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소포타미아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의 지역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 지역은 세계 4대 문명 중 하나로, 기원전 4000년경부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까지 수메르, 아카드,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등 다양한 문명이 번성했다. 메소포타미아는 쐐기 문자, 법전, 수학, 천문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이는 현대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메소포타미아의 역사는 선사 시대부터 고전 고대, 후기 고대를 거쳐 이슬람 제국, 영국의 위임 통치 시대를 지나 현재의 이라크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동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이라크의 지리 - 쿠르드 자치구
쿠르드 자치구는 이라크 북부의 자치 지역으로 에르빌, 술레이마니야, 두호크, 할라브자 4개 주로 구성되어 걸프 전쟁 이후 자치를 구축했으나 내전, 영토 분쟁, ISIL 침공 등 격변을 겪었으며 독립 주민투표가 거부된 후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으나 석유 산업 의존도, 소수민족 차별, 인권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다민족, 다문화 지역이다. - 이라크의 지리 - 펜드로
펜드로는 이라크 북부의 쿠르드족 역사와 관련된 지역으로, 바르잔 봉기 참여, 이라크 중앙 정부와의 분쟁 중심지, 터키군-PKK 교전으로 인한 파괴 등을 겪었으나 재건되었으며, 해발 2,115미터의 산악 지형에 덥고 습한 대륙성 기후를 가지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 이라크의 고대사 - 카라케네
카라케네는 페르시아만 연안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파르티아 제국의 봉신국으로서 무역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그리스 및 아람 문화가 혼합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다가 사산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 이라크의 고대사 - 로마-파르티아 전쟁
로마-파르티아 전쟁은 로마와 파르티아가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3세기 초까지 패권과 아르메니아 지역의 영향력을 두고 벌인 일련의 전쟁으로, 카르해 전투, 필리피 전투,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등 승패를 거듭하며 공방전을 펼쳤다.
메소포타미아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지역 | 티그리스강 및 유프라테스강 유역 |
시대 | 기원전 4000년 ~ 기원전 600년 |
주요 유적 | 우루크 우르 바빌론 |
하위 문명 | 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
관련 문명 | 엘람 |
로마자 표기 | Mesopotamia |
역사 | |
선사 시대 | 우바이드 문화 하수나 문화 할라프 문화 할라프-우바이드 과도기 사마라 문화 (에리두) 우루크 시대 젬데트 나스르 시대 |
청동기 시대 | 초기 왕조 시대 수메르 하마지 아시리아 아카드 제국 구티족 통치 신수메르 제국 이신-라르사 시대 시무룸 바빌로니아 바빌론 제1왕조 카시트인 중기 아시리아 제국 신아시리아 제국 신바빌로니아 제국 |
철기 시대 | 아케메네스 아시리아 셀레우코스 바빌로니아 파르티아 바빌로니아 로마 메소포타미아 사산조 아소리스탄 |
중세 시대 | 이슬람 정복 라시둔 칼리파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압바스 칼리파국 함단 왕조 부와이흐 아미르국 마르완 왕조 우카일리 왕조 알-마제디 아이유브 왕조 셀주크 제국 아제르바이잔 아타베그 젠기 왕조 일 한국 자라이르 왕조 티무르 제국 카라 코윤루 아크 코윤루 |
근세 시대 | 사파비 왕조 오스만 이라크 맘루크 왕조 |
현대 이라크 | 영국 위임통치령 이라크 이라크 왕국 이라크 공화국 (1958–68) 바트당 통치 (1968–2003) 점령 (2003–11) 최근 역사 |
언어 | |
아랍어 | الرافدين |
그리스어 | Μεσοποταμία |
2. 어원
메소포타미아(Μεσοποταμία|메소포타미아grc)는 '강들 사이의 땅'을 뜻하며, 고대 그리스어 어근 μέσος|메소스grc ('중간')와 ποταμός|포타모스grc ('강')에서 유래하였다.[6] 이는 '강들 사이의 (땅)'으로 번역되며, 아마도 더 오래된 아람어 용어를 번역한 것일 가능성이 높고, 아람어 용어 자체는 아카드어 ''birit narim''을 번역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 용어는 그리스어 칠십인역(기원전 250년경)에서 히브리어와 아람어에 해당하는 ''Naharaim''을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 ''메소포타미아''라는 명칭을 사용한 더 이른 시기의 그리스어 자료는 서기 2세기 후반에 쓰여졌지만, 알렉산더 대왕 시대의 자료를 언급하는 ''알렉산더의 아나바시스''에 분명하게 나타난다. ''아나바시스''에서 메소포타미아는 북부 시리아의 유프라테스강 동쪽 지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메소포타미아의 역사는 기원전 4000년경 이라크 남부에서 군소 도시들이 출현하면서 시작되어 기원전 400년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점령될 때까지 이어진다. 이 시기 동안 우루크, 니푸르, 니네베, 바빌론 등의 도시와 아카드 왕국, 우르 제3왕조, 아시리아 제국 등 주요 영토 국가들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존재했다.
아카드어 용어 ''biritum/birit narim''은 비슷한 지리적 개념에 해당했다.[7] 나중에, ''메소포타미아''라는 용어는 유프라테스강과 티그리스강 사이의 모든 땅에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시리아의 일부 지역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이라크와 남동부 터키를 포함하게 되었다.[8] 유프라테스강 서쪽의 인접한 스텝과 자그로스 산맥의 서쪽 부분도 종종 더 넓은 의미의 ''메소포타미아''에 포함된다.[9][10][11]
3. 지리
메소포타미아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의 땅을 포함하며, 두 강 모두 인근 아르메니아 고원에서 발원한다. 두 강 모두 수많은 지류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전체 강 시스템은 광대한 산악 지역을 배수한다. 메소포타미아의 육로는 티그리스 강둑이 자주 가파르고 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프라테스 강을 따라간다. 이 지역의 기후는 반건조 기후이며, 북쪽에는 광대한 사막이 펼쳐져 있고, 남쪽에는 약 15000km2 규모의 습지, 석호, 갯벌, 갈대밭 지역이 이어진다. 극남부에서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이 합쳐져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든다.
건조한 환경은 북부의 우기 농업 지역에서부터 남부의 관개 농업이 필수적인 지역까지 다양하다. 이 관개는 높은 지하수면과 북부 자그로스 산맥의 높은 봉우리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발원지인 아르메니아 고원의 눈이 녹은 물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관개의 유용성은 운하 건설 및 유지에 필요한 충분한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으며, 이는 초기부터 도시 정착지와 중앙 집중식 정치 권력 시스템의 발전을 촉진했다.
이 지역 전체의 농업은 유목 목축업에 의해 보완되어 왔는데, 천막에 사는 유목민들은 건조한 여름철에는 강가의 목초지에서, 습한 겨울철에는 사막 가장자리의 계절적인 방목지로 양과 염소(그리고 나중에는 낙타)를 몰았다. 이 지역은 일반적으로 건축용 돌, 귀금속, 목재가 부족하여 역사적으로 농산물의 장거리 무역에 의존하여 이러한 물품을 외곽 지역에서 확보해왔다. 이 지역 남쪽의 습지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복잡한 수상 어업 문화가 존재해 왔으며, 문화적 다양성에 기여했다.
문화 시스템의 주기적인 붕괴는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했다. 노동력 수요는 때때로 인구 증가를 초래하여 생태적 수용력의 한계를 넘어섰으며, 기후 불안정이 발생하면 중앙 정부가 붕괴되고 인구가 감소할 수 있다. 또는 주변의 산악 부족이나 유목민의 침략에 대한 군사적 취약성으로 인해 무역 붕괴와 관개 시스템의 방치가 발생했다. 마찬가지로 도시 국가 간의 구심적 경향은 전체 지역에 대한 중앙 권력이 부과될 때 일시적인 경향이 있었으며, 지역주의는 권력을 부족이나 더 작은 지역 단위로 분열시켰다.[16] 이러한 경향은 현재 이라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4. 역사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로는 우르의 왕, 아카드 제국을 세운 사르곤 대왕, 고바빌로니아 제국을 건설한 함무라비, 아시리아 제국을 건설한 티글라트팔라사르 1세 등이 있다.
기원전 5000년경부터 기원전 600년까지를 ''고대 메소포타미아''로 분류하며, 이 시기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세분된다.
고대 근동의 선사 시대는 구석기 시대 초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우루크 4기(기원전 4천년기 후반경)에 그림 문자였던 원시 설형 문자가 등장하였다. 기원전 3천년기 초, 초기 왕조 시대 왕들에 대한 설형 문자 기록이 나타나면서 실제 역사적 사건과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고대 역사가 기록되기 시작했다. 메소포타미아의 역사는 기원전 6세기 후반 아케메네스 제국의 등장, 또는 기원후 7세기 후반 무슬림의 정복과 칼리파 건설로 끝나며, 이 시점부터 이 지역은 이라크로 알려지게 되었다.
메소포타미아는 고대 이집트의 나일 강 유역, 인도 아대륙의 인더스 문명, 고대 중국의 황하 유역과 함께 문자가 발명된 네 개의 강 유역 문명 중 하나였다.
독일의 고대 묘지에서 발견된 8,000년 된 초기 농부들의 유골에서 채취한 DNA를 분석한 과학자들은, 이 DNA가 현대 터키와 이라크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DNA와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했다.[17]
4. 1. 선사 및 원사 시대
메소포타미아의 선사 및 원사 시대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4. 2. 초기 청동기 시대
4. 3. 중기 청동기 시대
4. 4. 후기 청동기 시대
4. 5. 철기 시대
4. 6. 고전 고대
4. 7. 후기 고대
5. 사회
메소포타미아는 수메르인의 문명이 토대가 되었고 아카드, 아무르인들의 문명이 가미되었다. 화폐는 쓰이지 않아서 물물교환이 이루어졌다.
당시 수메르의 정치사회구조는 귀족, 평민, 노예로 구성되었다. 왕, 왕족, 고위 관료, 고위 성직자들로 구성된 귀족들은 정치권력과 거대한 토지를 소유했고, 높은 신분을 유지했다. 한편 평민들은 토지의 소유나 처분이 가능했고, 신분을 살 수 있었으며, 전쟁포로나 외지인, 범죄자 그리고 채무자들 거의 대부분은 노예였다. 또한 채무 때문에 노예가 된 사람은 3년 후에 일반인으로 복귀가 가능했지만, 노예는 주인에게 계속 복종해야했다.
메소포타미아는 우루카기나(Urukagina), 리피트 이슈타르(Lipit Ishtar), 함무라비(Hammurabi)의 연이은 법전에서 보여주듯이 역사를 거치면서 점점 더 가부장적 사회가 되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더 강력한 사회였다. 예를 들어, 가장 초기 수메르 시대에는 남성 신의 '엔'(en) 즉, 대사제가 원래 여성, 즉 여성 신의 대사제였다. 토르킬드 야콥센(Thorkild Jacobsen) 등은 초기 메소포타미아 사회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대표되는 "원로회의"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성의 지위가 낮아짐에 따라 남성의 지위가 높아졌다고 주장했다.[47]
교육과 관련하여 왕족 자녀와 부유층 및 서기관, 의사, 사원 관리자와 같은 전문직 자녀만 학교에 다녔다. 대부분의 소년들은 아버지의 직업을 배우거나 도제 수업을 받았다.[48] 소녀들은 어머니와 함께 집에 머물면서 살림과 요리를 배우고 어린아이들을 돌봐야 했다. 어떤 아이들은 곡물을 빻거나 새를 청소하는 일을 도왔다. 당시 역사적으로는 이례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여성들은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재산을 소유할 수 있었고,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이혼을 할 수 있었다.[49]
메소포타미아 여러 지역에서 수백 개의 무덤이 발굴되어 메소포타미아의 매장 풍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우르 도시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 아래 가족 무덤에 소지품과 함께 매장되었다. 몇몇은 돗자리와 카펫에 싸여 있는 채 발견되었다. 사망한 아이들은 큰 "항아리"에 담겨 가족 예배당에 안치되었다. 다른 유해들은 도시 공동 묘지에 매장된 채 발견되었다. 매우 귀중한 물건이 들어 있는 무덤 17개가 발견되었는데, 이것들은 왕족의 무덤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시대의 부유층이 바레인(바레인)에 매장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수메르의 딜문(Dilmun)과 동일시된다.[50]
6. 문화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는 최초로 기록된 종교였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세상이 거대한 구멍이 뚫린 공간으로 둘러싸인 평평한 원반이며, 그 위에는 하늘이 있다고 믿었다. 물이 사방, 위아래, 그리고 측면 어디에나 존재하며, 우주가 이 거대한 바다에서 탄생했다고 믿었다. 메소포타미아 종교는 다신교였으며, 우주를 뜻하는 수메르어 '''an-ki'''는 신 아누와 여신 키를 가리킨다.[42] 그들의 아들은 공기의 신 엔릴이었고,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엔릴이 신화계의 최고 신이라고 믿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매달 의식을 거행했는데, 의례와 축제의 주제는 다음 여섯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었다.
- 월상 (달이 차오르는 것은 풍요와 성장을, 달이 기우는 것은 쇠퇴, 보존, 저승의 축제와 관련이 있었다.)
- 연간 농업 주기의 단계
- 춘분과 추분
- 지역 신화와 수호신들
- 재위 중인 군주(국왕)의 성공 여부
- 아키투 또는 신년 축제 (춘분 후 첫 보름달)
- 특정 역사적 사건(건국, 군사적 승리, 사원 휴일 등)의 기념

일부 노래는 신들을 위해 작곡되었지만, 많은 노래는 중요한 사건들을 묘사하기 위해 쓰여졌다. 음악과 노래는 왕들을 즐겁게 했지만, 집이나 시장에서 노래하고 춤추는 것을 좋아했던 평범한 사람들도 즐겼다. 노래는 구전 전통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졌으며, 역사적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제공했다.

사냥은 아시리아 왕들 사이에서 인기 있었다. 권투와 레슬링은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며, 말 대신 사람의 어깨에 올라타는 일종의 폴로가 인기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46] 우르 왕가의 게임은 세네트, 백개먼과 유사한 보드 게임으로 알려져 있다.
6. 1. 문자
수메르인들이 처음 사용했던 문자는 상형문자였다. 이 문자는 물체의 모양을 본떠 낱말의 뜻을 나타내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어, 산을 나타내려면 산 모양을, 새를 나타내려면 새 모양을 그렸다. 그러나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아지자, 쐐기 모양의 쐐기 문자가 만들어졌다. 수메르인들은 뼈나 갈대 줄기를 펜 삼아 점토판에 쐐기 문자를 쓰고 불에 구워 보존함으로써 많은 전설과 영웅들의 이야기를 남겼다. 훗날 페니키아인들이 이 쐐기 문자를 간략하게 만들었고, 여기에 모음이 추가되어 오늘날 사용하는 알파벳의 기원이 되었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수메르어가 최초로 쓰인 언어였으며, 고립어이자 집합어였다. 초기에는 셈어족 언어들도 함께 사용되었다.[19] 자그로스 산맥 지역의 언어인 수바르투어[20]는 인명, 강과 산 이름, 공예품 등에서 발견되며, 후르리-우라르투어족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아카드 제국과 아시리아 제국 시대에는 아카드어가 주된 언어가 되었지만, 수메르어는 행정, 종교, 문학, 과학 분야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 말기까지 아카드어의 여러 방언이 사용되었다. 구아람어는 이미 메소포타미아에서 널리 쓰였으며, 신아시리아 제국과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지방 행정 언어가 되었고, 공식 방언은 제국 아람어로 불렸다. 아카드어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아카드어와 수메르어는 수 세기 동안 사원에서 사용되었다. 마지막 아카드어 문서는 서기 1세기 후반의 것이다.
기원전 4천년기 중반, 메소포타미아 초기 역사에서 쐐기 문자가 수메르어를 위해 발명되었다. 쐐기 문자는 젖은 점토에 기호를 새기는 데 사용된 삼각형 끝의 첨필 때문에 "쐐기 모양"이라는 뜻을 가진다. 각 쐐기 문자 기호의 표준화된 형태는 상형 문자에서 발전했다. 가장 초기의 문서 7개는 우르크의 여신 이난나에게 헌정된 사원 에에서 발견된 고대 점토판이다.
초기 표어 문자 체계인 쐐기 문자는 숙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래서 사용법을 훈련받은 서기관이라는 제한된 수의 사람들만이 고용되었다. 음절 문자가 널리 사용된 사르곤 통치 전까지[21] 메소포타미아 인구 대부분은 글을 읽고 쓸 수 없었다. 구바빌로니아 서기관 학교에서 방대한 문서 보관소가 발견되어 문해력이 어떻게 전파되었는지 알 수 있다.
아카드어는 기원전 3천년기와 2천년기 전환기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어를 점차 대체했지만, 정확한 시기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22] 수메르어는 서기 1세기까지 메소포타미아에서 신성하고 의식적이며 문학적이고 과학적인 언어로 계속 사용되었다.
기원전 8000년경부터 서아시아에서 회계용 표시로 사용되던 토큰이 인장으로 변화하고, 기원전 3200년경 우르크에서 우르크 초기 문자가 탄생했다. 이 문자는 상형 문자·표의 문자였지만, 기원전 2500년경 쐐기문자로 발전했다. 쐐기문자는 주변 민족에게 표음 문자로 차용되어 기원후 1세기경까지 서아시아 여러 나라의 언어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었다. 기록 매체로는 점토판이 사용되었다. 쐐기문자로 쓰여진 유명한 예로는 함무라비 법전이 있다.
초기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수메르인들은 수메르어를, 북부 아카드인들은 셈어족의 아카드어를 사용했다. 우르 제3왕조 시대까지 수메르어가 일상어였지만, 아카드어와 아모리인의 언어에 묻혀 이신-라르사 시대에 구어로는 사어가 되었다. 그러나 법률 및 의례 언어로는 신바빌로니아 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아카드어는 널리 사용되었고, 오리엔트 여러 나라의 외교 용어로 사용되어 이집트 제18왕조의 외교 문서(아마르나 문서)에도 기록되었다. 각 도시에는 학교가 설립되어 문서를 다루는 서기가 양성되었지만, 읽고 쓰는 능력은 특수 기술이었고, 일반 시민 대부분은 문자를 읽고 쓸 수 없었다. 왕족 귀족도 마찬가지였으며, 드물게 읽고 쓰는 능력을 가진 왕이 나타나면 그 사실이 크게 기록되었다.
6. 2. 법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들은 왕들이 내린 법적 선례와 결정에서 비롯된 최초의 법전을 만들었다. 우루카기나와 리피트-이슈타르(리피트-이슈타르 법전)의 법전이 발견되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함무라비의 법전인 함무라비 법전이다. 기원전 1780년경에 만들어진 이 법전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법전 중 하나이며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이러한 유형의 문서 중 가장 잘 보존된 사례 중 하나이다. 함무라비는 메소포타미아를 위한 200개 이상의 법률을 성문화했다. 법률을 검토해 보면 여성의 권리가 점차 약화되고 노예에 대한 처우가 점점 더 가혹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74] 함무라비 법전에는 손해 배상, 부채 취소, 보수, 등가 개념에 대한 기록이 있다.6. 3. 종교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현세적인 다신교를 믿었으며, 사후 세계는 인정하지 않았다. 점성술도 현세의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로 발전하였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불규칙하고 잦은 범람은 재앙을 가져왔고, 개방적인 지형은 외적의 침입을 불렀다.[139]이러한 자연 환경은 메소포타미아인들의 세계관에 영향을 끼쳤다. 수메르인들은 현세적인 삶을 꾸려 나갔고, 사후 세계에 대해서는 거의 희망을 갖지 않았다. 문화적으로도 암울하고 비관주의적인 특징이 강하였다. 신에 대한 생각과 현세적인 가치관은 '길가메시 서사시' 등에 잘 나타나 있다.[139]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주요한 3주(三柱)의 신을 한 쌍으로 숭배하는 습관이 있었다. 수메르인 사이에서는 아누(천신)·엔릴(지신)·엔키(수신) 등이 숭배받았다. 최고신 아누는 형식적 존재였으며, 수메르 판테온의 실권은 엔릴에게 돌아와 땅뿐만 아니라 하늘까지 다스리는 신이 되었다.[139]
왕권이 신장되면서 주신(主神)은 국가신의 성격을 강화했다. 셈 판테온에서는 셈인의 주신 마르두크가 함무라비 왕 시대에 엔릴의 기능을 계승하여 최고신이 되었으며, 샤마쉬(태양신)·신(월신)과 함께 한 쌍을 이루었다. 기원전 2000년 말부터 융성하기 시작한 아시리아 제국에서는 주신 아슈르(Ashur)가 최고신이 되었다.[139]
수메르인은 신전·제사(祭司) 계급을 갖고 있었다. 고대에는 예술·학문과 같은 문화활동뿐만 아니라 세제(稅制)·금융 등의 사회·경제활동도 신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139]
신전 경내에는 지구라트라고 불리는 벽돌을 쌓아올린 높이 수십 미터나 되는 인공의 산이 구축되었다. 그 가운데서도 '바빌론의 탑'으로 불리는 에산길라 신전의 지구라트가 유명하다.[139]
두무지(후의 탐무즈, 아도니스) 신앙은 식물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했다. 그의 아내인 여신 이난나(후의 이쉬타르, 아티스)와 함께 농산물의 풍요나 가축의 다산을 기원하는 신앙 대상으로서 고대 오리엔트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139]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는 최초로 기록된 종교였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세상이 거대한 구멍이 뚫린 공간으로 둘러싸인 평평한 원반이며, 그 위에는 하늘이 있다고 믿었다. 그들은 물이 사방, 위아래 그리고 측면 어디에나 존재하며, 우주가 이 거대한 바다에서 탄생했다고 믿었다. 메소포타미아 종교는 다신교였다. 우주를 뜻하는 수메르어는 '''an-ki'''이며, 이는 신 아누와 여신 키를 가리킨다.[42] 그들의 아들은 공기의 신 엔릴이었다. 그들은 엔릴이 신화계의 최고 신이라고 믿었다.
6. 4. 역법
수메르 인은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1년을 12달로 하는 태음력을 만들고, 하루를 24시간, 한 시간을 60분, 1분을 60초로 하는 60진법을 만들었다. 원을 360°로 나누는 것도 그들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력은 태음태양력을 사용했지만, 태음태양력은 1년이 약 11일 짧아진다는 것이 기원전 3000년경에는 이미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조정을 위해 적절히 윤달이 삽입되었다.[85] 수메르 시대의 역법은 각 도시마다 달랐으며, 새해의 시작은 춘분이 많은 경우가 있었지만, 하지나 추분을 기점으로 하는 도시도 존재했다.[86] 그 후, 바빌로니아 제1왕조 시대에는 바빌로니아에서 역법이 통일되었고, 후에 주변 지역으로도 퍼져나갔다.[87] 60진법도 메소포타미아에서 탄생한 것으로, 현재의 시간 단위에 사용되고 있다.[88] 일주간을 칠일(칠요)로 한 것도 수메르 시대이다.[89]
6. 5. 예술
메소포타미아 미술은 기원전 4천 년부터 기원전 6세기에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할 때까지 서부 유라시아에서 고대 이집트 미술과 견줄 만큼 웅장하고 정교했다. 주된 강조점은 돌과 점토로 된 매우 내구성이 강한 조각 형태였으며, 회화는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회화는 주로 기하학적이고 식물 기반의 장식적인 구성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조각상 역시 채색되었다.원시 문자 시대는 우르크가 지배하던 시대로, 워카 항아리와 원통 인장과 같은 정교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구에놀 사자는 기원전 3000~2800년경 엘람 출토의 뛰어난 소형 석회암 조각상으로, 인간과 사자의 모습을 결합한 것이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대부분 석고로 만들어진, 키가 30cm 정도 되는 커다란 눈을 가진 사제와 예배자들의 조각상들이 많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신의 사원 숭배상에 참석했지만, 이 중 매우 적은 수만이 남아 있다. 수메르와 아카드 시대의 조각상은 일반적으로 크고 똑바로 뜬 눈과 남자의 경우 긴 수염을 가지고 있었다. 우르의 왕릉(기원전 2650년경)에서는 '덤불 속의 숫양' 두 개, '구리 황소', 그리고 우르의 수금 중 하나의 황소 머리 등 많은 걸작들이 발견되었다.
신아시리아 제국의 부상 이전의 여러 시대에서 메소포타미아 미술은 원통 인장, 비교적 작은 입체 조각상,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부조 등 여러 형태로 남아 있으며, 여기에는 가정용으로 만들어진 값싼 점토판도 포함되는데, 일부는 종교적이고 일부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버니 부조는 독특하고 정교하며 비교적 크기가 큰(20 x 15인치) 테라코타 판으로, 날개 달린 나체의 여신이 맹금의 발을 가지고 있으며 올빼미와 사자가 시중을 들고 있다. 이것은 기원전 18세기 또는 19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며, 주형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돌 스텔레는 봉납물이거나, 아마도 승리를 기념하고 연회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원에서 발견되는데, 더 공식적인 것들과 달리 설명해 줄 수 있는 비문이 부족하다. 조각난 독수리 스텔레는 비문이 있는 유형의 초기 예시이다. 아시리아의 살마네세르 3세의 흑색 오벨리스크는 크고 견고한 후기 작품이다.
아시리아인들이 메소포타미아 전체와 주변 지역을 정복하면서 이 지역은 이전보다 더 크고 부유한 국가가 되었고, 궁전과 공공 장소에는 매우 웅장한 미술이 나타났는데, 이는 아마도 이웃 이집트 제국의 화려함에 맞먹으려는 의도였을 것이다. 아시리아인들은 궁전을 위해 매우 세밀한 세부 묘사가 담긴 매우 큰 규모의 서사적 저부조를 돌로 제작하는 양식을 개발했는데, 전쟁이나 사냥 장면이 담겨 있다. 영국 박물관에는 뛰어난 소장품이 있다. 그들은 거대한 수호신상을 제외하고는 입체 조각을 거의 제작하지 않았는데, 이 수호신상은 종종 인면을 가진 라마수로, 직사각형 블록의 양쪽에 높은 부조로 조각되어 있으며 머리는 입체적으로 표현되고 다리는 다섯 개여서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완전해 보인다. 그들은 이 지역을 지배하기 전에도 원통 인장의 전통을 이어받았는데, 디자인은 종종 매우 역동적이고 세련되었다.
6. 6. 건축
고대 메소포타미아 건축은 이용 가능한 고고학적 증거, 건물의 그림 표현, 건축 관행에 대한 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된다. 사원, 궁전, 성벽과 성문, 그리고 기타 기념비적인 건물들이 주로 연구되었지만, 주거 건축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78]주요 건축 재료는 벽돌이었는데, 이는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건축용 돌은 대부분의 도시에서 상당히 먼 거리를 운반해야 했다.[79] 지구라트는 메소포타미아 특유의 건축 양식이며, 도시에는 종종 큰 관문이 있었다. 그중 신바빌로니아 바빌론의 이슈타르 문은 여러 색깔의 벽돌로 장식된 짐승들로 유명하며, 현재 대부분 베를린의 페르가몬 박물관에 있다.
초기 메소포타미아의 주목할 만한 건축 유적으로는 기원전 4천년기 우루크의 사원 단지, 디얄라 강 유역의 카파자와 텔 아스마르와 같은 초기 왕조 시대 유적지의 사원과 궁전, 우르 제3왕조 유적지인 니푸르(엔릴의 신전)과 우르(난나의 신전) 등이 있다.

6. 7. 게임
사냥은 아시리아 왕들 사이에서 인기 있었다. 권투와 레슬링은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며, 말 대신 사람의 어깨에 올라타는 일종의 폴로가 인기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46]우르 왕가의 게임은 세네트, 백개먼과 유사한 보드 게임으로 알려져 있다.
7. 경제
수메르의 신전들은 은행 기능을 수행하며 최초의 대규모 대출 및 신용 시스템을 개발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초기 상업 은행 시스템을 개발했는데, 어떤 면에서는 현대의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과 비슷하지만, 더욱 "무엇이든 가능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51]
우르 제3왕조 초기에는 사원이 이용 가능한 토지의 3분의 1까지 소유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왕실 및 기타 사유지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감소했다. ''엔시''(Ensí)는 사원 농업의 모든 측면에서 일을 조직한 관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농노들은 특히 사원이나 궁전 부지에서 농업에 종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관개와 배수가 잘 되어야만 농업이 가능했는데, 이는 초기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관개의 필요성으로 인해 수메르인들과 후대의 아카드인들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및 그 지류를 따라 도시를 건설했다. 우르와 우르크와 같은 주요 도시들은 유프라테스 강의 지류에, 라가시와 같은 다른 도시들은 티그리스 강의 지류에 건설되었다. 강은 식량과 비료로 사용되는 물고기,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갈대와 진흙 등의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했다. 관개 덕분에 메소포타미아의 식량 공급은 캐나다 프레리 지역과 비슷했다.[54]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은 요르단 강 유역과 나일 강 유역을 포함한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북동쪽 부분을 형성한다. 강에 가까운 땅은 비옥하고 농작물 재배에 적합했지만, 물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은 건조하고 대부분 사람이 살 수 없었다. 따라서 메소포타미아 정착민들에게 관개의 발달은 매우 중요했다. 다른 메소포타미아의 혁신으로는 댐을 이용한 물 관리와 수로의 사용이 있다.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땅에 정착한 초기 정착민들은 보리, 양파, 포도, 순무, 사과와 같은 농작물을 심기 전에 나무 쟁기를 사용하여 토양을 부드럽게 만들었다.
메소포타미아 정착민들은 맥주와 포도주를 만든 최초의 사람들 중 일부였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농업에 수반되는 기술 덕분에 농부들은 일반적으로 농사일을 완료하기 위해 노예에 의존하지 않았지만, 예외도 있었다. 노예제가 실용적이 되지 못할 만큼 많은 위험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노예들의 탈출이나 반란이 있었다. 강은 생명을 유지했지만 잦은 홍수로 도시 전체를 황폐화시키면서 생명을 파괴하기도 했다. 예측할 수 없는 메소포타미아의 날씨는 농부들에게 종종 힘든 일이었다. 농작물이 흔히 망가졌기 때문에 소와 어린 양과 같은 식량의 백업 자원을 확보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메르 메소포타미아의 남쪽 지역은 토양의 염분 증가로 고통받았고, 이로 인해 도시의 느린 쇠퇴와 북쪽의 아카드에서 권력의 중심 이동이 발생했다.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문명 간의 무역은 기원전 3천년 초부터 번성했다.[55] 기원전 4천년부터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고대 이집트와도 무역을 했다(이집트-메소포타미아 관계 참조).[57][58]
역사의 많은 부분에서 메소포타미아는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세계를 잇는 동서 무역의 중심지[59] (실크로드의 일부)이자, 동유럽과 바그다드를 잇는 남북 무역로(볼가 무역로) 역할을 했다. 바스쿠 다 가마가 1497년부터 1499년까지 개척한 인도와 유럽 간 해상 루트와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은 이러한 중심지에 영향을 미쳤다.[60][61]
메소포타미아의 경제 기반은 농업이었다. 강수량이 적어 천수농업은 불가능했기에, 메소포타미아 정착은 관개 기술 획득 이후에 이루어졌다. 풍부한 수확은 많은 인구를 부양하여 문명 성립의 기반이 되었다. 관개 용수 확보를 위해 운하와 저수지가 정비되었고, 가축을 이용한 쟁기질과 조파기를 이용한 파종이 이루어졌다. 주요 곡물은 보리였으며, 기원전 24세기 무렵 보리의 수확량 배율은 약 76배로 추정된다. 하지만 농지에 다량의 염분이 포함되어 있어 염분에 약한 밀 재배는 불가능했고, 시대가 내려감에 따라 토지의 염류화가 진행되어 보리 수확량도 감소했다. 보리는 주식이 될 뿐만 아니라, 맥주의 원료가 되기도 했다. 대추야자는 식량, 감미료, 주조 원료, 구황 작물, 저장 식품 등 식용으로서의 용도 외에, 수목이 적은 메소포타미아에서 건축자재 등으로도 사용되었다.[90] 채소밭에서는 양파 등의 채소가 재배되었고,[91] 가축으로는 양과 염소, 소와 돼지 등이 사육되었으며, 물고기도 널리 식용으로 이용되었다.[92]
메소포타미아에는 금속 자원이나 목재, 석재와 같은 기본적인 자원조차 부족했기 때문에, 주변 지역과의 교역을 통해 자원을 확보하는 것은 불가결했다. 무역의 교역 범위는 광대하여, 이집트 문명과 인더스 문명과도 교역을 했다. 교통의 대동맥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이었고,[93] 강어귀에서 페르시아만을 통해 디르문(현재의 바레인) 등에도 교역선을 보냈다.[94] 화폐로는 고대에 은이 기본이었고, 초기 왕조 시대부터 칭량화폐로 사용되었지만, 구리 등의 금속도 화폐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고, 물물교환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95] 수메르와 바빌로니아에서는 식량을 포함한 필수품을 저장하여 궁전이나 도시의 문에서 분배하고, 바자르에서 수공예품을 판매했다. 탐카르뭄(Tamkarum)이라고 불리는 신분 유형의 상인이 존재하여, 중개인, 대리인, 경매인, 보관인, 은행가, 중재인, 여행 상인, 노예 관리관, 징세관 등을 담당했다. 또한 함무라비 법전에는 손해 배상, 부채 취소, 보수, 등가 개념에 대한 기록이 있다.
메소포타미아에 마을이 발달하기 시작한 시기는 금석병용시대에 해당하며, 구리와 은의 사용은 알려져 있었다. 이미 우바이드 시대 유적에서 구리 제품과 구리 공방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104] 곧 주석과 구리의 합금인 청동이 발명되면서 메소포타미아는 청동기 시대로 이행한다. 그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대략 기원전 3000년[105]부터 2500년경[106]의 초기 왕조 시대라고 생각되고 있다. 철기의 사용이 일반화된 것은 훨씬 늦어 기원전 1190년경 히타이트가 멸망하고 강철 제조법이 주변 국가에 전파된 이후의 일이다.[107]
교통 수단으로는 이미 우바이드 시대에 배가 하천 교통에 이용되어 수상 교통이 주류를 이루었다.[108] 기원전 3500년경이 되면 가축화된 당나귀가 출현하고, 거의 동시에 바퀴의 실용화가 이루어져서 수레를 이용한 육상 교통도 시작되었다.[109]
8. 기술
메소포타미아인들은 금속 및 구리 가공, 유리 및 등잔 제작, 직물 직조, 치수 관리, 물 저장 및 관개 등 다양한 기술을 발명했다. 이들은 세계 최초의 청동기 시대 사회 중 하나였으며, 구리, 청동, 금에서 철로 발전했다. 궁전은 수백 킬로그램의 매우 비싼 금속으로 장식되었고, 구리, 청동, 철은 갑옷뿐만 아니라 검, 단검, 창, 곤봉 등 다양한 무기에 사용되었다.
최근 가설에 따르면, 아르키메데스의 나사는 기원전 7세기에 아시리아 왕 세나케리브가 바빌론 공중 정원과 니네베의 수자원 시스템에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주류 학계에서는 이것을 후대의 그리스 발명품으로 보고 있다.[39] 나중에 파르티아 또는 사산 왕조 시대에, 세계 최초의 배터리일 가능성이 있는 바그다드 배터리가 메소포타미아에서 만들어졌다.[40]
메소포타미아는 비옥한 땅에서 농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켰다. 강수량이 적어 관개 기술이 필수적이었으며, 운하와 저수지를 정비하고 가축을 이용한 쟁기질과 조파기를 이용한 파종을 통해 효율적인 농업을 이루었다. 주요 곡물은 보리였으며, 높은 수확량을 기록했지만, 농지의 염분 증가로 밀 재배는 어려웠고 보리 수확량도 감소했다. 보리는 주식과 맥주의 원료로 사용되었다. 대추야자는 식량, 감미료, 건축 자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고, 양파 등의 채소와 양, 염소, 소, 돼지 등의 가축, 물고기도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다.
메소포타미아는 자원 부족으로 주변 지역과의 교역이 필수적이었다. 금속, 목재, 석재 등 기본적인 자원 확보를 위해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과 교역했다.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이 교통의 중심이었고,[93] 페르시아만을 통해 디르문(현재의 바레인) 등과도 교역했다.[94] 은이 기본 화폐로 사용되었고, 초기 왕조 시대부터 칭량화폐로 사용되었지만, 구리 등의 금속이나 물물교환도 이루어졌다.[95] 수메르와 바빌로니아에서는 식량을 포함한 필수품을 궁전이나 도시의 문에서 분배하고, 바자르에서 수공예품을 판매했다. 탐카르뭄(Tamkarum)이라는 상인들은 중개, 대리, 경매, 보관, 은행, 중재, 여행, 노예 관리, 징세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했다. 함무라비 법전에는 손해 배상, 부채 취소, 보수, 등가 개념이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논문
Ancient Mesopotamia and Modern Iraq in the British Press, 1980–2003
https://www.jstor.or[...]
2022-04-30
[2]
논문
Sea Level Changes in the Mesopotamian Plain and Limits of the Arabian Gulf: A Critical Review
https://www.research[...]
2020-01-01
[3]
서적
Ancient Mesopotamia. The Eden that never w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Iraq, past, present and future: a thoroughly-modern mandate?
http://www.historyan[...]
2003-05-01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Israel
Scarecrow Press
2004-01-01
[6]
백과사전
[7]
논문
Mesopotamia
[8]
서적
Civilizations of ancient Iraq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Online
[10]
논문
Regional approaches to Mesopotamian archaeology: the contribution of archaeological surveys
[11]
서적
The archaeology of Mesopotamia. Theories and approaches
Routledge
[12]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Brill Online
[13]
서적
Archaeology under fire: Nationalism, politics and heritag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and Middle East
Routledge
[14]
논문
'Fertile crescent', 'Orient', 'Middle East': the changing mental maps of Southeast Asia
[15]
서적
The Ecology of the Mudhif
WIT Press
[16]
논문
Complexity,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and Serial Mesopotamian Fragmentation
[17]
뉴스
Migrants from the Near East 'brought farming to Europe'
https://www.bbc.co.u[...]
BBC
2010-11-10
[18]
서적
Ancient Mesopotamia. The Eden that never w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Ancient History in depth: Mesopotamia
https://www.bbc.co.u[...]
BBC History
[20]
논문
Subartu and Subarian in Old Babylonian Sources
[21]
서적
An Economic Inquiry into the Nonlinear Behaviors of Nations: Dynamic Developments and the Origins of Civiliza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2]
간행물
Bilingualism, Scribal Learning, and the Death of Sumerian
http://oi.uchicago.e[...]
Chicago, Illinois
[23]
서적
Women, Crime and Punishment in Ancient Law and Society: Volume 1: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4-12-28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2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and Winston
[2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Mathematics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27]
웹사이트
High resolution photographs, descriptions, and analysis of the root(2) tablet (YBC 7289) from the Yale Babylonian Collection
http://www.math.ubc.[...]
[28]
서적
Babylonian mathematicians did not hesitate to interpolate by proportional parts to approximate intermediate values. Linear interpolation seems to have been a commonplace procedure in ancient Mesopotamia, and the positional notation lent itself conveniently to the rile of three. [...] a table essential in Babylonian algebra; this subject reached a considerably higher level in Mesopotamia than in Egypt. Many problem texts from the Old Babylonian period show that the solution of the complete three-term quadratic equation afforded the Babylonians no serious difficulty, for flexible algebraic operations had been developed. They could transpose terms in an equations by adding equals to equals, and they could multiply both sides by like quantities to remove fractions or to eliminate factors. By adding 4ab to (a - b)^2 they could obtain (a + b)^2 for they were familiar with many simple forms of factoring. [...]Egyptian algebra had been much concerned with linear equations, but the Babylonians evidently found these too elementary for much attention. [...] In another problem in an Old Babylonian text we find two simultaneous linear equations in two unknown quantities, called respectively the "first silver ring" and the "second silver ring."
[29]
웹사이트
Plimpton 322
http://aleph0.clarku[...]
[30]
서적
Mesopotamian Planetary Astronomy-Astrology
Styx Publications
[31]
논문
The History of Ancient Astronomy Problems and Methods
[32]
논문
Chaldaean Astronomy of the Last Three Centuries B.C.
[33]
서적
The Growth of Scientific Ideas
Yale University Press
[34]
서적
[35]
논문
The History of the Enema with Some Notes on Related Procedures (Part I)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40-01-01
[36]
서적
Magic and Rationality in Ancient Near Eastern and Graeco-Roman Medicine
Brill Publishers
[37]
서적
Magic and Rationality in Ancient Near Eastern and Graeco-Roman Medicine
Brill Publishers
[38]
학술지
Medicine and Doctoring in Ancient Mesopotamia
https://scholarworks[...]
2014-10-01
[39]
학술지
Sennacherib, Archimedes, and the Water Screw: The Context of Invention in the Ancient World
2003-01-01
[40]
뉴스
Open media to connect communit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1-20
[41]
서적
Ancient Mesopotamian Religion and Mythology: Se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19-07-08
[42]
서적
Encyclopedia of Cosmology (Routledge Revivals) :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Foundations of Modern Cosmology.
Taylor and Francis
[43]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Oxford University Press
[44]
학술지
Wisdom and Not: The Case of Mesopotamia
[45]
학술지
Wisdom and Not: The Case of Mesopotamia
[46]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47]
서적
Gender and Aging in Mesopotamia
[48]
서적
Gender and Aging in Mesopotamia
[49]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0]
서적
Looking for Dilmun
Interlink Pub Group
[51]
학술지
Axioms and Babylonian thought: A reply
https://www.tandfonl[...]
2019-12-07
[52]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2-05-30
[53]
서적
Babylonia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05-29
[54]
서적
Ancient Iraq
Penguin
[55]
서적
The Indu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4-10
[56]
학술지
Trade and Traders of Mesopotamian Ur
http://asbbs.org/fil[...]
2012-02-01
[57]
서적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British Museum Press
[58]
웹사이트
Earliest Egyptian Glyphs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2-02-29
[59]
학술지
The Relations of History and Geography
https://books.google[...]
Littell and Company
2021-04-10
[60]
서적
Islamic Heritage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WIT Press
2021-04-10
[61]
웹사이트
Y-chromosome and mtDNA polymorphisms in Iraq, a crossroad of the early human dispersal and of post-Neolithic migrations
http://www.familytre[...]
2010-12-10
[62]
학술지
Population genetic diversity in an Iraqi population and gene flow across the Arabian Peninsula
[63]
서적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Human Genes
[64]
웹사이트
Genetic tree of West Asia
http://www.atour.com[...]
2010-12-10
[65]
학술지
A glimpse at the intricate mosaic of ethnicities from Mesopotamia: Paternal lineages of the Northern Iraqi Arabs, Kurds, Syriacs, Turkmens and Yazidis
2017-01-01
[66]
학술지
In search of the genetic footprints of Sumerians: a survey of Y-chromosome and mtDNA variation in the Marsh Arabs of Iraq
2011-10-01
[67]
서적
Iraq: Old Land, New Nation in Conflict
https://archive.org/[...]
Twenty-First Century Books
[68]
웹사이트
Genetic tree of West Asia
http://www.atour.com[...]
2010-12-10
[69]
학술지
Siegbert Uhlig (ed.): Encyclopaedia Aethiopica. Volume 1
2012-10-22
[71]
서적
The Story of Us Humans, from Atoms to Today's Civilization
[72]
논문
After the Battle is Over: The 'Stele of the Vultures' and the Beginning of Historical Narrative in the Art of the Ancient Near East
National Gallery of Art
[73]
논문
After the Battle is Over: The 'Stele of the Vultures' and the Beginning of Historical Narrative in the Art of the Ancient Near East
National Gallery of Art
[74]
논문
Widow, Orphan, and the Poor in Ancient near Eastern Legal and Wisdom Literature
[75]
웹사이트
The Bronze Head of the Akkadian Period from Nineveh
https://www.jstor.or[...]
[76]
서적
A Dictionary of Ancient Near Eastern Myth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2-03-10
[77]
웹사이트
Livius.org
https://www.livius.o[...]
2022-03-10
[78]
서적
A Companion to the Ancient Near East
Blackwell
[79]
백과사전
Mesopotamia
http://www.worldhist[...]
2017-07-21
[80]
서적
都市の起源 古代の先進地域西アジアを掘る
講談社
2016-03-10
[81]
서적
都市国家の誕生
山川出版社
1996-06-25
[82]
서적
データブック オブ・ザ・ワールド 2019年版 世界各国要覧と最新統計
二宮書店
2019-01-10
[83]
서적
図説メソポタミア文明
2011-12-30
[84]
서적
古代メソポタミア全史
中公新書
2020-10-25
[85]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86]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87]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88]
서적
宇宙観5000年史 人類は宇宙をどうみてきたか
東京大学出版会
2011-12-26
[89]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90]
서적
都市国家の誕生
山川出版社
1996-06-25
[91]
서적
都市国家の誕生
山川出版社
1996-06-25
[92]
서적
都市国家の誕生
山川出版社
1996-06-25
[93]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94]
서적
海を渡った人類の遙かな歴史 古代海洋民の航海
河出書房新社
2018-02-20
[95]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96]
서적
古代メソポタミア全史
中公新書
2020-10-25
[97]
서적
都市の起源 古代の先進地域西アジアを掘る
講談社
2016-03-10
[98]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99]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100]
서적
文明の誕生
中公新書
2015-06-25
[101]
서적
都市の起源 古代の先進地域西アジアを掘る
講談社
2016-03-10
[102]
서적
都市国家の誕生
山川出版社
1996-06-25
[103]
서적
古代メソポタミア全史
中公新書
2020-10-25
[104]
서적
都市の起源 古代の先進地域西アジアを掘る
講談社
2016-03-10
[105]
서적
都市の起源 古代の先進地域西アジアを掘る
講談社
2016-03-10
[106]
서적
문명의 탄생
중공신서
2015-06-25
[107]
서적
문명의 탄생
중공신서
2015-06-25
[108]
서적
도시의 기원 고대의 선진 지역 서아시아를 파헤치다
고단샤
2016-03-10
[109]
서적
도시의 기원 고대의 선진 지역 서아시아를 파헤치다
고단샤
2016-03-10
[110]
서적
문명의 탄생
중공신서
2015-06-25
[111]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12]
웹사이트
2.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산조 페르시아에 이르는 음악 문화 ―DSR 실크로드의 음악
http://dsr.nii.ac.jp[...]
2023-04-26
[113]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14]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15]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16]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17]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18]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19]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0]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1]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2]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3]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4]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5]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6]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7]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8]
서적
고대 메소포타미아 전사
중공신서
2020-10-25
[129]
웹사이트
아슈르 (칼랏 셰르카트)
http://whc.unesco.or[...]
2021-03-14
[130]
뉴스
이라크의 고대 유적 바빌론이 세계유산에, 유네스코
https://www.afpbb.co[...]
AFPBB
2019-07-07
[131]
웹사이트
Babylon
http://whc.unesco.or[...]
2021-03-14
[132]
웹사이트
남 이라크의 아후와르: 생물의 피난처와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 경관의 잔영
http://whc.unesco.or[...]
2021-03-14
[133]
뉴스
이라크 고대 유적, 약탈보다 방치가 문제
https://natgeo.nikke[...]
내셔널 지오그래픽
2008-08-12
[134]
뉴스
최고의 국제 도시 우르, 50년 만에 발굴 재개
https://natgeo.nikke[...]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6-03-16
[135]
뉴스
이라크의 님루드 유적, IS가 새로운 파괴 위성 이미지에서 확인
https://www.afpbb.co[...]
AFPBB
2016-06-10
[136]
뉴스
【IS】우상 혐오, 자금원, 주목…「IS」는 왜 메소포타미아 유적을 파괴하는가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
2015-03-20
[137]
웹사이트
K-water, MyWater - 역사속의 물
https://www.water.or[...]
[138]
백과사전
우바이드와 우르
[139]
백과사전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