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비스품질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는 대한민국 서비스 산업의 품질 수준을 측정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이다. 국가 경제 지표 활용 및 기업 경쟁력 강화,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S-SQI는 SERVQUAL 및 SERVPERF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서비스 산업과 고객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성과와 과정 영역으로 구분되는 7가지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으로 구성된다. 조사는 서비스 산업을 대상으로 하며, 전국 고객을 대상으로 일대일 개별 면접 조사 및 인터넷 패널 조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조사 대상 업종과 기업, 조사 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서비스 산업이 대한민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질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서비스 품질 수준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의 필요성이 커졌다. 세계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국내 서비스 산업의 지속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 측정 및 향상이 중요해졌다.
KS-SQI는 PZB(Parasuraman, Zeithaml, and Berry) 등의 SERVQUAL 모델과 Cronin & Taylor의 SERVPERF 모델을 기초로 하여, 국내 서비스 산업과 고객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Gap)가 서비스 품질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는 서비스 품질의 선행 변수를 포괄한다.
업종별 서비스품질지수(KS-SQI)는 7가지 구성요인의 측정값을 가중 평균하여 도출하며, 국내 서비스 산업의 서비스품질지수는 조사 대상 전체 업종의 서비스품질지수를 평균하여 도출한다.
KS-SQI는 서비스 산업만을 대상으로 조사, 발표하는 전문적인 지수 평가이다. 전국에 거주하며 1개월~1년 이내 해당 기업의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매년 상반기(3월~5월), 하반기(7월~9월)에 유의할당 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한다. 기업별 300표본으로 일대일 개별 면접 조사와 인터넷 패널 조사 방식을 적용한다.
2. KS-SQI 개발 배경 및 목적
KS-SQI는 국가 경제 지표로 활용되고 경쟁력을 강화하며(경제적 측면), 기업 경쟁력 강화(기업 측면), 삶의 질 향상을 통한 국민 행복 추구(국민 소비자 측면)에 기여하고자 한다. 서비스 품질은 고객 만족의 선행 변수로, 고객 만족과 기업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KS-SQI는 기업의 서비스 품질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하여 지속적으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체적인 진단 정보와 실질적인 전략 방안을 제시한다.
3. 조사 모델
초기에는 SERVQUAL 모델의 5개 차원 22개 항목을 기초로 국내 서비스 산업 특성에 맞게 세부 측정 항목을 재조정하였고, 2006년 재정립 과정을 통해 성과 영역 2개 차원, 과정 영역 5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3. 1. 조사 모델 구성 요소
KS-SQI 조사 모델은 7개의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으로 구성되며, 각 차원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각 차원은 업종별 특성에 맞게 실제로 측정 가능한 세부 항목들로 구성된다.영역 구성요인 내용 성과 본원적 서비스 고객이 서비스를 통하여 얻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구 충족 예상외 부가서비스 고객에게 타사 대비 차별적 혜택과 부가적 서비스 제공 과정 신뢰성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에게 느끼는 신뢰감 : 서비스 제공자의 진실성, 정직성,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 소유 친절성 예의 바르고 친절한 고객 응대 태도, 고객에 대한 인사성, 공손한 자세 적극지원성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의지 접근용이성 서비스 제공 시간 및 장소의 편리성 물리적 환경 서비스 평가를 위한 외형적 단서
4. 측정 방법론
7가지 요인의 상대적인 중요도(가중치)는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계층분석법은 복수 기준 의사 결정 문제를 계층화하고 체계적으로 단순화하여 합리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로, 각 기준 간 중요성은 이원 비교 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로 일관성 있게 유도하였다.
5. 조사 개요
5. 1. 조사 대상
KS-SQI는 서비스 산업만을 대상으로 조사, 발표하는 전문적인 지수 평가이다. 전국에 거주하며 1개월~1년 이내 해당 기업의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진다. 매년 상반기 업종은 3월에서 5월 사이에, 하반기 업종은 7월에서 9월 사이에 유의 할당 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한다. 기업별 300표본으로 일대일 개별면접조사와 인터넷 패널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실시한다.
조사 대상 업종 | 한국표준산업분류에 기초한 서비스 관련 77개 업종 (공공행정서비스 8개 부문 포함) |
---|---|
조사 대상 기업 선정 | (위와 동일) |
조사 대상자 선정 | 해당 기업의 서비스 및 제품 이용 경험이 있는 5대 도시(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 거주하는 20세~59세 성인 남녀 (일부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 특성에 따라 수도권, 도, 광역시 지역과 10대를 조사에 포함) |
표본추출방법 | (위와 동일) |
6. KS-SQI 조사의 발전
2015년과 2016년에는 中国중국어, 日本일본어 등 아시아 2개국에 대한 백화점, 편의점, 은행, 이동통신, 초고속인터넷, 항공, 생명보험 등 7개 업종의 서비스 품질 수준을 조사하였다. 2015년에는 67개 일반 서비스 업종 및 7개 공공행정 서비스 부문에 관하여 304개 기업(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2016년에는 69개 일반 서비스 업종 및 8개 공공행정 서비스 부문에 관하여 309개 기업(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KS-SQI는 조사 대상 업종 및 기업, 조사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발전하고 있다.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삼성전자서비스 AS평가 1위
삼성전자서비스, ‘서비스 품질 평가’ 1위 연속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