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문학번역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문학번역원은 문학진흥법에 따라 설립된 특수 법인으로, 한국 문학의 발전과 국제화를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1996년 재단법인 한국문학번역금고로 시작하여,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한국 문학 작품의 번역 및 출판 지원, 번역 전문 인력 양성, 국제 교류 사업 등이 있으며, 번역 지원, 출판 지원, 교육 프로그램, 정보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번역 전문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 간행물인 Korean Literature Now를 발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역학 - 번역 연구
    번역 연구는 번역의 모든 형태를 연구하는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다양한 학파와 이론을 통해 문화, 사회, 정치적 맥락과의 연관성을 확대하며 발전해왔고, 현재는 다양한 하위 분야로 나뉘어 번역 현상을 탐구하며 번역 기술 발전과 번역가의 역할 변화, 번역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번역학 - 직역
    직역은 외국어 번역 시 원문 문법 구조를 유지하며 단어를 일대일로 대응시키는 방식이지만, 어색하거나 오역의 가능성이 있어 번역가는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 특수법인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대한민국예술원
    대한민국예술원은 1954년 문화보호법에 따라 설립된 예술 관련 단체로, 문학, 미술, 음악, 연극·영화·무용 분과로 구성되어 예술원상 수여, 회원 선출, 예술 진흥 사업 등을 수행한다.
  • 특수법인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음악당, 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립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으로 활용된다.
  • 공공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국악방송
    국악방송은 2001년 개국한 국악 전문 방송으로, 국악 FM과 국악 TV를 운영하며 국악 프로그램 제작, 한국 전통 문화 예술 보급, 지역 문화 활성화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한다.
  • 공공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 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음악당, 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립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으로 활용된다.
한국문학번역원
기본 정보
한국문학번역원 로고
설립일1996년
종류비영리 단체
본부06083 한국문학번역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112길 32
서비스 지역전 세계
홈페이지한국문학번역원
한국어 명칭한국문학번역원
한자 명칭韓國文學飜譯院
로마자 표기Hanguk Munhak Beonyeokwon
영문 명칭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원장곽효환

2. 설립 근거

문학진흥법[10]

3. 연혁

4. 주요 사업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문학의 발전과 국제화를 통해 문화 선진국으로서의 한국 위상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문학작품의 번역 및 출판 지원, 국제 교류 사업, 번역 전문 인력 육성, 번역 연구 및 정책 수립, 한국 출판계의 해외 진출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2]

4. 1. 번역 지원 사업

한국문학번역원은 문학, 인문사회, 아동·청소년 소설, 장르문학 등 다양한 장르의 도서 번역을 지원한다. 번역가 자유 공모 방식으로 운영되며, 번역의 질과 원작의 문학성을 기준으로 심사한다.[2] 2014년부터는 샘플 번역을 우선 지원하고, 국제 출판사와 계약이 체결되면 잔여 번역료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

4. 2. 출판 지원 사업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도서 저작권을 수입하여 번역 출간 예정인 해외 출판사를 대상으로 출판 비용을 지원한다.[3] 2014년부터는 번역 및 출판 지원금을 모두 제공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3]

4. 3. 해외 교류 사업

한국문학번역원은 세계 문학과 소통하는 한국 문학을 위해 해외 주요 문학 거점 도시에서 한국 문학 행사를 개최하고, 해외 교류 기획 사업을 추진한다.[2]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런던 도서전 등 주요 도서전에 참가하고, 해외 주요 문학 축제에 한국 작가를 파견하며, 해외 작가 및 언론인을 초청하는 등 다양한 국내외 교류 행사를 진행한다.[2]

해외 독자 대상 한국 문학 독후감 대회를 개최하여 해외 대학 한국학과, 현지 출판사 및 한국 문화원 등과 협력하여 독후감 대회를 실시하고 우수한 독후감에 대해 시상한다. 또한 각국 1등 수상자의 독후감을 모아 해외 독자 대상 독후감 대회 자료집을 매년 말 발행한다.

해외 원어민 번역가 초청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문학 번역의 질적 제고를 위해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 문학 번역가와 연구자를 한국에 초청하여 작가와의 만남, 문학 기행, 번역가 세미나 등 다양한 번역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한국 내외의 번역가, 작가, 출판업계 종사자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하고 참여한다. 2011년 미국, 프랑스, 스페인, 중국, 독일, 일본에서 한국문학번역원 포럼을 개최하였으며, 가장 최근 포럼은 2012년 6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다. 한국문학번역원이 주최하는 또 다른 중요한 행사는 2년마다 개최되는 서울 국제 작가 페스티벌이다. 2010년에 열린 페스티벌에서는 전 세계 24명의 저명한 작가들이 모여 "환상과 공감"이라는 주제로 낭독회와 토론회를 가졌다. 참가 작가들 중에는 한국 작가 배수아, 박형서, 정찬, 편혜영, 김민정, 김행숙, 최승호, 나희덕, 김남중, 김혜진이 포함되었다.[4] 뉴욕타임스 편집자 선택상을 수상한 한국계 미국 작가 민진 리와 퓰리처상 수상자 주노 디아스도 참가자 명단에 포함되었다.[5]

4. 4. 국내 교류 사업

서울국제작가축제는 격년제로 개최되는 행사로, 한국 작가와 세계 여러 나라 작가들이 문학을 통해 소통하고 교류하는 자리이다.[4]

한국문학 번역출판 국제워크숍은 한국 문학 번역과 출판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한국 문학의 번역과 출판에 대한 전망과 과제를 논의하고 토론하는 행사이다. 2002년 처음 개최된 이후, 국내외 출판인, 문인, 번역가, 에이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7]

한국문학번역상은 전년도에 외국어로 번역되어 해외 출판사에서 출간된 한국 현대 및 고전 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하며, 최종적으로 총 4편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한국문학번역신인상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의 7개 언어권을 대상으로 신인 번역가를 발굴하는 상이다. 지정 작품을 번역하여 응모하면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선정한다.

4. 5. 번역 아카데미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을 세계에 알릴 우수한 번역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정규과정', '특별과정', '번역 아틀리에' 총 3개의 과정을 통해 번역 실습과 더불어 한국문학 특강, 작가와의 공동 번역 작업, 문학 기행 등 번역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6]

  • '''정규과정''': 한국 문학과 문화 번역에 관심 있는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2년제 과정이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총 5개 언어 과정을 개설하여 예비 번역가가 전문 번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한다.
  • '''특별과정''': 주간 강의 참석이 어려운 일반인과 학생을 대상으로 야간에 운영되는 1년제 과정이다.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총 7개 언어 과정을 운영한다.
  • '''번역 아틀리에''': 번역 아카데미 우수 수료자를 번역가로 선발하여 한국 문학 텍스트에 대한 심도 깊은 번역 실습을 중심으로 언어권별 세미나를 진행한다. 전문 번역가로서 완성도 높은 고급 번역 결과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식과 경험 습득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한국어 및 한국 문학 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해외 유수 대학과 연계하여, 현지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 문학 전문 번역 실습 수업과 워크숍을 실시한다.

4. 6. 번역전문도서관

세계 곳곳에서 번역 출간된 한국 문학 번역서지 정보, E-Book 등 다국어 콘텐츠 아카이브를 운영한다.(한국문학번역원 전자도서관)[9] 한국 문학 관련 정기 간행물, 번역 관련 서적, CD, DVD 등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4. 7. 출판부

한국문학 해외 소개 외국어 잡지, 번역 아카데미 교육 교재 등 기관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의 교정, 편집, 출판, 배포 업무를 담당한다.[2] 또한, 상업성이 낮아 해외 시장 진출이 어려운 한국 문학, 고전, 인문 도서 등의 해외 출간과 외국 문학 작품의 한국어 출간 업무를 수행한다.[2]

5. 조직

한국문학번역원은 이사회, 한국문학번역아카데미, 번역전문도서관, 해외사업1팀(번역출판 지원, 해외교류 지원), 경영관리팀, 전산관리팀, 문학기반팀, 문학향유팀, 기획협력실로 구성되어 있다.

5. 1.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학번역원은 이사회, 한국문학번역아카데미, 번역전문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5. 1. 1. 해외사업본부

해외사업본부 산하에는 해외사업1팀이 있으며, 번역출판 지원과 해외교류 지원을 담당한다.

5. 1. 2. 경영지원본부

경영지원본부에는 경영관리팀과 전산관리팀이 있다.

5. 1. 3. 문학진흥본부

한국문학번역원의 문학진흥본부는 문학기반팀과 문학향유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5. 1. 4. 번역교육본부

기획협력실

6. 정기 간행물

Korean Literature Now영어 (약칭 KLN, 구 ''list: Books from Korea'')는 한국 문학과 작가를 소개하는 영문 문학 잡지이다. 인터뷰, 발췌, 특집, 번역자의 해설, 해외에서 출판된 한국 문학에 대한 서평 등을 제공한다. 약 5,000부가 발행되어 해외 출판사, 기관, 한국학 프로그램, 대학 도서관, 문화 센터,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고급 호텔 등에 배포된다.[8]

참조

[1] 서적 Korea in the middle: Korean studies and area studies 2007
[2] 웹사이트 Translation grants program https://www.ltikorea[...]
[3] 웹사이트 Publication grants program https://www.ltikorea[...]
[4] 웹사이트 S I W F 2 0 1 2 https://web.archive.[...] 2012-08-21
[5] 뉴스 Seoul International Writers' Festival kicks off http://view.koreaher[...] 2010-05-10
[6] 웹사이트 Yonhap News Agency http://english.yonha[...]
[7] 뉴스 'K컬처 시대, 한국문학 세계화' 번역출판 나아갈길 http://news.naver.co[...]
[8]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Now: English Quarterly on Korean Literature https://www.ltikorea[...] 2018-06-28
[9] 웹사이트 Translated Books http://library.klti.[...] 2018-06-28
[10] 법률 제13조(한국문학번역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