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쿠이크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쿠이크티스는 몸길이 약 2.5cm의 소형 동물로, 중국 윈난성에서 발견된 화석이다. 머리에는 눈, 연두개골, 새궁, 후연골낭, 미로골낭 등이 확인되며, 뇌는 현생 척추동물과 유사한 대뇌 분할을 보인다. 척삭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꼬리 부분의 체절 구조, 지느러미의 존재는 척삭동물임을 시사한다. 몸통 하단에는 생식선 등으로 추정되는 구조물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악류 - 코노돈트
코노돈트는 캄브리아기부터 트라이아스기까지 생존했던 멸종된 척추동물로, 이빨과 유사한 석회질 화석을 남겼으며, 척추동물문 내에서 원구류와 자매군을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 무악류 - 원구류
원구류는 멸종된 갑주어류를 포함하는 무악류에 속하며, 칠성장어류와 먹장어류를 포함하고 턱이 없으며, 흉선, 비장, 수초, 교감 신경절이 없고, 턱이 있는 척추동물과는 독립적으로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을 진화시켰다. - 199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운도로사우루스
운도로사우루스는 후기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해양 파충류로, 불완전하게 융합된 좌골치골과 강한 치열을 가지고 있으며, 삼각형 이빨로 해양 생물을 잡아먹는 육식성 포식자로 추정되지만, 계통 발생적 위치는 아직 논쟁 중이다. - 199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밀로쿤밍기아
밀로쿤밍기아는 뚜렷한 머리와 몸통, 돛 모양의 등지느러미, 한 쌍으로 추정되는 배지느러미 주름을 가진 초기 척삭동물로, 아가미 새낭, V자 모양의 근절, 배척삭 등의 내부 기관을 갖추고 지느러미 방사구조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단 한 개체의 표본만이 발견되었다.
하이쿠이크티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속 | 하이쿠이크티스속 |
종 | 하이쿠이크티스 에르카이쿠넨시스 |
학명 | Haikouichthys ercaicunensis |
명명자 | Luo et al., 1999 |
화석 발견 시기 | 캄브리아기 제3절 (약 5억 1800만 년 전) |
학문적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미분류 강 | 유두동물 |
상강 | 무악상강 |
과 | †밀로쿤밍기아과 |
2. 특징
하이쿠이크티스는 몸길이가 약 2.5cm인 소형 동물로,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밀로쿤밍기아보다 몸 폭이 좁다.[14] 머리에는 눈, 연두개골, 6~9개의 아가미(새궁), 후연골낭, 미로골낭 등이 확인된다.[14][10] 뇌는 현생 척추동물과 유사한 대뇌 분할을 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6]
척삭의 존재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17] 꼬리 부분의 체절(근절) 구조, 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존재는 척삭동물임을 뒷받침한다.[17] 지느러미는 먹장어 및 칠성장어와 유사하며, 머리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보인다.[14] 몸통 하단에는 생식기, 점액 기관 등으로 추정되는 13개의 원형 구조물이 있다.[14]
2. 1. 발견

하이쿠이크티스의 모식표본은 중국 윈난성 쿤밍시 시산의 하이커우(하이난성의 하이커우와는 다름) 부근 에오레들리키아 구역의 충즈스 지층(마오톈산 셰일) 위안산 층에서 발견되었다.[14] '어카이군의 하이쿠 물고기'라는 뜻의 학명이 붙여졌다.[14] 수천 점의 연조직 화석이 발견된 청장 동물군에서 발견되었다.[15] 모식표본 발굴 이후, 추가적인 하이쿠이크티스 화석이 발견되었다.[10]
참조
[1]
논문
Geochronological constraint on the Cambrian Chengjiang biota, South China
http://nora.nerc.ac.[...]
2018
[2]
논문
Lower Cambrian vertebrates from south China
[3]
논문
Head and backbone of the Early Cambrian vertebrate ''Haikouichthys''
https://www.research[...]
[4]
논문
New evidence on the anatomy and phylogeny of the earliest vertebrates
[5]
논문
Darwin's dilemma: the realities of the Cambrian 'explosion'
2006-06-29
[6]
논문
"Pikaia gracilens Walcott, a stem-group chordate from the Middle Cambrian of British Columbia"
https://onlinelibrar[...]
2012
[7]
뉴스
Oldest fossil fish caught
http://news.bbc.co.u[...]
BBC News
1999-11-04
[8]
논문
Understanding Vertebrate Brain Evolution
[9]
논문
Evidence for a single median fin-fold and tail in the Lower Cambrian vertebrate, ''Haikouichthys ercaicunensis''
[10]
논문
https://www.research[...]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https://onlinelibrar[...]
[14]
논문
Lower Cambrian vertebrates from south China
[15]
뉴스
Oldest fossil fish caught
http://news.bbc.co.u[...]
BBC News
1999-11-04
[16]
논문
[17]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