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음 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하음 전씨(河陰 田氏)는 한국의 성씨로,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을 본관으로 합니다.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854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조 및 역사:하음 전씨의 시조는 전균(田畇)입니다. 전균은 담양 전씨(潭陽 田氏) 시조인 전득시(田得時)의 후손입니다. 그는 조선 세종 때 동판내시부사(同判內侍府使)를 지냈고, 문종 때 동지내시부사(同知內侍府使)가 되었습니다. 1453년(단종 1년)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공을 세워 수충위사협찬정난2등공신(輸追衛社協贊二等功臣)으로 책록되고 강천군(江川君)에 봉해졌습니다. 1455년(세조 1년) 세조 즉위 후 좌익2등공신(左翼二等功臣)에 책록되었고, 판내시부사(判內侍府使)로 승진, 하음군(河陰君)에 봉해지고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이르렀습니다.
본관 유래:하음(河陰)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었던 옛 지명입니다. 고구려 시대에는 동음내현(冬音奈縣) 또는 아음현(牙音縣)으로 불렸다가 통일신라 시대에 호음현(沍陰縣)으로 바뀌었습니다. 고려 태조 때 하음현(河陰縣)으로 고쳐 개성(開城) 관할에 두었다가, 1413년(태종 13년)에 현을 폐지하고 강화(江華)에 통합되었습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하음면은 간점면과 병합하여 하점면(河岾面)으로 개칭되었습니다.
주요 인물: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로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역과 6명, 의과 7명, 음양과 11명, 율과 12명 등 총 39명이 있습니다.


  • 전봉(田鳳, 1617년생): 무과 효종 2년(1651) 별시 병과
  • 전재풍(田載豊, 1762년생): 생원진사시 헌종 1년(1835) 증광시 이등
  • 전승우(田承雨, 1518년생): 생원진사시 명종 19년(1564) 식년시 이등
  • 전사홍(田嗣洪): 역과 인조 5년(1627) 식년시
  • 전재순(田在舜)
  • 전만구(田萬區)
  • 전만정(田萬井)
  • 전준설(田俊說)
  • 전수발(田秀發)
  • 전광순(田光淳)


하음 전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하음 전씨
河陰田氏
한자河陰田氏
나라한국
관향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시조전균(田畇)
인구1,854명
년도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