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는 1832년에 태어나 1896년에 사망한 그리스의 정치인이다. 그는 외무부 장관과 여러 차례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정치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왕실의 권력 남용을 비판하며 양당제 확립을 주장했고, 도로, 철도, 운하 건설 등 국가 경제 발전을 추진했다. 하지만 국가 부도 위기를 맞아 사임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그는 개혁적인 프로그램과 의회 과반 원칙 도입으로 높이 평가받으며, 오늘날까지도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플리오 출신 - 파나요티스 타흐치디스
파나요티스 타흐치디스는 AEK 아테네에서 데뷔하여 이탈리아 리그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그리스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한 축구 선수이다. - 그리스의 외무장관 - 요안니스 메탁사스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던 요안니스 메탁사스는 1936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의 독재자로 통치하며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펼쳤고, 이탈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며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 그리스의 외무장관 -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는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자유당에서 정계에 입문하여 신민주당 대표를 거쳐 1990년부터 1993년까지 그리스 총리를 역임하면서 경제 정책 추진 및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의 아들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또한 그리스 총리를 역임하고 있다. - 19세기 그리스 사람 - 요안니스 메탁사스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던 요안니스 메탁사스는 1936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의 독재자로 통치하며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펼쳤고, 이탈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며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 19세기 그리스 사람 -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는 1792년 태어나 러시아군 장교로 활동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을 준비하고 발라키아 봉기를 이끌었으나 실패 후 오스트리아에 감금되었다가 사망한 폰토스 그리스인이다.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Charilaos Trikoupis |
직책 | |
군주 | 요르요스 1세 |
임기 시작 | 1893년 10월 30일 |
임기 종료 | 1895년 1월 12일 (구 양식) |
이전 총리 | 소티리오스 소티로풀로스 |
다음 총리 | 니콜라오스 델리얀니스 |
군주1 | 요르요스 1세 |
임기 시작1 | 1892년 6월 10일 |
임기 종료1 | 1893년 5월 3일 (구 양식) |
이전 총리1 | 콘스탄티노스 콘스탄토풀로스 |
다음 총리1 | 소티리오스 소티로풀로스 |
군주2 | 요르요스 1세 |
임기 시작2 | 1886년 5월 9일 |
임기 종료2 | 1890년 10월 24일 (구 양식) |
이전 총리2 | 디미트리오스 발비스 |
다음 총리2 | 테오도로스 델리얀니스 |
군주3 | 요르요스 1세 |
임기 시작3 | 1882년 3월 3일 |
임기 종료3 | 1885년 4월 19일 (구 양식) |
이전 총리3 | 알렉산드로스 쿰운두로스 |
다음 총리3 | 테오도로스 델리얀니스 |
군주4 | 요르요스 1세 |
임기 시작4 | 1880년 3월 10일 |
임기 종료4 | 1880년 10월 13일 (구 양식) |
이전 총리4 | 알렉산드로스 쿰운두로스 |
다음 총리4 | 알렉산드로스 쿰운두로스 |
군주5 | 요르요스 1세 |
임기 시작5 | 1878년 10월 21일 |
임기 종료5 | 1878년 10월 26일 (구 양식) |
이전 총리5 | 알렉산드로스 쿰운두로스 |
다음 총리5 | 알렉산드로스 쿰운두로스 |
임기 시작6 | 1875년 4월 27일 |
임기 종료6 | 1875년 10월 15일 (구 양식) |
군주6 | 요르요스 1세 |
이전 총리6 |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
다음 총리6 | 알렉산드로스 쿰운두로스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832년 6월 11일 (구 양식) |
출생지 | 나프플리오, 그리스 |
사망일 | 1896년 3월 30일 |
사망지 | 칸, 프랑스 |
안장지 | 아테네, 그리스 |
정당 | 근대주의 정당 |
아버지 | 스피리돈 트리쿠피스 |
친척 |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삼촌) |
2. 젊은 시절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는 1832년 나플리온에서 태어났으며, 메솔롱기와 가족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1833년 잠시 그리스 총리를 역임한 스피리돈 트리쿠피스이고, 어머니는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의 여동생인 에카테리니 마브로코르다투였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또한 총리를 역임한 인물이었다.
아테네 대학교에서 법학과 문학을 공부하고 파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1852년 런던의 그리스 사절단 수행원으로 파견되었다. 1863년 임시 대리 대사였으나 외교보다는 정치에 뜻을 두었다. 영국당 지지자였던 가문 배경과 내성적인 성격으로 '영국 사람'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트리쿠피스는 아테네 대학교와 파리에서 법학과 문학을 공부하고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852년 런던에 있는 그리스 공사관 부속관으로 파견되었다. 1863년 특명 전권 공사로 승진했지만, 외교관보다는 정치 경력을 목표로 했다. 트리쿠피스 가문은 영국당 지지자였으며, 그의 내성적인 성격으로 인해 "Ο Άγγλος, 영국인"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865년, 영국이 이오니아 제도를 그리스에 양도하는 협상을 마무리한 후 아테네로 돌아와 1865년 그리스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이듬해 34세의 젊은 나이로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
3. 정치 활동
1865년, 이오니아 제도 할양 협상을 마무리하고 아테네로 돌아와 그리스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이듬해 34세의 나이로 외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총리 취임 후 처음으로 도입한 제도는 선거법 개혁과 의회 과반(dedilomeni) 원칙 확립이었다. 의회 과반 원칙은 국왕이 의회 선거에서 다수 득표를 한 정당의 지도자를 총리로 임명하게끔 규정하는 것이었다. 이 원칙으로 군소 정당들이 합병하면서 그리스에 양당제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의회 과반' 원칙은 이후 모든 그리스 헌법에 삽입되어, 그리스에 근대적인 의회 정치가 들어섰다. 트리쿠피스의 근대주의 정당에 대항한 야당은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가 이끄는 보수적인 민족당이었다.
의회 내 동맹 관계 변화와 잦은 선거 결과 변동으로, 이후 6년간 그리스는 12명의 총리가 집권하였다. 트리쿠피스는 이 짧은 기간 동안 세 번 집권하였다. 1875년 10월 4일 총선은 그리스 선거 사상 가장 공정한 선거로 여겨지는데, 트리쿠피스는 패배했다. 짧은 집권 기간으로 인해 그는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기회가 없었다. 그의 대외 정책은 군대와 함대를 창설하여 남동부 유럽에서 그리스의 주도적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1882년 3월 15일, 세 번째로 총리직에 오르면서 그리스의 재정 기반을 확고히 다지고, 도로, 철도, 항만 건설을 통해 국가 번영을 증진하는 사업을 즉시 추진하였다. 그는 그리스가 근대적인 경제 기반을 갖춘 선진국이 되리라 예견했으나, 19세기 후반 그리스는 아직 가난한 후진국이었다.
트리쿠피스 정부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3년 넘게 집권하며 적극적으로 개혁을 추진할 수 있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 경제 하부 기반을 갖추고 외국의 투자를 끌어들여야 한다고 확신했다. 도로 및 철도 건설 계획은 국내 교통을 향상시켰다. 그가 시행한 가장 중요한 업적은 코린토스 운하 건설 운동을 벌인 것이다. 코린토스 만을 가로질러 리오와 안티리오를 잇는 다리(현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다리) 건설은 당시 그리스 왕국의 기술 및 재정 능력으로는 벅찬 사업이었으며, 한 세기가 훌쩍 넘어서야 건설되었다.
불가리아와 동부 루멜리아 합병으로 군비에 과도한 지출을 하면서 어려움이 커졌다. 그리스는 터키에 힘의 균형이 바뀐 대가를 요구하며 무력을 사용할 준비를 했다. 그러나 열강이 개입하여 피레아스를 봉쇄하면서 그리스의 군사 행동은 막혔다. 트리쿠피스는 그리스 통화의 가치를 단기간에 액면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불행하게도 실행할 수 없는 일이었다.
1885년 총선에서 패했으나, 이듬해 다시 총리직에 복귀하여 경제 및 재정 개혁을 추진하였다.
3. 1. "누가 잘못했는가?" (Τις Πταίει;)
1872년, 트리쿠피스는 개혁적인 의제를 내걸고 제5당을 창당하였다. 1874년, 아테네 일간지 '카이로이'(Kairoi)에 '누가 잘못했는가?'(Τις Πταίει;|티스 프테이;el)라는 제목의 선언문을 발표했다.[7] 이 글에서 그는 그리스 국왕 요르요스 1세가 선거 결과를 무시하고 총리 임명에 개입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트리쿠피스는 정치 불안의 원인이 왕실의 권력 남용에 있다고 주장하며, "공표된 신임"(declared confidence) 원칙을 도입하여 왕실 권력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원칙은 양당제 성립을 통해 정치적 안정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7] 이 논설로 인해 잠시 투옥되었으나, 대중의 인기를 얻는 계기가 되었다.[3]
3. 2. 총리 재임과 개혁
1875년, 트리쿠피스는 자신의 개혁파 신당을 이끌고 원내 다수를 확보했고, 요르요스 1세는 마지못해 그를 총리로 임명하였다.[7] 트리쿠피스가 처음으로 도입한 제도는 선거법 개혁과 의회 과반(dedilomeni) 원칙 확립이었다. '의회 과반' 원칙은 국왕이 의회 선거에서 다수 득표를 한 정당의 지도자를 총리로 임명하도록 규정하는 것이었다. 이 원칙은 군소 정당들이 다수 표를 얻기 위해 합병하면서 그리스에 양당제가 정착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4] '의회 과반' 원칙은 이후 모든 그리스 헌법에 삽입되어 그리스 정치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트리쿠피스의 근대주의 정당에 대항하는 야당은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가 이끄는 보수적인 민족당이었다.
이후 6년간 그리스는 잦은 선거 결과 변동으로 12명의 총리가 바뀌는 등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트리쿠피스는 이 기간 동안 세 번 총리직을 수행했다. 짧은 재임 기간은 개혁 추진에 어려움을 주었지만, 남동부 유럽에서 그리스의 주도적 위치 확보를 위한 군대 및 함대 창설이라는 외교 정책을 추진했다.
1882년, 세 번째 총리 재임 시 트리쿠피스는 도로, 철도, 항만 건설을 통해 국가 경제 발전을 추진했다. 그는 코린토스 운하 건설을 추진했으며, 리오와 안티리오를 잇는 다리(현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다리) 건설을 구상했다.
3. 3. 국가 부도 위기와 정계 퇴진
불가리아와 동부 루멜리아 합병으로 군비 지출이 늘면서 재정난이 심각해졌다. 열강의 개입으로 그리스의 군사 행동은 저지되었다. 1885년 총선에서 패배했지만, 이듬해 다시 총리직에 복귀하여 경제 및 재정 개혁을 추진했다.[6]
여섯 번째 총리 재직 기간(1892년 6월 22일 ~ 1893년 5월 15일) 중, 정당들이 선거 때 약속한 막대한 사업으로 인한 제도적인 부패와 과도한 재정 지출로 그리스의 국고는 바닥났다. 트리쿠피스는 의회에서 "안타깝게도 우리는 파산했습니다.(그리스어: "Δυστυχώς επτωχεύσαμε.")"라는 유명한 연설을 했다. 외채 지급은 중단되었으며, 불필요한 예산은 모두 삭감되었다.[6]
1893년, 다시 총리에 취임하여 1896년 하계 올림픽 계획을 추진했으나, 재정 문제를 우려하여 초기에는 올림픽 개최에 회의적이었다. 그러나 결국 경기 유치를 결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했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임기였다.
트리쿠피스는 그리스의 채권자들과 타협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했다. 그가 제안한 조세안은 극심한 반발을 불러왔으며, 1895년 1월에 사임했다. 넉 달 뒤 총선에서 그와 자신의 근대주의 정당은 패배하였고, 의원직도 잃게 되자 정계에서 은퇴했다.
4. 사망
1895년 이후, 트리쿠피스는 건강이 나빠지고 재정 상태도 어려워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지 못하고 정계를 떠나게 된다.
1896년 4월에 트리쿠피스는 프랑스 칸(파리에서 죽었다는 자료도 있다)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아테네에 매장되었다.
그를 기려, 그리스 정부는 아테네의 중앙 도로 한 곳의 명칭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 그는 1896년 3월 30일 칸에서 사망했으며 아테네에 묻혔다.
5. 평가
트리쿠피스는 개혁적이고 현대적인 정책과 '의회 과반' 원칙 도입으로 그리스 근대 정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5] 그의 이름을 딴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다리와 모든 주요 그리스 도시의 도로가 있다.
트리쿠피스는 반겔리스 자파스로부터 파나티나이코 경기장에서 영구적으로 운동 올림픽 경기를 개최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금을 지원받았음에도(1856년), 스테파노스 드라구미스와 함께 운동 경기 개최에 강력히 반대했다.[5] 그는 농업-산업 올림픽을 선호했으며, 자페이온은 농업-산업 대회를 개최할 목적으로 지어졌다.[5] 그러나 자페이온은 1896년에 펜싱 경기를 개최하며 최초의 실내 올림픽 경기장이 되었고, 1906년에는 최초의 올림픽 선수촌이 되었다.[5]
참조
[1]
웹사이트
Χαρίλαος Τρικούπης: Ο θεμελιωτής της σύγχρονης Ελλάδας
https://www.tovima.g[...]
2023-07-11
[2]
서적
Ways to modernity in Greece and Turkey: encounters with Europe, 1850–195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3]
서적
Old and new Athens by Dimitrios Sicilianos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Aspects of Modern Greek nationalism: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first period of governance of the Liberal Party in Greece (1915–1924) and ‘national integration’
https://www.tandfonl[...]
[5]
문서
The Modern Olympics – A Struggle for Revival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6]
서적
More Than Bricks in the Wall
https://books.google[...]
Springer
[7]
웹사이트
FHW
http://www.fhw.gr/
[8]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9]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10]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11]
문서
"[[추축국 점령기의 그리스|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1941~1944)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