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상예술대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상예술대상은 대한민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분야의 시상식으로, 매년 봄에 개최된다. 영화, TV, 연극 부문으로 나뉘어 대상, 작품상, 연기상, 예능상, 극본상, 예술상, 신인상, 인기상 등 다양한 부문을 시상한다. 영화 부문은 196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TV 부문은 1974년부터 시작되었다. 시상식은 화려한 축하 공연과 함께 진행되며, 심사는 전년도 공개된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역대 주요 수상자로는 김진규, 안성기, 강제규, 봉준호 등이 있으며, 중계 방송사는 1990년대 MBC, 2000년대 SBS, 2010년대 초반 KBS 2TV를 거쳐 현재는 JTBC에서 중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연극상 - 동아연극상
동아연극상은 동아일보가 주최하여 대한민국의 연극 발전에 기여한 인물과 작품을 시상하는 연극상이다. - 대한민국의 연극상 - 차범석희곡상
차범석희곡상은 대한민국 극작가 차범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장막 희곡과 뮤지컬 극본 부문으로 나누어 매년 시상한다. - 중앙그룹 -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에 의해 1965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으로,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지만 오너 일가와의 관계가 지속되고, JTBC 등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며 보수 성향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중앙그룹 - 메가박스
메가박스는 2000년 코엑스몰에 첫 개관한 대한민국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체인으로, 씨너스와 합병 후 성장하여 현재 맥쿼리 그룹과 J 콘텐츠리가 공동 소유하고 있으며, 특별 상영관과 멤버십 제도를 운영하고 예술 영화 전문관 아트나인도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상 - KBS 연기대상
KBS 연기대상은 1987년 KBS 탤런트 연기대상으로 시작하여 매년 KBS에서 방송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연말 시상식으로,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신인상, 작가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지며 수상 결과를 둘러싼 논란도 존재한다.
백상예술대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상 분야 | 영화, 텔레비전, 연극 분야의 우수 작품 및 인물 |
국가 | 대한민국 |
주최 | 일간스포츠 (2021년까지) 중앙그룹 (2022년부터) |
시작일 | 1965년 1월 18일 |
웹사이트 | 백상예술대상 공식 웹사이트 |
한국어 명칭 | 백상예술대상 |
한자 표기 | 百想藝術大賞 |
로마자 표기 | Baeksang Yesul Daesang |
일본어 명칭 | 百想芸術大賞 |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 | ペクサンイェスルデサン |
영어 명칭 | PaekSang Arts Awards |
최근 시상식 정보 | |
가장 최근 시상식 | 2024년 |
이전 시상식 | 59회 백상예술대상 |
이전 시상식 연도 | 2023년 |
다음 시상식 | 61회 백상예술대상 |
다음 시상식 연도 | 2025년 |
주요 수상 | |
영화 부문 대상 | 김성수 (서울의 봄) |
TV 부문 대상 | 무빙 |
영화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황정민 (서울의 봄) |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남궁민 (연인) |
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김고은 (파묘) |
TV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이하늬 (밤에 피는 꽃) |
추가 정보 | |
시상식 주관 방송사 | JTBC |
시상식 장소 | 삼성동 코엑스 D홀 |
시상식 진행자 (59회) | 신동엽, 배수지, 박보검 |
과거 명칭 | 한국 연극 영화 예술상 한국 연극 영화 TV 예술상 한국 백상 예술 대상 |
방송 정보 | |
방송사 | JTBC |
방송 시간 | |
시청률 |
2. 시상 부문
wikitext
2. 1. 영화 부문
백상예술대상 영화 부문은 1965년부터 시작되어 한국 영화의 발전에 기여해왔다.[15] 영화 부문에서는 대상, 작품상, 감독상, 최우수 연기상(남/여), 조연상(남/여), 신인 연기상(남/여), 각본상, 신인 감독상, 예술상 등을 시상한다.[15]- 대상: 영화와 TV 부문을 통틀어 한 편 혹은 한 명에게 수여된다.
- 작품상: 한 편의 영화에 수여된다.
- 감독상: 한 명의 감독에게 수여된다.
- 최우수 연기상: 남자 배우 한 명과 여자 배우 한 명에게 각각 수여된다.
- 조연상: 남자 배우 한 명과 여자 배우 한 명에게 각각 수여된다.
- 신인 연기상: 남자 배우 한 명과 여자 배우 한 명에게 각각 수여된다.
- 각본상: 한 명의 작가에게 수여된다.
- 신인 감독상: 한 명의 신인 감독에게 수여된다.
- 예술상: 영화 부문의 기술적인 성과를 기리는 상이다.
역대 대상 수상자로는 1965년 김진규(농아의 삼룡)를 시작으로,[17] 1974년 안성기(투캅스),[18] 1999년 강제규(쉬리), 2000년 임권택(춘향전), 2014년 송강호(설국열차), 2020년 봉준호(기생충) 등이 있다.
작품상은 1966년 해변의 마을(김수용 감독), 1972년 전쟁과 인간(신상옥 감독), 1983년 안개 마을(임권택 감독), 1993년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박종원 감독), 2006년 왕의 남자(이준익 감독), 2018년 1987, 그때 그 사람들(장준환 감독) 등이 수상했다.
감독상은 1967년 이만희 감독 (만추), 1985년 배창호 감독(딥 블루 나이트), 1992년 배창호 감독(천국의 계단), 2004년 박찬욱 감독(올드보이), 2017년 김지운 감독(밀정) 등이 수상했다.
최우수 연기상(남)은 1969년 신영균(대원군), 1978년 신성일(겨울 여자), 1984년 안성기(적도의 꽃), 1991년 안성기(누가 용의 발톱을 보았는가), 2008년 임창정(스카웃), 2019년 이성민(작전) 등이 수상했다.
최우수 연기상(여)은 1970년 윤정희(항아리를 만드는 노인), 1980년 유지인(심봤다), 1994년 최진실(나는 원한다, 나에게 금지된 것을), 2009년 손예진(아내가 결혼했다), 2017년 손예진(덕혜옹주) 등이 수상했다.
신인 연기상(남)은 1971년 하명중(약속은 없었지만), 1982년 이영호(신이시여, 여기에 빛을), 1995년 이정재(젊은 남자), 2007년 정지훈(사이보그지만 괜찮아), 2015년 박유천(해무) 등이 수상했다.
신인 연기상(여)은 1968년 윤정희(안개), 1979년 이이녹(돌의 초상), 1999년 전지현(화이트 발렌타인), 2008년 한예슬(용의자 X의 헌신), 2016년 박소담(검은 사제들) 등이 수상했다.
2. 2. TV 부문
백상예술대상 TV 부문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작품 및 제작진, 출연진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시상 부문으로는 대상, 작품상(드라마, 예능, 교양), 연출상, 최우수 연기상(남/여), 조연상(남/여), 신인 연기상(남/여), TV예능상(남/여), 극본상, 예술상, 신인 연출상 등이 있다.TV 부문 대상은 1974년 제10회 시상식에서 여은계 (어머니)가 처음으로 수상한 이래, 1979년 제15회 김혜자, 김영옥 (행복 팝니다), 1989년 제25회 김혜자 (모래성, 겨울 안개), 2009년 제45회 김혜자 (엄마가 뿔났다) 등 여러 배우들이 수상했다. 작품에 수여된 경우도 있는데, 1981년 제17회에는 《을화》, 1982년 제18회에는 《등신불》, 1995년 제31회에는 《모래시계》, 2016년 제52회에는 《태양의 후예》, 2022년 제58회에는 《오징어 게임》 등이 TV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작품상은 드라마, 예능, 교양 각 부문에서 1편씩 선정된다. 드라마 부문에서는 1975년 제11회 《수사반장》, 1983년 제19회 《풍운》, 1992년 제28회 《여명의 눈동자》, 2018년 제54회 《비밀의 숲》, 2020년 제56회 《스토브리그》 등이 수상했다. 예능 부문에서는 2000년 제36회 《개그콘서트》, 2012년 제48회 《개그콘서트》, 2018년 제54회 《효리네 민박》, 2022년 제58회 《스트릿 우먼 파이터》 등이, 교양 부문에서는 1984년 제20회 《신왕오천축국전》, 2010년 제46회 《아마존의 눈물》, 2013년 제49회 《한국의 밥상》, 2022년 제58회 《다큐인사이트 -다큐멘터리 국가대표》 등이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연출상은 1975년 제11회 김재현 (연화), 1988년 제24회 이유환 (사랑의 시작), 1994년 제30회 박철 (엄마의 바다), 2002년 제38회 윤석호 (겨울연가), 2019년 제55회 조현탁 (SKY 캐슬) 등이 수상했다.
최우수 연기상은 남녀 각 1명에게 수여된다. 남자 최우수 연기상은 1974년 제10회 최불암 (어떤 백년), 1982년 제18회 이정길 (야상곡), 손재호 (새색시 탈출), 1992년 제28회 이낙훈 (옛날 잔디밭), 최재성 (여명의 눈동자), 2008년 제44회 박신양 (돈의 전쟁), 2023년 제59회 이성민 (재벌집 막내아들) 등이 수상했다. 여자 최우수 연기상은 1979년 제15회 김혜자, 김영옥, 정혜선 (행복 팝니다), 1993년 제29회 김혜수 (아들과 딸), 고두심 (남편의 여자), 2009년 제45회 문근영 (바람의 화원), 2018년 제54회 김남주 (미스티), 2023년 제59회 송혜교 (더 글로리) 등이 수상했다.
2. 3. 연극 부문
백상예술대상 연극 부문은 백상 연극상, 최우수 연기상(남/여), 젊은 연극상으로 구성된다.[15]- 백상 연극상: 연극 부문에서 한 작품 또는 개인에게 수여한다.
- 최우수 연기상: 연극 부문에서 남자 1명, 여자 1명에게 각각 수여한다.
- 젊은 연극상: 연극 부문에서 한 명에게 수여한다.
역대 수상자 목록은 다음과 같다.
회 | 년 | 대상 | 작품상 | 연출상 | 각본상 | 최우수연기상(남) | 최우수연기상(여) |
---|---|---|---|---|---|---|---|
1 | 1965년 | - | 도둑들의 무도회 | 김정옥 | 하유상 | 김진규 | 백성희 |
2 | 1966년 | 천사여 고향을 보라 | 허규 | 해당 없음 | 이승재 김동훈 | 해당 없음 | |
3 | 1967년 | - | 해가 뜨는 섬 | 표재순 | 해당 없음 | 김동원 | 나옥주 |
4 | 1968년 | - | 버지니아 울프는 두렵지 않다 | 이진순 (사춘기) | 오영진 (해녀, 육지에 오르다) | 해당 없음 | 황정순 (버지니아 울프는 두렵지 않다) |
5 | 1969년 | 사할린스크의 하늘과 땅 | 임영웅 (환절기) | 이재현 (사할린스크의 하늘과 땅) | 최불암 (환절기) | 정성녀 (장미의 요정) | |
6 | 1970년 | 고도를 기다리며 | 김정옥 (흑인 매춘부의 고백) | 김자림 (동거인) | 함현진 (고도를 기다리며) | 박정자 (흑인 매춘부의 고백) | |
7 | 1971년 | 허생전 | 유덕형 (탄생 파티) | 오영진 (허생전) | 최불암 (인조인간) | 강효실 (페도라) | |
8 | 1972년 | 슬픈 주막의 노래 | 임영웅 (꽃피는 체리 ) | 노경식 (달의 집 탈집 ) | 김성옥 (헨리 8세와 그의 여인들) | 박소리 (달의 집 탈집) | |
9 | 1973년 | - | 포로들 | 나영세 (맹진사댁 경사) | 이재현 (포로들) | 정은 (키부츠의 처녀) | 정양자 (수전노) |
10 | 1974년 | 초분 | 유덕형 (초분) | 윤대성 (노비문서) | 장민호 (성웅 이순신) | 김금지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 | |
회 | 년 | 대상 | 작품상 | 연출상 | 각본상 | 최우수연기상(남) | 최우수연기상(여) |
11 | 1975년 | 남한산성 | 안민수 (태) | 김의경 (남한산성) | 김동원 (남한산성) | 송숙 (활화산) | |
12 | 1976년 | 유랑극단 | 김상렬 (유랑극단) | 해당 없음 | 정현 (한네의 승천) | 권선덕 (함성) | |
13 | 1977년 | - | 옛날 옛적 포이포이 | 표재순 (옛날 옛적 포이포이) | 최인훈 (옛날 옛적 포이포이) | 이대로 (그날 밤은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 이호재 (페르귄트) | 백설령 (옛날 옛적 포이포이) |
14 | 1978년 | - | 무르돌동 | 이승규 (아벨만의 재판) | 이영호 (소금장수) | 주성운 (붉은 피터의 고백) 김길호 (천국의 안) | 최성자 (꽃피는 체리) |
15 | 1979년 | 무엇이 될고 하니 | 김상렬 (먼 먼 터널) | 정하연 (마로니에의 길) | 장민호 (북벌) | 송숙 (객사) | |
16 | 1980년 | 유덕형 (봄이 오면 산에서 들에서) |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유덕형 (봄이 오면 산에서 들에서) | 오태석 (사춘기) | 정무성 (돈 주앙) | 박정자 (백양선의 욕망) |
17 | 1981년 | 표재순 (햄릿, 페도라) | 해당 없음 | 표재순 (햄릿, 페도라) | 김상렬 (어리석은 자와 미친 자 너의 종말만) | 이호재 (아일랜드) | 강효실 (페도라) |
18 | 1982년 | 농토 | 허규 (세종대왕) | 해당 없음 | 송승환 (에쿠우스) | 김복희 (농토) | |
19 | 1983년 | 신화 1900 | 김동훈 (신화 1900) | 노경식 (이읍사) | 이승호 (신화 1900) | 송숙 (장화 신은 고양이) | |
20 | 1984년 | - | 신의 아그네스 | 김우옥 (자전거) | 오태석 (자전거) | 박인환 (착한 사람) | 윤소정, 이정희, 윤소그 (신의 아그네스) |
회 | 년 | 대상 | 작품상 | 연출상 | 각본상 | 최우수연기상(남) | 최우수연기상(여) |
21 | 1985년 | - | 홰불, 이슬 | 정진수 (식민지에서 온 아나키스트) | 윤조병 (홰불, 이슬) | 오현경 (봄날, 드레서) | 백성희 (파우스트) |
22 | 1986년 | - | 돈키호테 | 임영웅 (지붕 위의 바이올린 연주자) | 김의경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서) | 정무성 (고도를 기다리며) | 김성녀 (돈키호테) |
23 | 1987년 | - | 칠스와 만수 | 이상우 (칠스와 만수) | 노경식 (강 건너 당신의 방에서) | 정은 (삭일부터 그믐까지) | 박정자 (위기의 여인) |
24 | 1988년 | - | 불가불가 | 손진책 (수호신) | 이현화 (불가불가) | 주호성 (술) | 이주실 (영국인의 연인) |
25 | 1989년 | - | 오장군의 발톱 | 손진책 (오장군의 발톱) | 박조열 (오장군의 발톱) | 이호재 (수족관) | 윤소그 (듀엣 포 원) |
26 | 1990년 | - | 칠산리 | 정진수 (칠산리) | 정복근 (실비명) | 조명남 (심판) | 박정자 (잘 자요, 엄마) |
27 | 1991년 | - | 영웅 만들기 | 강영걸 (그것은, 목어 구멍 바닥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 이만희 (그것은, 목어 구멍 바닥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 이호재 (뻥튀기장) | 윤소그 (프슈케, 너의 거울) |
2. 4. 기타 부문
인기상은 100% 대중 투표로 선정된다.[16] 남녀 배우 각각 한 명씩 수상한다.[15] 수상자 선정 방식은 일반 투표로 결정된다.[16]- 인기상 (남자 배우)
- 인기상 (여자 배우)
3. 심사 및 선정 방식
전년도 봄부터 12개월 동안, 한국영상물등급위원회(영상물등급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공개된 영화 및 방송된 TV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심사한다. 드라마의 경우 5화 이상 방송된 것을 조건으로 한다.[14]
주최자는 영화·텔레비전 프로그램 부문별로 각 5명씩 심사위원을 선출·위촉한다. 5명 중에서 심사위원장을 1명씩 선출하고, 그중 1명은 전체 심사위원장을 겸임한다.[14]
4. 역대 주요 수상작(자)
역대 주요 수상작(자) 목록은 매우 방대하여 별도 문서인 백상예술대상 수상 목록으로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는 주요 수상 내역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회 | 년도 | 부문 | 수상자(작) |
---|---|---|---|
1 | 1965년 | 영화부문 대상 | 김진규(농아의 삼룡) |
3 | 1967년 | 영화부문 작품상 | 만추 (이만희 감독)[17] |
16 | 1980년 | 영화부문 대상 | 김수용(달려라 만복) |
17 | 1981년 | 영화부문 대상 | 바람 불어 좋은 날 (이장호 감독) |
27 | 1991년 | 영화부문 작품상 | 은마장군은 오지 않았다 (장길수 감독) |
30 | 1994년 | 영화부문 대상 | 안성기 (투캅스) |
35 | 1999년 | 영화부문 대상 | 강제규 (쉬리) |
36 | 2000년 | 영화부문 대상 | 임권택 (춘향뎐) |
39 | 2003년 | TV부문 대상 | 할머니의 집 (이정향 감독) |
40 | 2004년 | 영화부문 대상 | 강우석 (실미도) |
44 | 2008년 | 영화부문 대상 | 추격자 (나홍진 감독) |
45 | 2009년 | 영화부문 대상 | 강우석 (강철중: 공공의 적 1-1) |
46 | 2010년 | TV부문 대상 | 고현정 (선덕여왕) |
47 | 2011년 | TV부문 대상 | 현빈 (시크릿 가든) |
49 | 2013년 | 영화부문 대상 | 류승룡 (7번방의 선물) |
50 | 2014년 | 영화부문 대상 | 송강호 (변호인) |
51 | 2015년 | 영화부문 대상 | 최민식 (명량) |
52 | 2016년 | 영화부문 대상 | 이준익 (사도, 동주) |
53 | 2017년 | 영화부문 대상 | 박찬욱 (아가씨) |
54 | 2018년 | 영화부문 대상 | 1987 (장준환 감독) |
55 | 2019년 | 영화부문 대상 | 정우성 (증인) |
56 | 2020년 | 영화부문 대상 | 봉준호 (기생충) |
57 | 2021년 | 영화부문 대상 | 이준익 (자산어보) |
58 | 2022년 | 영화부문 대상 | 류승완 (모가디슈) |
59 | 2023년 | TV부문 대상 | 박은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5. 진행 방식 및 중계
백상예술대상은 매년 봄에 개최되며, 보통 화려한 축하 공연과 함께 진행된다.
회차 | 일시 | 진행자 | 축하 공연 |
---|---|---|---|
제1회 | 1965년 1월 18일 | ||
제2회 | 1966년 1월 25일 | ||
제3회 | 1967년 1월 26일 | ||
제4회 | 1968년 1월 18일 | ||
제5회 | 1969년 1월 29일 | ||
제6회 | 1970년 1월 27일 | ||
제7회 | 1971년 | ||
제8회 | 1972년 1월 20일 | ||
제9회 | 1973년 1월 26일 | ||
제10회 | 1974년 1월 25일 | ||
제11회 | 1975년 1월 23일 | ||
제12회 | 1976년 3월 16일 | ||
제13회 | 1977년 4월 20일 | ||
제14회 | 1978년 4월 12일 | ||
제15회 | 1979년 4월 18일 | ||
제16회 | 1980년 4월 15일 | ||
제17회 | 1981년 4월 24일 | ||
제18회 | 1982년 4월 13일 | ||
제19회 | 1983년 4월 15일 | ||
제20회 | 1984년 4월 4일 | ||
제21회 | 1985년 4월 4일 | ||
제22회 | 1986년 3월 21일 | ||
제23회 | 1987년 3월 20일 | ||
제24회 | 1988년 3월 26일 | ||
제25회 | 1989년 4월 1일 | ||
제26회 | 1990년 4월 6일 | ||
제27회 | 1991년 4월 30일 | ||
제28회 | 1992년 3월 19일 | ||
제29회 | 1993년 3월 19일 | ||
제30회 | 1994년 3월 18일 | ||
제31회 | 1995년 3월 23일 | 한선교, 궁선영 | |
제32회 | 1996년 3월 29일 | ||
제33회 | 1997년 3월 24일 | ||
제34회 | 1998년 4월 6일 | ||
제35회 | 1999년 4월 3일 | ||
제36회 | 2000년 4월 1일 | ||
제37회 | 2001년 3월 29일 | 신동호, 이승연 | |
제38회 | 2002년 3월 13일 | 신동호, 소유진 | |
제39회 | 2003년 3월 26일 | 신동호, 장서희 | |
제40회 | 2004년 3월 26일 | 유정현, 하지원 | |
제41회 | 2005년 5월 20일 | 박수홍, 이혜승 | |
제42회 | 2006년 4월 14일 | 신동엽, 윤현진, 정지영 | |
제43회 | 2007년 4월 25일 | 이휘재, 윤현진 | |
제44회 | 2008년 4월 24일 | 박용하, 박은경 | |
제45회 | 2009년 2월 27일 | 탁재훈, 정미선 | |
제46회 | 2010년 3월 26일 | 이휘재, 김아중 | |
제47회 | 2011년 5월 26일 | 류시원, 김아중 | |
제48회 | 2012년 4월 26일 | 이휘재, 김아중 | |
제49회 | 2013년 5월 9일 | 오상진, 김아중, 주원 | |
제50회 | 2014년 5월 27일 | 신동엽, 김아중 | EXO-K, 린[24] |
제51회 | 2015년 5월 26일 | 신동엽, 김아중, 주원 | 박진영, 정용화 |
제52회 | 2016년 6월 3일 | 신동엽, 수지 | 김필, 효린, 전인권 |
제53회 | 2017년 5월 3일 | 박중훈, 수지 | 33명의 단역 배우[25] |
제54회 | 2018년 5월 3일 | 신동엽, 수지, 박보검 | 김주원, 정영재 |
제55회 | 2019년 5월 1일 | 잔나비, 류준열 | |
제56회 | 2020년 6월 5일 | 김강훈, 정현준, 김규리, 최유리, 김준 | |
제57회 | 2021년 5월 13일 | 신동엽, 수지[26] | 최백호, 이도현[27] |
제58회 | 2022년 5월 6일 | 신동엽, 수지, 박보검 | 《뜨거운 싱어즈》 팀[28] |
제59회 | 2023년 4월 28일 | 박진영, 김시은, 오지율, 김정영, 임지호, 강현오 | |
제60회 | 2024년 5월 7일 | UV, 이순재 |
5. 1. 역대 진행자
백상예술대상의 역대 진행자는 다음과 같다.회차 | 일시 | 진행자 |
---|---|---|
31회 | 1995년 3월 23일 | 한선교, 궁선영 |
37회 | 2001년 3월 29일 | 신동호, 이승연 |
38회 | 2002년 3월 13일 | 신동호, 소유진 |
39회 | 2003년 3월 26일 | 신동호, 장서희 |
40회 | 2004년 3월 26일 | 유정현, 하지원 |
41회 | 2005년 5월 20일 | 박수홍, 이혜승 |
42회 | 2006년 4월 14일 | 신동엽, 윤현진, 정지영 |
43회 | 2007년 4월 25일 | 이휘재, 윤현진 |
44회 | 2008년 4월 24일 | 박용하, 박은경 |
45회 | 2009년 2월 27일 | 탁재훈, 정미선 |
46회 | 2010년 3월 26일 | 이휘재, 김아중 |
47회 | 2011년 5월 26일 | 류시원, 김아중 |
48회 | 2012년 4월 26일 | 이휘재, 김아중 |
49회 | 2013년 5월 9일 | 오상진, 김아중, 주원 |
50회 | 2014년 5월 27일 | 신동엽, 김아중 |
51회 | 2015년 5월 26일 | 신동엽, 김아중, 주원 |
52회 | 2016년 6월 3일 | 신동엽, 수지 |
53회 | 2017년 5월 3일 | 박중훈, 수지 |
54회 | 2018년 5월 3일 | 신동엽, 수지, 박보검 |
55회 | 2019년 5월 1일 | |
56회 | 2020년 6월 5일 | |
57회 | 2021년 5월 13일 | 신동엽, 수지[26] |
58회 | 2022년 5월 6일 | 신동엽, 수지, 박보검 |
59회 | 2023년 4월 28일 | |
60회 | 2024년 5월 7일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그리고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으로 신동엽, 수지, 박보검이 공동 진행을 맡았다.[28]
5. 2. 중계 방송사
1990년대에는 MBC TV에서 중계했으나, 1990년, 1998년, 2000년에는 중계 방송사가 없었다. 2000년대에는 SBS TV에서 중계하였고, 2010년대 초반에는 KBS 2TV를 통해 중계되었다. 2012년부터 현재까지 JTBC에서 중계하고 있다. 한편, 2020년 제56회 백상예술대상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무관중으로 진행되었다.6. 기타
2010년대 중반에는 인스타일 패션 어워드, 아이치이 글로벌 스타 어워드, 바자 아이콘 어워드 등 특별상이 존재했다. 사회공헌상(안성기, 2013), 공로상(송해, 2008; 이순재, 2009) 등 특별상이 수여되기도 했다. 백상예술대상은 한국 영화계의 주요 시상식 중 하나로, 대종상, 청룡영화상, 대한민국영화대상과 함께 거론된다.
참조
[1]
뉴스
Baeksang Arts Awards to take place without audience
https://www.koreatim[...]
2020-05-01
[2]
웹사이트
Film Awards Ceremonies in Korea
http://koreanfilm.or[...]
[3]
뉴스
Kim Soo Hyun wins three awards, Gianna Jun gets top nod at Korean film and TV awards
https://www.straitst[...]
2014-05-28
[4]
웹사이트
Baeksang Arts Awards: About
http://isplus.joinsm[...]
[5]
뉴스
Top stars in line for acting awards
https://koreajoongan[...]
2016-05-09
[6]
웹사이트
KG Group Chairman [Kwak Jae-sun] personally attends JoongAng Ilbo S Media Acquisition Briefing Session
https://n.news.naver[...]
2022-04-08
[7]
뉴스
Baeksang Arts Awards for film, television and theater to be held May 13
https://www.koreatim[...]
2021-04-05
[8]
뉴스
Top Filmmakers Share Prizes at Korea's Baeksang Awards
https://variety.com/[...]
2017-05-03
[9]
뉴스
Nominees in 50th Baeksang Art Awards revealed
http://www.mb.com.ph[...]
2014-04-30
[10]
웹사이트
百想芸術大賞
http://kejnews.com/s[...]
2015-06-12
[11]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cinemart.[...]
2016-02-05
[12]
웹사이트
공연정보 제 46회 백상예술대상
http://www.ntok.go.k[...]
2013-04-28
[13]
뉴스
49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공중파 뿐 아니라 종편·케이블까지도
http://m.unionpress.[...]
unionpress.co.kr
2013-04-13
[14]
웹사이트
심사대상
http://isplus.joinsm[...]
2013-04-28
[15]
웹사이트
대상 및 각 부문 상
http://isplus.joinsm[...]
2013-04-28
[16]
웹사이트
인기투표 참여하고 시상식 초대권 받자!!
http://isplus.joinsm[...]
2013-04-28
[17]
웹사이트
이만희
http://www.kmdb.or.k[...]
2013-06-27
[18]
웹사이트
돛대도 아니달고
http://www.kmdb.or.k[...]
2013-04-29
[19]
웹사이트
가슴에 돋는 칼로 슬픔을 자르고
http://www.kmdb.or.k[...]
2013-04-28
[20]
웹인용
백상예술대상 공식 홈페이지
https://www.baeksang[...]
2022-05-06
[21]
뉴스
일간스포츠·이코노미스트 매각·인수 협상 완료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22-06-09
[22]
뉴스
중앙일보S 매체 인수 설명회에 회장 직접 참석한 KG그룹
https://n.news.naver[...]
미디어오늘
2022-04-08
[23]
일반
[24]
일반
[25]
일반
[26]
웹인용
신동엽X수지 57회 백상예술대상 MC 확정···5월 13일 개최
https://www.sedaily.[...]
2021-04-16
[27]
웹인용
[2021 백상예술대상] 최백호, 이도현과 나이 45세 초월한 특별 무대 장식
http://enter.etoday.[...]
2021-05-13
[28]
웹인용
'뜨거운 씽어즈' 김영옥·나문희→전현무, 최종 무대는 백상예술대상…특훈 돌입
https://entertain.na[...]
2022-04-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김종국, 비연예인 연인과 오늘 결혼…사회는 유재석
웹툰 '상남자' 드라마화 확정…김희원 감독 합류
군살 빼고 돌아온 연극 ‘퉁소소리’…고선웅 “윗사람들 꼭 봤으면”
스타 연출가 고선웅 “연극은 지우고 뺄수록 좋아져…연출도 마찬가지”
백상 수상작 '말린 고추와 복숭아향 립스틱' 9월 재공연 귀환
'라스' 침착맨, 유재석·나영석과 어깨 나란히 한 백상 후일담
예수정·주진모·성병숙 한 무대에…고대극회 연극 ‘코리올라누스’
고려대, 개교 120주년 기념 셰익스피어 비극 ‘코리올라누스’ 무대 9월 6일 개막
[단독] 허남준, '고래별' 주연 합류…최우식·문가영 만날까
[단독] 염정아·차주영·김혜윤 '랜드'로 뭉친다…오늘(12일) 리딩(종합)
[단독] '다작 행보' 김혜윤, 공포 이어 범죄물 접수 '랜드' 합류
[단독] '열일' 염정아, 女케이퍼물 '랜드' 리더 출격
[단독] 잘나가는 차주영, 또 파격 변신 예고 '랜드' 주연 낙점
수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식 단독 사회…'부산 어워드' 시상 이끈다
수현, 30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식 사회…단독 낙점
주지훈, 마닐라 팬미팅 성료…식지 않는 '중증외상센터' 열기
'편스토랑' 김금순, 홀로 두 아들 키운 '강인한 엄마'
김윤석, HB엔터와 전속계약
조정석, 2년 연속 '여름 흥행킹' 될까…'좀비딸'에 거는 기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