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출판문화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출판문화상은 한국출판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대한민국의 출판 관련 상이다. 1960년에 제정되어 학술, 교양, 번역, 편집, 어린이·청소년 등 다양한 분야의 우수 저작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역대 수상작 목록을 통해 수상작 및 시상 부문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별상도 함께 수여한다. 한국 출판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심사 기준의 객관성, 다양성 부족 등의 비판과 개선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학술상 - 서울특별시 문화상
서울특별시 문화상은 서울특별시에서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1968년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었으며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사랑시민상으로 불리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학술상 - 호암상
호암상은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창업주 이병철의 아호를 따서 제정되었으며, 학술, 예술 및 인류 복지 증진에 기여한 국내외 한민족에게 상장, 순금 메달, 상금 3억 원을 수여한다. - 대한민국의 상 - 백상예술대상
백상예술대상은 대한민국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시상식으로, 매년 봄에 개최되어 영화, TV, 연극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며, 1965년 영화 부문을 시작으로 현재는 JTBC에서 중계 방송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상 - 동아연극상
동아연극상은 동아일보가 주최하여 대한민국의 연극 발전에 기여한 인물과 작품을 시상하는 연극상이다. - 1960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0년 설립 - 라디오 오키나와
라디오 오키나와는 1960년 개국한 오키나와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으로, 주파수와 출력을 변경하며 방송망을 확장하여 현재는 오키나와 전역에 다수의 FM 중계국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 비중이 높고 radiko 프리미엄을 통해 오키나와 밖에서도 청취 가능하다.
한국출판문화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대한민국 (大韓民國) |
로마자 표기 | Daehanminguk |
영어 표기 | Republic of Korea (ROK) |
약칭 | 한국 (韓國), ROK |
국가 | 애국가 |
건국 이념 | 홍익인간 (弘益人間) |
지리 | |
위치 | 동아시아 |
면적 | 100,210km² |
수도 | 서울 |
인문 | |
인구 | 약 51,753,820명 (2023년 기준) |
공용어 | 한국어 |
문자 | 한글 |
민족 | 한민족 |
정치 | |
정치 체제 | 민주공화국 |
정부 형태 | 대통령 중심제 |
대통령 | 윤석열 |
국무총리 | 한덕수 |
국회 의장 | 김진표 |
사법부 수장 | 조희대 (대법원장) |
역사 | |
기원 | 고조선 |
대한민국 건국 | 1948년 8월 15일 |
경제 | |
통화 | 원 (₩, KRW) |
기타 | |
국가 코드 | KR |
ISO 3166-1 | KR, KOR, 410 |
차량 번호판 | ROk |
인터넷 최상위 도메인 | .kr |
전화 지역 번호 | +82 |
2. 역사
한국출판문화상은 전년도 11월부터 해당 연도 10월까지 발행한 도서(개정판, 완간된 전집·시리즈물 포함) 가운데 심사하여 선정한다. 옛 명칭은 '백상출판문화상'으로, 한국일보 전 사주 장기영의 호를 따서 지었다. 처음에는 저작상만 시상하다가 1991년 제32회부터 출판상을 따로 정했으며, 수상자는 12월에 발표한다.[1] 1960년부터 2000년까지 40년 동안 저작상을 한 번이라도 받은 출판사는 모두 53개이다. 1953년 창립한 일조각은 1963년 제4회 때 송욱의 '시학평전'으로 첫 수상을 한 이후 9회부터 13회까지 5년 연속 저작상을 받는 등 16차례나 저작상을 받았다.[1]
2. 1. 제정 배경 및 초기 (1960년대)
한국출판문화상은 원래 '백상출판문화상'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백상은 한국일보의 전 사주였던 장기영의 호이다. 처음에는 저작상만 시상했으나, 1991년 제32회부터는 출판상도 별도로 시상하기 시작했다. 수상자는 매년 12월에 발표된다.[1]1960년부터 2000년까지 40년 동안 저작상을 한 번이라도 받은 출판사는 모두 53개였다. 1953년에 설립된 일조각은 1963년 제4회 때 송욱의 '시학평전'으로 처음 상을 받은 이후, 9회부터 13회까지 5년 연속 저작상을 받는 등 총 16차례나 저작상을 받았다.[1]
2. 2. 시상 부문 확대 (1990년대~)
1991년 제32회부터 출판상을 별도로 제정하였다.[1] 이전까지는 저작상만 시상하였다. 1960년부터 2000년까지 40년 동안 저작상을 한 번이라도 수상한 출판사는 모두 53개였다. 일조각은 1963년 제4회 때 송욱의 '시학평전'으로 첫 수상을 한 이후 9회부터 13회까지 5년 연속 저작상을 받는 등 16차례에 걸쳐 저작상을 받았다.[1] 수상자는 12월에 발표한다.[1]2. 3. 2000년대 이후의 변화
2000년대까지 40년 동안 저작상을 한 번이라도 수상한 출판사는 모두 53개였다. 1953년 창립한 일조각은 1963년 제4회 때 송욱의 '시학평전'으로 첫 수상을 한 이후 9회부터 13회까지 5년 연속 저작상을 수상하는 등 16차례에 걸쳐 저작상을 받았다.[1]이 상의 옛 명칭은 '백상출판문화상'이었다. 백상은 한국일보 전 사주 장기영의 호이다. 처음에는 저작상만 시상하다가 1991년 제32회부터 출판상을 따로 정했다. 수상자는 12월에 발표한다.
3. 시상 부문
현재 시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부문 | 설명 |
---|---|
학술 부문 | 인문과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은 도서 |
교양 부문 |
3. 1. 학술 부문
인문과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은 도서를 대상으로 한다.3. 2. 교양 부문
source영어 문서에 내용이 없으므로, 교양 부문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4. 역대 수상작
회 | 연도 | 인문과학 저작상 | 사회과학 저작상 | 시사교양 저작상 | 출판상 |
---|---|---|---|---|---|
1회 | 1960년 | 《고어사전》[2] | |||
2회[3] | 1961년 | 《한등록》[4]汗都錄중국어 《감은사》[5] | 세계문학전집(전30권·정음사) 세계문학전집(전21권·을유문화사) | ||
4회[6] | 1963년 | 《안도산전서》[7]安島山全書중국어 《시학평전》[8]詩學評傳중국어 《설화한국의 역사》[9]說話韓國의 歷史중국어 | 한국신작문학전집(을유문화사) 현대인 강좌(박우사) 국사대사전 상하권(지문각) 인간문화재(어문각) 새로운 육아백과(동지사) | ||
26회[10] | 1985년 | 《중국 근대 개혁운동의 연구》[11]中國近代改革運動의硏究중국어 《분단시대의 사회학》[12] | |||
29회[13] | 1989년 | 《한국복식풍속사연구》[14]韓國服飾風俗史硏究중국어 《한국헌법사》[15] | |||
30회[16] | 1990년 | 《갑오경장연구》[17]甲午更張硏究중국어 《과학과 메타과학》[18] | 한국수공예미술[19]韓國手工藝美術중국어 민중자서전 전5권[20] 강좌 중국사 전7권[21]講座中國史중국어 De Officiis|키케로의 의무론la[22] 한국전적인쇄사[23]韓國典籍印刷史중국어 빛깔있는 책들[24] 격동기의 현장[25] 과목별학습백과사전[26] 한국 그 내면과 외면[27] 까치 영재커리큘럼[28] | ||
41회[29] | 2000년 |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30] | 《한국 현대정치사 서설》[31] | 《정치와 삶의 세계》[32] | 제작: 정조대왕 화성행행 반차도[33]正祖大王華城行幸班次圖중국어 예술(사진): 조선후기 백자연구[34]朝鮮後期白瓷硏究중국어 예술(사진): 곤충의 비밀[35] 등 13개 분야, 16종 |
42회[36] | 2001년 | 《시간의 철학적 성찰》[37] | 《국가와 권위》[38] | 《기호학의 즐거움》[39] | 사전=Chinese Characters in Korean영어(일조각) 문고=사계절 1318문고[40] 전집=김교신전집[41]金敎臣全集중국어 기획=한국 악기[42]韓國樂器중국어 편집=예술가로 산다는 것[43] 사료정리=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44]朝鮮後期宮中畵員硏究중국어 번역=رحلة ابن بطوطة|이븐 바투타 여행기ar[45] 어린이=인성교육 창작 동요(한성미디어) 어린이=마지막 박쥐 공주 미가야[46] 사진=도산서원(한길사)陶山書院중국어 예술=조선 막사발 천 년의 비밀[47]朝鮮막사발千年의비밀중국어 장정=돈황[48]敦煌중국어 제작=나무도감[49] e북=키즈토피아 멀티 동화(와이즈북토피아) |
43회[50] | 2002년 |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51]醫術과人口그리고農業技術중국어 《동방기독교와 동서문명》[52]東方基督敎와東西文明중국어 |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1·2》[53] | 번역: 김혜경(金惠經) 한밭대 중국어과 교수의 ‘요재지이’(민음사) 등 13개 부문에서 15종 |
회 | 연도 | 학술 저술 | 교양 저술 | 번역 | 편집 | 어린이·청소년 |
---|---|---|---|---|---|---|
44회[54] | 2003년 | 《간다라미술》[55]गन्धार|Gandhara|간다라 미술sa | 《현산어보를 찾아서》(전5권)[56]玆山魚譜를찾아서중국어 |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57] | 《세계민담전집》(1차분 10권)[58]世界民譚全集중국어 《태학 산문선》(전17권·태학사)太學散文選중국어 | 《보리 어린이 노래마을》시리즈(도서출판 보리) |
45회[59] | 2004년 | 《한국의 전통생태학》(전2권)[60]韓國의傳統生態學중국어 | 《헌법의 풍경》[61] | The Blank Slate|빈 서판-인간의 본성은 타고 나는가영어[62] | 《한국생활사박물관》(전12권)[63]韓國生活史博物館중국어 | 《엄마 마중》[64] 《한국사 편지》[65] |
46회[66] | 2005년 | 《조선왕조 의궤》[67]朝鮮王朝儀軌중국어 | 《쾌도난마 한국경제》[68]快刀亂麻韓國經濟중국어 | 《우주의 구조》[69] 《세계종교사상사》(전3권)[70]世界宗敎思想史중국어 | 《니체 전집》(전21권)[71] | 《도깨비와 범벅 장수》[72] 《거북선》[73] |
47회[74] | 2006년 | 《한국전쟁-38선 충돌과 전쟁의 형성》[75] | 《미래교양사전》[76]未來敎養辭典중국어 | 《사생활의 역사》(전5권)[77]Histoire de la vie privée프랑스어 Kritik der reinen Vernunft|순수이성 비판de(전2권)[78] | 《붓끝으로 부사산 바람을 가르다》[79] | 《풀들이 들려주는 위대한 백성이야기》[80] |
48회[81] | 2007년 | 《공안파와 조선후기 한문학》[82]公安派와朝鮮後期漢文學중국어 | 《나쁜 사마리아인들》[83] | The God Delusion|만들어진 신영어[84] | 《소성(所聲)》[85] | 《달인 시리즈》(전4권)[86] |
49회[87] | 2008년 | 《니벨룽의 보물》[88] | 《나의 국토 나의 산하》(전3권)[89]나의國土나의山河중국어 | 《진인각, 최후의 20년》[90]陳寅恪,最後의20年중국어 | 《세밀한 일러스트와 희귀 사진으로 본 근대 조선》[91] | 《보리 국어사전》[92] |
50회[93] | 2009년 |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94]高句麗별자리와神話중국어 《공동체론》[95]共同體論중국어 | 《로쟈의 인문학 서재》[96] | 《홀로코스트, 유럽 유대인의 파괴》1·2[97] | 《앤디 워홀 일기》[98] | 《열정세대》[99] |
51회[100] | 2010년 | 《마을로 간 한국전쟁》[101] | 《좌우파 사전》[102] | 《파브로 곤충기》(전10권)[103]Souvenirs entomologiques프랑스어 | 《겨레전통도감》(전5권)[104]겨레傳統圖鑑중국어 《한국의 초상화 - 형(形)과 영(影)의 예술》[105]韓國의肖像畵-形과影의藝術중국어 | 《울기엔 좀 애매한》[106] |
52회[107] | 2011년 | 《정조와 불량선비 강이천》[108]正祖와不良선비姜彛天중국어 《평등, 자유, 권리》[109] | The Large Hadron Collider|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영어[110] | Ἱστορίαι|펠로폰네소스 전쟁사grc[111] |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112]지혜로지은집,韓國建築중국어 | 《청소년을 위한 토론학교 시리즈》[113]靑少年을爲한討論學校시리즈중국어 《멋지기 때문에 놀러왔지》[114] |
53회[115] | 2012년 | 《사당동 더하기 25》[116] | 《작지만 큰 한국사, 소금》[117] | Europäische Kulturgeschichte der Neuzeit|유럽문화사de[118] | 《나는 작은 회사에 다닌다》[119] 《한국의 전통색》[120]韓國의傳統色중국어 | 《장수탕 선녀님》[121] |
54회 | 2013년 | 《실크로드 사전》[122] | 《역사평설 병자호란》1·2[123]歷史評說丙子胡亂중국어 Amazing Gravity|어메이징 그래비티영어[124] | Philosophie des Geldes|돈의 철학de[125] | 《외면하지 않을 권리》[126]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127] | 《어떤 아이가》[128] |
55회 | 2014년 | 《한국 자본주의》[129] | 《우주의 끝을 찾아서》[130] 《모멸감》[131] | The Better Angels of Our Nature|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영어[132] | 《밀양을 살다》[133] | 《진짜 코 파는 이야기》[134] |
56회 | 2015년 |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135] | 《노동여지도》[136]勞動輿地圖중국어 《세상 물정의 물리학》[137] | 《주자평전》[138]朱子評傳중국어 | 《자기록: 여자, 글로 말하다》[139]自記錄:女子,글로말하다중국어 《금요일엔 돌아오렴》[140] | 《대추 한 알》[141] |
57회 | 2016년 |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는가》 《우리말 절대지식》 |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夏目漱石일본어 | 《아틀라스 역사시리즈》 | 《할머니의 여름휴가》 《다윈 영의 악의 기원》 |
58회 | 2017년 | 《포스트 휴먼이 온다》 《조선의 생태환경사》朝鮮의生態環境史중국어 | 《아픔이 길이 되려면》 | The Death of Expertise|미국의 반지성주의영어 | 《아무튼 시리즈》 | 《반질반질》 |
59회 | 2018년 | 《한반도 화교사》韓半島華僑史중국어 | 《고기로 태어나서》 | Karl Marx: Greatness and Illusion|카를 마르크스영어 | 《한국역사연구회 시대사총서 전 10권》韓國歷史硏究會時代史叢書중국어 | 《손바닥 동시》손바닥童詩중국어 |
60회 | 2019년 | 《3월1일의밤》 |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重工業家族의유토피아중국어 | The Evolution of Beauty|아름다움의 진화영어 | 《요리는 감이여》 | 《우주로 가는 계단》 《강이》 |
61회 | 2020년 | 《거대도시, 서울철도》 | 《물질의물리학》 | Good Economics for Hard Times|힘든 시대를 위한 좋은 경제학영어 | 《한편》 | 《5번레인》 |
62회 | 2021년 | 《한국주택 유전자》韓國住宅遺傳子중국어 | 《사이보그가 되다》 | In a Different Key|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영어 | 《한반도 바닷물고기 세밀화 대도감》韓半島바닷물고기細密畵大圖鑑중국어 《북클럽 자본 세트 전 12권》 | 《엄마도감》 《국경》 |
63회 | 2022년 |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韓國社會學의知性史중국어 | 《인류 본사》人類本史중국어 | Essais|에세프랑스어 | 《어딘가에는 ○○○이 있다》 《김군을 찾아서》 | 《토마토 기준》 《무등이왓에 부는 바람》 |
64회 | 2023년 | 《빈곤과정》貧困過程중국어 | 《동물권력》動物權力중국어 | 《20세기, 그 너머의 과학사》 | 《오뇌의 무도 주해》懊惱의舞蹈註解중국어 | 《잘 헤어졌어》 《받침구조대》 |
5. 특별상
회차 | 연도 | 수상자 | 비고 |
---|---|---|---|
46 | 2005년 | 송영만 | 효형출판 대표 |
47 | 2006년 | 이중한 | 한국문화복지협의회 회장 |
48 | 2007년 | 이기웅 | 열화당 대표 / 파주출판도시 문화재단 이사장 |
49 | 2008년 | 박맹호 | 민음사 대표 |
50 | 2009년 | 윤형두 | 범우사 대표 |
51 | 2010년 | 정병규 | 정디자인 대표[142] |
52 | 2011년 | 이구용 | 케이엘매니지먼트 대표[143] |
6. 의미와 영향
요약이 주어졌으나, 참조할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비판과 과제
(이전 출력이 비어있어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다시 시도해주세요.)
참조
[1]
뉴스
일조각, 저작상 16차례 '최다 수상'
http://news.naver.co[...]
[2]
서적
1970
[3]
뉴스
경향신문
1961-12-10
[4]
서적
[5]
서적
[6]
뉴스
동아일보
1963-12-04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뉴스
매일경제신문
1985-12-09
[11]
서적
[12]
서적
[13]
뉴스
경향신문
1989-02-11
[14]
서적
[15]
서적
[16]
뉴스
한국출판문화상 柳永益,張會翼교수가 받아
http://news.naver.co[...]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뉴스
제41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뉴스
제42회 한국百想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뉴스
제43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뉴스
한국백상출판문화상 6종 선정
http://news.naver.co[...]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뉴스
45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뉴스
46회 한국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뉴스
제47회 한국출판문화상 부문별 수상작
http://news.naver.co[...]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뉴스
제48회 한국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호모콩푸스(고미숙 지음) 호모루덴스(한경애 지음)
그린비
[87]
뉴스
제49회 한국출판문화상 특별상에 박맹호 회장
http://news.naver.co[...]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뉴스
50회 한국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앤디 워홀 일기
[99]
서적
[100]
뉴스
제51회 한국출판문화상 발표
http://news.naver.co[...]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장 앙리 파브로 지음, 김진일 옮김
현암사
[104]
서적
[105]
서적
[106]
도서
[107]
뉴스
제52회 한국출판문화상 발표, '정조…'등 5개 부문 7종
http://news.naver.co[...]
[108]
도서
[109]
도서
[110]
도서
[111]
도서
[112]
도서
[113]
도서
[114]
도서
[115]
뉴스
제53회 한국출판문화상 발표 '사당동…' 등 5개 부문 6종
http://news.naver.co[...]
[116]
도서
[117]
도서
[118]
도서
[119]
도서
[120]
도서
[121]
도서
[122]
도서
[123]
도서
[124]
도서
[125]
도서
[126]
도서
[127]
도서
[128]
도서
[129]
도서
[130]
도서
[131]
도서
[132]
도서
[133]
도서
[134]
도서
[135]
도서
[136]
도서
[137]
도서
[138]
도서
[139]
도서
[140]
도서
[141]
서적
[142]
뉴스
백상특별상
http://news.naver.co[...]
[143]
뉴스
백상특별상, 이구용 케이엘매니지먼트 대표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