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르파스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르파스툼은 고대 로마에서 행해지던 공놀이의 일종으로, 럭비 풋볼과 유사한 형태로 추정된다. 아테나이오스, 갈레노스, 율리우스 폴룩스 등 여러 문헌에서 하르파스툼에 대한 묘사가 나타나며, 격렬한 신체 활동과 전략적 요소가 강조되었다. 경기 방식은 땅에 선을 긋고 공을 상대편 선 너머로 가져가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공을 잡고 패스하는 과정에서 많은 신체 접촉이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크로아티아의 틸루리움 유적에서 발견된 묘비를 통해 하르파스툼 공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스포츠 - 전차 경주
고대 스포츠 경기인 전차 경주는 기원전 13세기부터 존재했으며,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시작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는 대중 오락으로 자리 잡았고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계속되었다. - 축구의 역사 - 축구 전쟁
축구 전쟁은 1969년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 간의 월드컵 예선 축구 경기 결과가 기폭제가 되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이민, 경제적 불균형, 국경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으며, 막대한 피해와 함께 사회·정치적 후유증을 낳았으나, 국제 기구의 중재와 판결을 통해 국경 분쟁을 해결하고 갈등을 종식시켰다. - 축구의 역사 - FIFA 월드컵의 역사
FIFA 월드컵은 1930년 시작되어 4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축구 토너먼트 대회이며, 1998년 이후 32개국, 2026년부터는 48개국이 참가하고, 리그전과 토너먼트 방식을 혼합하여 진행한다. - 단체 스포츠 - 롤러하키
롤러하키는 쿼드 스케이트, 스틱, 볼을 사용하여 상대 골대에 득점하는 스포츠이며, 1878년 영국에서 시작되어 세계 롤러스포츠 연맹에서 규칙을 관장한다. - 단체 스포츠 - 럭비
럭비는 1823년 잉글랜드 럭비 스쿨에서 유래한 구기 종목으로, 19세기 중반 럭비 풋볼 유니온 설립 후 규칙이 정립되었고, 1895년 럭비 유니온(15인제)과 럭비 리그(13인제)로 분열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7인제 럭비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하르파스툼 | |
---|---|
명칭 | |
라틴어 | Harpastum |
그리스어 | ἁρπαστόν (harpastón) |
대체 명칭 | follis (follis) paganica |
어원 | |
ἁρπάζω (harpázō) | "빼앗다, 움켜쥐다" 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동사에서 유래 |
특징 | |
종류 | 구기 |
관련 게임 | φαινίνδα (phaininda) ἐπίσκυρος (episkyros) |
2. 어원 및 명칭
아테나이오스[13]는 ''하르파스툼''이 예전에는 ''파이닌다''라고 불렸으며,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경기라고 언급했다. 그는 공을 가지고 하는 경기는 엄청난 노력과 피로가 따르며, 목을 심하게 뒤트는 동작이 많다고 설명했다. 안티파네스는 "이런, 목이 너무 아프잖아"라고 묘사하며, 경기 중 선수들이 공을 잡고 패스하며, 관중들이 여러가지 소리를 지르는 모습을 묘사했다.[13]
아테나이오스[13]는 ''하르파스툼''이 예전에는 ''파이닌다''라고 불렸으며, 공을 가지고 하는 경기로 엄청난 노력과 피로가 따르고 목을 심하게 뒤틀고 돌리는 동작이 많다고 기록했다. 안티파네스는 "이런, 목이 너무 아프잖아"라고 묘사하기도 했다.[13]3. 역사
갈레노스는 ''하르파스툼''이 레슬링이나 달리기를 하는 것보다 낫다고 설명하며, 몸의 모든 부분을 사용하고, 시간이 적게 걸리며, 비용이 들지 않는다고 하였다.[14] 또한 "전략 훈련에 유용"하며, "다양한 강도로 플레이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사람들이 서로 마주 보며 격렬하게 노력하는 과정에서 목을 잡고 많은 레슬링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 매우 힘들고 격렬한 운동이라고 설명했다.[14]
익명의 시인은 피소의 공 다루는 기술을 칭찬하며, 그의 민첩성을 칭송했고, 경기를 지켜보는 사람들은 꼼짝 않고 서 있으며, 모든 군중은 갑자기 자신들의 경기를 멈춘다고 묘사했다.[15]
율리우스 폴룩스[16]는 공놀이 목록에 ''하르파스툼''과 ''파이닌다''를 포함시켰다. 그는 ''파이닌다''가 파에니데스에서 유래되었거나, '페나키제인'(속이다)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17] 그 이유는 한 사람에게 공을 보여주고 예상과 다르게 다른 사람에게 던지기 때문이며, 이것은 '하르파제인'(잡아채다)에서 이름을 따온 작은 공을 사용한 경기와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8]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그의 편지에서 필리마티우스가 공놀이에 참여하여 여러 번 넘어졌지만, 최선을 다해 일어섰고, 결국 경기의 스트레스에서 가장 먼저 물러났다고 묘사했다.[19]
이러한 묘사들을 종합해 보면, ''하르파스툼''은 럭비 풋볼과 매우 유사한 경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땅에 선이 그어져 있었고, 각 팀은 공을 자신들의 선 뒤에 유지하고 상대방이 그 선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노력했다. 상대방이 선의 자기편에 공을 가지고 있다면, 목표는 안에 들어가 다른 선수에게 "패스"하거나, 어떻게든 선 너머로 다시 가져오는 것이었다. 그러나 고대 기록들은 경기의 규칙을 자세히 재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지 않다.
마르티알리스는 아티쿠스가 운동으로 달리기를 선호하는 것에 대해 언급하며, 먼지가 자욱한 경기인 ''하르파스타''를 언급했다.[20]
4. 경기 방식
갈레노스는 "작은 공을 이용한 운동에 관하여"에서 ''하르파스툼''이 레슬링이나 달리기를 하는 것보다 몸의 모든 부분을 사용하고, 시간이 적게 걸리며, 비용이 들지 않아 낫다고 평가했다.[14] 또한 "전략 훈련에 유용"하며, "다양한 강도로 플레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14]
율리우스 폴룩스[16]는 공놀이 목록에 ''하르파스툼''과 ''파이닌다''를 포함시켰다. ''파이닌다''는 파에니데스에서 유래되었거나, '페나키제인'(속이다)에서 유래되었는데,[17] 그 이유는 한 사람에게 공을 보여주고 예상과 다르게 다른 사람에게 던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것은 '하르파제인'(잡아채다)에서 이름을 따온 작은 공을 사용한 경기와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8]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그의 편지에서 공놀이를 묘사하며, 필리마티우스라는 선수가 경기 중 겪는 어려움을 통해 경기의 격렬함을 보여주었다.[19]
이러한 묘사들을 종합해 보면, 하르파스툼은 럭비 풋볼과 매우 유사한 경기로 보인다. 땅에 선이 그어져 있었고, 팀들은 공을 자신들의 선 뒤에 유지하고 상대방이 그 선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노력했다. 이는 마치 축구의 "반전된" 형태와 같다. 고대 기록들은 경기의 규칙을 자세히 재구성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지 않다.
마르티알리스는 아티쿠스가 운동으로 달리기를 선호하는 것에 대해, 먼지가 자욱한 경기인 ''하르파스타''를 언급했다.[20]
4. 1. 규칙 (추정)
5. 현대 스포츠와의 유사성
6. 문화적 의의
6. 1. 로마 사회에 미친 영향
7. 유물 및 기록
아테나이오스[13]는 ''하르파스툼''이 예전에는 ''파이닌다''라고 불렸으며, 공을 가지고 하는 경기로 엄청난 노력과 피로가 따르고, 목을 심하게 뒤트는 동작이 많다고 적고 있다. 안티파네스는 ''하르파스툼'' 경기를 '그는 공을 잡고 다른 선수를 피하며 팀 동료에게 패스하고 웃었다. 그는 다른 선수의 앞에서 공을 쳐냈다.'라고 묘사한다.[13]
갈레노스는 "작은 공을 이용한 운동에 관하여"[14]에서 ''하르파스툼''이 레슬링이나 달리기를 하는 것보다 몸의 모든 부분을 사용하고, 시간이 적게 걸리며, 비용이 들지 않아 낫다고 묘사한다. 또한 "전략 훈련에 유용"하며, "다양한 강도로 플레이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14]
익명의 시인[15]은 피소의 공 다루는 기술을 칭찬하며, 그의 민첩성을 칭찬하는 글을 남겼다.
율리우스 폴룩스[16]는 공놀이 목록에 ''하르파스툼''과 ''파이닌다''를 포함시키며, ''파이닌다''는 파에니데스에서 유래되었거나 '페나키제인'(속이다)에서 유래되었다고 설명한다.[17] 이는 한 사람에게 공을 보여주고 예상과 다르게 다른 사람에게 던지기 때문이며, '하르파제인'(잡아채다)에서 이름을 따온 작은 공을 사용한 경기와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8]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그의 편지에서 공놀이를 묘사하며, 필리마티우스가 경기 중 겪었던 어려움을 이야기한다.[19]
이러한 묘사들은 ''하르파스툼''이 럭비 풋볼과 매우 유사한 경기라는 인상을 준다. 땅에 선이 그어져 있었고, 팀들은 공을 자신들의 선 뒤에 유지하고 상대방이 그 선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노력했다는 묘사도 있다.
마르티알리스는 에피그램에서 아티쿠스가 운동으로 달리기를 선호하는 것에 대해, 먼지가 자욱한 경기인 ''하르파스타''를 언급한다.[20]
크로아티아 시니의 트릴 근처 틸루리움 군영 유적에서 발견된 로마 묘비에는 소년이 ''하르파스툼'' 공을 들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이 공은 현대의 축구공과 유사한 육각형과 오각형 패턴을 가지고 있다.
8. 현대의 재조명
참조
[1]
사전
A Latin Dictionary
[2]
사전
A Greek-English Lexicon
[3]
사전
A Greek-English Lexicon
[4]
사전
A Greek-English Lexicon
[5]
간행물
In ancient Greece a game with elements of football, episkuros, or harpaston, was played, and it had migrated to Rome as harpastum by the 2nd century BC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6]
사전
A Greek-English Lexicon
[7]
서적
Sport in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Gymnasium of Virtue: Education and Culture in Ancient Sparta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5
[9]
웹인용
Origin of Ball Games
http://library.think[...]
2010-03-25
[10]
서적
Sport in Ancient Times (Praeger Series on the Ancient World)
Praeger Publishers
2007-01
[11]
웹사이트
Harpastum: The Ancient Roman Empire Ball Game
https://historyofsoc[...]
2021-09-01
[12]
웹사이트
Harpastum a Roma. Il gioco, antenato del Calcio Storico Fiorentino, il 24 aprile nella capitale
https://www.lacronac[...]
2022-04-05
[13]
문서
Deipnosophists
http://www.attalus.o[...]
[14]
논문
Galen: Selected Works
1997
[15]
문서
Laus Pisonis
https://penelope.uch[...]
[16]
문서
Onomasticon
[17]
사전
φενακίζω
https://www.perseus.[...]
[18]
사전
ἁρπάζω
https://www.perseus.[...]
[19]
문서
Letters
http://www.tertullia[...]
[20]
문서
Epigrams
http://www.tertull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