반드시 행해진다. 이것은 원래 "시간의 기도"라는 의미로, 하루의 각 시간에 기도를 바침으로써 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과 중 특히 중요한 것은 라우즈와 베스퍼(베스퍼레)라고 불리는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이다. 이것들 외에도 몇 가지 기도가 하루 중에 행해진다(과거에는 9시 기도, 6시 기도, 3시 기도라고 불렸다). 그 외에 독서 기도가 있으며, 거기에서는 기도와 함께 성경 봉독과 성인전이나 고전적인 저서가 읽힌다. 성무일과의 중심은 구약성서의 시편이다.

현대 가톨릭교회의 미사에서는, 주일과 교회 축일에는 복음서 봉독과 복음 이외의 성경 봉독 두 개(주로 구약성서와 사도서)를 합쳐 세 개가 봉독된다. 그 외 평일 미사에서는 복음서 봉독과 복음 이외의 성경 구절 두 개가 봉독된다.

6. 2. 동방 전례 양식

가톨릭 역사의 처음 1000년 동안, 서구와 동방 기독교 지역인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독교가 발전했다. 대부분의 동방 전통 교회들은 1054년 대분열(그리고 그 이전의 네스토리우스 분열과 칼케돈 분열) 이후 가톨릭 교회와 더 이상 교류하지 않지만, 동방 전통의 23개 자치 특수 교회는 가톨릭 교회와의 완전한 교류에 참여하고 있으며, "sui iuris 교회"(자체 권한의la)라고도 알려져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에 비해 신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23개의 자치 동방 가톨릭 교회는 2010년 기준으로 총 1730만 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199][200][201][202]

동방 가톨릭 교회는 동방 기독교의 전통과 영성을 따르며, 항상 가톨릭 교회와 온전한 교류를 유지해 온 교회이거나 동서 분열이나 이전의 분열 이후 수세기 동안 온전한 교류에 다시 참여하기로 선택한 교회이다. 이 교회들은 가톨릭 신자들의 공동체이며, 예배 형태는 교리의 차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역사적, 문화적 영향을 반영한다. 그러나 교황이 동방 가톨릭 교회를 인정한 것은 동방 정교회 및 다른 동방 교회와의 교회 일치 관계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역사적으로, 대다수인 로마 가톨릭교회가 실천하는 서방 기독교의 규범에 순응하라는 압력은 일부 동방 가톨릭 전통에 대한 일정 수준의 침해(전례 라틴화)로 이어졌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서인 동방 교회들은 이전 개혁을 바탕으로 동방 가톨릭 신자들이 그들의 고유한 전례 관행을 유지할 권리를 재확인했다.[204]

''sui iuris'' 교회는 동방 교회 교규집에서 교회 내 교리 문제에 대한 최고 권위자인 교황에 의해 인정되는 "계층제에 의해 연합된 그리스도인 신자들의 집단"으로 정의된다. 동방 가톨릭 교회는 교황과 온전한 교류를 유지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와는 별개의 통치 구조와 전례 전통을 가지고 있다.[200]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는 그 교회 주교들의 시노드가 선출하는 총대주교가 통치하며,[205] 다른 교회는 대주교가,[206] 또 다른 교회는 수석 대주교가,[207] 그리고 또 다른 교회는 개별 교구로 조직되어 있다.[208] 각 교회는 교황의 권한에만 복종하는 내부 조직, 전례 의식, 전례력 및 영성의 다른 측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209] 로마 교황청에는 동방 교회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 부서인 동방 교회 성성이 있다.[210] 교황은 일반적으로 동방 가톨릭 교회의 주교나 성직자를 임명하지 않고 그들의 내부 통치 구조에 맡기지만,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개입할 수 있다.

7. 타 기독교 교파와의 관계

1054년 교회 대분열로 정교회와 나뉘었고, 16세기 종교개혁으로 개신교와 분리되어 별도의 교파를 이뤘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열리기 전인 1960년대 이전까지 이 두 교파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고 '''열교 이단''', '''이교'''라는 명칭을 쓰며 단죄해 왔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포용적인 자세로 신학적 성향을 전환하였다. 1965년 동방 정교회가 로마 교회에 대한 파문을 철회하자 이에 응답하여 로마 가톨릭 역시 정교회에 대한 파문을 철회하였으며, 개신교를 '''갈라진 형제들'''이라는 명칭으로 순화하였다.

동방 정교회와는 7성사의 신학적 의미를 완전히 교류하고 서로의 교회를 사도전승이 이어지고 있는 정통성을 가진 교회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황의 으뜸성과 펠리오퀘, 마리아론원죄 등 일부 교리에서 신학적인 차이를 보인다.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은 총대주교 중 으뜸이자 가장 막강한 권한을 가진, 그리스도의 대리자 그 자체로 여기지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로마의 주교인 교황의 으뜸성은 인정하지만 그러한 위치가 다른 총대주교보다 더 막강한 권한을 가진다는 개념을 인정하지 않았다. 펠리오퀘 논쟁은 9세기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서방교회가 수정하면서 시작된 논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는 하느님의 제3위인 성령성부성자로부터 발현된다고 믿지만, 동방 정교회는 오직 성부로부터만 발현된다고 믿는다. 마리아론 역시 로마 가톨릭교회는 1950년대까지 교황무류성을 통해 테오토코스, 평생동정, 무염수태, 성모승천 4가지 교리를 신앙으로 믿지만 동방 정교회는 테오토코스와 평생동정만 인정하고 무염수태는 '''무염시태'''라는 개념으로 다른 견해를 보이며, 성모승천이 아닌 '''성모 안식'''을 믿고 있다. 원죄 역시 서방교회의 신학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동방 정교회는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연옥에 대한 개념 역시 동방 정교회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모두 분열 이전부터 천국도 지옥도 아닌 '중간 상태'에 대한 믿음은 존재했으나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를 12세기 경 연옥이라는 공식적인 장소적 개념으로 채택해버린 것이다. 1965년 상호 파문 철회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는 성사 교류를 이뤄, 각 교회의 신자가 서로의 교회에서 7성사를 받을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개신교와 가톨릭교회의 교리 차이는 동방 정교회보다 더욱 많다. 개신교는 만인사제주의를 채택해,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의 사도전승과 주교-사제-부제로 내려가는 성직 제도를 폐지하고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개신교는 오직 성경만이 신앙의 권위라는 입장이나, 로마 가톨릭교회는 성경과 더불어 사도로부터 이어지는 교회의 전통인 '''성전(聖傳)''' 역시 신앙의 권위로 중시하고 있다. 따라서 개신교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무류성, 마리아론, 성인공경, 세례와 성찬을 제외한 성사, 성체성사에서의 화체설, 묵주와 십자고상 등 성상의 사용, 연옥 교리, 대사, 전구 교리 등을 성경에 나와있지 않다는 이유로 일절 인정하지 않았으며, 종교 개혁 과정에서 전부 폐지시켰다. 개신교 교파인 성공회의 경우 가톨릭의 성직자 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교회파에 가까울수록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전 전통을 일부 수용하며 신앙으로 받아들이기도 하나, 이는 성공회의 공식적인 교리가 아니다.[454]

참조

[1] 서적 Notes of the Episcopal Polity of the Holy Catholic Church Levey, Rossen and Franklin
[2] 웹사이트 Roman Catholic Church http://www.bbc.co.uk[...] BBC 2017-02-01
[3] 웹사이트 Status of Global Christianity, 2024, in the Context of 1900–2050 https://www.gordonco[...] Center for the Study of Global Christianity,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2024-05-23
[4] 웹사이트 The Pontifical Yearbook 2024 and the Annuarium Statisticum Ecclesiae 2022 https://www.osservat[...] 2024-04-29
[5] 웹사이트 New Church statistics reveal more Catholics, fewer vocations https://www.vaticann[...] 2024-07-02
[6] 서적 Earthly Mission – The Catholic Church and World Development TJ International Ltd
[7] 학술지 Laudato Si http://www.onlinedig[...] 2016-12-19
[8] 백과사전 Roman Catholicism https://www.britanni[...] 2021-06-17
[9] 서적 The New Shape of World Christianity IVP Academic
[10]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Religion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12-08
[11] 서적 India : History, Religion, Vision And Contribution To The World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022-12-08
[12] 서적 (Unspecified)
[13] 웹사이트 Statistics by Country, by Catholic Population [Catholic-Hierarchy] https://www.catholic[...] David M. Cheney 2023-03-04
[14] 웹사이트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2020-10-11
[15] 웹사이트 Vatican congregation reaffirms truth, oneness of Catholic Church http://webarchive.lo[...] Catholic News Service 2012-03-17
[16] 성경 Holy Bible: Matthew
[17]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8]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9] 학술지 Christianity among the Religions in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20]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1] 학술지 Deus Vult: The Geopolitics of Catholic Church 2010-02-12
[22] 서적 Law: A Very Short Introduction,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Catholicity and the Church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4] 서적 Tyndale Bible Dictionary Tyndale House Publishers
[25] 서적 Christianity
[26] 백과사전 Catholic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2-08-17
[27] 웹사이트 Cyril of Jerusalem, Lecture XVIII, 26 http://www.tertullia[...] Tertullian.org 2012-08-17
[28] 웹사이트 Edictum de fide catholica http://webu2.upmf-gr[...] 2017-10-09
[29]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y https://www.britanni[...]
[30] 웹사이트 catholic, adj. and n. 2014-08-07
[31] 서적 The Church http://browseinside.[...] Harper Collins
[32] 웹사이트 Roman Catholic, n. and adj. https://www.oed.com/[...] 2017-10-24
[33] 웹사이트 Eastern Catholics: Where are they? Where should they be? https://catholicnews[...] Diocese of Charlotte 2022-03-19
[34] 웹사이트 (Multiple Encyclicals and Declarations) (Multiple URLs) (Multiple dates)
[35] 웹사이트 The Baltimore Catechism http://www.cin.org/u[...]
[36] 웹사이트 Documents of the II Vatican Council https://www.vatican.[...] Vatican.va. 2009-05-04
[37] 웹사이트 Decrees of the First Vatican Council – Papal Encyclicals http://www.papalency[...] 1868-06-29
[38] 웹사이트 The Bull of Indiction of the Sacred Oecumenical and General Council of Trent under the Sovereign Pontiff, Paul III. https://history.hano[...] History. Hanover.edu 2018-09-12
[3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Roman Catholic http://www.newadvent[...]
[40] 웹사이트 Kenneth D. Whitehead http://www.ewtn.com/[...]
[41] 서적
[42] 서적
[43] 교리서
[44] 백과사전 Holy Ghost
[45] 교리서
[46] 성경
[47] 웹사이트 Saint Peter the Apostle: Incidents important in interpretations of Peter https://www.britanni[...]
[48] 교리서
[49] 백과사전 The Pope
[50] 웹사이트 Was Peter in Rome? http://www.catholic.[...] Catholic Answers 2004-08-10
[51] 서적 Peter: Disciple, Apostle, Martyr Westminster Press
[52] 서적 The Early Church Penguin Books
[53] 서적 101 Questions and Answers on the Bible Paulist Press
[54] 서적 Christianity
[55] 서적 Conciliar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Encountering the Myste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57] 웹사이트 Canon 28 and Eastern Papalism: Cause or Effect? http://www.aoiusa.or[...] 2009-09-11
[58] 서적
[59] 백과사전 Rome (early Christian)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A Source Book for Ancient Church History: From the Apostolic Age to the Close of the Conciliar Period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61] 서적
[62] 서적 Behind Locked Doors: A History of the Papal Elections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63] 서적 Saints & Sinners: A History of the Popes Yale University Press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The Lombard Law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9] 서적 How The Irish Saved Civilization: The Untold Story of Ireland's Heroic Role from the Fall of Rome to the Rise of Medieval Europe Penguin Random House
[70] 서적
[71] 서적 Duffy
[72] 웹사이트 Review of ''How the Catholic Church Built Western Civilisation'' http://www.nrbookser[...] 2006-09-16
[73] 서적 Managing the University Campus: Information to Support Real Estate Decisions Academische Uitgeverij Eburon
[74]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 Education Rowman & Littlefield
[75]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Routledge
[76] 서적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77]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1100–1914
[78] 웹사이트 Culture, enseignement et société en Occident aux XIIe et XIIIe siècles https://openlibrary.[...]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in Rennes 1999
[79] 서적 The Universities and Scholastic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80] 서적 Foreword. The University as a European Instit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81] 서적 Medieval Cities: Their Origins and the Revival of Trad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82]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8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84] 서적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Ages
[85] 서적 Saints and Sinners
[86] 서적 Riley-Smith
[87] 서적 The Fourth Crusade and the Sack of Constantinopl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88] 서적 Woods
[89] 서적 Saints and Sinners
[90] 서적 Morris
[91] 서적 McManners
[92] 서적 Constantinople and the West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93] 웹사이트 Historical Dictionary of Catholic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94] 서적 Koschorke
[95] 서적
[96] 서적 Koschorke
[97] 서적 Koschorke
[98] 서적
[99] 서적 Vidmar
[100] 학술지 Crypto-Protestants and Pseudo-Catholics in the Nineteenth-Century Hispanic Caribbean
[101] 서적 Saints and Sinners
[102] 서적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Ages
[103] 서적 Bible Truth or Church Tradition
[104] 서적 Pollard
[105] 백과사전 The Sixteen Blessed Teresian Martyrs of Compiègne
[106] 서적 Collins
[107] 서적 Duffy
[108] 웹사이트 John Paul II, General Audience https://www.vatican.[...] Vatican.va 1993-03-24
[109] 서적 Creeds of the Churches
[110] 서적 Saints and Sinners
[1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112] 서적 Prisoner of the Vatican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113] 서적 Anti-Italianism: Essays on a Prejudice Palgrave Macmillan
[114] 서적 The Church in Africa, 1450–1950 Clarendon Press, Oxford
[115]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Viking
[116] 뉴스 Pope Stared Down Communism in Homeland – and Won http://www.cbc.ca/ne[...] CBC News 2005-04-00
[117] 서적 Lives of the Popes Universal International
[118] 서적 Lives of the Popes Universal International
[119] 서적 Lives of the Popes Universal International
[120] 서적 Cook
[121] 웹사이트 Hitler's Pope? https://spectator.or[...] The American Spectator 2006-08-18
[122] 서적 The Righteous: The Unsung Heroes of the Holocaust Henry Holt and Company
[123] 서적 The Jesuits and the Third Reich https://books.google[...] E. Mellen Press
[124] 서적 Hitler a Biography W.W. Norton & Company, London
[125] 서적 Dachau, 1933–1945: the official history Norfolk Press
[126] 웹사이트 Non-Jewish Victims of Persecution in Germany http://www1.yadvashe[...] Yad Vashem
[127] 서적 Kirchlicher Widerstand gegen den Nationalsozialismus Themen der Zeitgeschichte und der Gegenwart, Vienna
[128] 서적 Priest, Politician, Collaborator: Jozef Tiso and the Making of Fascist Slovakia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129] 서적 The Holocaust: The Jewish Tragedy Collins, London
[130] 서적 Hitler's Empire – Nazi Rule in Occupied Europe Penguin
[131] 뉴스 Pius XII: Wie Adolf Hitler den Papst entführen lassen wollte https://www.spiegel.[...] 2016-07-07
[132] 뉴스 Hitler plante Entführung Pius' XII. – "Streng geheime" Berichte faschistischer Parteigrößen entdeckt https://www.wienerze[...] 1998-09-09
[133] 서적 Deák
[134] 뉴스 New Accusations Of a Vatican Role In Anti-Semitism; Battle Lines Were Drawn After Beatification of Pope Pius IX https://www.nytimes.[...] 2001-09-01
[135] 서적 Phayer
[136] 웹사이트 The ratlines: What did the Vatican know about Nazi escape routes? https://www.dw.com/e[...] 2020-03-01
[137] 뉴스 Rattenlinien: Fluchthilfe für Nazis – vom Vatikan und US-Agenten https://www.welt.de/[...] 2014-02-15
[138] 웹사이트 NS-Fluchthelfer: Der "braune Bischof" und die Rattenlinie https://www.derstand[...]
[139] 뉴스 Judgment day: Vatican ready to open its Holocaust files to the world https://www.thetimes[...]
[140] 서적 The Second Vatican Council Celebrating Its Achievements and the Future
[141] 웹사이트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Sacrosanctum Concilium https://www.vatican.[...] Vatican.va 1963-12-04
[142] 서적 Duffy, pp. 270–76
[143] 서적 Duffy, Saints and Sinners 1997
[144] 웹사이트 Nostra aetate: Declaration on the Relation of the Church to Non-Christian Religions https://www.vatican.[...] 1965-10-28
[145] 서적 Bauckham, p. 373
[146] 학술지 Holier Than Thou: How Rejection of Vatican II Led Lefebvre into Schism http://www.catholic.[...] Catholic Answers 2003-04-03
[147] 서적 World Population Policies: Their Origin, Evolution, and Impact https://books.google[...] Springer
[148] 서적 Papal Paralysis: How the Vatican Dealt with the AIDS Crisis https://books.google[...] Lexington
[149] 문서 While ruling contraception to be prohibited, Pope Paul VI did, however, consider natural family planning methods to be morally permissible if used with just cause.
[150] 웹사이트 Germain Grisez on "Humanae Vitae", Then and Now: The Dust Still Hasn't Settled, But There Are Signs of Hope http://www.zenit.org[...] Zenit: The World Seen from Rome 2003-07-14
[151] 웹사이트 2 April – This Day in History http://www.history.c[...] History.co.uk
[152] 뉴스 Obituary: Pope John Paul II https://www.theguard[...] 2005-04-02
[153] 서적 Chronicle of the Popes: Trying to Come Full Circle Thames & Hudson
[154] 웹사이트 Laborem exercens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81-05-15
[155] 웹사이트 Evangelium Vitae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95-03-25
[156] 웹사이트 Benedict's encyclical offers hope for world http://www.deseretne[...] 2006-02-18
[157] 뉴스 Pope set to bring back Latin Mass that divided the Church https://web.archive.[...] 2006-10-11
[158] 뉴스 Pope's resignation was not forced by health issues, spokesman says http://www.cnn.com/2[...] 2013-02-13
[159] 웹사이트 Pope Francis, the Revolutionary, Takes On the Traditionalists https://www.theatlan[...] 2019-10-27
[160]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Pope Francis https://www.vox.com/[...] 2018-07-13
[161] 웹사이트 Pope Francis reaches out to Jews http://www.huffingto[...] 2013-03-16
[162] 웹사이트 The extraordin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His Holiness' presence at Pope Francis' installation as Bishop of Rome http://www.archons.o[...] 2013-03-19
[163] 뉴스 Our Eastern Brothers http://www.kofc.org/[...] 2013-05-01
[164] 뉴스 Unity call as Pope Francis holds historic talks with Russian Orthodox Patriarch https://www.bbc.co.u[...] BBC 2016-02-12
[165] 뉴스 Catholics and Copts Recognise Shared Baptism https://www.thetrump[...] 2017-05-03
[166] 카테키즘 CCC 2.1
[167] 백과사전 Hierarchy
[168] 웹사이트 Christ's Faithful – Hierarchy, Laity, Consecrated Life: The episcopal college and its head, the Pope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69] 웹사이트 Globalization of the Catholic Church: Implications for managing a large multinational organiz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https://digitalcommo[...] 2017-04-01
[170] 뉴스 Pope, CEO https://www.economis[...]
[171] 뉴스 The New Pope Runs One of America's Largest Businesses https://slate.com/bu[...] 2013-03-13
[172] 웹사이트 Lesson 11: On the Church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173] 웹사이트 The Catholic Church is the Mystical Body of Christ https://www.ewtn.com[...] Global Catholic Network
[174] 웹사이트 Christ's Headship https://www.catholic[...]
[175] 웹사이트 The Pope https://www.newadven[...]
[176] 웹사이트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2020-03-15
[177] 웹사이트 Habemus Papam! Cardinal Bergoglio Elected Pope Francis https://web.archive.[...] News.va 2013-03-14
[178] 서적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Volume 4: Reformation of Church and Dogma (1300–17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9] 서적 Primary Source Readings in Catholic Church History https://books.google[...] Saint Mary's Press 2021-03-31
[180] 웹사이트 Vatican City State – State and Government http://www.vaticanst[...] Vaticanstate.va 2010-08-11
[181] 웹사이트 Country Profile: Vatican City State/Holy See Travel and Living Abroad http://www.fco.gov.u[...] 2012-02-27
[182] 서적 McDonough (1995), p. 227
[183] 서적 Duffy (1997), p. 415
[184] 서적 Duffy (1997), p. 416
[185] 서적 Duffy (1997), pp. 417–18
[186] 서적 "Jus canonicum" Black's Law Dictionary
[187] 서적 Law and Revolution: The Formation of the Western Legal Tra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88] 웹사이트 CanonLaw.info Home Page http://canonlaw.info[...] 2013-06-11
[189] 서적 Law: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0] 웹사이트 Canon 331 – 1983 Code of Canon Law https://www.vatican.[...] Secretariat for Communication 2020-03-15
[191] 웹사이트 A Catechist's Introduction to Canon Law https://web.archive.[...] 2013-06-11
[192]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text – IntraText CT http://www.intratext[...] 2014-06-18
[193] 간행물 Canonical Basics https://stjosephcano[...] St. Joseph Foundation 2012-12-25
[194] 저널 Conscience and Coercion http://www.firstthin[...] The Institute on Religion and Public Life 2012-08-01
[195] 서적 New Commentary on the Code of Canon Law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21-03-31
[196]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Holy See and the Republic of Malta on the recognition of civil effects to canonical marriages and to the decisions of the ecclesiastical authorities and tribunals about the same marriages https://www.vatican.[...] Secretariat of State 1993-02-03
[197]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Book I General Norms (1–6) http://www.intratext[...] Intratext Library 2015-04-03
[198] 웹사이트 1990 Code of Canons of Oriental churches https://web.archive.[...] Jason Gray 2015-04-03
[199] 웹사이트 Eastern Catholic Churches Statistics 2010 http://www.cnewa.org[...] 2011-04-30
[200] 문서 Christianity among the Religions in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201] 웹사이트 Orientalium Ecclesiarum https://www.vatican.[...] 2011-04-30
[202] 웹사이트 The Other Catholics: A Short Guide to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http://www.catholice[...] 2005-07-14
[203] 웹사이트 Overview of World Religions http://www.philtar.a[...] Division of Religion and Philosophy, University of Cumbria 2015-03-26
[204]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Blackwell Publishing 1999
[205] 웹사이트 CCEO, Canons 55–150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1990
[206] 문서 CCEO, Canons 151–154
[207] 문서 CCEO, Canons 155–173
[208] 문서 CCEO, Canons 174–176
[209] 웹사이트 CCEO, Canon 27–28.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1990
[210] 웹사이트 Congregation for the Oriental Churches: Profile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5-04-02
[211] 서적 Annuario Pontificio Vatican 2009
[212] 서적 Annuario Pontifico per l'anno 2010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0
[213] 서적 undefined
[214] 웹사이트 Canon 519 1983 Code of Canon Law http://www.intratext[...] 2015-03-25
[215] 논문 Acta Apostolicae Sedis 86 https://www.vatican.[...] 1994
[216] 웹사이트 Canon 573–746 https://www.vatican.[...] Vatican.va 2008-03-09
[217] 웹사이트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 2022-06-05
[218] 논문 Catholic Law Schools and Ex Corde Ecclesiae https://scholar.goog[...] Duquesne University
[219] 웹사이트 Definition of Catholic Church on the Your Dictionary website https://www.yourdict[...] Yourdictionary.com 2020-06-03
[220] 서적 Christia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Routledge 2014
[221] 웹사이트 The Global Catholic Population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3-02-13
[222] 웹사이트 News – Agenzia Fides http://www.fides.org[...] 2016-09-12
[223]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24] 웹사이트 Chapter III, paragraph 25 https://www.vatican.[...] Vatican 2010-07-24
[225]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26] 웹사이트 Lumen Gentium chapter 2, Paragraph 14 https://www.vatican.[...] Vatican 2008-03-09
[227]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28]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29] 서적 undefined
[230] 서적 undefined
[231] 서적 undefined
[232] 웹사이트 Laetamur Magnopere https://www.vatican.[...] Vatican 2015-03-21
[233]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34] 서적 undefined
[235]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36] 서적 undefined
[237] 웹사이트 Greek and Latin Traditions on Holy Spirit http://www.ewtn.com/[...] 2015-02-12
[238]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39]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40] 웹사이트 Responses to Some Questions Regarding Certain Aspects of the Doctrine of the Church https://www.vatican.[...]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2014-11-26
[241] 웹사이트 Pastoral Constitution on the Church in the Modern World ''GAUDIUM ET SPES'' § 45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5-04-04
[242] 웹사이트 Dogmatic Constitution on the Church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2015-04-04
[243] 웹사이트 Dignitatis humanae https://www.vatican.[...] 2015-06-20
[244]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45] 서적 undefined
[246] 서적 undefined
[247] 서적 undefined
[248] CCC
[249] 서적 undefined
[250] CCC
[251] CCC
[252] 성경
[253] 서적 undefined
[254] 웹사이트 The paschal mystery in the sacraments of the church https://www.vatican.[...] Vatican.va 2005-12-14
[255] CCC
[256] 서적 undefined
[257] CCC
[258] CCC
[259] CCC
[260] 웹사이트 Saints' Prayers for Souls in Purgatory http://www.ewtn.com/[...] Ewtn.com 2010-10-28
[261] CCC
[262] CCC
[263] CCC
[264] 성경
[265] 웹사이트 Library: The Hope of Salvation for Infants Who Die Without Being Baptised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2007-01-19
[266] 웹사이트 Christ's Church Subsists in the Catholic Church https://www.ewtn.com[...]
[281] 웹사이트 What do we mean by "the sleep of Mary" or "the dormition of Mary"? https://catholicstra[...] 2021-08-22
[282] 문서 Schreck
[283] 문서 Barry
[284] 문서 Schreck
[285] 뉴스 World's most-visited religious destinations https://www.usatoday[...] 2008-03-03
[286] CCC
[287] 문서 Kreeft
[288] CCC
[289] CCC
[290] CathEncy Sacraments
[291] 뉴스 'CoCC' 291 Vatican.va
[292] 문서 Kreeft
[293] 문서 Kreeft
[294] CCC
[295] 웹사이트 Principles and Norms on Ecumenism – 132 https://www.vatican.[...] 2016-02-12
[296] CCC
[297] CCC
[298] CCC
[299] CCC
[300] CCC
[301] CCC
[302] CCC
[303] 서적 Understanding Your Neighbor's Faith: What Christians and Jews Should Know About Each Other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304] CCC
[305] CCC
[306] CCC
[307] 웹사이트 Canon 883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2007-05-04
[308] 웹사이트 ''CCEO'', Canon 695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English translation) 1990
[309] 웹사이트 Canon 891 https://www.vatican.[...] Vatican.va
[310]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267 https://www.vatican.[...] Vatican.va
[311] 웹사이트 Council of Florence: Bull of union with the Armenians http://www.ewtn.com/[...] Ewtn.com
[312] CCC
[313] CCC
[314] 웹사이트 Catholic Activity: Preparing for First Holy Communion https://www.catholic[...] Catholicculture.org 2015-03-25
[315] Catholic Encyclopedia The Real Presence of Christ in the Eucharist
[316] 문서 Roman Rite of Mass
[317]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18]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19]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296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20]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297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21]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302–03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22]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304–06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23]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309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24]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316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25]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319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26] 백과사전 Extreme Unction
[327]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28]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29] 웹사이트 Canon 1008–1009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6-02-12
[330]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31] 웹사이트 What Catholics Really Believe: Setting the Record Straight: Chapter 46: Priestly Celibacy http://www.ewtn.com/[...] 2015-08-27
[332] 뉴스 Bishop's Quiet Action Allows Priest Both Flock And Famil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7-02-16
[333] 웹사이트 Canon 1031 https://www.vatican.[...] 2008-03-09
[334] 웹사이트 Canon 1037 https://www.vatican.[...] 2008-03-09
[33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Deacons http://www.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08-03-09
[336] 웹사이트 Canon 42 http://www.intratext[...] 2008-03-09
[337] 웹사이트 Canon 375 https://www.vatican.[...] 2008-03-09
[338] 서적 (제목 없음)
[339]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40]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41]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42]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43] 웹사이트 CCEO, Canon 28 § 1 http://www.intratext[...] 1990
[344]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 1362–64 https://www.vatican.[...]
[345] 교리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46] 서적 The Restoration and Organic Development of the Roman Rite T&T Clark International 2010
[347] 웹사이트 Letter of Pope Benedict XVI to bishops https://www.vatican.[...] 2007-07-07
[348] 웹사이트 Instruct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Apostolic Letter Summorum Pontificum of His Holiness Pope Benedict XVI given Motu Proprio https://www.vatican.[...] 2016-02-12
[349] 웹사이트 BBC Religions: What is the Tridentine Mass? http://www.bbc.co.uk[...] 2015-03-27
[350] 웹사이트 Summorum Pontificum https://www.vatican.[...] 2015-03-27
[351] 웹사이트 New norms regarding use of 1962 Roman Missal: Bishops given greater responsibility https://www.vaticann[...] 2021-07-16
[352] 웹사이트 '"Anglicanorum Coetibus": Providing for Personal Ordinariates for Anglicans Entering into Full Communion with the Catholic Church https://www.vatican.[...] vatican.va 2009-11-04
[353] 웹사이트 Personal Ordinariate of Our Lady of Walsingham http://www.ordinaria[...] 2016-02-12
[354] 문서 The Divine Worship variant of the Roman Rite differs from the "Anglican Use" variant
[355] 웹사이트 News Headlines http://www.catholicc[...]
[356] 웹사이트 Mozarabic Rite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5-03-29
[357] 웹사이트 Western Catholic Liturgics/Early Western Liturgics http://www.liturgica[...] Liturgica.com 2015-03-29
[358] 웹사이트 Quo primum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5-03-29
[359] 백과사전
[360] 웹사이트 'CCEO', Canon 40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English translation) 1990
[361]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Blackwell Publishing 1999
[362] 웹사이트 Eastern Rite Catholicism http://ccky.org/wp-c[...] Catholic Conference of Kentucky 2015-04-04
[363] 백과사전
[364]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CCC', 388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1-06-30
[365] 웹사이트 Canon 222 § 2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6-02-12
[366] 백과사전
[367] 뉴스 Pope Francis, in Sweeping Encyclical, Calls for Swift Action on Climate Change https://www.nytimes.[...] 2015-06-18
[368] 뉴스 The Pope's Ecological Vow https://www.nytimes.[...] 2015-06-28
[369] 웹사이트 Catholic hospitals comprise one quarter of world's healthcare, council reports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10-02-10
[370] 웹사이트 Catholic Education http://www.usccb.org[...]
[371] 서적 Faith Schools Routledge
[372] 웹사이트 Nuns Worldwide http://www.catholicw[...] Catholic World Report 2012-05-12
[373] 웹사이트 Vocations Online Internet Directory of Women's Religious Communities http://www.vocations[...] Joliet Diocese Vocation Office 2010
[374] 웹사이트 Press Release – The Nobel Peace Prize 1979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979-10-27
[375] 웹사이트 Press Release – Nobel Peace Prize 1996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996-10-11
[37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atholic Peacebuilding Organisations (directory) http://cpn.nd.edu/re[...] Catholic Peacebuilding Network 2015
[377] 백과사전
[378] 백과사전
[379] 웹사이트 Church teaching about contraception http://www.diocesehe[...] Roman Catholic Diocese of Helena
[380] 웹사이트 Humanae Vitae https://www.vatican.[...] 1968-07-25
[381] 백과사전
[382] 웹사이트 A Big Heart Open to God: An interview with Pope Francis https://www.americam[...] 2013-09-30
[383] 뉴스 Pope Says Church Is 'Obsessed' With Gays, Abortion and Birth Control https://www.nytimes.[...] 2013-09-20
[384] 백과사전
[385] 웹사이트 Full transcript of Pope's in-flight press remarks released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13-08-05
[386] 뉴스 Pope on gays: A shift in tone, not substance http://religion.blog[...] CNN 2013-07-29
[387] CCC
[388] 뉴스 WYD site limits gay debate http://www.starobser[...] 2008-07-08
[389] CCC
[390] CCC
[391] 웹사이트 Petrine or Pauline Privilege http://www.ewtn.com/[...] 2004-09-03
[392] 웹사이트 Canon 1141–1143 http://www.catholicd[...]
[393] CCC
[394] 웹사이트 Preserving the Sanctity of Marriage http://www.kofc.org/[...] Knights of Columbus
[395] 웹사이트 New Marriage and Divorce Statistics Released https://www.barna.or[...] Barna Group 2008
[396] 웹사이트 Divorces rising in Catholic Europe http://religiouscons[...] 2006-05-24
[397] 웹사이트 Humanae vitae https://www.vatican.[...] Vatican
[398] 서적 The Evolution of Freedom as Catholicity in Catholic Ethics UPA
[399] 웹사이트 Front Page https://ten-commandm[...]
[400] 웹사이트 A Matter of Conscience: Catholics on Contraception http://www.catholics[...]
[401] 웹사이트 Largest Religious Groups in the USA https://web.archive.[...]
[402] 저널 Fertility, Family Planning, and Reproductive Health of U.S. Women: Data From the 2002 National Survey of Family Growth https://www.cdc.gov/[...]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403] 뉴스 Pope speaks out on condoms http://catholicleade[...] 2009-03-29
[404] 저널 Pope Benedict XVI Declares Embryos Developed For In Vitro Fertilisation Have Right To Life http://www.medicalne[...]
[405] 서적 The Future Church: How Ten Trends are Revolutionising the Catholic Church
[406] 웹사이트 Respect for Unborn Human Life: The Church's Constant Teaching https://www.usccb.or[...]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407] 저널 Pontifical Academy for Life Statement: Moral Reflections on Vaccines Prepared from Cells Derived from Aborted Human Foetuses 2019-05-01
[408] 웹사이트 Note on the morality of using some anti-Covid-19 vaccines (21 December 2020) https://www.vatican.[...] 2020-12-21
[409] 웹사이트 Vatican changes Catechism teaching on death penalty, calls it 'inadmissible' https://www.catholic[...] 2018-08-02
[410] 뉴스 Pope Francis changes Catholic Church teaching to say death penalty is 'inadmissible' https://www.washingt[...] 2018-08-02
[411] 웹사이트 Pope's New Encyclical 'Fratelli Tutti' Outlines Vision for a Better World https://www.ncregist[...] 2020-10-04
[412] 뉴스 Pope condemns Iran's use of death penalty against protesters https://www.reuters.[...] 2023-01-09
[413] 웹사이트 Capital punishment: Intrinsically evil or morally permissible? https://www.catholic[...] 2018-08-16
[414] 웹사이트 Pope Francis and Capital Punishment https://www.firstthi[...] 2018-08-03
[415] 서적
[416] 웹사이트 Religious Groups' Views on End-of-Life Issues https://www.pewresea[...] 2013-11-21
[417] 뉴스 Europe – Catholic nuns and monks decline http://news.bbc.co.u[...] 2008-02-05
[418] 뉴스 Nuns, a 'Dying Breed,' Fade From Leadership Roles at Catholic Hospitals https://www.nytimes.[...] 2011-08-20
[419] 웹사이트 Apostolic Letter Ordinatio Sacerdotalis of John Paul II to the Bishops of the Catholic Church on Reserving Priestly Ordination to Men Alone https://www.vatican.[...]
[420] 웹사이트 Canon 1379 https://www.vatican.[...] Vatican.va
[421] 웹사이트 Ordinations: Response Regarding Excommunication Decree http://www.romancath[...] 2011 Roman Catholic Womenpriests-USA, Inc. 2011-06-05
[422] 뉴스 Vatican decrees excommunication for participation in 'ordination' of women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08-05-29
[423] 뉴스 Vatican 'speeds up' abuse cases https://www.bbc.co.u[...] 2010-07-15
[424] 보도자료 Comunicato della Sala Stampa: Istituzione della Pontificia Commissione per la Tutela dei Minori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14-03-22
[425] 뉴스 世界のカトリック信者は13・2億人、信者増も聖職者減 最新統計発表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20-10-19
[426] 서적 なんでもわかるキリスト教大事典 朝日新聞出版
[427] 웹사이트 DOGMATIC CONSTITUTION ON THE CHURCH LUMEN GENTIUM http://www.vatican.v[...] The Holy See
[428] 서적 よくわかるカトリック-その信仰と魅力 教文館 2002-05-15
[429] 웹사이트 教会への愛、教会における責任 http://opusdei.org/j[...]
[43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nglican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43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Orthodox Churches https://books.google[...]
[432] 웹사이트 ▶▶カトリックとプロテスタントの違い◀◀ http://www.being-nag[...] 長崎バプテスト教会
[433] 서적 なんでもわかるキリスト教大事典 朝日新聞出版
[434] 서적 よくわかるカトリック-その信仰と魅力 教文館 2002-05-15
[435] 서적 岩波キリスト教辞典 岩波書店
[436] 서적 岩波キリスト教辞典 岩波書店
[437] 서적 岩波新約聖書 岩波書店 2004
[438] 웹사이트 偶有性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439] 웹사이트 全実体変化 http://www.maroon.dt[...] 護教の盾 2014-05-02
[440]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441] 서적 岩波キリスト教辞典 岩波書店
[442] 서적 岩波新約聖書 岩波書店 2004
[443]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要約(コンペンディウム)
[444] 웹사이트 東京大司教区に補佐司教任命 http://www.cbcj.cath[...]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4-12-02
[445]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教え
[446] 웹사이트 ANNUARIUM STATISTICUM ECCLESIAE: Published for 2000 http://www.ewtn.com/[...]
[447]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要約(コンペンディウム)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448] 웹사이트 結婚の神秘 http://opusdei.org/j[...]
[449] 웹사이트 オプス・デイへの召し出し http://opusdei.org/j[...]
[450] 뉴스 ローマ教会、女性に投票権/世界代表司教会議 権利向上へ一歩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4-27
[451] 서적 カトリック教会の教え
[452] 웹사이트 クリスチャン神父のQ&A http://matsubara-cat[...] カトリック松原教会
[453] 웹사이트 COMMON CHRISTOLOGICAL DECLARATION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http://www.vatican.v[...] The Holy See
[454] 웹사이트 教会論のいくつかの側面に関する問いに対する回答 http://www.cbcj.cath[...]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7-06-29
[455] 웹사이트 主の祈り 日本聖公会/ローマ・カトリック教会共通口語訳 http://www.cbcj.cath[...]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456] 웹사이트 Pubblicati l'Annuario Pontificio 2021 e l'Annuarium Statisticum Ecclesiae 2019 https://www.osservat[...] L'Osservatore Romano 2021-03-29
[457] 서적 교회사 분도출판사 1982
[458] 문서 Gerald O'Collins, p. v (preface)
[459] 웹사이트 Vatican congregation reaffirms truth, oneness of Catholic Church http://www.catholicn[...] Catholic News Service 2012-03-17
[460] 웹인용 교회에 대한 교리의 일부 측면에 관한 몇 가지 물음에 대한 답변 http://www.cbck.or.k[...] 신앙교리성 2007-06-29
[461] 웹인용 사도 전승 http://info.catholic[...] 바티칸 2011-06-22
[462] 웹인용 《주님이신 예수님》(Dominus Iesus) http://www.cbck.or.k[...] 2000-08-06
[463] 웹사이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인류의 빛》(Lumen gentium), 25항 http://info.catholic[...]
[464] 웹인용 가르치는 임무 http://info.catholic[...] 바티칸 2011-04-28
[465] 웹인용 가르치는 임무 http://info.catholic[...] 바티칸 2010-07-24
[466] 웹인용 제3장 25항 http://info.catholic[...] 바티칸 2010-07-24
[467] 백과사전 The Rule of Faith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468] 문서 가톨릭교회 교리서, 890
[469] 웹사이트 http://info.catholic[...]
[470] 웹사이트 가톨릭교회 교리서, 83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23 http://www.vatican.v[...]
[471] 저널 Christianity among the Religions in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472] 웹사이트 https://m.catholicti[...]
[473] 저널 Deus Vult: The Geopolitics of Catholic Church 2010-02-12
[474] 웹사이트 미디어 종사자를 위한 천주교 용어 · 자료집 http://m.terms.naver[...]
[475] 서적 Christianity
[476] 웹사이트 Definition at www.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1-06-30
[477] 백과사전 Catholic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08-11-01
[478] 웹사이트 Cyril of Jerusalem, Lecture XVIII, 26 http://www.tertullia[...] Tertullian.org 2004-08-06
[479] 웹사이트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http://www.vatican.v[...] 바티칸 2009-05-04
[480] 웹사이트 The Catechism of St Pius X, The Ninth Article of the Creed, Question 20 http://www.cin.org/u[...] Cin.org 2010-10-28
[481] 서적 Christian Tradition: A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Doctrine, Volume 4: Reformation of Church and Dogma (1300–17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482] 서적 Primary Source Readings in Catholic Church History http://books.google.[...] Saint Mary's Press 2005
[483] 웹사이트 Vatican City State – State and Government http://www.vaticanst[...] Vaticanstate.va 2010-08-11
[484] 웹사이트 Country Profile: Vatican City State/Holy See https://web.archive.[...] British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 2012-06-26
[485] 서적 1995
[486] 서적 1997
[487] 서적 1997
[488] 법률 1983년 교회법 331항
[489] 서적 교회법 한국 가톨릭 대사전
[490] 웹사이트 Orientalium Ecclesiarum http://www.vatican.v[...] 2011-04-30
[491] 웹사이트 CCEO, Canon 56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1990
[492] 웹사이트 General Essay on Western Christianity http://www.philtar.a[...] Division of Religion and Philosophy, University of Cumbria 1998
[493] 웹사이트 Eastern Catholic Churches Statistics 2010 http://www.cnewa.org[...] 2011-04-30
[494] 웹사이트 CCEO, Canons 55–150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1990
[495] 문서 CCEO, Canons 151–154 1990
[496] 문서 CCEO, Canons 155–173 1990
[497] 문서 CCEO, Canons 174–176 1990
[498] 서적 Annuario Pontificio Vatican 2009
[499] 서적 Annuario Pontifico per l'anno 2010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0
[500] 서적 (Barry)
[501] 웹인용 교회법 573–746 http://info.catholic[...] Vatican.va 2008-03-09
[502] 웹사이트 PEW Research Center: Christian Population as Percentages of Total Population by Country 2010 http://www.pewforum.[...] 2015-10-13
[503] 웹인용 Major Branches of Religions Ranked by Number of Adherents http://www.adherents[...] adherents.com 2009-07-05
[504] 간행물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505] 뉴스 Europe | Catholic nuns and monks decline http://news.bbc.co.u[...] BBC 뉴스 2008-02-05
[506] 웹사이트 CCEO, Canon 28 §1 http://www.intratext[...] Intratext.com 1990
[507] 문서 1983년 교회법 900조
[508] 서적 신자 재교육을 위한 5분 교리 가톨릭신문사
[509] 서적 (Kreeft)
[510] 서적 A Faraway Ancient Country http://books.google.[...] Gardners Books
[511] 웹인용 2007년 7월 7일 1970년 전례 개혁 이전의 로마 전례 사용에 관한 자의 교서 「교황들」(Summorum Pontificum) 발표에 즈음하여 주교들에게 보내는 교황 베네딕토 16세 성하의 서한 http://www.cbck.or.k[...] 2014-08-22
[512] 웹사이트 베네딕토 16세 교황 성하의 교황령 「성공회 신자 단체」(Anglicanorum Coetibus) http://www.cbck.or.k[...] 2009-11-04
[513] 웹인용 가르치는 임무 http://info.catholic[...] 바티칸 2011-04-28
[514] 웹인용 제3장 25항 http://info.catholic[...] Vatican 2010-07-24
[515] 웹인용 성전과 성경의 온 교회와 교도직에 대한 관계 http://info.catholic[...] 바티칸 2010-07-24
[516] 문서 개신교 정경 논쟁
[517] 서적 Living Traditions of the Bible http://books.google.[...] Chalice Press
[518] 서적 (Schreck)
[519] 서적 (Marthaler)
[520] 웹사이트 Laetamur Magnopere http://www.vatican.v[...] Vatican 1997-08-15
[521] 서적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522] 서적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523] 성경 1코린 15,14
[524] 서적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525] 서적 가톨릭교회 교리서
[526] 서적 가톨릭교회 교리서
[527] 서적
[528] 서적
[529] 서적 가톨릭교회 교리서
[530] 회칙 그리스도의 신비체 (Mystici Corporis Christi) 바티칸 시국 1943-06-29
[531] 서적 신자 재교육을 위한 5분 교리 가톨릭신문사
[532] 회칙 교회의 선교 사명 (Redemptoris Missio)
[533] 서적
[534] 서적 가톨릭교회 교리서
[535] 서적 천주교 주요 교리
[536] 성경 마태복음
[537] 성경 마태복음
[538] 성경 마가복음
[539] 서적 가톨릭교회 교리서
[540] 서적 가톨릭교회 교리서
[541] 서적 가톨릭교회 교리서
[542] 서적 신자 재교육을 위한 5분 교리
[543] 서적 신자 재교육을 위한 5분 교리
[544] 서적
[545] 서적
[546] 뉴스 World's most-visited religious destinations http://www.usatoday.[...] USA Today 2007-12-21
[547] 웹사이트 https://www.yna.co.k[...]
[548] 웹사이트 https://www.hani.co.[...]
[549] 웹사이트 제4단락 그리스도 신자: 성직자, 평신도, 봉헌 생활자 http://mobile.cathol[...] Vatican.va 2013-03-12
[550] 서적
[551] 서적
[552] 서적
[553] 서적 Christianity
[554] 서적 Christianity
[555] 뉴스 세계교회사 100대 사건 -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17) 콘스탄티누스의 개종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01-04-22
[556] 서적 Conciliar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557] 서적 Encountering the Mystery Random House 2008
[558] 뉴스 세계교회사 100대 사건 -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8) 로마교회의 기원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01-01-14
[559] 웹사이트 Canon 28 and Eastern Papalism: Cause or Effect? http://www.aoiusa.or[...] 2013-01-10
[560]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61] 서적 Le Goff
[562] 서적 How The Irish Saved Civilization: The Untold Story of Ireland's Heroic Role from the Fall of Rome to the Rise of Medieval Europe
[563] 서적 How the Irish Saved Civilization Hodder and Stoughton
[564] 서적
[565] 서적
[566] 서적
[567] 서적
[568] 서적
[569] 서적
[570] 서적 Saints and Sinners
[571] 서적
[572] 서적
[573] 서적 Constantinople and the We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74] 서적
[575] 서적
[576] 서적
[577] 서적
[578] 웹인용 세계교회사 100대 사건 -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71) 반종교 개혁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12-04-29
[579] 서적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Ages
[580] 서적
[581] 서적
[582] 서적
[583] 서적
[584] 서적
[585] 서적
[586] 서적
[587] 서적
[588] 서적
[589] 웹인용 John Paul II, General Audience, March 24, 1993 http://www.vatican.v[...] Vatican.va 2011-06-30
[590] 서적 Creeds of the Churches
[591] 서적 Saints and Sinners
[592]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593] 서적 Prisoner of the Vatican http://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594] 서적
[595] 서적
[596] 서적 Riasanovsky
[597] 서적 Riasanovsky
[598] 서적 Alonso
[599] 서적 Payne
[600] 서적 Rhodes
[601] 서적 Rhodes
[602] 서적 Cook
[603] 웹사이트 Non-Jewish Victims of Persecution in Germany http://www1.yadvashe[...] 야드 바셈 2010-10-28
[604] 서적 Bokenkotter
[605] 뉴스 Pope Stared Down Communism in Homeland – and Won http://www.cbc.ca/ne[...] CBC 뉴스 2005-04
[606] 뉴스 In Poland, New Wave of Charges Against Clerics http://www.nytimes.c[...] 뉴욕 타임즈 2007-01-10
[607] 웹사이트 Untold story of 1989 http://www.thetablet[...] 타블렛 2010-10-28
[608] 서적 Bokenkotter
[609] 뉴스 China installs Pope-backed bishop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9-21
[610] 서적 Chadwick
[611] 웹사이트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거룩한 공의회》 http://info.catholic[...] Vatican.va 1963-12-04
[612] 서적 Duffy
[613] 서적 Saints and Sinners 1997
[614] 문서 비그리스도교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언 《우리 시대》(Nostra Aetate) http://info.catholic[...] 1965-10-28
[615] 서적 Bauckham
[616] 웹사이트 Holier Than Thou: How Rejection of Vatican II Led Lefebvre into Schism http://www.catholic.[...] This Rock 2003-04
[617] 웹사이트 2 April – This Day in History http://www.history.c[...] History.co.uk
[618] 뉴스 Obituary: Pope John Paul II http://www.guardian.[...] 가디언 2005-04-02
[619] 웹사이트 WYD 2011 Madrid – Official Site – What is WYD? http://www.madrid11.[...] Madrid11.com 2011-06-15
[620] 서적 Chronicle of the Popes: Trying to Come Full Circle Thames & Hudso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