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집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집트는 고대 이집트어 "북쪽"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나일강 삼각주 지역을 가리킨다. 고대에는 여러 지역과 노메로 나뉘었으며, 멤피스가 수도였다. 하이집트는 지중해의 영향으로 상이집트보다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20개의 노메로 구성되었다. 기원전 3600년경 농업 기반의 문화를 시작으로 급속도로 발전했으며, 상이집트와 통합 과정을 거쳐 나르메르 왕에 의해 통일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집트 - 나일강 삼각주
나일강 삼각주는 이집트 북부의 광대한 충적 평야로 나일강이 지중해로 흘러들면서 형성되었고 비옥한 토지를 제공하는 이집트 농업의 중심지이지만,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식과 토지 손실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하이집트 - 멤피스 (이집트)
멤피스는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부터 고왕국 시대까지 수도였으며 프타 신 숭배의 중심지였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이집트의 지리 - 이집트 표준시
이집트 표준시는 시대에 따라 카이로 평균시, 동유럽 표준시(EET, UTC+2), 서머타임(UTC+3)을 사용하는 등 변화를 거쳤으며, 2023년부터 다시 서머타임을 시행하고 있다. - 이집트의 지리 - 시나이반도
시나이반도는 수에즈만과 아카바만 사이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반도로,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연결하며,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터키석 채굴지로, 현대에는 이집트의 행정 구역, 역사적, 종교적 유적지, 해변 휴양지로 알려져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다. - 역사적 지역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역사적 지역 - 안티오키아
안티오키아는 기원전 300년경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가 건설한 헬레니즘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 동방의 주요 도시이자 초기 기독교의 중심지였으며, 526년 대지진과 페르시아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현재는 터키 안타키아로 남아 있다.
하이집트 |
---|
2. 명칭
하이집트는 고대 이집트어 ''mḥw'' ("북쪽")에서 유래했다.[1] 고전 시대와 중세 시대에는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이 ''Κάτω Αἴγυπτος'' 또는 ''Aegyptus Inferior'' ("하(下)이집트")라고 불렀다.[1] 콥트인들은 ''Tsakhet'' () 또는 ''Psanemhit'' () ("북쪽 지역")이라는 옛 이름을 사용했다.[1]
하이집트(下)는 나일강이 지중해로 흘러 들어가면서 형성된 비옥한 삼각주 지역이다. 오늘날 나일 강은 삼각주를 통해 주로 두 개의 주요 수로를 형성하는데, 서쪽의 로제타(Rashid) 지점과 동쪽의 다미에타 지점이다. 복잡한 수로와 운하망이 발달하여 물이 풍부하다.
하(下)이집트는 노메(Nome)라고 불리는 20개의 구역으로 나뉘었으며, 이 조직은 시대에 따라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6] 엘리스트에 첫 번째 구역이 있었다. 하(下)이집트의 수도는 멤피스였으며, 수호 여신은 코브라로 묘사된 와젯이었다.[6] 하(下)이집트의 상징은 붉은 왕관 ''데슈렛''이었고, 파피루스와 벌이 그 상징이었다.[6] 상(上)이집트와 통일 이후에는 ''두 여신''인 와젯과 독수리로 묘사된 네크베트가 고대 이집트 전체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6]
하(下)이집트는 20개의 노메(Nome)로 구성되었다. 각 노메는 고유한 명칭, 주요 도시, 수호신을 가지고 있었다.
[1]
웹사이트
TM Places
https://www.trismegi[...]
2019-11-16
하이집트는 여러 지역 또는 노므(nome)( )로 세분되었는데, 서쪽에는 ''Niphaiat'' (, ), 동쪽에는 ''Tiarabia'' (), 북동쪽에는 ''Nimeshshoti'' (), 그리고 북쪽에는 바슈무르( )가 있었다.[1] 샹폴리옹은 델타 중앙에 ''Petmour'' ()[2]을 추가했는데, 이는 비잔티움의 스테파누스가 언급한 에 기반한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별개의 지역인지 아니면 바슈무르라는 이름의 그리스식 표현인지는 불분명하다.[3]
이슬람 정복 이후, 델타 중앙 지역은 "시골, 농촌 지역"을 의미하는 알-리프()로 불렸다. 이는 고대 이집트어 ''r-pr'' ("신전")에서 유래했는데, 농촌 지역이 신전에 의해 관리되었기 때문이다.[4] 동부 지역은 "가장자리"를 의미하는 알-하우프()로 불렸다.[5]
3. 지리
지중해의 영향으로 상이집트보다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기온 변화가 적고 강수량이 더 많다.
4. 역사
기원전 3600년경, 나일 강을 따라 네올리식 이집트 사회가 농작물 재배와 가축 사육을 기반으로 한 문화를 발전시켰다.[6] 기원전 3600년 직후, 이집트 사회는 급속도로 발전하여 정교한 문명으로 향했다.[7] 남부 레반트의 토기와 관련된 새롭고 독특한 토기가 이 시기에 등장했다. 이 시기에 구리의 광범위한 사용이 일반화되었다.[7] 메소포타미아의 햇볕에 말린 벽돌 제조 과정과 건축 기술이 이 시기에 유행했다.[7]
이러한 문화적 발전과 동시에 상(上)나일 강 또는 상 이집트의 사회와 마을을 통합하는 과정이 진행되었다. 동시에 나일 삼각주 또는 하(下)이집트의 사회도 통합 과정을 거쳤다.[7] 상(上)이집트와 하(下)이집트 사이의 전쟁은 빈번하게 발생했다.[7] 나르메르 왕이 델타 지방의 적들을 물리치고 상(上)이집트와 하(下)이집트 왕국을 통일했다.[8]
팔레르모 돌(Palermo stone)에는 나르메르 이전 하(下)이집트를 다스렸던 여러 왕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9] 헤세키우(Hsekiu),[9] 카유(Khayu),[9] 티우(Tiu (pharaoh)),[9] 테쉬(Thesh),[9] 네헤브(Neheb),[9] 와즈너(Wazner),[9] 멕(Mek).[9]
시나이 반도와 하(下)이집트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확인된 왕들도 있다:[9] 이중 매(Double Falcon), 악어.
5. 하(下)이집트의 노메
번호 고대 이집트 명칭 주요 도시 현대 도시명 영어 번역 수호신 1 이네부헤지(Inebu-hedj) 이네브 헤지/멘-네페르/멘페 (멤피스) 밋 라히나 흰 벽 프타(Ptah) 2 헨수(nome)(Khensu (nome)) 켐 (레토폴리스(Letopolis)) 아우심 암소의 넓적다리 호루스(Horus) 3 아멘트(nome)(Ament (nome)) 이무(아피스) 콤 엘-히스 서쪽 하토르(Hathor) 4 자피-레스(Zapi-Res) 프트케카 탄타(Tanta) 남쪽 방패 소베크(Sobek), 이시스(Isis), 아문(Amun) 5 자피-메(Zapi-Meh) 자우 (사이스) 사 엘-하가르 북쪽 방패 네이트(Neith) 6 카셋(nome)(Khaset (nome)) 카수 (크소이스(Xois)) 사카 산악 황소 아문-라(Amun-Ra) 7 아-멘트(A-ment) (헤르모폴리스 파르바, 메텔리스) 다만후르(Damanhur) 서쪽 작살 후 8 아-브트(A-bt) 트체쿠/페르-아툼 (헤로온폴리스, 피톰(Pithom)) 텔 엘-마스쿠타(Tell el-Maskhuta) 동쪽 작살 아툼(Atum) 9 아티(nome)(Ati (nome)) 제드 (부시리스) 아부 시르 바라 안드제티(Andjeti) 오시리스(Osiris) 10 카-켐(Ka-khem) 훗-헤리-이브 (아트리비스(Athribis)) 반하(Banha) (텔 아트립) 검은 황소 호루스(Horus) 11 카-헤셉(Ka-heseb) 타레무 (레온토폴리스(Leontopolis)) 텔 엘-우리담 헤셉 황소 이시스(Isis) 12 테브-카(Theb-ka) 트제브누트제르 (세벤니토스(Sebennytos)) 사마누드 송아지와 암소 오누리스(Onuris) 13 헤크-앗(Heq-At) 이우누(Iunu) (헬리오폴리스) 마테리아 (카이로 교외) 번영하는 홀 라(Ra) 14 켄트-압트(Khent-abt) 트자루 (실레, 타니스(Tanis)) 텔 아부 세파 가장 동쪽 호루스(Horus) 15 테후트(Tehut) 바'흐/웨프레흐위 (헤르모폴리스 파르바) 바클리야(Baqliya) 이비스(Ibis) 토트(Thoth) 16 카(nome)(Kha (nome)) 제데트 (멘데스(Mendes)) 텔 엘-루브 물고기 바네브제데트(Banebdjedet) 또는 하트메히트(Hatmehyt) 17 세마베흐데트(Semabehdet) 세마베흐데트 (디오스폴리스 인페리어(Diospolis Inferior)) 텔 엘-발라문(Tell el-Balamun) 왕좌 아문-라(Amun-Ra) 18 암-켄트(Am-Khent) 페르-바스테트 (부바스티스(Bubastis)) 텔 바스타 (자가지그(Zagazig) 근처) 남쪽의 왕자 바스테트(Bastet) 19 암-페후(Am-Pehu) 자'넷 (레온토폴리스 타니스) 텔 네베샤(Tell Nebesha) 또는 산 엘-하가르 북쪽의 왕자 우아체트(Uatchet) 20 소프두(nome)(Sopdu (nome)) 페르-소프두 사프트 엘-힌나(Saft el-Hinna) 깃털 달린 매 소프데트(Sopdet)
6. 현대의 하(下)이집트
참조
[2]
서적
L'Égypte sous les pharaons, ou recherches sur la géographie, la religion, la langue, les écritures et l'histoire de l'Égypte avant l'invasion de Cambyse
Bure
[3]
웹사이트
Schwartze, Moritz Gotthilf: Das alte Aegypten oder Sprache, Geschichte, Religion und Verfassung des alten Aegyptens: nach den altägyptischen Original-Schriften und den Mittheilungen der nichtägyptischen alten Schriftsteller (Band 2) (Leipzig, 1843)
https://digi.ub.uni-[...]
2022-11-29
[4]
웹사이트
ريف - Wiktionary
https://en.wiktionar[...]
2021-05-28
[5]
웹사이트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Egypt - Coptic Wiki
https://coptic-wiki.[...]
2021-05-28
[6]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Charles Scribner's Sons Publishing
[7]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Charles Scribner's Sons
[8]
서적
The World of Ancient Times
Charles Scribner's Sons Publishers
[9]
서적
[10]
서적
古代エジプトを知る事典
東京堂出版
2005-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