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예술진흥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방송예술진흥원(한예진)은 1992년 설립된 방송 전문 교육 기관이다. 영상·미디어, 영상시각디자인, 웹소설·방송작가, 성우, 실용음악, 음향, 공연예술, 뷰티디자인 계열 등 7개 계열과 12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접과 실기 전형을 통해 학생을 선발한다. 졸업 후 현업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과 지식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현직 방송인으로 구성된 교수진과 다양한 실습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방송 -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
대한민국 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 정책 수립, 사업자 허가, 분쟁 조정 등을 담당하며, 2008년 설립되어 연구, 예산 편성, 국제 협력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위원장과 부위원장을 포함한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방송 - 한국방송협회
한국방송협회는 방송 문화 발전을 위해 1974년 설립된 사단법인으로, 방송인 자질 향상과 회원사 간 협력을 증진하며 KBS, MBC, SBS 등 39개의 방송사가 회원으로 참여한다. - 대한민국의 예술 학교 -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는 1953년 이화예술고등학교로 설립되어 서울예술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했으며, 무용, 미술, 음악 분야의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국내외 명문 대학 진학을 지원하며, 채지영, 조성진, 카이, 김대진 등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 대한민국의 예술 학교 - 백석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는 1983년 설립되어 예술 특성화 교육을 제공하며,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고, 가수 민지, 켄, 라비 등이 주요 동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 서울 서대문구의 학교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되어 설립되었으며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이념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1886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종합대학교로, 12개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친일 행적 논란 등 사회적 이슈에도 연루되었다.
한국방송예술진흥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 |
로마자 표기 | Hanguk Bangsong Yesul Gyoyuk Jinheungwon |
영문 명칭 | Korea Broadcasting Art School |
모토 | 대한민국 방송계를 이끌어갈 1%의 리더 |
모토 (영문) | The 1% of leaders who will lead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Korea |
설립일 | 1992년 1월 |
총장 | 박광성 |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국가 | 대한민국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Seoul영어 CATV 아카데미 설립으로 1992년 1월 국내 최초로 방송전문교육을 시작하였다.[1] 1999년 1월 교육부 학점인정 방송전문교육기관으로 인가받았다.[2] 2001년 1월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한국방송아카데미 빌딩으로 확장 이전하였고, 2004년 1월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 한국방송예술진흥원 빌딩(현 위치)으로 이전하였다. 2006년 11월 캐나다 레지나 대학교(주립)와 교환장학생 협력체결을 맺었다. 2019년 9월과 2020년 10월 매일경제 가장 신뢰받는 교육법인 CEO대상을 수상하였으며, 2021년 2월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꿈길'에 선정되었다.
면접과 실기(실기가 있는 학과)로 선발한다. 교육부 학점은행제 기관으로 수능 / 내신은 반영하지 않으며, 대학 수시와 정시 지원 횟수에 포함되지 않고 추가 지원이 가능하다.
한국방송예술진흥원(한예진)은 7개 계열, 12개 학과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3. 입시 요강
4. 계열 및 학과
4. 1. 영상·미디어계열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영상·미디어 계열은 예능, 교양, 시사·다큐, 드라마 등 여러 장르에서 활약하는 현업 PD와 작가, 영상 디자이너, 기술 감독 등 실무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파, 종합편성, 케이블, OTT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송인의 꿈을 이루도록 돕는다.
영상·미디어 계열에는 영상연출과, 영상촬영과, 영상편집과, 유튜브과가 있다.
영상제작과는 영상연출 이론과 함께 방송 프로그램 기획, 연출, 카메라 촬영, 영상편집 등 전문 교육을 실시한다. 예능, 교양, 시사·다큐, 드라마 등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직접 기획, 제작하는 실무 교육에 중점을 둔다.
또한 유튜브를 비롯하여 아프리카TV, 트위치TV 등 온라인 영상 콘텐츠 플랫폼에서 직접 기획, 촬영, 편집,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시청자와 구독자를 만족시키는 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1인 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한다.
기초 이론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제작 중심 교육을 통해 졸업 후 현업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고, 영상·미디어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준비된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상제작과 교수진'''
'''관련 전공'''
4. 2. 영상시각디자인계열
영상시각디자인계열은 시각적 스토리텔링 및 디자인 프로세스에 집중하며 모션그래픽(영상CG), 시각 디자인, 웹툰, 일러스트레이션, 애니메이션, 3D그래픽, 멀티미디어디자인 등 다양한 시각적 미디어를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하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미래 정보 시대의 새롭고 진취적인 디자인 교육을 위해 창의력과 미적 감각, 표현 기술을 중심으로 영상 매체, 멀티미디어 매체를 포함한 종합적인 디자인 교육과 전공 이론 및 실기를 습득하여 디지털 정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책임 있고, 능력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실무 능력과 경쟁력을 고루 갖춘 현장 위주의 전문화, 차별화된 교육에 힘쓰고 있다.
'''세부 전공'''
'''교수진'''
전임 교수 | 세부 전공 | 교수 |
---|---|---|
이기순 | 모션그래픽(영상CG) | 이수정, 박창신 |
시각 디자인 | 김지혜, 한수진 | |
웹툰 | 현창호 | |
일러스트레이션 | 박사라, 정호진 | |
애니메이션 | 조용규 | |
3D그래픽 | 이주헌, 조철희 | |
멀티미디어디자인 | 이지연, 이현경 |
4. 3. 웹소설·방송작가계열
웹소설·방송작가계열은 현직 방송작가로 구성된 교수진의 실습 교육을 바탕으로 한다. 관찰 예능, 리얼 버라이어티, 음악·예능, 토크쇼 등의 예능 프로그램과 교양, 시사·다큐, 드라마를 포함한 방송 프로그램 및 유튜브, 웹드라마, 웹예능 등 ‘웹’이라는 매체의 특징에 맞는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획 및 구성과 대본 작성 노하우를 교육한다. 또한 웹소설과 웹툰 스토리작가로 성장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다매체 다채널 시대가 요구하는 작가를 배출한다.[1]웹소설·방송작가계열의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1]
구분 | 성함 |
---|---|
전임교수 | 송경선 |
실기교수 | 김소진 |
드라마 | 이은석 |
구성 | 탁진아, 양민경 |
시나리오 | 박은형 |
4. 4. 성우계열
애니메이션 더빙, 미디어 콘텐츠, 광고 내레이션, 라디오 드라마 등 성우에게 필요한 세부 전공을 가르치고 있다. 정미숙, 이윤선, 이선호, 서윤선, 임채헌, 이유리 교수 등 성우들이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다양한 실습실과 녹음실 환경이 있다.
성우계열 세부 전공은 다음과 같다.
- 애니메이션 더빙
- 미디어 콘텐츠
- 광고 내레이션
- 라디오 드라마
국내 애니메이션 참여작은 다음과 같다.
'''TV 애니메이션'''
몬카트, 미니특공대 X, 미니특공대 슈퍼공룡파워, 캐치! 티니핑, 미니특공대 애니멀트론, 반짝반짝 캐치! 티니핑, 슈퍼다이노, 미니특공대 브이레인저스, 알쏭달쏭 캐치! 티니핑, 메탈카드봇, 새콤달콤 캐치! 티니핑, 최강경찰 미니특공대
'''극장용 애니메이션'''
미니특공대 햄버거괴물의 습격, 미니특공대 공룡왕 디노, KAFA 애니메이션 ‘로망은 없다’, KAFA 애니메이션 ‘집’, KAFA 애니메이션 ‘당일배송’, KAFA 애니메이션 ‘은실이’, KAFA 애니메이션 ‘우리집강아지 진진과 아키다’, KAFA 애니메이션 ‘장미여관’, 유령이 떠난 자리(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단편선)
주요 졸업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학번 | 주요 경력 |
---|---|---|
정혜원 | 01 | CJ E&M |
김도담 | 06 | KBS |
김민아 | 06 | KBS |
박추광 | 2008년 졸업 | KBS |
정유정 | 2010년 졸업 | CJ E&M |
김다올 | 2010년 졸업 | CJ E&M |
김현욱 | 2011년 졸업 | 대원방송 주식회사 |
장지민 | 2012년 졸업 | KBS |
오가빈 | 2013년 졸업 | 대교방송 주식회사 |
박준원 | 2013년 졸업 | 대원방송 주식회사 |
임채빈 | 2014년 졸업 | 대원방송 주식회사 |
김윤기 | 2016년 졸업 | CJ E&M |
김채림 | 2018년 졸업 | CJ E&M |
4. 5. 실용음악계열
최준원 감독이 학과장으로 있으며, KBS 불후의 명곡, TV조선 미스터트롯, 미스트롯,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등 여러 방송과 임영웅, 박서진 등의 앨범 작곡, 편곡, 연주, 보컬 트레이닝 및 지도를 하였다.[1]실용음악계열 내에는 보컬, 트로트, 기악, K-Pop, 미디작편곡, 힙합 전공이 있다.[1] 최준원 교수를 필두로 각 교수들은 미스트롯, 미스터트롯, 불후의 명곡, 새가수, 복면가왕 등 여러 방송에서 활약하고 있으며, 1대1 실무 교육 및 클래스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1]
실용음악계열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1]
구분 | 이름 |
---|---|
학과장 | 최준원 교수 |
전임교수 | 장동원 교수 |
보컬 | 정단 교수, 메이다니 교수, 구예니 교수, 박혜성 교수, 윤지예 교수 |
미디 | 최준원 학과장, 최영호 교수, 최원준 교수, 정승호 교수, 최성한 교수 |
힙합 | 임재훈 교수 |
기악(기타) | 홍필선 교수, 장동원 교수 |
기악(베이스) | 이범석 교수, 김상욱 교수 |
기악(건반) | 이영식 교수, 전효정 교수 |
기악(드럼) | 김영준 교수, 강구현 교수 |
기악(브라스) | 김수환 교수, 우성민 교수 |
기악(스트링) | 홍윤경 교수, 민영애 교수, 손승용 교수 |
4. 6. 음향계열
음향계열은 학점은행 교육기관 중 유일하게 디지털오디오개론, 음향이론, 전기음향, PA실습, 디지털오디오워크스테이션, 무대음향, 음향제작실습, 방송음향디자인실습 등 4년제 학위 수여를 위한 다양한 음향 학점 수업을 커리큘럼으로 교육하고 있다. 학점 수업 외에도 프로툴스(Protools) 기초, 폴리사운드 테크닉, SR Live Operating, Acoustics of Musical Instruments, 믹싱프로젝트, 마이킹 테크닉, 음향안전관리 등의 전공 심화 수업도 이루어지고 있다.iMac으로 이루어진 실습공간에서 DAW 프로그램인 로직을 이용한 영상음악실기, 컴퓨터음악, 음악 감상법 등의 수업으로 음악, 영상 음향에 관련된 수업도 진행된다.
이외에도 실용음악과와 연계하여 무대 음향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위클리, 무대예술인자격증을 준비하는 필기 수업과 방학 중 실시되는 실기 수업 등도 있다.
VI2000, WING, M32, X32, LS9을 이용한 디지털 콘솔과 다양한 음향 장비를 이용한 실습 위주의 음향 수업을 진행하며,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입체음향 관련-Dolby-Atmos, AR, VR, Astro Spatial Audio(Sara), Flux(Spat Revolution)- 시연, 실습을 진행한다.
음향계열 교수진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성명 | 담당 과목 |
---|---|---|
부학장 | 문금주 | 방송음향디자인 실습, 무대음향 |
학과장 | 엄대식 | 디지털오디오개론, 레코딩실습, 음향제작실습 |
교수 | 박은경 | 디지털오디오워크스테이션, 레코딩프로젝트, 믹싱프로젝트 |
교수 | 윤현철 | PA실습, 3D입체음향 |
교수 | 송경진 | 영상음악실기, 컴퓨터음악, 음악감상법 |
교수 | 강한신 | 전기음향, SR라이브 |
교수 | 서영덕 | 프로툴즈 기초I, II |
교수 | 박윤수 | 음향이론, 음향기기개론 |
교수 | 이용문 외 다수 |
음향계열에서는 공연 무대, 방송 영상, 녹음 및 믹싱 분야를 다룬다.
4. 7. 공연예술계열
공연예술계열 공연기획제작과는 프로덕션 운영 체제의 수업으로 진행되며, 학생들이 현장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제작사 현장 체제 수업으로 콘서트, 뮤지컬, 연극계 현장 경험을 통해 공연계 진출까지 책임지는 예술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콘서트를 제작하고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캣츠', '빌리 엘리어트', '미녀와 야수' 등을 제작한 공연예술 현장에서 베테랑인 문미호 교수를 초빙하였다.[1]공연기획제작전공 학생들은 창작물 제작과 한국방송예술진흥원(한예진)의 타 계열과 융합 수업을 하며 경쟁력 있는 콘텐츠 제작 노하우를 배우며 미래의 예술시장을 새롭게 개척할 인재로 양성한다는 목표를 삼고 있다.[1]
매니지먼트전공은 산업과 예술이 만나 글로벌하게 성장할 수 있는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K-컬처를 선두하며 미래를 선도하는 리더를 배출하는 현장 위주 교육을 받는다.[1]
4. 8. 뷰티디자인 계열 (영어 문서 참고)
- 메이크업 & 네일아트
- 헤어 디자인
- 방송 메이크업
- 뷰티 크리에이터
5. 시설
시설 |
---|
영상 제작 랩 |
KBAS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
성우 랩 |
실용 음악 랩 |
실용 무용 랩 |
뷰티 디자인 랩 |
모델 랩 |
음향 랩 |
아트홀 |
본관 |
6. 저명한 동문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출신의 저명한 동문은 다음과 같다.
졸업 연도 | 이름 | 출신 |
---|---|---|
01학번 | 정혜원 | CJ E&M |
06학번 | 김도담 | KBS |
06학번 | 김민아 | KBS |
2008년 | 박추광 | KBS |
2010년 | 정유정 | CJ E&M |
2010년 | 김다올 | CJ E&M |
2011년 | 김현욱 | 대원방송 주식회사 |
2012년 | 장지민 | KBS |
2013년 | 오가빈 | 대교방송 주식회사 |
2013년 | 박준원 | 대원방송 주식회사 |
2014년 | 임채빈 | 대원방송 주식회사 |
2016년 | 김윤기 | CJ E&M |
2018년 | 김채림 | CJ E&M |
6. 1. 성우
애니메이션 더빙, 미디어 콘텐츠, 광고 내레이션, 라디오 드라마 등 성우에게 필요한 세부 전공을 가르치고 있다.정미숙, 이윤선, 이선호, 서윤선, 임채헌, 이유리 교수 등 성우들이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다양한 실습실과 녹음실 환경이 있다.
'''성우계열 세부전공'''
애니메이션더빙 / 미디어콘텐츠 / 광고내레이션 / 라디오드라마
'''국내 애니메이션 참여작'''
'''TV 애니메이션'''
몬카트 / 미니특공대 X / 미니특공대 슈퍼공룡파워 / 캐치! 티니핑 / 미니특공대 애니멀트론 / 반짝반짝 캐치! 티니핑 / 슈퍼다이노 / 미니특공대 브이레인저스 / 알쏭달쏭 캐치! 티니핑 / 메탈카드봇 / 새콤달콤 캐치! 티니핑 / 최강경찰 미니특공대
'''극장용 애니메이션'''
미니특공대 햄버거괴물의 습격 / 미니특공대 공룡왕 디노 / KAFA 애니메이션 ‘로망은 없다’ / KAFA 애니메이션 ‘집’ / KAFA 애니메이션 ‘당일배송’ / KAFA 애니메이션 ‘은실이’ / KAFA 애니메이션 ‘우리집강아지 진진과 아키다’ / KAFA 애니메이션 ‘장미여관’ / 유령이 떠난 자리(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단편선)
졸업 연도 | 이름 | 출신 |
---|---|---|
01학번 | 정혜원 | CJ E&M |
06학번 | 김도담 | KBS |
06학번 | 김민아 | KBS |
2008년 | 박추광 | KBS |
2010년 | 정유정 | CJ E&M |
2010년 | 김다올 | CJ E&M |
2011년 | 김현욱 | 대원방송 주식회사 |
2012년 | 장지민 | KBS |
2013년 | 오가빈 | 대교방송 주식회사 |
2013년 | 박준원 | 대원방송 주식회사 |
2014년 | 임채빈 | 대원방송 주식회사 |
2016년 | 김윤기 | CJ E&M |
2018년 | 김채림 | CJ E&M |
참조
[1]
웹사이트
President of Korea Broadcasting Art School
http://kbatv.org/int[...]
Korea Broadcasting Art School
[2]
웹사이트
credit bank system of South Korea
https://www.cb.or.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