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일보는 1954년 장기영이 창간한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다. 소년한국일보, 서울경제신문, 주간한국 등의 자매지를 발행했으며, 1960년대에는 한글 전산자동조판기를 도입하는 등 기술 혁신을 이루었다. 2013년 한국일보 사태 이후 법정 관리를 거쳐 동화그룹에 인수되었으며, 현재는 한국일보닷컴을 통해 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제적으로는 중도우파, 사회적으로는 중도좌파 성향을 띠며,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창간 -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는 1954년 창간된 미국의 주간 스포츠 잡지로, 대중 스포츠 적극적 보도와 수영복 특집 등으로 성공했으나, 최근 소유권 변경과 위기를 겪었지만 인쇄판과 디지털판으로 재출범을 준비 중이며 스포츠 뉴스와 심층 분석 기사를 제공하고 스포츠 관련 시상을 진행한다. - 1954년 창간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1954년 창간된 프랑스 월간지로, 외교·지정학을 다루다 냉전 종식 후 신자유주의 비판, 국제 문제 심층 분석 등으로 영역을 넓혔으며, 재정적·편집적 독립 후 다양한 언어로 발행되지만, 음모론 게재 및 편향적 보도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대한민국의 일간신문 - 서울신문
서울신문은 1904년 창간된 대한매일신보의 역사를 잇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종합일간지로, 일제강점기 총독부 기관지 시기를 거쳐 광복 후 민족 언론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노력했으며, 온라인 뉴스 공급 시스템 구축, 사회 사업, 주 5일 발행 체제 도입 등 변화를 시도해왔으나 과거 정부 편향적 보도 논란도 있었다. - 대한민국의 일간신문 -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는 1969년 한국일보 자매지로 창간된 스포츠 신문으로, 스포츠호치와의 제휴, 코스닥 상장, 중앙일보 계열사 편입, JTBC PLUS 합병, KG그룹 매각 등 소유권 변동과 구조조정을 겪으며 경영 및 편집 방향에 변화를 겪었다.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노회찬
노회찬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동운동과 사회 개혁에 헌신했으나, 드루킹 사건 연루 의혹으로 특검 수사 중 투신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한국일보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일보 |
한자 표기 | 韓國日報 |
로마자 표기 | Hanguk Ilbo |
종류 | 일간신문 |
형태 | 브로드시트 |
창간일 | 1954년 6월 9일 |
소유주 | 동화기업 |
정치 성향 | 중도주의http://company.hankookilbo.com/company/introduce.aspx 재정 보수주의 문화 자유주의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발행인 | 승명호 |
발행 국가 | 대한민국 |
웹사이트 | http://www.hankookilbo.com/ |
언어 | 한국어 |
발행 부수 | 213,200+ |
회사 정보 | |
발행 법인 | (주)한국일보사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이성철 |
관련 언론 | 코리아타임스 |
기타 정보 | |
한국어 표기 | 한국일보 |
한자 표기 | 韓國日報 |
영역 | Korea Daily |
공동 조사 | https://www.yomiuri.co.jp/election/yoron-chosa/20230614-OYT1T50314/ |
2. 역사
1954년 장기영이 《태양신문》을 인수하여 6월 9일 《한국일보》라는 제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19] 같은 해 8월 1일 기자 제1기 6명을 공채, 정기적으로 기자를 공개 채용하는 관행을 다른 신문사에 퍼뜨렸다.[19] 1960년 7월 17일 소년한국일보를 창간했다.
1964년 사주 장기영이 경제부총리로 입각하고, 1965년 중앙일보가 창간되어 기자들을 스카우트하면서 한국일보는 큰 타격을 입었다.[20] 이후에도 4대 신문 또는 4대 일간지로 불렸으나,[21] 현재는 조중동과 격차가 크다.
1979년 한국 최초로 한글 전산자동조판기를 도입했고, 1983년에는 국한문(한자 한글 혼용문) 전자조판기를 개발했다. 1985년 1월 한국 신문 최초로 인공위성을 통한 전자 뉴스 수신 체제를 구축했다. 1991년 12월 16일부터 조간과 석간을 함께 발행했으나, 1993년 12월 1일 석간을 폐간하고 조간만 발행했다. 2000년 2월 인터넷 신문 독립 법인인 한국아이닷컴(한국아이닷컴kr)을 설립, 2001년 6월 인터넷과 종이 신문의 연계를 시작했다.
2002년 장재국 회장이 외환관리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21] 2008년 10월 9일 미국 블룸버그 TV와의 콘텐츠 제휴로 서울경제TV를 개국하였다.
2013년 6월 15일 장재구 회장 등 사측 인사들이 편집국을 폐쇄했다가, 2013년 8월 12일 한국일보 발행이 정상화되었다.
2. 1. 창간과 초기 발전 (1954년 ~ 1960년대)
1954년 장기영이 《태양신문》을 인수하여 6월 9일 《한국일보》라는 제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19] 같은 해 8월 1일 기자 제1기 6명을 공채한 이후 정기적으로 기자를 공개 채용해 다른 신문사에 이러한 관행을 퍼뜨렸다.[19]

1960년 7월 17일에는 소년한국일보를 창간하였다. 1964년 사주 장기영이 경제부총리로 입각하면서 한국일보는 하향세를 걷게 되었다.[20] 1965년 창간된 《중앙일보》가 다른 신문사에서 기자들을 스카우트했는데, 한국일보는 이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어 편집국 인원 25명과 업무, 광고 분야 인원 상당수를 잃었다.[20]
2. 2. 시련과 변화 (1960년대 ~ 2000년대)
1964년 사주 장기영이 경제부총리로 입각하면서 한국일보는 하향세를 겪었다.[20] 1965년 중앙일보 창간으로 다른 신문사에서 기자들을 스카우트하면서 한국일보는 가장 큰 타격을 입어 편집국 인원 25명과 업무, 광고 분야 인원 상당수를 잃었다.[20]한국일보는 1979년 한국 최초로 한글 전산자동조판기를 도입했고, 1983년에는 국한문(한자 한글 혼용문) 전자조판기를 개발했다. 1985년 1월에는 한국 신문 최초로 인공위성을 통한 전자 뉴스 수신 체제를 구축하는 등 기술 혁신에 힘썼다.
1991년 12월 16일부터 조간과 석간을 함께 발행했으나, 1993년 12월 1일 석간을 폐간하고 조간만 발행했다. 2000년 2월에는 인터넷 신문 독립 법인인 한국아이닷컴(한국아이닷컴kr)을 설립, 2001년 6월에는 인터넷과 종이 신문의 연계를 시작했다.
2002년 장재국 회장이 외환관리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21]
2. 3. 한국일보 사태와 법정관리 (2013년 ~ 현재)
2013년 4월 29일, 한국일보 기자들은 장재구 회장을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에 장 회장은 6월 15일 용역업체를 고용해 편집국을 폐쇄했고, 이는 '한국일보 사태'로 이어졌다. 7월 8일 법원은 기자들의 가처분 신청을 인용해 편집국 폐쇄를 풀도록 결정했다.[23] 검찰은 장 회장을 특별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횡령 혐의로 기소했고, 2014년 2월 11일 1심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24]한국일보 구성원들은 장재구 회장의 부실 경영과 배임으로 회사 경영이 어려워졌다고 판단, 7월 29일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회생 절차를 시작했다.[25] 이후 공개 매각을 통해 삼화제분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고, 2월 25일 본계약이 체결되었으나,[26] 인수대금 미지급으로 계약이 파기되었다. 재입찰 결과 동화그룹이 한국일보를 인수하게 되었으며, 동화기업이 약 60%, 동화엠파크주식회사가 나머지를 소유하게 되었다.
2014년 5월 19일, 한국일보는 [http://www.hankookilbo.com 한국일보닷컴]을 출범시켰다. 기존 웹사이트인 한국아이닷컴을 운영하던 (주)인터넷한국일보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독자적인 뉴스 서비스를 구축한 것이다. 이는 한국일보 사측이 구성원 몰래 (주)인터넷한국일보 지분을 매각하여 한국일보의 자회사 지위를 상실하게 한 것이 주된 원인이었다.[27] 또한, 한국일보와 (주)인터넷한국일보는 기사 콘텐츠를 (주)인터넷한국일보에 무료로 제공하는 계약을 갱신한 것으로 밝혀졌다. (주)인터넷한국일보는 이 콘텐츠를 포털사이트 등에 판매하고 자사 사이트에서 서비스하여 광고 수익을 얻고 있었다.
법정관리 개시 후, 한국일보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4월 30일 계약 해지권을 행사하여 (주)인터넷한국일보와의 계약을 해지했다. 이후 신문 편집국 내에 디지털뉴스부를 설치하고, 자사 기자들을 배치하여 '반칙 없는 신문'을 슬로건으로 하는 한국일보닷컴을 출범시켰다. 한국일보는 이날부터 (주)인터넷한국일보에 뉴스 제공을 중단했고, 한국일보 뉴스는 한국일보닷컴에서만 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한국 검찰은 2013년 8월, 장재구 회장을 회사와 관련 회사에 약 3000억원의 손해를 입힌 배임 혐의 등으로 체포했다.[16] 이 사건으로 한국일보는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매각 절차가 진행되었다. 2014년 9월 2차 입찰에서 목재·바닥재 제조업체인 동화기업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17]
3. 정치적 성향
한국일보는 경제적으로는 중도우파, 사회적으로는 중도좌파 성향을 띠는 것으로 여겨진다. "자유주의"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이는 미국 정치적 맥락에서의 "자유주의"와는 다르다.[8]
한국일보는 공식적으로 "중도" 이외의 이념을 내세우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재정 건전성"을 중시하는 재정 보수주의적 성향을 보여왔다. 문재인 정부의 재정 정책에 대해 "재정건전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자주 비판했으며,[9][10] "자유 시장 경제"를 지지한다.[11]
보수적인 재정 성향과는 대조적으로, 문화적 자유주의적 경향을 보인다. LGBT 등 소수자 권리를 지지하고 "다양성"을 강조하며,[12] 한국 사회의 비만 혐오를 비판한다.[13] 페미니즘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14]
3. 1. 중도 성향과 언론의 역할
한국일보는 경제적으로는 중도우파, 사회적으로는 중도좌파 성향을 띠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일보는 "자유주의"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이는 미국 정치적 맥락에서의 "자유주의"의 의미와는 다르다.[8]
한국일보는 공식적으로 "중도" 이외의 이념을 내세우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재정 건전성"을 중시하는 재정 보수주의적 성향을 보여왔다. 본 신문은 문재인 정부의 재정 정책에 대해 "재정건전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자주 비판했다.[9][10] 또한 "자유 시장 경제"를 지지한다.[11]
다소 보수적인 재정 성향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일보는 어느 정도 문화적 자유주의적 경향을 보인다. 본 신문은 LGBT 및 기타 소수자 권리를 지지하고 "다양성"을 강조했다.[12] 한국일보는 한국 사회의 비만 혐오를 비판했다.[13] 또한 한국일보는 페미니즘에 대해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14]
3. 2. 경제 정책에 대한 입장
한국일보는 공식적으로 "중도" 이외의 이념을 내세우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재정 건전성"을 중시하는 재정 보수주의적 성향을 보여왔다. 한국일보는 문재인 정부의 재정 정책에 대해 "재정건전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자주 비판했다.[9][10] 또한 "자유 시장 경제"를 지지한다.[11]3. 3.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한 입장
한국일보는 LGBT를 비롯한 소수자 권리를 지지하며, "다양성"을 강조한다.[12] 한국 사회의 비만 혐오 현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13] 페미니즘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시각을 견지한다.[14]4. 계열사 및 자매지
장기영은 1954년 자신이 소유했던 영자 일간신문 코리아타임스를 통해 《한국일보》를 인수하고, 같은 해 6월 9일 제호를 《한국일보》로 변경했다.[1] 이후 소년한국일보(1960년), 서울경제(1960년), 주간한국(1964년) 등을 창간했다.
현재 한국일보의 계열사 및 자매지로는 코리아타임스, 서울경제, 소년한국일보, 주간한국 등이 있다.
4. 1. 코리아타임스
'''코리아 타임스'''(''The Korea Times'')는 서울에서 발행되는 한국의 영어 신문이다. 한국전쟁 당시 한국 정부 공보처(현재의 국정홍보처) 처장 김활란이 유엔군 장병들에게 한국 소식을 알려 한국의 실정을 바로 인식시키고자 1950년 11월 1일에 창간하였다.[1] 초대 사장은 김상용이며, 1953년 11월 장기영이 창간한 《한국일보》의 자매지가 되었다.[1] 처음에는 B4판 2면으로 발행되었으나, 1978년 1월 1일부터 매일 8면과 주 2회 4면의 부록을 발행하였고, 1986년 9월부터는 12면으로 발행되었다.[1] 2001년 당시 발행면수는 16면이었으며, ‘타임스 인터뷰(Times Interview)’, ‘디어 애비(Dear Abby)’ 등 유명한 칼럼도 싣고 있다.[1]5. 사회 공헌 활동
한국일보는 한국 전쟁 직후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전개하고, 문화, 예술, 체육 행사를 후원하는 등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쳐왔다.
5. 1. 이산가족 찾기 운동
한국일보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10만 어린이 부모찾아주기 운동"과 "1천만 이산가족찾기 운동" 등을 실시하여 한국 전쟁의 혼란 속에서 발생한 이산가족의 재회를 지원했다.[2]5. 2. 문화, 예술, 체육 행사 후원
한국일보는 문화, 예술, 체육 행사를 다양하게 주최하고 후원했다. 특히 문학과 예술 분야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77년 한국산악연맹과 함께 "77 에베레스트 등정 계획"을 성공시켜 한국 최초로 에베레스트 정상 등정 기록을 세웠다.[1]한국일보가 주관하는 주요 행사로는 한국창작문학상, 신춘문예, 한국출판문화상, 한국문학번역상, 백상예술대상, 미스코리아, 한국음악콩쿠르, 백상체육대상 등이 있다.[1]
6. 주목받은 보도
2021년, 싱가포르의 싱크탱크인 ISEAS 유소프 이삭 연구소에서 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이들 국가 내 대한민국의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이 모두 1% 미만(경제적 0.6%, 정치적 0.3%)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18] 한국일보는 이를 두고 "ASEAN 국가들에서 대한민국의 영향력은 1%에도 못 미친다", "ASEAN 국가들에서 한국의 지위는 매우 미미하다"고 지적했다.[18]
6. 1. ASEAN 국가 내 대한민국의 영향력 (2021년)
2021년, 싱가포르의 싱크탱크인 ISEAS 유소프 이삭 연구소(ISEAS–Yusof Ishak Institute)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ASEAN 국가들 내 대한민국의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은 모두 1% 미만(경제적 영향력 0.6%, 정치적 영향력 0.3%)으로 나타났다.[18] 같은 조사에서 "코로나19 문제를 지원하는 대화 파트너", "미중 대립 속 ASEAN 국가들의 파트너", "가장 좋아하는 여행지"에 대한 질문에 한국은 각각 5.4%, 3.2%, 4.7%의 응답률을 보였다.[18] 이에 대해 《한국일보》는 "ASEAN 국가들에서 대한민국의 영향력은 1%에도 못 미친다", "ASEAN 국가들에서 한국의 지위는 매우 미미하다"고 지적했다.[18]7. 신춘문예
는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한국일보 신춘문예는 1957년 첫 공모를 시작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수많은 신인 작가들을 배출해왔다.
8. 참고 사항
창간호부터 현재까지 모든 기사를 PDF 서비스로 볼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로그인이 필요하며, 무료로 제공된다.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일보 회사소개
http://company.hanko[...]
[2]
웹사이트
한국일보(韓國日報)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9-01-10
[3]
웹사이트
2017년도(2016년분) 일간신문 163개사 인증부수
http://www.kabc.or.k[...]
2019-01-10
[4]
뉴스
Hankook Ilbo chairman is arrested for corruption
http://koreajoongang[...]
2013-08-07
[5]
뉴스
South Korea newspaper owner arrested for embezzlement
https://www.straitst[...]
2013-08-06
[6]
뉴스
About Dongwha Group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5-09-22
[7]
뉴스
Seung Myung-ho named chairman of Korea Time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5-11-01
[8]
뉴스
Trump and Kim's handshake analyzed around the world
https://www.ctvnews.[...]
2018-06-12
[9]
뉴스
문 정부, 브레이크 없는 확장재정에...나랏빚 1000조, 채무비율 50% 동시 돌파
https://www.hankooki[...]
2021-08-15
[10]
뉴스
재정건전성 부담 다음 정부로 넘긴 600조 '슈퍼예산'
https://www.hankooki[...]
2021-09-01
[11]
서적
Understanding Journalism in Korea
https://books.google[...]
CommunicationBooks
2015
[12]
뉴스
'소수자 삭제'의 폭력
https://www.hankooki[...]
2021-11-19
[13]
뉴스
"살찐 게 죄?" 어딜가든 마주치는 한국인의 비만 혐오
https://www.hankooki[...]
2018-05-19
[14]
뉴스
번지수 잘못 짚은 두 아재 후보들
https://www.hankooki[...]
2021-11-18
[15]
웹사이트
日韓関係「良い」急上昇、日本45%・韓国43%…読売新聞と韓国日報が共同世論調査
https://www.yomiuri.[...]
2023-06-15
[16]
웹사이트
日本経済新聞電子版2013年8月6日
https://www.nikkei.c[...]
2013-08-06
[17]
웹사이트
朝鮮日報日本語版2014年9月19日
http://www.chosunonl[...]
2014-09-19
[18]
뉴스
ASEANにおける日韓の影響力に大きな差? 初の調査結果に韓国ネット「当然だ」「韓国はこれから」
https://www.recordch[...]
2021-02-17
[19]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인물과사상사
2004
[20]
서적
신문발행인의 권력과 리더쉽: 장기영의 부챗살 소통망 연구
나남
1999
[21]
뉴스
해직 줄이려 최선다했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8-12-14
[22]
뉴스
종이 신문, 발등에 불 떨어졌다
http://www.sisapress[...]
시사저널
2013-10-27
[23]
뉴스
한국일보 편집국 열렸지만... 갈 길 먼 정상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4]
뉴스
법원, 한국일보 장재구 회장에 징역 3년 선고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5]
뉴스
법원, 한국일보 회생절차 개시 결정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6]
뉴스
한국일보사·삼화제분컨소시엄, M&A 본계약 체결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4-05-20
[27]
뉴스
한국일보가 한국아이닷컴과 결별한 이유는?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8]
기타
설날·추석에 한정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8월2일 궂긴 소식
7월11일 인사
“춤으로 80년대 민주화운동 격동” 이애주 사진집 발간
6월26일 궂긴 소식
6월16일 궂긴 소식
6월12일 궂긴 소식
5월27일 궂긴 소식
한국온라인신문협회, 박학용 회장 재선임
윤석열 탄핵 4월로, 언제까지 견뎌야 하는가? [3월28일 뉴스뷰리핑]
3월28일 인사
경향 기획 ‘우리는 서로의 증언자’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경향신문 ‘우리는 서로의 증언자’ 기획 보도,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수상
3월11일 인사
명지대 문예창작학과, ‘2025 신춘문예’ 당선자 2명 배출
온라인신문협회, 디지털저널리즘혁신대상에 한국일보 ‘세월호 기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