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표준협회는 산업표준화법 제32조에 근거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표준·품질 관련 활동을 수행한다. 회원 서비스, 산업표준 및 품질 연구, 국내외 표준화 활동, 국내외 표준 보급, 품질 관련 정부 포상 주관, 품질 진흥 및 민간 포상, 교육, 인증, 환경·지속가능경영, 국제 협력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KS, ISO 등 다양한 표준 관련 교육 및 인증을 제공한다. 1962년 사단법인 한국표준규격협회로 설립되어, 199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표준 단체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대한민국의 국가 측정 표준을 확립하고 관리하는 연구 기관으로, 1975년 설립되어 국가측정표준대표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표준시계 개발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 대한민국의 표준 단체 - 국가기술표준원
국가기술표준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기관으로, 국가표준 및 산업표준화 정책 수립, 제품 안전 및 품질 관리, 적합성평가, 계량·측정에 관한 정책 수립 등을 담당하며 1883년 분석시험소 설치를 기원으로 여러 개편을 거쳐 201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제품 인증 - 유기농 식품
유기농 식품은 화학 비료와 살충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과 생태계를 보전하는 방식으로 생산된 식품으로, 유기농업 운동에서 시작되어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가 기준을 설정하고 인증하며,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로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 제품 인증 - 에너지 스타
에너지 스타는 미국 환경 보호국에서 시작된 에너지 효율 인증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제품군의 에너지 절약 제품 사용을 장려하며 국제적인 에너지 절약 노력에 기여하고 있다. - 1962년 설립된 단체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 (쿠바)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쿠바)은 체 게바라가 주최한 창립대회를 통해 1962년 설립된 쿠바 사회주의 혁명연합당의 청년 조직으로, 호세 마르티 피오네르 조직을 소속 단체로 두고 쿠바 사회 건설 및 국제 청년 운동 연대 강화에 기여하는 세계민주청년연맹 회원 단체이다. - 1962년 설립된 단체 - 한국미술협회
한국미술협회는 1961년 창립되어 한국예총 산하에서 대한민국미술대전 개최 및 국제 교류 등 미술계 활동을 펼치는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미술인 단체이다.
한국표준협회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한국표준협회 |
영문 명칭 |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
로마자 표기 | Hangook Pyojoon Hyeobhui |
설립일 | 1962년 3월 13일 |
유형 | 전문가 협회 |
형태 | 공직유관단체 |
목적 | 산업 표준화 및 품질 경영의 조사·연구·개발 및 보급 촉진으로 과학기술 진흥과 생산 능률의 향상을 도모하여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 |
표어 | Future Value, Ask KSA |
본부 위치 | 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69길 5 (삼성동)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회원 수 | 4,200여 사 |
사용 언어 | 한국어 |
직원 수 | 300여 명 |
예산 | 1,500여억 원 |
웹사이트 | https://ksa.or.kr |
조직 | |
주요 기관 | 한국표준협회 미디어 |
모기관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제휴 기관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주요 인물 | |
초대 수장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현재 수장 | 강명수 |
서비스 | |
주요 서비스 | 표준화 인증 품질 향상 교육 멤버십 |
기타 | |
이전 명칭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산업표준화법 | 대한민국 산업표준화법#32 |
2. 설립 근거
산업표준화법 제32조[3]
한국표준협회는 표준화 및 품질경영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한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3. 하는 일
3. 1. 회원 서비스
서비스 | 내용 |
---|---|
교육수강권 제공 | 일반교육, 원격교육 (KS법정 및 자격증 제외) |
교육비 할인 | KS·ISO·경영·품질·TPM생산·DX교육 등 약 10~20% 할인 |
KS표준 구매 할인 | 한국표준정보망(KSSN) |
지역별 회원사 네트워크 포럼 |
3. 2. 산업표준·품질 연구
- 표준·품질 정책 구축 및 정부 제안
- 국내외 표준·품질 정책 동향 분석
- 표준·품질 연구 결과 발간 (표준정책 마일스톤, Next Standards, 표준정책 이슈리포트 등)
- 분야별 표준화·품질 연구
3. 3. 국내 표준화 활동
한국표준협회는 다음과 같은 국내 표준화 활동을 하고 있다.- 표준 개발 참여: KS표준 등 표준 개발에 참여한다.
- 표준화 교육: 표준 전문가, 대학생, 초등학생, 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표준화 교육을 실시한다.
-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 주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부포상이 주어지는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를 주관한다.
-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사업 운영: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사업을 운영한다.
- 미래신성장 산업 표준기반 R&D 추진전략 발표회 주관: 미래신성장 산업의 표준 기반 연구개발(R&D) 추진전략 발표회를 주관한다.
3. 4. 국제 표준화 활동
- 국제표준화기구(ISO, IEC 등) 국내 전문 위원회를 운영한다.[1]
- ISO 총회, IEC 총회, PASC 총회 등 국제회의 국내 개최를 주관한다.[1]
- 글로벌표준화지원센터를 운영한다.[1]
-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등 개발도상국에 표준체계 보급 지원 사업을 한다.[1]
3. 5. 국내외 표준 보급
한국산업표준(KS) 21개 부문, 2만여 종의 KS표준을 보급하고 있다.[1] 또한, 해외 표준을 수집하여 보급한다.[1]3. 6. 품질 관련 정부 포상 주관
포상 종류 | 훈격 | 비고 |
---|---|---|
유공자(개인) 포상 | 훈장, 포장,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장관표창 등 | |
유공단체 포상 |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 국가품질대상, 국가품질경영상, 국가품질혁신상 |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장관표창 | 국가표준화대상, 단체표준대상, KS인증대상 | |
해당사항 없음 | 품질분임조, 국가품질명장, 품질경쟁력우수기업 |
3. 7. 품질 진흥 및 민간 포상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는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한 서비스품질 측정 모델이다.한국서비스대상은 서비스품질이 우수한 기업, 기관, 단체, 개인을 포상한다.
3. 8. 교육 (표준·품질·인증·경영 분야)
표준화, 품질경영, 생산성, 구매, 물류, 개발설계, 설비, 안전, 환경, ISO, 경영지원, 영업마케팅,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실시한다.[1] 최고경영자, 간부, 실무담당자 등 대상별 맞춤 교육과 초·중·고급 수준별 교육, 고용 연계 교육사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을 제공한다.[1] 공개교육, 사내교육, 해외연수, 세미나, 컨퍼런스, 연구회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1]3. 9. 인증
- 1998년 국립기술품질원으로부터 KS 인증기관으로 지정되었다.[1]
- 2000년 한국인정원으로부터 품질보증체제, 환경경영체제, QS-9000 인증기관으로 지정되었다.[2]
- 2001년 일본 경제산업성으로부터 JIS인증기관으로 지정되어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미얀마, 베트남 등 아시아 11개국을 관할하게 되었다.[3]
3. 10. 환경·지속가능경영
- 온실가스 검인증 (CDM, VCS, GHG, Energy Target Management, KVER 등)
- 기업·기관의 지속가능경영 체계 구축,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등
3. 11. 국제 협력
세계 각국의 표준화 기구, 품질경영 단체와 교류 협력하고 있다.4. 연혁
- 1962년 3월: 사단법인 한국표준규격협회 설립
- 1975년 2월: 품질관리추진본부사무국 지정(공업진흥청)[1]
- 1983년 12월: 품질경영연수원 개원[1]
- 1986년 8월: 표준화능력평가기관 지정(공업진흥청)[1]
- 1987년 5월: 인정직업훈련원 인가(노동부)[1]
- 1991년 5월: 품질경영연구소 설치[1]
- 1992년 7월: 품질경영민간중앙추진본부 지정(공업진흥청)[1]
- 1993년 6월: 한국표준협회로 명칭 변경[1]
- 1994년 12월: 품질보증체제 연수기관 국내 1호 지정(공업진흥청)[1]
- 1996년 10월: 환경경영체제 연수기관 국내 1호 지정(국립기술품질원)[1]
- 1998년 7월: KS인증기관 지정(국립기술품질원)[1]
- 1999년 8월: 산업표준연구원 설치[1]
- 2000년 3월: 품질보증체제 인증기관 지정(한국인정원)[1]
- 2000년 9월: 환경경영체제, QS-9000 인증기관 지정(한국인정원)[1]
- 2001년 2월: JIS인증기관 지정(일본경제산업성)[1]
- 2001년 4월: 중국사무소 개소(베이징)[1]
- 2002년 3월: 품질경영중앙추진본부 지정(산업자원부)[1]
- 2004년 3월: (주)한국표준협회미디어 설립[1]
- 2004년 10월: 단체표준활동지원추진사무국 지정(산업자원부)[1]
- 2005년 6월: 사회적 책임(SR) 표준화 포럼 구축[1]
- 2007년 1월: e-HRD Total Service 기관[1]
- 2007년 4월: 공공기관 지정(기획예산처), 기존은 산업부 산하 공직유관단체 지위[1]
- 2007년 7월: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MOU 체결[1]
- 2007년 10월: 온실가스 감축실적 검증 전문기관 지정(산업자원부)[1]
- 2008년 10월: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검인증기관(DOE) 지정(UNFCCC)[1]
- 2009년 2월: ISO 26000 국내 간사 기관 지정(기술표준원)[1]
- 2009년 6월: 국내최초 VCS(Voluntary Carbon Standard) 검증기관 지정(VCS협회)[1]
- 2009년 9월: KSA가산디지털센터(교육센터) 개소[1]
- 2010년 1월: 녹색교육기관 지정(녹색성장위원회)[1]
- 2011년 4월: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검증기관 지정[1]
- 2011년 6월: 국제트리즈협회(MATRIZ) 공인 자격취득교육 훈련기관 등록[1]
- 2012년 3월: 창립 50주년 기념식 거행 및 50년사 발간[1]
- 2012년 6월: PASC 총회(태평양지역표준협력총회) 주관(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 주최)[1]
- 2012년 12월: 명품창출 CEO포럼 시작[1]
- 2013년 1월: ASTD T+D Korea 창간(글로벌HRD전문지 한국어판)[1]
- 2013년 4월: 멀티미디어 국제표준화 회의 주관(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 주최)[1]
- 2013년 6월: KS인증지원센터 개소(대전, 수원, 대구)[1]
- 2013년 8월: 글로벌표준화지원센터 개소[1]
- 2014년 11월: 제40회 국가품질경영대회 개최(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주최)[1]
- 2015년 1월: 공공기관 지정 해제(기획재정부), 산업부 산하 공직유관단체 지위로 회귀[1]
- 2015년 9월: ISO 서울총회(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주최)[1]
- 2016년 3월: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지정(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1]
- 2018년 10월: IEC 부산총회 개최(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주최)[1]
- 2020년 1월: 사옥 이전(DT센터)[1]
- 2020년 7월: 엑셀러레이터 기관(창업촉진 전문기관, 중소기업벤처부)[1]
5. 조직
한국표준협회는 해당 조직 구조를 https://ksa.or.kr/ksa_kr/6334/subview.do 조직도를 통해 상세히 공개하고 있다.
5. 1. 조직 구조
https://ksa.or.kr/ksa_kr/6334/subview.do 한국표준협회 조직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참조
[1]
웹사이트
http://eng.ksa.or.kr
[2]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eng.ksa.or.k[...]
2022-10-13
[3]
법률
산업표준화법 제32조(한국표준협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국인정지원센터, 창립 30주년 ‘국제 AI 세미나’ 개최
한국동서발전, 인공지능 통한 중소기업 성장 지원…“민·관·학 협력체계 구축”
"품질 불량 검증하는 기관서 AI·탄소중립 인증 허브로"
7월18일 알림
“상조는 예다함에 맡겨야겠네”… 프리미엄 브랜드지수 9년 연속 1위 쾌거
AI로 고객과 교감하는 시대 … '초개인화 서비스' 시작됐다
[포토] 올해 최고의 서비스기업 한자리에
평택 원도심의 1,918가구 랜드마크 대단지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 분양 중
4월23일 알림
3월6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