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세가와 헤이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세가와 헤이조는 1745년 태어난 에도 시대의 하타모토로, 화부 도적 개정(火付盗賊改)의 수장과 인족기장(人足寄場) 설립에 기여했다. 그는 젊은 시절 방탕한 생활을 했으나, 센테구미(先手組)의 수장으로 임명된 후, 1787년 로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명으로 화부 도적 개정의 임시직을 맡아 범죄자들을 소탕하며 명성을 얻었다. 1789년에는 인족기장을 설립하여 무숙자들의 자립을 지원하는 등 사회 개혁에도 힘썼다. 말년에는 마치부교(町奉行)가 되기를 희망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1795년 사망했다. 그의 삶은 소설과 드라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5년 사망 - 존 암스트롱
    존 암스트롱은 아일랜드 출신으로 프랑스-인디언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한 미군 장군이자 토목 기술자, 펜실베이니아 주 의회 대표였으며, 키타닝 원정에서의 공훈으로 "키타닝의 영웅"이라 불렸고, 찰스턴 방어 성공, 대륙회의 대표 활동, 미국 헌법 지지, 디킨슨 대학 설립 기여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1795년 사망 - 윤유일
    조선 천주교회 초기 신자 윤유일은 북경 밀사 파견, 주문모 신부 밀입국 지원, 가성직 제도 해체 노력 등 교회 운영과 발전에 기여했으나 을묘박해 때 순교했다.
  • 1745년 출생 - 알레산드로 볼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인 알레산드로 볼타는 전기화학의 선구자로서 최초의 전지인 볼타 전지를 발명하여 전기화학 발전에 기여하고 전압 단위인 볼트의 이름이 되었으며, 메탄 발견 및 전기 용량 연구, 파비아 대학교 교수 재직 등 전기 과학 분야에 공헌하여 나폴레옹 1세로부터 백작 작위를 받았다.
  • 1745년 출생 - 존 제이
    존 제이는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로서 독립 전쟁 중 외교관, 초대 대법원장, 뉴욕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독립 선언과 헌법 제정에 참여, 파리 조약 체결에 기여, 연방주의자 논문 저술, 제이 조약 체결 등 미국 건국과 초기 법치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세가와 헤이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장곡천씨
이름장곡천 선이(長谷川 宣以)
이명데쓰사부로(銕三郎) (어린 시절 이름)
노부타메(宣以) (개명)
헤이조(平蔵) (통칭)
시대에도시대
출생연향 2년 (서기력 1745년)
사망관정 7년 5월 19일 (서기력 1795년7월 5일)
묘소도쿄도신주쿠구스가정의 카이교사
계명해운원전광원일요거사(海雲院殿光遠日耀居士)
관직
막부에도막부
관직니시마루 쇼인반(西丸書院番)
진물반(進物番)
니시마루 도신(徒士|徒頭)
선수 궁두(先手組|先手弓頭)
화부도적개역(火付盗賊改方|火付盗賊改役)
가문
씨족하세가와씨
가족 관계
하세가와 노부오
도무라 시나자에몬의 딸?
배우자오하시 치카히데의 딸
자녀노부요시(宣義) (장남)
마사이(正以) (차남)
딸 (가와노 히로미치 부인)
딸 (와타나베 히사야스 부인)
기타 정보
특기 사항헤이조는 이케나미 쇼타로가 "그것은 제가 만들었습니다"라고 말했듯이, 당시 그렇게 불린 것은 아니며 아다명도 아님.

2. 생애

1745년(엔쿄 2년), 400석의 기하타인 하세가와 헤이조 노부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테츠사부로(銕三郎) 또는 테츠지로(銕次郎)였다. (銕는 철의 이체자) 청년 시절에는 "혼쇼(本所)의 테츠" 등으로 불리며 두려움을 샀다고 한다.

메이와 5년(1768년) 12월 5일, 23세 때 에도 막부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에게 어전 알현하고, 하세가와 가문의 가독 상속인이 되었다. 메이와 8년(1771년)에는 적남 노부요시를 얻었다.

안에이 2년(1773년) 9월 8일, 아버지 사망 후 30세로 가독을 잇고 통칭을 헤이조로 고쳤다. 안에이 3년(1774년)에는 니시마루 쇼인반(쇼군 세자가 거주하는 에도성 니시노마루 고텐에 배치된 쇼인반)의 반사로 임명되었고, 이듬해에는 진물반으로 출역했다.

덴메이 4년(1784년), 39세에 보병조 지휘관인 니시마루 토가시라가 되었다. 덴메이 6년(1786년), 41세에 무관 요직인 센테 활 머리에 임명되었다.

덴메이 7년(1787년) 9월 9일, 42세 때 로주·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인사로 센테구미 수장 중 겨울에만 겸무하는 화부 도적 개정 임시직(加役)이 되었다.[2] 초기에는 평판이 좋지 않았으나, 점차 백성들에게 "혼쇼의 헤이조 님", "지금 오카" 등으로 불리며 인기를 얻었다.[2] 덴메이 8년(1788년) 10월, 정식 화부 도적 개정(本役)이 되었다.[2]

간세이 원년(1789년) 4월, 간토 8개국을 휩쓸던 대도 신도(진도·신다) 토쿠지로 일당을 일망타진하여 명성을 떨쳤다. 간세이 3년(1791년) 5월 3일에는 흉악한 도적단 우두머리 아오이 코조를 체포, 참수했다.[2]

간세이 원년(1789년),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에게 인족기장(人足寄場) 설치를 건의하여 승인받고, 에도 이시카와지마에 수용소를 설치했다.[2]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는 저서 "우하인언"에서 인족기장과 하세가와 노부이에 대해 "이 인족기장 덕분에 무숙인들이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범죄도 줄어들었다. 모든 것이 하세가와 노부이의 공적이다."라고 평가했다.[5]

하세가와 노부이는 마치부교가 되기를 원했으나, 간세이 3년(1791년) 마치부교 자리가 비었을 때 다른 사람이 임명되었다. 노부이는 엣추노카미(사다노부)의 신뢰만이 마음의 지주"라며 근무에 힘썼다고 한다.[2]

간세이 7년(1795년), 노부이는 50세에 병에 걸려 사망했다. 계명(戒名)은 "해운원전광원일요거사"(海運院殿光遠日耀居士)이다.

2. 1. 출생과 성장

1745년(엔쿄 2년), 400석의 기하타인 하세가와 헤이조 노부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의 이름은 불명이며, 『간세이 중수 제 가보』에는 "모씨"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니시오 타다히사는 노부오 영지의 농민 출신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어린 시절 이름은 테츠사부로(銕三郎) 또는 테츠지로(銕次郎)였다. (銕는 철의 이체자)

청년 시절은 방탕하고 무뢰한 풍류객이었던 것 같으며, "혼쇼(本所)의 테츠" 등으로 불리며 두려움을 샀다고 기록에 있다.

2. 2. 가독 상속과 관직 생활

메이와 5년(1768년) 12월 5일, 23세 때 에도 막부 10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하루에게 어전 알현하고, 하세가와 가문의 가독 상속인이 되었다. 시기는 불명이지만 기하타의 오하시 요소베에 친에이의 딸과 결혼하여, 메이와 8년(1771년)에 적남인 노부요시를 얻었다.

안에이 2년(1773년) 6월 22일, 아버지 노부오가 교토에서 사망했다. 노부이는 아버지의 부하들에게 "저는 에도에서 영웅이라고 불리게 해 보이겠습니다."라고 호언하고 에도로 돌아왔다. 같은 해 9월 8일에 30세로 하세가와 가문의 가독을 잇고 통칭을 아버지와 같은 헤이조로 고쳐, 고후신구미 지배 나가타 빈추노카미 조에 들어갔다.

코후신 시대의 노부이는, 아버지가 모아둔 돈도 다 써 버리고, 유곽에 드나들며 당시 유행하던 "오도리"라고 불리는 멋진 옷차림을 했다고 전해지지만, 가독을 계승한 다음 해인 안에이 3년(1774년)에는 400석 취지의 기하타가 막부의 직책에 처음 취임하는 일반적인 코스인 료반 (쇼인반, 코쇼구미)에 반입을 달성하여, 니시마루 쇼인반(쇼군 세자의 거주하는 에도성 니시노마루 고텐에 배치된 쇼인반)의 반사로 임명되었다. 다음 해에는 의례의 자리에서 증여품을 주선하는 진물반으로 출역을 명받았다.

덴메이 4년(1784년), 39세에 보병조의 지휘관인 니시마루 토가시라가 되었다. 덴메이 6년(1786년), 41세에 반방(무관)의 요직인 센테 활 머리에 임명되었다.

2. 3. 히츠케토조쿠아라타메카타(火付盗賊改方) 수장

덴메이 7년(1787년) 9월 9일, 42세 때 노부이(하세가와 헤이조)는 로주·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인사로 센테구미 수장 중에서 겨울 기간에 한하여 겸무를 명받는 화부 도적 개정의 임시직(加役)이 되었다.[2]

초기에는 평판이 좋지 않아 동료들로부터 "하세가와 노부이와 같은 자를, 어째서 가역에 명하는가"라는 불만을 사기도 했다.[2] 그러나 노부이는 부하들에게 술과 음식을 아낌없이 제공하고, 도적을 잡아온 이들에게는 소바를 대접하는 등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점차 백성들로부터 "혼쇼의 헤이조 님", "지금 오카" 등으로 불리며 인기를 얻었다. 『요시노 책자』에는 당시 하세가와는 평판이 좋지 않았지만 백성들에게는 호평을 받았고, 사다노부도 "헤이조라면"이라고 말하게 되었다고 적혀 있다.[2]

덴메이 8년(1788년) 10월, 센테구미 수장 1명이 통년으로 겸무하는 정식 화부 도적 개정(本役)이 되었다.[2]

간세이 원년(1789년) 4월, 간토 8개국을 휩쓸던 대도 신도(진도·신다) 토쿠지로 일당을 일망타진하여 명성을 떨쳤다.

간세이 3년(1791년) 5월 3일(1791년6월 4일)에는 에도 시내에서 강도 및 부녀자 폭행을 반복하던 흉악한 도적단의 우두머리 아오이 코조를 체포, 참수했다. 체포 후 불과 10일 만에 처형한 것은 에도 시대에도 가장 빠른 기록이며, 피해자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이루어진 이례적인 조치였다.[2]

2. 4. 인족기장(人足寄場) 설립

간세이 원년(1789년),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에게 인족기장(人足寄場) 설치를 건의하여 승인받고, 에도 이시카와지마에 수용소를 설치했다.[2] 인족기장은 무숙인, 형기를 마친 부랑자 등에게 대목, 건구, 칠기 등의 기술을 가르쳐 갱생을 꾀한 시설로,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정책이었다. 이는 현대의 교정복지(矯正福祉) 및 사회 복귀 지원과 유사한 개념이다.

하세가와 노부이는 인족기장 운영을 위해 관비를 바탕으로 환전 시세를 이용하여 재정을 확충하는 방안을 마련했다.[4] 환전 가격이 쌀 때 돈을 사들여 유통량을 줄이고, 환전 가격이 올랐을 때 돈을 지출하면 이익이 발생하는데, 그 이익을 인족기장 유지비에 충당했다.[4]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는 저서 "우하인언"에서 인족기장과 하세가와 노부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이 인족기장 덕분에 무숙인들이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범죄도 줄어들었다. 모든 것이 하세가와 노부이의 공적이다. 사람들이 그를 이익을 탐하는 악인이라고 비난하지만, 그런 사람이 아니면 이 사업은 수행할 수 없다."[5]

2. 5. 말년

하세가와 노부이는 마치부교가 되기를 원했고, 간세이 3년(1791년) 마치부교 자리가 비었을 때 물망에 올랐으나 결국 다른 사람이 임명되었다. 노부이가 마치부교가 되지 못한 이유는 반방(番方)의 센테구미(先手組) 조장(組頭)이 겸직하는 화부도적개정(火付盗賊改)에서 마치부교가 된 선례가 없고, 마치부교가 되기 위한 관례인 감찰직(目付)을 맡은 경험도 없었기 때문이었다. 노부이는 아무리 노력해도 더 이상 출세할 수 없음을 한탄하며, "엣추노카미(사다노부)의 신뢰만이 마음의 지주"라며 근무에 힘썼다고 한다.[2]

그러나 그가 신뢰했던 사다노부도 간세이 5년(1793년)에 실각했다. 간세이 7년(1795년), 노부이는 50세에 병에 걸렸다.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로부터 위로의 말과 함께 경옥고(瓊玉膏)를 하사받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도쿄도 신주쿠구 스가마치의 가이쿄지(海暁寺)에 그의 공양비가 있다. 계명(戒名)은 "해운원전광원일요거사"(海運院殿光遠日耀居士)이다. 하세가와 가문의 가독은 적자 노부요시가 이었다.

3. 인족기장(人足寄場) 설립과 운영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자서전 《우하인언》에 따르면, 하세가와 노부타메(하세가와 헤이조)의 가장 큰 업적은 인족기장(人足寄場) 설립에 기여한 것이다. 막부는 이전에도 무숙자 대책을 시행했으나 한계가 있었다. 특히 타누마 시대의 무숙자 양육소는 실패로 끝났다.[4]

간세이 원년(1789년), 노부타메는 "기장기립(寄場起立)"이라는 건의서를 제출하여 인족기장 설치를 제안했고, 사다노부의 승인을 받아 설립을 주도했다. 초기 예산은 쌀 5천 俵, 금 5백 냥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노부타메는 기장 건설 작업에 수용자들을 동원하고, 환전 시세를 이용한 재정 확충 방안을 마련하는 등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노력했다. 이듬해 예산은 쌀 3천 俵, 금 3백 냥으로 줄었지만, 노부타메는 환전 시세를 이용하여 기장 운영비를 충당했다.[4]

기장 내에는 병자 오두막, 관청, 감시 초소, 선착장, 우물, 이나리(稲荷) 신사 등이 설치되었다. 수용자들은 목수, 가구, 칠기, 종이 뜨기, 쌀 찧기, 기름 짜기 등 다양한 작업에 종사하며 기술을 습득했고, 임금의 3분의 1은 출소 후 생계 자금으로 지급되었다.[5]

인족기장의 운영은 경범죄자 및 우범자에 대한 교육적, 자립 지원적 접근이었다는 점에서 현대의 형사 정책 및 사회 복지 정책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사다노부는 《우하인언》에서 인족기장과 노부타메의 공적을 높이 평가했다.[5]

4. 대중문화 속의 하세가와 헤이조

소설 귀평범과장과 이를 원작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만화(작화 사이토 타카오), 텔레비전 애니메이션(TV 도쿄 계열)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있다. '귀평'에서의 인물상에 대해서는 귀평범과장의 등장인물을 참조.

텔레비전 드라마 · 극장 영화판에서 하세가와 헤이조를 연기한 배우로는 마츠모토 하쿠오(초대), 단바 테츠로, 요로즈야 킨노스케, 나카무라 키치에몬(2대), 마츠모토 코시로(10대)가 있다.[6] 작가 이케나미 쇼타로는 8대 마츠모토 코시로를 모델로 헤이조의 인물상을 만들어냈다.

참조

[1] 서적 実録鬼平犯科帳のすべて 新人物往来社
[2] 서적 武士の人事 KADOKAWA 2018-11-10
[3] 서적 寛政重修諸家譜
[4] 서적 通貨の日本史 - 無文銀銭、富本銭から電子マネーまで 中央公論新社 2016-08
[5] 서적 松平定信 吉川弘文館「人物叢書」 2012-09
[6] 웹사이트 "「卯之吉さん!」中村隼人主演のNHK BS時代劇「大富豪同心」が歌舞伎化「役者人生を変えてくれた作品」" https://hochi.news/a[...] 報知新聞社 2024-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