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91년은 청나라 건륭 56년, 일본 간세이 3년, 조선 정조 15년에 해당하며, 미국의 버몬트주가 14번째 주로 연방에 가입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1791년 5월 3일 헌법을 채택하는 등 다양한 사건이 발생한 해이다. 프랑스 혁명 기간으로, 바렌느 사건, 샹드마르 학살, 미터법 채택, 볼테르 유해의 팡테옹 이장 등이 있었으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가 초연되었다. 또한, 윤지충과 권상연이 순교하고, 신해통공이 시행되었으며, 카를 체르니, 제임스 뷰캐넌, 새뮤얼 모스 등이 탄생하고, 존 웨슬리, 미라보 백작,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791년 | |
---|---|
1791년 | |
지도 | |
연도별 사건 | |
예술 및 과학 | 고고학 건축 미술 문학 시 음악 과학 |
국가별 |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캐나다 중국 덴마크 잉글랜드 프랑스 영국 그리스 아일랜드 일본 멕시코 노르웨이 포르투갈 러시아 스코틀랜드 대한민국 스페인 스웨덴 태국 미국 |
지도자 목록 | 국가 지도자 식민지 총독 종교 지도자 |
출생 및 사망 | |
출생 | 1791년 출생 |
사망 | 1791년 사망 |
설립 및 해체 | |
설립 | 1791년 설립 |
해체 | 1791년 해체 |
작품 | |
작품 | 1791년 작품 |
2. 연호
3. 기년
지역 | 국가 | 연호 및 기간 |
---|---|---|
류큐 | 쇼보쿠왕(尚穆王) 40년 | |
청 | 고종 건륭제(高宗 乾隆帝) 56년 | |
조선 | 정조(正祖) 15년, 단기 4124년 | |
베트남 | 서산조 광중 4년 | |
일본 | 간세이 3년, 황기 2451년 | |
기타 | ||
간지 | 신해 | |
불멸기원 | 2333년 - 2334년 | |
이슬람력 | 1205년 - 1206년 | |
유대력 | 5551년 - 5552년 | |
율리우스력 | 1791년 12월 21일 - 1792년 12월 20일 |
4. 사건
- 3월 4일 - 버몬트주가 14번째 미국의 주로 연방 가입하였다.
- 5월 3일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의회가 1791년 5월 3일 헌법을 채택하였다.
- 7월 20일 - 프랑스 혁명: 루이 16세 일가가 해외로 도망치려다 붙잡혔다.[13]
- 9월 3일 -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정부가 절대군주제의 권력을 제한하고 임시 입헌군주제를 도입하였다.
- 9월 30일 -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 피리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초연되었다.
- 프랑스에서 미터법이 고안되었다.
- 12월 8일 - 윤지충·권상연이 전라북도 전주 남문 앞에서 순교(신해박해)하였다.[12]
- 조선에서 신해통공이 시행되었다.
4. 1. 국제 관계
- 영국 의회는 1791년 헌법 조례를 통과시켜 옛 퀘벡 주를 어퍼 캐나다와 로어 캐나다로 분할하였다.[1]
- 미국은 포르투갈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1]
- 보스턴 출신의 존 켄드릭(John Kendrick) 선장이 이끄는 브리간틴(Brigantine)호 ''레이디 워싱턴''호와 브리그(Brig)호 ''그레이스''호가 최초로 일본에 도착한 미국 선박이 되었다.[3][4]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세임은 1791년 5월 3일 헌법을 선포했는데, 이는 유럽 최초의 근대 성문 헌법이다.
- 청나라는 고르카를 원정하였다.
- 대흑야 광태부가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를 알현하였다.
4. 2. 유럽
5월 3일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의회가 1791년 5월 3일 헌법을 채택하였다.[3] 이는 유럽 최초의 근대 성문 헌법이었다.7월 20일 - 프랑스 혁명: 루이 16세 일가가 해외로 도망치려다 붙잡혔다.[13]
9월 3일 -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정부가 절대군주제의 권력을 제한하고 임시 입헌군주제를 도입하였다.
9월 30일 - 모차르트의 오페라 마술 피리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초연되었다.
프랑스에서 미터법이 고안됨.
1월 1일 –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요제프 하이든이 일련의 콘서트를 위해 영국에 도착하다.
1월 12일 – 신성 로마 제국군이 리에주로 재진입하여 리에주 혁명의 종식과 리에주 주교령의 복원을 알리다.
1월 25일 – 영국 의회가 1791년 헌법 조례를 통과시켜 옛 퀘벡 주를 어퍼 캐나다와 로어 캐나다로 분할하다.
3월 2일 – 프랑스 혁명:
3월 – 프랑스 혁명: 프랑스에서 프랑스 국민의회가 도량형 위원회의 권고를 받아들여 미터법을 채택하다.
6월 21일 – 지도 제작을 위해 영국에서 영국측지국이 설립되었다.[5]
8월 6일 - 베를린에서 브란덴부르크 문 준공
10월 1일 – 프랑스 혁명: 프랑스 입법 의회가 소집된다.
10월 19일 – 러시아 제국과 스웨덴(구스타비안 시대) 사이에 드로트닝홀름 조약이 체결되어 두 나라 사이의 동맹이 수립된다.[8][9]
10월 28일 – 프랑스 혁명: 프랑스에서 여성과 시민의 권리 선언이 발표된다.
11월 20일 – 오스트리아 빈에서 오스트리아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심각한 질병으로 인해 15일 후에 생을 마감하게 될 병상에 눕는다.
12월 4일 – 세계 최초의 일요 신문인 <더 옵서버>의 첫 호가 런던에서 발행된다.
12월 5일 – 오스트리아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빈의 자택에서 급성 류머티즘성 열병으로 사망하고 이틀 후 매장된다.
7월 17일 - 프랑스 혁명: 샹 드 마르스 학살
8월 27일 - 프랑스 혁명: 신성 로마 제국·프로이센 왕국이 필니츠 선언을 발표하다.
4. 3. 아메리카
- 3월 4일 - 버몬트주가 14번째 미국의 주로 연방 가입하다.[1]
- 4월 21일 - 미국의 새로운 수도 지역 경계를 구획하는 최초의 40개 수도 지역 경계 표지 중 첫 번째가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의 존스 포인트 등대에 설치되었다.
- 4월 29일~5월 8일 – 최초의 미국 선박인 ''레이디 워싱턴''호와 ''그레이스''호가 일본에 도착했다.[3][4]
- 11월 4일 - 세인트 클레어 전투에서 미국군이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대패하다. 깃털 없는 독수리(Little Turtle, Mihsihkinaahkwa) 추장이 이끄는 마이애미족 전사들과 푸른 재킷(Blue Jacket, Weyapiersenwah) 전쟁 추장이 지휘하는 쇼니족 전사들이 아서 세인트 클레어(Arthur St. Clair) 장군의 군대를 격파하고 630명의 미국 군인과 수백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10]
- 12월 15일 - 미국 권리장전이 발효되다.
4. 4. 아시아
- 12월 8일 - 윤지충·권상연이 전라북도 전주 남문 앞에서 순교하였다. (신해박해)[3][4]
- 조선에서 서양 학문을 금지하였다.
- 신해통공이 있었다.
- 청나라는 고르카를 원정하였다.
- 4월 29일–5월 8일 – 최초의 미국 선박들이 일본에 도착했다. 보스턴 출신의 존 켄드릭(John Kendrick) 선장이 이끄는 브리간틴(Brigantine)호 ''레이디 워싱턴''호와 브리그(Brig)호 ''그레이스''호였다.
- 대흑야 광태부가 러시아 황제 예카테리나 2세를 알현하였다.
4. 5. 문화 및 기타
5. 탄생
- 2월 21일 - 카를 체르니,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1857년 사망)
- 4월 23일 - 제임스 뷰캐넌, 미국의 15대 대통령. (1868년 사망)
- 4월 27일 - 새뮤얼 모스, 모스부호 발명가. (1872년 사망)




- 1월 10일 - 도쿠다이지 사네카타(徳大寺実堅), 에도 시대 후기의 공경 (+ 1858년)
- 1월 15일 - 프란츠 그릴파르처(Franz Grillparzer), 오스트리아 작가 (d. 1872년)
- 1월 28일 - 페르디낭 에롤(Ferdinand Hérold), 프랑스 작곡가 (d. 1833년)
- 1월 28일 - 제임스 스털링(James Stirling), 초대 서호주 주지사·영국 해군 제독 (+ 1865년)
- 2월 10일 - 오타가키 렌게츠(大田垣蓮月), 가인 (+ 1875년)
- 2월 12일 - 피터 쿠퍼(Peter Cooper), 미국 산업가, 발명가, 자선가 (d. 1883년)
- 2월 15일 - 프란체스코 아예츠(Francesco Aiets), 화가 (+ 1882년)
- 2월 16일 - 클로드 푸이에(Claude Pouillet), 물리학자 (+ 1868년)
- 2월 21일 - 존 머서(John Mercer), 영국 화학자, 산업가 (d. 1866년)
- 3월 14일 - 테츠오 소몬(鉄翁祖門), 남화가 (+ 1872년)
- 3월 20일 - 마리 엘렌라이더(Marie Ellenrieder), 독일 화가 (d. 1863년)
- 3월 31일 - 프란치셰크 미레츠키(Franciszek Mirecki), 폴란드 작곡가, 지휘자, 교사 (d. 1862년)
- 4월 3일 - 앤 리스터(Anne Lister), 영국 지주, 일기 작가, 등산가, 여행가, "최초의 현대 레즈비언" (d. 1840년)
- 4월 4일 - 아즈마 가사이(安積艮斎), 주자학자 (+ 1861년)
- 5월 13일 - 마쓰우라 히로미(松浦熈), 제10대 히라도 번주 (+ 1867년)
- 5월 29일 - 시카모치 마사스미(鹿持雅澄), 국학자 (+ 1858년)
- 6월 1일 - 존 넬슨(John Nelson), 미국 변호사 (d. 1860년)
- 6월 17일 - 로베르토 코프레시(Roberto Cofresí), 푸에르토리코의 해적 (+ 1825년)
- 6월 30일 - 펠릭스 사바르(Félix Savart), 프랑스 물리학자 (d. 1841년)
- 7월 13일 - 앨런 커닝햄(Allan Cunningham), 식물학자 (+ 1839년)
- 7월 26일 - 프란츠 크사버 모차르트(Franz Xaver Wolfgang Mozart), 오스트리아 작곡가, 피아니스트 (d. 1844년)
- 9월 5일 - 자코모 메이어베어(Giacomo Meyerbeer), 독일 작곡가 (d. 1864년)
- 9월 14일 - 프란츠 보프(Franz Bopp), 언어학자 (+ 1867년)
- 9월 21일 - 세체니 이슈트반(Széchenyi István), 헝가리 왕국의 정치가 (+ 1860년)
- 9월 23일 - 요한 프란츠 엥케(Johann Franz Encke), 독일 천문학자 (d. 1865년)
- 9월 23일 - 테오도어 쾨르너(Theodor Körner), 독일 작가, 군인 (d. 1813년)
- 9월 26일 - 테오도르 제리코(Théodore Géricault), 화가 (+ 1824년)
- 9월 29일 - 사나다 유키쓰나(真田幸貫), 에도 막부 로쥬·마쓰모토 번주 (+ 1852년)
- 10월 3일 - 마쓰다이라 나리쓰네(松平斉恒), 제8대 마쓰에 번주 (+ 1822년)
- 10월 4일 - 레오폴트 폰 헤닝(Leopold von Ranke), 철학자 (+ 1866년)
- 10월 10일 - 마쓰다이라 사다나가(松平定永), 시라카와 번주·쿠와나 번주 (+ 1838년)
- 10월 29일 - 존 엘리엇슨(John Elliotson), 영국 의사 (d. 1868년)
- 11월 11일 - 요제프 문징거(Josef Munzinger), 스위스 연방평의회 의원 (d. 1855년)
- 12월 1일 - 시마즈 나리오키(島津斉興), 제10대 사쓰마 번주 (+ 1859년)
- 12월 7일 - 페렌츠 노박(Ferenc Novák), 헝가리 슬로베니아계 가수 수집가이자 사제 (d. 1836년)
- 12월 12일 - 마리아 루이자(Maria Luigia),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1세의 황후·파르마 공국 여공 (+ 1847년)
- 12월 24일 - 외젠 스크리브(Eugène Scribe), 극작가·소설가 (+ 1861년)
- 추정 날짜 - 앙리케타 파베즈(Enriqueta Favez), 스위스 태생 의사, 외과의 (d. 1856년)
- 월일 불명 - 이치카와 단주로 7세(市川團十郎 (7代目)), 가부키 배우 (+ 1859년)
6. 사망

- 4월 24일 - 벤자민 해리슨 5세, 버지니아 주지사 (1726년~)
- 5월 9일 - 프랜시스 호프킨슨, 미국 독립 선언 서명자 (1737년~)
- 6월 4일 (寛政3년 5월 3일) - 아오이 코조, 에도 시대의 도둑
- 7월 12일 (寛政3년 6월 12일) - 모리 하루치카, 제9대 주슈 번 번주 (1754년~)
- 7월 17일 (寛政3년 6월 17일) - 마쓰오카 세이라, 하이쿠 시인 (1740년~)
- 7월 22일 (寛政3년 6월 22일) - 쓰가루 노부아키, 제8대 히로사키 번 번주 (1762년~)
- 8월 23일 - 잔느 드 라 모트 발루아, 다이아몬드 목걸이 사건 주모자 (1756년~)
- 10월 16일 - 그리고리 포템킨, 러시아 제국 육군 원수, 크림 총독 (1739년~)
- 11월 24일 (寛政3년 10월 29일) - 나카무라 우타에몬 (초대), 가부키 배우 (1714년~)
- 12월 3일 (寛政3년 11월 8일) - 사카이 다다카, 에도 막부 와카네요시, 츠루가 번주 (1715년~)
- 12월 5일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작곡가 (1756년~)

참조
[1]
서적
Harper's Encyclopaedia of United States History from 458 A. D. to 1909
Harper & Brothers
[2]
서적
The Hutchinson Factfinder
Helicon
[3]
웹사이트
First Encounters Between the U.S. and Japan - John Kendrick...
https://www.ny.us.em[...]
Consulate General of Japan in New York
2022-09-03
[4]
웹사이트
Logbook for Brig "Grace" (1791)
https://duxburyhisto[...]
Duxbury Rural & Historical Society
2022-09-03
[5]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Ordnance Survey of Great Britain
http://www.charlescl[...]
[6]
웹사이트
The Pittsfield "Baseball" Bylaw of 1791: What It Means
https://ourgame.mlbl[...]
2011-08-03
[7]
웹사이트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iep.utm.[...]
[8]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9]
학술지
The Commonwealth of Poland towards Russia in the final stage of the Great Diet (1791–1792)
https://journals.ind[...]
2017-11-05
[10]
서적
Red Dreams, White Nightmares: Pan-Indian Alliances in the Anglo-American Mind, 1763–1815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1]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Marie Harel
http://www.camembert[...]
2020-12-06
[12]
웹사이트
Interior of Governors Palace, Algiers, Algeria
http://www.wdl.org/e[...]
2013-09-25
[13]
서적
『ギヨタンが、人道的な首切り装置を提案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