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레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레노스는 '침착한'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로마 시민권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2세기 로마 제국의 의사이자 철학자였다. 그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철학을 공부하다가 꿈에서 아스클레피오스 신의 계시를 받고 의학을 시작했으며, 검투사 학교 외과의로 일하며 외상 치료 경험을 쌓았다. 로마로 이주하여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주치의를 역임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400권이 넘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의학은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히포크라테스의 사체액설을 계승하여 1400년 동안 서양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갈레노스의 저술은 중세 유럽과 이슬람 세계에 전해져 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베살리우스 등에 의해 비판받으며 새로운 의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본초학자 - 하킴 무함마드 사이드
    하킴 무함마드 사이드는 파키스탄의 의사이자 학자, 박애주의자로서 함다드 연구소와 함다르 대학교를 설립하고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1998년 암살되었다.
갈레노스
기본 정보
갈레노스의 18세기 판화
18세기 게오르크 P. 부쉬의 판화. 갈레노스에 대한 동시대 묘사나 설명이 알려진 바가 없기 때문에 후대 예술가들의 인상은 그의 외모를 정확하게 재현했을 가능성이 낮다.
원어 이름Κλαύδιος Γαληνός
로마자 표기Klaudios Galēnos
출생일129년
출생지페르가몬, 아시아 마이너 (현재 베르가마, 튀르키예)
사망일기원후 216년경 (약 87세)
사망지알 수 없음
분야
학문 분야해부학
의학
철학
참고 자료
참고 문헌갈레노스 약리학
영혼의 생리학
치명적인 포옹: 갈레노스와 고대 의학의 역사
참고 논문갈레노스 (129–199)
갈레노스 목적론의 실험적 기초
갈레노스의 플라톤주의
합리주의 및 경험주의 해부학에 대한 갈레노스의 비판
관련 서적인체 구조에 관하여 7권
인용
저널 인용갈레노스가 클라우디아 가문의 일원으로 등장하는 고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갈레노스의 초기 경력 연대기
영향받은 부분에 대한 갈레노스. 그리스어 원문 번역 및 해설
저널 인용 2이븐 알-나피스, 폐 순환, 그리고 이슬람 황금 시대
기타갈레노스의 글에 나타난 의료 윤리

2. 생애

갈레노스(라틴어: Galenus, 갈레노스/Γαληνόςgrc)라는 그리스 이름은 '침착한'이라는 뜻의 형용사 γαληνός(galēnós)에서 유래했다.[26] 갈레노스의 라틴 이름(아엘리우스 또는 클라우디우스)은 그가 로마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27]

갈레노스는 저서 『마음의 정념에 대하여(On the affections of the mind)』에서 자신의 어린 시절을 서술한다. 그는 서기 129년 9월에 태어났다.[6] 그의 아버지 아엘리우스 니콘(Aelius Nicon)은 부유한 파트리키이자 건축가이자 건설업자였으며, 철학, 수학, 논리학, 천문학, 농업, 문학 등 다방면에 걸친 관심사를 가진 사람이었다. 갈레노스는 그의 아버지를 "매우 온화하고, 정의롭고, 훌륭하며 자비로운 사람"으로 묘사한다. 당시 베르가몬(Pergamon)(현재 터키 도서관으로 유명한 주요 문화 및 지적 중심지였으며,[81][28] 치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Asclepius)에게 바쳐진 대규모 신전이 있던 곳이기도 했다.[29] 이 도시는 스토아 학파와 플라톤 학파 철학자들을 끌어들였고, 갈레노스는 14세에 이들의 사상에 노출되었다. 그의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를 포함한 당시의 주요 철학 체계들을 모두 포함했다. 그의 아버지는 갈레노스에게 철학이나 정치 분야에서 전통적인 경력을 쌓도록 계획했고, 그에게 문학적, 철학적 영향을 미치도록 세심하게 배려했다. 그러나 갈레노스는 약 145년경 아버지가 꿈속에서 아스클레피오스(Asclepius) 신이 나타나 아들을 의학 공부를 시키라고 명령하는 꿈을 꾸었다고 말한다.[6][41]

20세가 되기 전까지 갈레노스는 지방의 신전에서 의학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섬기는 사람(therapeutes)으로 4년을 보냈다. 148년 또는 149년에 아버지가 사망한 후, 그는 스미르나, 코린토스, 알렉산드리아 등에서 12년 이상 연구를 쌓았다. 157년에 페르가몬으로 돌아왔을 때는 검투사 학교에서 3년 또는 4년간 외과의로 근무했다. 이 시기에 그는 사고·외상 치료에 관한 많은 경험을 축적했다. 갈레노스는 후에 외상을 "몸 안을 들여다보는 창"으로 여겼다.

갈레노스는 눈과 뇌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여, 기술에 의존한 무모한 수술도 많이 시행했다. 그러한 수술들은 그 후 2000년 가까이 행해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백내장 수술에서는 수정체의 안쪽까지 긴 바늘 모양의 기구를 찔러 넣고 천천히 빼냈다. 이것은 조금만 어긋나도 영원히 실명하게 되는 방법이다. 물론 갈레노스는 다른 방법에 대해서는 현대 의학의 표준이 되는 것도 확립했다.

162년에 갈레노스는 로마로 이주하여 집필 활동, 강의, 공개 해부 등을 했다. 그는 명의로서의 명성을 얻었고, 고객들에게도 인기가 많았다. 그중에는 집정관 플라비우스 보이투스도 있었는데, 그를 통해 갈레노스는 궁정에 초청받았다. 거기서 그는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의 주치의가 되었고, 나중에는 루키우스 베루스, 콤모두스 등도 진료했다. 당시 로마 제국은 북동 국경을 이루는 다뉴브 강 주변에서 마르코만니 전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갈레노스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따라 종군하여 군의관을 지냈다.

갈레노스는 주로 그리스어로 말했다고 한다. 당시에는 의학 분야에서 라틴어보다 그리스어가 상위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학파에도 속하지 않았던 그는 다른 의사들과 대립했고, 166년부터 169년 사이에 페르가몬으로 돌아갔다고 전해지지만, 1년 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황제의 부름을 받고 다시 궁정에 근무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장남이 죽은 직후였고, 후계자가 된 아들 콤모두스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갈레노스를 콤모두스의 시의로 삼았다. 콤모두스의 치세 중 시의를 계속 역임했고, 그 후의 혼란을 극복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시의가 되기도 했다.[110] 192년경 대화재가 발생하여 갈레노스의 저술 상당수가 소실되었다. 갈레노스는 200년경에 사망했다.

2. 1. 출생과 유년 시절

갈레노스는 129년 9월 1일에 그 당시 문화와 지식의 중심지였던 페르가몬(현 터키의 베르가마)에서 출생하였다.[121] 그의 집안은 풍족했으며 그의 아버지 아엘리우스 니콘은 파트리키 계급의 건축가였다. 니콘은 건축뿐만 아니라 수학, 철학, 천문학, 식물학 등에도 관심이 많았다. 갈레노스의 어머니에 대해 알려진 것은 성질이 사나웠다는 것밖에 없으며 이런 어머니로부터 어린 갈레노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당시 어머니나 보모가 어린아이를 키우던 보편적인 상황과는 다르게 니콘은 그를 직접 가르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의학과 철학에 대한 많은 것들을 알려주었다. 니콘은 갈레노스를 고대 그리스의 체육장 김나지움에 보내어 달리기, 레슬링, 수영, 창던지기 등을 배우게 하였다.

갈레노스는 부유한 건축가 아이리우스 니콘의 아들로 페르가몬에서 태어났다. 그의 관심사는 농업, 건축, 천문학, 점성술, 철학 등 다양했지만, 궁극적으로 의학에 전념했다. 20세가 되기 전까지 갈레노스는 지방의 신전에서 의학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섬기는 사람(therapeutes)으로 4년을 보냈다.

2. 2. 성장기와 유학 생활

갈레노스는 부유한 건축가 아이리우스 니콘의 아들로 페르가몬에서 태어났다.[6][31][32][33] 그의 관심사는 농업, 건축, 천문학, 점성술, 철학 등 다양했지만, 궁극적으로 의학에 전념했다.[6][31][32][33] 아버지의 영향으로 갈레노스는 과학철학을 좋아하였으며 13살 전까지 이미 3권의 책을 저술했다고 한다. 14살에 갈레노스는 철학 학교에 진학하여 아리스토텔레스에피쿠로스를 포함하여 당대의 중요 철학자에 대해 배우며 성장하였다.

16세에 아스클레피온에서 4년 동안 θεραπευτής (therapeutes, 또는 시중드는 사람)로서 수련을 시작했다.[6][31][32][33] 거기서 페르가몬의 아이스크리온 등의 영향을 받았다. 아스클레피온은 병든 사람들이 사제들의 치료를 구하기 위해 찾아오는 온천이나 요양원과 같은 역할을 했다.[6][31][32][33] 그는 그리스 의학의 중심 개념인 프네우마를 이해하였으며 책을 보고 배우기보다는 신전에서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치료활동들을 보면서 의술을 익혔다.

148년 또는 149년에 아버지가 사망한 후,[30] 스미르나(현 터키의 이즈미르), 코린토스, 크레타 등에서 12년 이상 연구를 쌓았다.[30] 특히 스미르나에서는 펠롭스 의학 학교에서 의학, 식물학, 철학 등을 공부하며 방대한 지식을 습득하였다. 특히 이 시절 갈레노스는 식물학에 심취하여 이후에도 아시아를 포함한 여러 곳을 여행하며 약초를 조사하고 수집하였다. 그 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대학습원 무세이온에서 연구하며 해부학을 활발히 연구하며 인체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게 된다.[123]

2. 3. 페르가몬과 로마에서의 활동

갈레노스는 페르가몬으로 돌아와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에서 일하며 검투사 학교 의사직을 맡았다.[124] 그는 검투사들의 상처를 치료하며 인체 내부를 관찰할 기회를 얻었고, 상처를 ‘인체 내부로 열린 창문’이라고 표현했다. 4년 동안 검투사 학교에서 일하면서 그는 외상 치료, 식단, 운동, 위생 등에 대한 중요성을 배웠다.

161년, 32세에 갈레노스는 로마로 이주하여 아버지의 친구이자 스승인 에우데무스를 치료하며 명성을 얻었다.[124] 그는 공개 강연과 해부 시연을 통해 돼지의 발성 기관이 뇌에 의해 조절되며, 동맥이 혈액을 운반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척수의 중요성과 신장, 방광의 기능을 개의 해부를 통해 보여주었다.[41]

갈레노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루키우스 베루스 공동 황제의 주치의가 되었고, 이후 마르쿠스의 아들 콤모두스의 주치의도 맡았다.[39][40] 그의 환자들은 대부분 원로원 의원, 집정관 등 로마 사회 고위층 인사들이었다.

166년, 갈레노스는 다른 의사들과의 갈등과 독살 음모, 역병에 대한 두려움으로 로마를 떠났다.[124][37][38] 그러나 169년, 안토니누스 역병이 발생하자 황제의 부름을 받고 로마로 돌아와 궁정 의사로 복귀했다.[39][40] 그는 코모두스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주치의로 활동하며 의학 연구와 저술에 힘썼다.[38]

벨로소 살가도(Veloso Salgado)가 1906년에 상상한 갈레노스의 원숭이 해부

2. 4. 말년과 사망

갈레노스는 로마를 떠나 페르가몬으로 돌아왔으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부름을 받고 다시 로마로 돌아와 황제의 주치의가 되었다.[124] 로마 제국에서 그는 콤모두스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주치의로도 일했다.[125]

갈레노스가 사망한 연도는 확실하지 않다. 199년에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지만,[126] 204년에 쓰인 논문도 있고,[126] 이슬람 문헌에는 216년에 87세로 사망했다는 기록도 있다.[126] 수다에는 그가 70세에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42] 아랍 자료에는 87세에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어, 사망 시기는 199년에서 216년 사이로 추정된다.[42][43][44] 팔레르모에는 10세기까지 보존된 그의 무덤이 있었다고 한다.[42]

말년에도 갈레노스는 연구와 저술 활동을 계속하여 약물, 치료법, 진단 및 치료학 개론을 완성했으며, 이는 중세 라틴 시대와 중세 이슬람 의학 교과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41]

3. 의학적 업적

갈레노스는 어린 시절부터 약학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학생 시절 약학을 공부하여 깊이 이해했으며, 필요한 약초를 외국에서 주문하거나 직접 아시아까지 가서 채취하기도 했다.[131] 디오스코리데스가 약용 식물을 모아 책으로 썼지만, 약 제조에 필요한 정확한 양을 기술한 것은 갈레노스가 처음이었다.[131] 그는 각 약제의 투여량과 제조법을 정확하게 기술하고, 투여량에 따른 환자의 반응과 투여량 조절을 상세히 설명하는 등 약물 치료에 대해 30권의 책에 나누어 서술했다. 이것이 《갈레노스 약전》으로 불린다.[131]

3. 1. 해부학과 생리학

갈레노스는 인체의 모든 부분이 창조자에 의해 완벽하게 설계되었다고 믿었으며, 그 창조자를 자연이라고 불렀다.[127] 그는 히포크라테스사체액설을 믿고 프네우마가 신진대사를 조절한다고 생각했다.[127] 그의 생리학은 이후 1400년 동안 의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갈레노스는 인체에 세 가지 연결된 계통이 있다고 보았다. 영양과 성장을 담당하는 자연 기운, 생명 에너지를 주는 생명 기운, 감각과 지성을 제공하는 동물 기운이 그것이다. 그는 간과 정맥은 자연 기운, 심장과 혈액은 생명 기운, 뇌는 동물 기운과 연관된다고 생각했다.[127]

갈레노스는 당시 시체 해부가 금지되었기 때문에 동물 해부를 통해 해부학적 지식을 얻었다.[128] 그는 황소, 개, 원숭이, 돼지 등을 해부하며 동물의 몸이 사람의 몸과 내부 구조가 비슷하다고 확신했다.[128] 특히 바르바리마카크를 이용하여 근육과 뼈의 조직을 정확히 관찰하고, 7쌍의 뇌 신경을 구분했으며, 심장 판막을 묘사하고, 정맥과 동맥의 조직 차이를 관찰했다.[128]

갈레노스는 인체의 체계를 소화, 호흡, 신경의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설명했다.[129] 그는 혈액이 음식에서 만들어지고 간이 음식을 혈액으로 바꾼다고 보았다.[130] 이것이 자연 기운이며 정맥을 통해 우심실로 들어간다.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에는 혈액이 스며들 수 있는 작은 구멍이 있다고 주장했다. 폐에서 공기와 섞인 프네우마는 좌심실로 들어와 자연 기운과 섞이고, 이것이 생명 기운이 되어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뇌와 연결되는 동맥의 그물망을 통해 생명 기운이 뇌로 들어가 동물 기운으로 변하고, 신경을 통해 온몸으로 퍼진다. 그러나 이 그물망은 발굽 동물에게는 있지만 사람에게는 없다.

갈레노스는 동물 해부를 통해 동맥이 공기가 아닌 공기, 프네우마, 혈액의 혼합물을 운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맥과 동맥의 차이를 언급하며 순환계에 대한 이해를 시도했다. 그의 이론은 정맥, 동맥, 신경계가 각기 다른 세 종류의 기운을 운반한다는 것이다.

그는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에 걸친 방대한 의학 체계를 만들어 유럽 의학을 천 수백 년 동안 지배했다. 그는 후두가 음성을 생성한다는 것을 증명했고,[51][52] 죽은 동물의 폐를 부풀리는 실험을 하기도 했다.[53][54]

갈레노스의 인체 "생리계" 해석


갈레노스는 순환계 연구에 공헌하여 정맥혈과 동맥혈의 차이를 최초로 인식했다. 그는 간에서 혈액이 생성되어 대정맥을 통해 심장 우심실로 흐른다고 믿었다.[56] 또한 폐정맥이 폐에서 심장 좌심실로 공기를 운반하여 혈액과 섞인다고 주장했다.[56] 그는 심장 중격에 작은 구멍이 있어 혈액이 좌우 심실 사이를 이동한다고 보았다.[57] 그러나 그는 순환계가 두 개의 별도 일방향 분포계로 구성된다고 믿는 오류를 범했다.[9] 그는 경동맥동에 그물망(rete mirabile)이 존재한다고 믿었으나, 이 이론은 이븐 알나피스에 의해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다.[58]

갈레노스는 척추, 척수, 척주를 정확하게 묘사하고 중추 신경계 발견에 기여했다.[59] 그는 척수 절단 실험을 통해 신경해부학을 연구했다.[60] ''De motu musculorum''에서 운동 신경과 감각 신경, 근육긴장, 주동근과 길항근의 차이를 설명했다.

갈레노스는 여성의 생식 기관에 대한 일부 부정확한 해부학적 지식을 가졌지만, 난소를 남성 고환과 유사한 것으로 인식했다. 그는 생체 해부를 통해 음성이 뇌에 의해 조절됨을 증명했다. 돼지 실험에서 반회후두신경을 묶어 소리 생성을 제어함을 보였고, 요관을 묶어 신장과 방광 기능을 증명했다. 그는 인체에 뇌와 신경, 심장과 동맥, 간과 정맥의 세 가지 상호 연결된 시스템이 있다고 이론화했다.

3. 2. 병리학과 치료법

갈레노스는 히포크라테스사체액설을 믿었으며, 4가지 체액(혈액, 점액, 황담즙, 흑담즙)의 균형이 건강을 유지하고 불균형이 질병을 유발한다고 생각했다.[127] 그는 프네우마가 신진대사를 조절한다고 믿었으며, 그의 생리학은 히포크라테스의 유기체 통일성 개념을 이어받아 1400년 동안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갈레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3계 계통 이론(영양과 성장을 담당하는 자연 기운, 생명 에너지를 주는 생명 기운, 감각과 지성을 제공하는 동물 기운)을 발전시켰다.[127] 그는 간과 정맥은 자연 기운, 심장과 혈액은 생명 기운, 뇌는 동물 기운과 연관된다고 보았다.[127] 갈레노스는 동물 해부를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이 이론을 확장했다.[128] 당시 로마법은 인체 해부를 금지했기 때문에, 갈레노스는 황소, 개, 원숭이, 돼지 등 동물을 해부하여 인체 구조를 유추했다.[128]

갈레노스의 두 번째 이론은 인체의 체계에 관한 것으로, 소화, 호흡, 신경 기능을 설명한다.[129] 그는 간에서 음식이 혈액으로 변환되고(자연 기운), 정맥을 통해 우심실로 이동한다고 보았다.[130] 불순물이 제거된 혈액은 좌심실로 이동하며, 이때 좌우 심실 벽에 작은 구멍이 있다고 주장했다. 폐에서 들어온 프네우마는 좌심실에서 자연 기운과 섞여 생명 기운이 되고,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생명 기운은 뇌로 들어가 동물 기운으로 변하고, 신경을 통해 온몸으로 퍼진다.

갈레노스는 동물 해부를 통해 동맥이 공기가 아닌 공기, 프네우마, 혈액의 혼합물을 운반한다고 주장했으며, 정맥과 동맥의 차이점을 밝히고 순환계에 대한 이해를 시도했다. 그는 정맥, 동맥, 신경계가 각각 다른 종류의 기운을 운반한다고 믿었다.

그는 해부학, 생리학, 병리학에 걸친 방대한 의학 체계를 집대성하여 유럽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바르바리마카크 등 영장류를 해부하여 근육과 뼈 조직을 관찰하고, 7쌍의 뇌 신경을 구분하고, 심장 판막을 묘사했으며, 정맥과 동맥의 조직 차이를 관찰했다. 또한, 생체 해부 실험을 통해 뇌가 목소리를 조절하고, 척수가 근육 조절 기능을 담당하며, 신장과 방광이 요관과 연결되어 있음을 밝혔다.

안토니누스 역병(갈레노스 역병)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가문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갈레노스가 직접 경험하고 증상과 치료법을 기록하여 의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40] 갈레노스는 역병의 사망률이 7~10%였으며, 350만~500만 명의 사망자를 냈을 것으로 추정했다.[40] 그는 이 질병을 천연두와 관련된 것으로 보았으며, 발진, 궤양, 설사, 발열, 구토, 기침 등의 증상을 상세히 기록했다.[40]

갈레노스는 심리적 문제 치료에도 관심을 기울여, 『영혼의 정념 진단 및 치유에 관하여』에서 정신치료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다. 그는 심리적 문제의 원인을 정념으로 보고, 현명한 치료사와의 상담을 통해 이를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3. 3. 약학

갈레노스는 어린 시절부터 약학에 다양한 관심을 보였다. 학생 시절 약학을 공부한 덕에 그것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었고 약초가 필요할 때에는 외국에서 주문하거나 심지어 직접 채취하러 아시아까지 가기도 했다.[131] 디오스코리데스가 식물 중 약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을 모아 책으로 서술했지만 실제로 약을 만드는데 어느 약초가 얼마만큼 필요한지 정확한 양을 기술한 것은 갈레노스가 처음이었다.[131] 그는 각각의 약제의 투여량과 제조법을 아주 정확하게 기술하였으며 그뿐만 아니라 각각의 투여량에 따른 환자의 반응을 서술하고 그에 따른 투여량의 조절을 설명해 놓는 등 약물치료에 대해서 아주 상세하게 30권의 책에 나누어 서술하였다.[131] 이것이 《갈레노스 약전》으로 불린다.[131]

4. 철학적 관점

갈레노스는 의학, 해부학, 생리학뿐만 아니라 철학논리학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의학과 철학의 결합을 중시했다.[66] 그는 '가장 좋은 의사는 철학자이기도 하다'라는 저서에서 의학이 이론, 관찰, 실험을 함께 활용하는 학제 간 분야여야 한다고 주장했다.[67] 갈레노스는 철학적 이상에 가까이 가기 위해 철학자가 아니더라도 선한 행위를 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기독교인을 예로 들었다. 그는 자연에 신의 섭리가 있다는 것을 믿었지만, 유일신론자는 아니었고, 다양한 이론들을 절충적으로 해석했다.[68]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은 어떤 일도 헛되이 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받아들여, 모든 것이 신에 의해 정해진 목적에 따라 생겨났다고 믿었다.[69]

갈레노스는 플라톤의 영혼 이론을 자신의 해부학적 관찰과 결합했다. 플라톤은 몸과 영혼이 별개이며 영혼은 불멸이라고 주장했는데, 갈레노스는 영혼이 항상 인체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므로 획득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영향을 받았다.[70] 그는 간에서 온 영양가 있는 피와 폐에서 얻은 생명의 정신(영혼)의 혼합물인 동맥혈 개념을 통해 이를 설명했다.

갈레노스 시대에는 경험주의자와 합리주의자 등 여러 의학 학파가 있었는데, 갈레노스는 이 두 학파와 플라톤주의, 소요학파, 스토아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피론주의 등 다양한 철학 학파의 영향을 받았다.

갈레노스는 스토아 학파의 프뉴마(pneuma) 정의와 명제 논리에 반대하며, 페리파토스 학파의 영향을 받은 가정적 삼단논법을 지지했다.[67][69] 그는 정신과 육체가 별개의 능력이 아니라고 믿었으며, 신체 기관이 특정 기능을 담당한다고 보았다.[62][20]

페르가몬에 있는 갈렌 동상

5. 저술과 영향

wikitext

갈레노스는 평생 400권이 넘는 많은 양의 서적을 출판하였다.[132] 의학 외에도 상당히 넓은 분야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고 그 체계를 확립했으며 그에 대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했다. 고대에는 갈레노스의 업적이 라틴어로 번역되지 않았고 서로마가 붕괴했기 때문에 갈레노스의 위대한 작업은 모두 그리스어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갈레노스와 그에 의해 이루어진 고대 그리스 의학은 점차 동로마 제국으로 전해졌다. 그리고 동로마의 학자들은 갈레노스의 모든 저서를 번역하였다.

이후 아랍 이슬람교도들이 처음으로 그리스의 과학 및 의료에 관심을 뒀을 때 그들은 갈레노스의 업적 중 일부를 아랍어로 번역하였다.[132] 그 결과 몇몇 서적은 아랍어로만 존재하고 나머지는 중세 라틴어로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나 많은 학자가 아랍어로 된 것을 그리스어나 라틴어로 다시 번역하여 갈레노스의 업적이 이어지는데 공헌하였다.[133][134][135]

그의 저서의 방대함은 호메로스 시대에서 시작하여 2세기에 이르는 동안의 그리스 문헌 전체 중 8분의 1을 차지할 정도이다. 191년의 로마 대화재로 신전에 소장 중이던 수많은 미출간 원고가 소실되었음에도 화재에서 살아남은 저서의 양이 상당하다. 그 중 일부가 1820년 독일 의사 퀸에 의해 《갈레노스 전집》으로 나왔는데 천 쪽짜리 책 스무 권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오페라》(1490)가 있다.

1547년 베니스에서 출판된 갈레노스의 저서 《오페라》의 표지


갈레노스는 히포크라테스의 의학을 르네상스까지 전승했다. 그의 저서 ''On the Elements According to Hippocrates''는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서술하고 있다. 4체액설은 인체가 혈액, 점액, 흑담즙, 황담즙으로 구성된다는 설이며,[111], 이들은 고대의 4원소로 정의되고 사계절과도 대응 관계를 갖는다고 여겨졌다. 그는 이 원리를 바탕으로 이론을 창출했다. 하지만 이들은 순수하게 독창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히포크라테스의 인체 이론 위에 구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갈레노스의 주요 저서 중 하나로 17권으로 구성된 『신체 각 부분의 기능에 관하여』가 있다. 갈레노스는 또한 철학과 문헌학에 대해서도 저술했으며, 마찬가지로 해부학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그의 전집은 22권에 달하며, 그는 생애 대부분을 저술에 헌신했다.[110]

갈레노스는 중세 유럽과 르네상스뿐만 아니라 이슬람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 9세기 동안 아랍인들은 그리스어로 된 사본들을 수집하고 번역했다. 아랍 의사이며 언어학자인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Hunayn ibn Ishaq)는 그리스어나 시리아어판에서 자신이 번역한 갈레노스의 업적이 담긴 129가지 문헌의 목록을 만들었다."[136] 11세기 말경에는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의 번역서와 주해서 복사판들을 다시 아랍 의사들이 라틴어로 번역하여 유럽학자들이 고대 그리스 문화를 깨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 15~16세기 의사들은 갈레노스가 기록했던 관찰과 실험들을 그대로 정확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되고 인문주의자들은 그리스어 원본을 직접 라틴어판으로 번역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르네상스 기간에 부활한 갈레노스의 전통은 현대의학의 발흥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137]

비엔나 디오스쿠리데스의 그림에 나오는 의사 그룹; 갈렌이 중앙 상단에 묘사되어 있다.


5. 1. 주요 저서

갈레노스는 평생 400권이 넘는 많은 양의 서적을 출판하였다.[132] 의학 외에도 상당히 넓은 분야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고 그 체계를 확립했으며 그에 대한 활발한 저술 활동을 했다. 고대에는 갈레노스의 업적이 라틴어로 번역되지 않았고 서로마가 붕괴했기 때문에 갈레노스의 위대한 작업은 모두 그리스어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갈레노스와 그에 의해 이루어진 고대 그리스 의학은 점차 동로마 제국으로 전해졌다. 그리고 동로마의 학자들은 갈레노스의 모든 저서를 번역하였다.

이후 아랍 이슬람교도들이 처음으로 그리스의 과학 및 의료에 관심을 뒀을 때 그들은 갈레노스의 업적 중 일부를 아랍어로 번역하였다.[132] 그 결과 몇몇 서적은 아랍어로만 존재하고 나머지는 중세 라틴어로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나 많은 학자가 아랍어로 된 것을 그리스어나 라틴어로 다시 번역하여 갈레노스의 업적이 이어지는데 공헌하였다.[133][134][135]

그의 저서의 방대함은 호메로스 시대에서 시작하여 2세기에 이르는 동안의 그리스 문헌 전체 중 8분의 1을 차지할 정도이다. 191년 또는 아마도 192년에 평화의 신전에서 발생한 화재로 그의 많은 저술, 특히 철학에 관한 논문들이 소실되었다.[71] 그럼에도 화재에서 살아남은 저서의 양이 상당하다. 그 중 일부가 1820년 독일 의사 퀸에 의해 《갈레노스 전집》으로 나왔는데 천 쪽짜리 책 스무 권에 해당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오페라》(1490)가 있다.

갈레노스는 고대 어떤 저술가보다 많은 저술을 남겼을 가능성이 높으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술량과도 맞먹는다.[71] 갈레노스의 방대한 저술은 기존에 남아 있는 그리스 고대 문헌의 거의 절반에 달한다.[31][71] 갈레노스가 자신의 글을 기록하기 위해 20명의 필사가를 고용했다는 기록도 있다.[72] 갈레노스는 500편에 달하는 논문을 저술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분량은 약 1천만 단어에 이른다. 현재 남아 있는 그의 저술은 약 300만 단어에 이르지만,[74] 이는 그의 전체 저술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갈레노스 자신이 살았던 시대에도 이미 그의 저술에 대한 위작과 부정직한 판본이 문제가 되어, 그는 ''자신의 저서에 대하여''라는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라틴어, 아랍어 또는 그리스어로 된 위작은 르네상스까지 계속되었다. 갈레노스의 논문 중 일부는 수년에 걸쳐 여러 다른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자료들은 종종 찾기 어렵고 접근하기 어려운 저널이나 저장소에 있다. 그리스어로 쓰여졌지만 관례적으로 저술들은 라틴어 제목으로, 그리고 종종 그 제목의 약자로 불린다. 그의 저술을 담은 단일한 권위 있는 자료집은 존재하지 않으며, 갈레노스에게 귀속되는 여러 저술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남아 있다. 결과적으로 갈레노스 저술에 대한 연구는 위험으로 가득 차 있다.[28][71]

갈레노스의 방대한 저술을 분류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그의 저술 중 상당수는 1972년에 시작된 그리스 문학 디지털 도서관인 ''그리스어 사전 Thesaurus Linguae Graecae''에 포함되어 있다. 또 다른 유용한 현대 자료는 프랑스의 [http://www.bium.univ-paris5.fr/histmed/medica/galien_va.htm Bibliothèque interuniversitaire de médecine]이다.

갈레노스는 히포크라테스의 의학을 르네상스까지 전승했다. 그의 저서 ''On the Elements According to Hippocrates''는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서술하고 있다. 4체액설은 인체가 혈액, 점액, 흑담즙, 황담즙으로 구성된다는 설이며,[111], 이들은 고대의 4원소로 정의되고 사계절과도 대응 관계를 갖는다고 여겨졌다. 그는 이 원리를 바탕으로 이론을 창출했다. 하지만 이들은 순수하게 독창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히포크라테스의 인체 이론 위에 구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갈레노스의 주요 저서 중 하나로 17권으로 구성된 『신체 각 부분의 기능에 관하여』가 있다. 갈레노스는 또한 철학과 문헌학에 대해서도 저술했으며, 마찬가지로 해부학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그의 전집은 22권에 달하며, 그는 생애 대부분을 저술에 헌신했다.[110]

플라톤과도 일치하는 갈레노스의 이론은 단일한 창조주에 의한 목적 있는 자연(그리스어 ''physis'' 퓌시스, 영어 "Nature")의 창조를 강조했다. 후대의 기독교도와 무슬림 학자들이 그의 견해를 받아들일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112] 그의 생명에 관한 근원적 원리는 “생기”(프네우마)이며, 후대의 저술가들은 이를 영혼과 연결시켰다. 철학에 관한 그의 저술들은 갈레노스의 충분히 원숙한 교양의 산물이며, 그는 생애를 통해 의학에 대한 철학적 요소를 강조하는 것을 자주 행했다. 그에 따르면, 뇌 속의 동물정기(Pneuma physicon)가 운동, 지각, 감각을 관장한다. 심장의 생명정기(Pneuma zoticon)가 혈액과 체온을 조절한다. 간에 있는 자연정기가 영양 섭취와 대사를 관장한다. 하지만 그는 혈액보다는 오히려 생기가 정맥을 흐른다는 생기주의적 이론(Pneumatist theory)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5. 2. 후대에 미친 영향

갈레노스는 중세 유럽과 르네상스뿐만 아니라 이슬람까지 그 영향을 미쳤다.[136] 9세기 동안 아랍인들은 그리스어 사본을 수집하고 번역했으며, 아랍 의사이자 언어학자인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는 그리스어나 시리아어판에서 자신이 번역한 갈레노스의 업적이 담긴 129가지 문헌의 목록을 만들었다.[136] 11세기 말경에는 후나인 이븐 이스하크의 번역서와 주해서 복사판들을 다시 아랍 의사들이 라틴어로 번역하여 유럽 학자들이 고대 그리스 문화를 깨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136] 15~16세기 의사들은 갈레노스가 기록했던 관찰과 실험들을 그대로 정확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되고 인문주의자들은 그리스어 원본을 직접 라틴어판으로 번역해야겠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르네상스 기간에 부활한 갈레노스의 전통은 현대 의학의 발흥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137]

갈레노스는 당대에 의사이자 철학자로서 전설적인 명성을 누렸다.[79]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그를 "의사 중 최고이며 철학자 중 유일한 존재"라고 묘사했다.[79] 구두 수선공 테오도토스, 아테네우스, 아프로디시아스의 알렉산드로스도 이를 확인해 준다. 7세기 시인 피시다의 게오르기우스는 그리스도를 두 번째이자 간과된 갈렌이라고까지 언급했다.[80] 갈레노는 비잔티움과 아랍 세계, 그리고 유럽에서 17세기 중반까지 의학 이론과 실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81] 팔라디우스 이아트로소피스타는 히포크라테스에 대한 논평에서 히포크라테스가 씨를 뿌리고 갈렌이 거두었다고 말했다.

갈레노스는 그의 전임자들의 업적을 요약하고 종합했으며, 갈레노스의 저술(갈레니즘)을 통해 그리스 의학이 후대에 전해졌다. 갈레니즘은 그리스 의학이 세계에 알려진 수단이 되었으며, 재진술과 재해석의 형태를 취하기도 했다.[97] 그러나 그의 공헌의 완전한 중요성은 사후 오랫동안 인식되지 않았다.[81] 갈레노스의 수사학과 다작은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는 인상을 줄 정도로 강력했다. 갈레니즘이라는 용어는 후대의 사고를 지배하여 더 이상의 발전을 억제했기 때문에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의미를 모두 갖게 되었다.[97]

서로마 제국의 붕괴 후, 라틴 서방에서 갈레노스와 다른 그리스 저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사라졌다.[81] 반대로, 주로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로마 제국의 동부(비잔티움)에서는 율리아누스의 의사였던 오리바시우스가 편찬한 ''요약''과 같이 갈렌의 저술을 보존하고 보급하여 접근성을 높였다. 너튼은 이러한 저자들을 "고대의 의학 냉장고"라고 부른다.[81][97] 고대 후기에는 의학 저술이 이론적인 측면으로 점점 더 기울었고, 많은 저자들이 단지 갈레니즘을 논쟁하는 데 그쳤다. 니시비스의 마그누스는 순수한 이론가였으며, 알렉산드리아의 요한과 라벤나의 아그넬루스도 갈렌의 ''De Sectis''에 대한 강의에서 마찬가지였다.[82] 갈레니즘은 너무 강력해서 히포크라테스와 같은 다른 저자들은 갈렌의 관점에서 보이기 시작했고, 그의 반대자들은 소외되었으며, 아스클레피아디즘과 같은 다른 의학 종파는 서서히 사라졌다.[97]

그리스 의학은 그리스 문화의 일부였으며, 동로마 제국(비잔티움)이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 서부를 지배하는 동안 시리아 기독교인들은 그리스 의학과 접촉했다. 이 지역들은 7세기에 아랍인에 의해 정복되었다. 750년 이후, 이 시리아 기독교인들은 갈렌을 수리아어와 아랍어로 처음 번역했다. 그때부터 갈렌과 일반적인 그리스 의학 전통은 중세와 초기 근대 이슬람 중동에 동화되었다.[81] 에데사의 욥은 갈렌의 36편의 저술을 수리아어로 번역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중 일부는 나중에 후나인 이븐 이삭에 의해 아랍어로 번역되었다.[83]

갈레노스 ()가 등장하는 ''키타브 알-다리야크'', 1225–1250년, 시리아. 비엔나 AF 10, 시리아.




갈레노스의 의학적 접근 방식은 이슬람 세계에서 현재까지도 그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다. 갈레노스의 저술을 아랍어로 번역한 최초의 주요 번역가는 아랍계 기독교인인 후나인 이븐 이삭이었다. 그는 () "잘리노스"의 저술 129편을 아랍어로 번역했다.[85]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알라지와 같은 아랍 자료들은 여전히 새롭거나 비교적 접근하기 어려운 갈레노스의 저술을 발견하는 근원이 되고 있다.[77] 이븐 시나 중세 의학 및 과학 아카데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키타브 일라 아글루칸 피 시파 알암라드''는 갈레노스 문학 작품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이 10세기 사본은 다양한 유형의 열병(Humyat)과 신체의 다양한 염증 질환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중요한 것은 150가지가 넘는 단일 및 복합 제제(식물성 및 동물성 기원)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알 라지의 ''갈레노스에 대한 의문점''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그리고 이븐 주하르와 이븐 알나피스와 같은 의사들의 저술에서 알 수 있듯이,[86] 갈레노스의 저술은 의심 없이 받아들여진 것이 아니라, 탐구를 위한 논쟁의 여지가 있는 기초로 받아들여졌다. 실험과 경험주의에 대한 강조는 새로운 결과와 새로운 관찰로 이어졌고, 이는 알리 이븐 아바스 알마주시, 아부 알카심 알자라위, 이븐 시나(아비센나), 이븐 주하르, 이븐 알나피스와 같은 저술가들에 의해 갈레노스의 것과 대조되고 결합되었다. 예를 들어, 이븐 알나피스의 폐순환 발견은 심장에 대한 갈레노스의 이론과 모순되었다.[87] 갈레노스의 저술, 특히 체액설의 영향은 현대 유나니 의학에서 여전히 강력하며, 현재 이슬람 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인도(공식적으로 인정됨)에서 모로코에 이르기까지 널리 행해지고 있다.[88] 마이모니데스는 갈레노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의학 저술에서 갈레노스를 가장 자주 인용했고 그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의사로 여겼다.[89][90] 인도에서는 많은 힌두 의사들이 페르시아어와 우르두어를 배우고 갈레노스 의학을 배웠다. 힌두 의사들 사이에서 이러한 연구 경향은 17세기에 시작되어 20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Speziale 2018).

11세기부터 서구에는 살레르노 의학교와 함께 12세기 이슬람 의학 서적의 라틴어 번역본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곧 나폴리 대학교와 몽펠리에 대학교의 교육과정에 통합되었다. 그때부터 갈레니즘(Galenism)은 새로운, 의심의 여지없는 권위를 갖게 되었고,[91] 갈레노스는 심지어 "중세 의학의 교황"으로 불리기도 했다.[81] 콘스탄티누스 아프리카누스는 히포크라테스와 갈레노스를 아랍어에서 번역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이 시대에 더 많은 아랍어 문헌 번역이 있었던 것 외에도, 피사의 부르군디오가 번역한 ''De complexionibus''와 같이 그리스어에서 직접 갈레노스의 저술을 번역한 몇 가지 사례가 있었다. 갈레노스의 해부학 및 의학에 관한 저술은 이븐 시나의 ''의학 정전''과 함께 중세 의사의 대학교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이 되었다. 이교도 로마와 달리 기독교 유럽에서는 인체 해부 및 부검을 전면적으로 금지하지 않았으며, 적어도 13세기부터 정기적으로 이러한 검사가 실시되었다.[92][93] 그러나 갈레노스의 영향력은 너무나 컸기 때문에, 해부를 통해 갈레노스의 해부학과 비교하여 이상이 발견되면 의사들은 종종 이러한 이상을 갈레노스의 체계에 맞추려고 노력했다. 이것의 한 예로, 몬디노 데 루이치는 자신의 저술에서 원시적인 혈액 순환을 설명하지만 여전히 좌심실에는 공기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부는 이러한 변화를 갈레노스 시대 이후로 인체 해부학이 변했다는 증거로 제시했다.[94]

갈레노스의 저술을 라틴어로 번역한 가장 중요한 인물은 니콜로 디 데오프레피오 다 레지오였는데, 그는 수년 동안 갈레노스의 저술을 연구했다. 니콜로는 나폴리 왕 로베르토 치하의 앙주 궁정에서 일했다. 니콜로의 번역 중에는 갈레노스의 의학 논문 중 원본이 사라진 부분도 포함되어 있다.[95] 갈레노스의 전집 라틴어 번역본 초판은 브레시아의 디오메데 보나르도가 편집하고 1490년 베네치아의 필리포 핀치가 인쇄하였다.[96]

르네상스와 비잔티움 제국의 멸망(1453년)은 서구로의 그리스 학자들과 사본들의 유입을 가져왔고, 이는 아랍어 주석과 갈레노스의 원본 그리스어 본문을 직접 비교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새로운 학문과 인문주의 운동, 특히 리네이커의 업적은 갈레노스를 포함한 라틴 과학 정전인 ''literae humaniores''를 발전시켰으며, ''자연적 능력에 대하여(De Naturalibus Facultatibus)''는 1523년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의학 과학에 대한 논쟁은 이제 더 보수적인 아랍 전통과 자유로운 그리스 전통이라는 두 가지 전통을 가지게 되었다.[81] 더욱 극단적인 자유주의 운동은 파라켈수스가 바젤 대학교의 의과대학에서 아비케나와 갈레노스의 저서를 상징적으로 불태운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의학에서 권위의 역할에 도전하기 시작했다.[81] 그럼에도 불구하고 갈레노스는 16세기 아토스 산의 그레이트 라브라 식당 벽화에서 볼 수 있듯이 밀레니엄의 위대한 사상가들 중에서도 탁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벽화는 예세 나무 아래에 이교도 현자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갈레노스는 시빌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이에 위치해 있다.[97]

갈레니즘의 최종적인 패배는 파라켈수스의 부정성과 16세기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와 같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해부학자들의 구성주의의 결합으로부터 비롯되었다.[81] 1530년대에 플랑드르의 해부학자이자 의사인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갈레노스의 많은 그리스어 본문을 라틴어로 번역하는 프로젝트를 맡았다. 베살리우스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인체의 구조에 관하여''는 갈레노스의 저술과 형식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갈레노스의 방법과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베살리우스는 인체 해부를 검증 수단으로 사용했다. 베살리우스는 갈레노스의 저술이 원숭이에게는 존재하지만 인간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세부 사항을 묘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야코부스 실비우스와 같은 정통 갈레노스 지지자들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책과 실습 시범을 통해 갈레노스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갈레노스는 자신이 원숭이를 관찰하여(인체 해부는 금지되었음) 인체의 모습을 설명하고 있다고 말했기 때문에, 베살리우스는 인체 해부가 허용되었던 시대에 일했기 때문에 직접 관찰에 대한 묘사라는 갈레노스의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인체의 정확한 세부 사항을 기록한 것으로 자신을 묘사할 수 있었다. 갈레노스는 원숭이의 해부학이 인간과 충분히 유사하여 의사들이 원숭이 해부를 통해 해부학을 배우고 환자의 상처에서 유사한 구조를 관찰하여 인체 해부학을 배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경험주의 모델로 훈련받은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인간 환자의 상처만으로 해부학을 배우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98] 베살리우스의 검사는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와 몬디노 데 루이치의 의학 이론을 반박했다. 베살리우스가 갈레니즘을 뒤엎은 가장 잘 알려진 예 중 하나는 갈레노스가 가르쳤던 것처럼 심장의 심실중격이 투과성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Nat Fac III xv''). 그러나 이것은 2년 전에 미카엘 세르베투스가 그의 운명적인 "''기독교의 회복(Christianismi restitutio)''"(1553년)에서 밝혔지만, 이 책의 사본은 세 권만 남아 있었고 수십 년 동안 숨겨져 있었다.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프랑스 체류 기간 동안 "미셸 드 빌뇌브"라는 이름을 사용했는데, 요한 빈터 폰 안데르나흐[99]에 따르면 베살리우스의 동료 학생이자 파리 대학교에서 가장 뛰어난 갈레니스트였다. 르네상스 시대의 갈레니즘에서 갈레노스의 ''전집(Opera Omnia)'' 판본은 매우 중요했는데, 알딘 출판사의 1525년 베네치아에서의 초판부터 시작되었다.[100] 이어 1541~1542년 베네치아에서 쥐타가 출판했다. 그 날짜부터 1625년까지 14개의 판본이 출판되었다. 리옹에서는 1548년에서 1551년 사이에 한 개의 판본만 제작되었다. 리옹 판본에는 호흡과 혈액 순환에 대한 주석이 있는데, 베살리우스, 케이우스, 또는 야누스 코르나리우스와 같은 이전의 저명한 저자들의 저술을 수정한 것이다. "미셸 드 빌뇌브"는 장 프렐롱과 이 작품에 대한 계약을 맺었고, 세르베투 학자이자 연구자인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곤살레스 에체베리아[101][102]는 국제 의학사 학회[103]에서 수용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 연구 결과는 미셸 드 빌뇌브(미카엘 세르베투스)가 리옹의 프렐롱 판본의 주석 저자라는 결론을 내렸다.[104][105]

인체에 대한 이해가 갈레노스가 남긴 것 이상으로 확장된 또 다른 설득력 있는 사례는 인체 순환의 본질에 대한 이러한 증명과 그 이후 안드레아 체살피노, 아쿠아펜덴테의 파브리치오, 그리고 윌리엄 하비의 연구에서 나왔다.[81] 그러나 갈레노스의 가르침 중 일부, 예를 들어 많은 질병에 대한 치료법으로서의 사혈에 대한 그의 강조는 19세기까지도 영향력을 유지했다.[106] 갈레노스 연구는 활발하고 역동적인 분야로 남아 있으며, 독일 백과사전인 『파울리-비소프 백과사전(Realencyclopädie der Classischen Altertumswissenschaft)』에 힘입어 갈레노스의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71]

로버트 M. 그린(Robert M. Green)이 번역한 그의 저서 사본은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있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107]

2018년, 바젤 대학교(University of Basel)는 16세기 대학교 법학 교수였던 바실리우스 아메르바흐(Basilius Amerbach)의 소장품에 있는 양면에 거울쓰기(mirror writing)가 된 수수께끼의 그리스어 파피루스가 갈레노스의 알려지지 않은 의학 문서이거나 그의 저서에 대한 알려지지 않은 주석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 의학 문서는 "히스테리성 무호흡" 현상을 설명한다.[108]

갈레노스는 히포크라테스의 의학을 르네상스까지 전승했다. 그의 저서 ''On the Elements According to Hippocrates''는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서술하고 있다. 4체액설은 인체가 혈액, 점액, 흑담즙, 황담즙으로 구성된다는 설이며,[111], 이들은 고대의 4원소로 정의되고 사계절과도 대응 관계를 갖는다고 여겨졌다. 그는 이 원리를 바탕으로 이론을 창출했다. 하지만 이들은 순수하게 독창적인 것이라기보다는 히포크라테스의 인체 이론 위에 구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갈레노스의 주요 저서 중 하나로 17권으로 구성된 『신체 각 부분의 기능에 관하여』가 있다. 갈레노스는 철학과 문헌학에 대해서도 저술했으며, 마찬가지로 해부학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그의 전집은 22권에 달하며, 그는 생애 대부분을 저술에 헌신했다.[110]

플라톤과도 일치하는 갈레노스의 이론은 단일한 창조주에 의한 목적 있는 자연(그리스어 ''physis'' 퓌시스, 영어 "Nature")의 창조를 강조했다. 후대의 기독교도와 무슬림 학자들이 그의 견해를 받아들일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112] 그의 생명에 관한 근원적 원리는 “생기”(프네우마)이며, 후대의 저술가들은 이를 영혼과 연결시켰다.

6. 한국의 관점

갈레노스의 저작들은 일본어로 번역되어 교토대학학술출판회(京都大学学術出版会)의 〈서양고전총서(西洋古典叢書)〉 시리즈로 출판되고 있다. 내야마 마사루(内山勝利) 등이 번역한 『갈레노스 자연의 기능에 관하여』, 『갈레노스 히포크라테스와 플라톤의 학설(1)』 등이 간행되었다. 또한, 사카이 타테오(坂井建雄) 등은 『갈레노스 해부학론집』, 『갈레노스 신체 각 부분의 용도에 관하여』를 번역 출판하였다.

니노미야 리쿠오(二宮陸雄)는 『자연의 여러 힘(자연생명력에 관하여)』(『자연의 기능에 관하여』와 동일) 등을 수록한 『갈레노스 자연생명력』을 출간하였다. 가나야마 마리코(金山萬里子)는 갈레노스의 『최고의 의사는 또한 철학자이기도 하다』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고, 츠치야 무츠히로(土屋睦広)는 갈레노스의 『영혼의 능력은 신체의 혼합에 의존한다』, 『자저에 관하여』를 번역하고 주석을 달아 발표하였다.

참조

[1] 문서 Since no contemporary depictions or descriptions of Galen are known to have existed, later artists' impressions are unlikely to have reproduced his appearance accurately.
[2] 논문 Critical Remarks on Codices in which Galen Appears as a Member of the gens Claudia
[3] 웹사이트 Galen http://www.collinsdi[...]
[4] 서적 Life, death, and entertainment in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 서적 Galen on bloodletting: a study of the origins, development, and validity of his opinions, with a translation of the three work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논문 The Chronology of Galen's Early Career
[7] 논문 Galen on the affected parts. Translation from the Greek text with explanatory notes
[8] 서적 Galen on Pharmacology: Philosophy, History, and Medicine : Proceedings of the Vth International Galen Colloquium, Lille, 16–18 March 1995 https://books.google[...] Brill 1997
[9] 논문 Galen on the Brain: Anatomical Knowledge and Physiological Speculation in the Second Century AD Brill
[10] 논문 The Fatal Embrace: Galen and the History of Ancient Medicine https://www.cambridg[...]
[11] 서적 At the Crossroads of Greco-Roman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Papers in Memory of Carin M. C. Green Archaeopress Publishing
[12] 서적 De humani corporis Fabrica, Libri VII https://wayback.arch[...] Johannes Oporinus 2010-08-07
[13] 서적 Andreas Vesalius of Brussels, 1514–156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논문 Girolamo Cardano and the Art of Medical Narrative
[15] 서적 Physiology of the Soul. Mind, Body and Matter in the Galenic Tradition of the Late Renaissance (1550-1630) Brepols
[16] 논문 Ibn al-Nafis, the pulmonary circulation, and the Islamic Golden Age
[17] 서적 That the best physician is also a philosopher with a Modern Greek Translation Odysseas Hatzopoulos & Company: Kaktos Editions
[18] 논문 Medical ethics in a writing of Galen http://hrcak.srce.hr[...] 2008-09-01
[19] 논문 Galen on the ideal of the physician http://archive.samj.[...]
[20] 서적 Physiology of the Soul: Mind, Body and Matter in the Galenic Tradition of Late Renaissance (1550-1630) https://books.google[...] Brepols
[21] 서적 Three Treatises on the Nature of Science Hacket
[22] 논문 Galen's Platonism
[23] 논문 Galen's Critique of Rationalist and Empiricist Anatomy
[24] 논문 The Experimental Foundations of Galen's Teleology https://philpapers.o[...]
[25] 논문 Galen (129–199) https://doi.org/10.1[...]
[26] 웹사이트 γαληνός https://www.perseus.[...]
[27] 웹사이트 Galen and roman medicine https://www.cambridg[...]
[28] 서적 New Testament Studies: Philological, Versional, and Patristic https://books.google[...] Brill
[29] 웹사이트 Galen Biography, Achievements,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2-18
[30] 웹사이트 Hippocrates Collected Works I https://web.archive.[...] 2009-12-11
[31] 논문 Galen and his anatomic eponym: Vein of Galen
[32] 서적 Galen on Food and Die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3] 서적 Making Men: Sophists and Self-Presentation in Ancient Rome Princeton
[34] 서적 Galen and Galenism Ashgate-Variorum
[35] 서적 Greek Medicine J. M. Dent and Sons, Ltd.
[36] 서적 Galen and Galenism Ashgate-Variorum 2002
[37] 서적 Greek Medicine J. M. Dent and Sons, Ltd. 1929
[38] 간행물 Galen and His Enviro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
[39] 논문 Galen the Physician as Physiognomist American Philological Association 1956
[40] 간행물 Galen and the Antonine Plague 1973
[41] 서적 The man and his work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42] 서적 Biblioteca Arabo-sicula Loscher null
[43] 서적 Ancient Medicin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44] 서적 Galien: Introduction générale; Sur l'ordre de ses propres livres; Sur ses propres livres; Que l'excellent médecin est aussi philosophe Les Belles Lettres 2007
[45] 간행물 GALEN https://www.jstor.or[...] 1957
[46] 서적 Galen on Food and Diet Psychology Press 2000
[47] 서적 A History of Medicine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2
[48] 간행물 A medieval fallacy: the crystalline lens in the center of the eye 2016
[49] 서적 Galen on Bloodletting: A study of the origins, development, and validity of his opinions, with a translation of the three works null 1986
[50] 서적 The Scientific Study of Mummies 2003
[51] 서적 Galen on anatomical procedures: De anatomicis administrationibus Geoffrey Cumberlege, Oxford University Press/Wellcome Historical Medical Museum 1956
[52] 간행물 Galen on Anatomical Procedures October 1956
[53] 서적 De usu partium corporis humani, libri VII ex officina Simonis Colinaei 2010-08-07
[54] 간행물 Artificial respiration, the history of an idea October 1971
[55] 웹사이트 BBC – History – Historic Figures: Galen (c. 130 – c. 210) http://www.bbc.co.uk[...] 2020-12-18
[56] 간행물 Discovery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rom Galen to William Harvey: Discovery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July 2011
[57] 간행물 The heart exhibits right to lef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bres of the muscular part of the interventricular septum https://journals.via[...] 2014
[58] 서적 William Harvey and His Ag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59] 간행물 Galen, father of systematic medicine. An essay on the evolution of modern medicine and cardiology 2014
[60] 뉴스 Galen: A Pioneer of Spine Research https://journals.lww[...] 2020-12-18
[61] 간행물 Pneuma between body and soul 2007
[62] 간행물 Galen's anatomy of the soul 1991
[63] 서적 The Cambridge Descartes Lexic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64] 웹사이트 Mapping the Soul in the Instrumental Body: Galen on the Functions of the Parts of the Human Body http://www.topoi.org[...]
[65] 서적 Socrates vs Darwin https://www.christs.[...] Christ's College, Cambridge
[66] 간행물 Plato's View of the Soul https://www.jstor.or[...] 1905
[67] 간행물 Galen and the Stoics: Mortal Enemies or Blood Brothers?. 2007
[68] 서적 The Roman Period and the Middle Ages Pearson Education, Inc. 2009
[69] 간행물 Peripatetic Hypothetical Syllogistic in Galen 2004
[70] 간행물 Galen's Constitutive Materialism https://philpapers.o[...] 2019
[71] 논문 A bibliography of the Galenic Corpus. A newly researched list and arrangement of the titles of the treatises extant in Greek, Latin, and Arabic. 1979-12
[72] 서적 Bleed, blister, puke, and purge : America's medical middle ages https://www.worldcat[...] Zest Books 2018
[73]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World Histor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06-04-14
[74] 웹사이트 Philip van der Eijk: Translating Galen http://www.wellcome.[...]
[75] 웹사이트 Galen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76] 웹사이트 Review of Vivian Nutton (ed.) Galen. On My Own Opinions. Corpus Medicorum Graecorum 5.3.2 Galeni De Proprius Placentis. Bryn Mawr Classical Review http://repository.up[...] 2000-08-24
[77] 논문 The Patient's Choice: A New Treatise by Galen 1990-03-07
[78] 서적 The Writings of Hippocrates and Galen. Epitomised from the Original Latin translations http://oll.libertyfu[...] Lindsay and Blakiston 1846
[79] 논문 Galen in the eyes of his contemporaries 1984
[80] 문서 Hexameron 1.1588f
[81] 서적 Introduction. Galen. On the Natural Faculties 1916
[82] 논문 Studies on late Alexandrian medicine 1935
[83] 서적 Encyclopaedia of Philosophical and Natural Sciences as Taught in Baghdad about A.D. 817, or Book of Treasures https://rucore.libra[...] W. Hefer & Sons 1935
[84] 논문 Socializing Medicine: Illustrations of the Kitāb al-diryāq https://www.jstor.or[...] 2001
[85] 웹사이트 All Books https://press.prince[...]
[86] 논문 Traditional Medicine Among Gulf Arabs, Part II: Blood-letting 2004
[87] 논문 Ibn Al-Nafis and the pulmonary circulation 1978
[88] 웹사이트 Unani Tibb http://www.sciencemu[...] 2015-11-29
[89] 서적 Maimonides
[90] 서적 Maimonides: Life and Thought
[91] 논문 Medicine, 1450–1620, and the History of Science https://www.jstor.or[...] 2012
[92] 서적 The Rise of Early Modern Science: Islam, China, and the West
[93] 논문 Forensic Evidence, Lay Witnesses and Medical Expertise in the Criminal Courts of Late Medieval Italy
[94] 서적 Stories of Great Physicians Whitman 1963
[95] 서적 The Dawn of Humanism in Italy H. K. Lewis & Co. Ltd. 1947
[96] 논문 The Latin Editions of Galen's Opera omnia (1490–1625) and Their Prefaces https://www.academia[...] 2012
[97] 웹사이트 From Galen to Alexander, aspects of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 in late antiquity. Dunbarton Oaks Papers. 38, 1984 http://www.dahsm.med[...]
[98] 논문 Galen's Critique of Rationalist and Empiricist Anatomy 1997
[99] 서적 The love for truth. Life and work of Michael Servetus Navarro y Navarro 2011
[100] 서적 Encyclopedia of the Black Death ABC-CLIO 2012
[101] 논문 Michael Servetus in the 'Opera Omnia' of Galenus of 1548–1551 printed by Jean Frellon 2002
[102] 논문 The edition of Lyon of the "Opera omnia' by Galenus of the printer Jean Frellon (1548–1551) commented by Michael Servetus 2004
[103] 논문 New Discoveries on the biography of Michael De Villeneuve (Michael Servetus) & New discoverys on the work of Michael De Villeneuve (Michael Servetus) 2011-09-09
[104] 서적 The love for truth. Life and work of Michael Servetus Navarro y Navarro 2011
[105] 웹사이트 Michael Servetus Research http://www.michaelse[...]
[106] 서적 Galen on Bloodlet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7] 웹사이트 Selected works of Galen / translated by Robert Montraville Green for Sidney Licht [c. 1953] 1951–1979 http://oculus.nlm.n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108] 웹사이트 Mystery of the Basel papyrus solved https://www.unibas.c[...] University of Basel
[109] 서적 医学の歴史 原書房 2009-11-30
[110]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11] 서적 柑橘類と文明 マフィアを生んだシチリアレモンから、ノーベル賞をとった壊血病薬まで 築地書館
[112]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13]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14]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15] 서적 医学の歴史 講談社 2003-09-10
[116]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17]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18]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19] 서적 近代科学の源をたどる 先史時代から中世まで 朝倉書店 2011-03-25
[120] 서적 50の事物で知る 図説 医学の歴史 原書房 2016-12-20
[121] 저널 The Chronology of Galen's Early Career
[122] 저널 Galen on the ideal of the physician
[123] 웹인용 Hippocrates. Airs, Waters, and Places. http://daedalus.umkc[...] 2011-11-15
[124] 저널 Galen and His Environment
[125] 서적 의학의 문을 연 갈레노스 실천문학 2006-07-15
[126] 서적 의학의 문을 연 갈레노스 실천문학 2006-07-15
[127] 서적 의학의 문을 연 갈레노스 실천문학 2006-07-15
[128] 서적 의학의 문을 연 갈레노스 실천문학 2006-07-15
[129] 웹인용 과학사 개론 http://www.postech.a[...] 포스텍 전자출판 2011-11-26
[130] 서적 의학의 문을 연 갈레노스 실천문학 2006-07-15
[131] 서적 의학의 문을 연 갈레노스 실천문학 2006-07-15
[132] 웹인용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www.iep.utm.e[...]
[133] 저널 A bibliography of the Galenic Corpus 1979-12-01
[134] 웹인용 Corpus Medicorum Graecorum 5.3.2 Galeni De Proprius Placentis http://repository.up[...] 2000-08-10
[135] 웹인용 The Patient's Choice: A New Treatise by Galen http://www.jstor.org[...] 1990
[136] 웹인용 Dear P. Revolutionizing the Sciences: European Knowledge and Its Ambitions http://press.prince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09-14
[137] 서적 Greek Medicine London: J.M. Dent and Song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