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 1998-99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8-99 시즌 한국프로농구는 경기 시작 시간 변경, 서울 중립 경기 의무 개최, 프로 구단의 농구대잔치 참가 등을 통해 팬 관람 편의를 도모하고 리그 활성화를 꾀했다. 정규 리그에서는 대전 현대 다이내믹스가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으며, 6강 플레이오프를 거쳐 대전 현대가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를 꺾고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했다. 대구 동양 오리온스는 32연패를 기록하며 최하위에 머물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농구 - 한국프로농구 1999-2000
1999-2000 시즌 한국프로농구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대전 현대 걸리버스가 정규 리그 1위를, 청주 SK 나이츠가 플레이오프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우승팀은 1억 3천만 원의 상금을 받았다. - 1998년 농구 - 한국프로농구 1997-98
한국프로농구 1997-98은 두 번째 시즌으로, 규정 변경, 샐러리 캡 조정, 신인 드래프트 참가 자격 제한 등이 있었으며 대전 현대 다이냇이 통합 우승, 허재가 플레이오프 MVP를 수상했다. - 1998년 농구 - 한국프로농구 포스트시즌 1998
1998년 한국프로농구 포스트시즌은 1997-1998 시즌의 플레이오프로, 대전 현대 다이넷이 정규 시즌 1위, 챔피언 결정전에서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한국프로농구 시즌 - 한국프로농구 1997
한국프로농구 1997은 KBL의 출범 시즌으로 용병 제도와 지역 연고제가 처음 도입되었으며,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통합 우승, 강동희의 MVP 동시 수상, 제럴드 워커의 KBL 최초 트리플 더블 기록 등 다양한 이야깃거리가 있었다. - 한국프로농구 시즌 - 한국프로농구 2006-07
한국프로농구 2006-07 시즌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가 정규 시즌 1위와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차지했으며, 플레이오프에는 오리온스, 삼성 썬더스, KTF, KT&G, 현대모비스, LG 세이커스가 참여했다.
| 한국프로농구 1998-99 | |
|---|---|
| 시즌 정보 | |
| 리그 | 한국프로농구 |
| 스포츠 | 농구 |
| 기간 | 1998년 11월 8일 – 1999년 4월 16일 |
| 시즌 | 정규 시즌 |
| 우승팀 | |
| 시즌 우승팀 | 대전 현대 다이너스 |
| MVP | |
| 시즌 MVP | 이상민 (현대) |
| 득점왕 | |
| 득점왕 | 버나드 블런트 (LG) |
| 파이널 | |
| 파이널 링크 | 한국프로농구#결과 |
| 파이널 우승팀 | 대전 현대 다이너스 |
| 파이널 준우승팀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 파이널 MVP | 조성원 (현대) |
| 파이널 MVP 링크 | 한국프로농구#결과 |
| 시즌 목록 | |
| 시즌 목록 | 한국프로농구 시즌 목록 |
| 이전 시즌 링크 | 1997–98 KBL 시즌 |
| 이전 시즌 | 1997–98 |
| 다음 시즌 링크 | 1999–2000 KBL 시즌 |
| 다음 시즌 | 1999–2000 |
2. 달라진 점
경기 시작 시간을 평일 오후 7시, 주말 및 공휴일 오후 3시로 변경하여 팬들의 관람 편의를 도모했다. 서울 중립경기를 하루에 한 경기씩 의무적으로 개최하여 농구 팬 저변 확대를 꾀했다. 프로 구단들이 아마추어 대회인 농구대잔치에 참가하여 리그 활성화를 도모했다.
1998-1999 시즌에는 선수 이동과 관련하여 원본 소스에 특별한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다. 다만, 1999 KBL 드래프트를 통해 신인 선수들이 각 팀에 합류한 것은 확인할 수 있다.
3. 선수 이동
3. 1. 1998-1999 신인 선수 지명
1999 KBL 드래프트를 통해 신인 선수들이 각 팀에 합류했다.
4. 정규 리그
1998-99 시즌에는 10개 구단이 참여하여 정규 리그가 진행되었다. 대전 현대 다이냇이 33승 12패로 2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31승 14패로 그 뒤를 이었다. 인천 대우 제우스, 원주 나래 블루버드, 창원 LG 세이커스, 수원 삼성 썬더스는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4. 1. 정규 리그 순위
| 순위 | 팀 | 경기 | 승 | 패 | 승률 | 게임차 | 타이브레이크 |
|---|---|---|---|---|---|---|---|
| 1 | 대전 현대 다이내믹스 | 45 | 33 | 12 | 0.733 | - | - |
| 2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45 | 31 | 14 | 0.689 | 2 | - |
| 3 | 인천 대우 제우스 | 45 | 27 | 18 | 0.600 | 6 | 3–2 |
| 4 | 원주 나래 블루버드 | 45 | 27 | 18 | 0.600 | 6 | 2–3 |
| 5 | 창원 LG 세이커스 | 45 | 25 | 20 | 0.556 | 8 | 3–2 |
| 6 | 수원 삼성 썬더스 | 45 | 25 | 20 | 0.556 | 8 | 2–3 |
| 7 | 안양 SBS 스타즈 | 45 | 22 | 23 | 0.489 | 11 | - |
| 8 | 청주 SK 나이츠 | 45 | 19 | 26 | 0.422 | 14 | - |
| 9 | 광주 나산 플라망스 | 45 | 13 | 32 | 0.289 | 20 | - |
| 10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45 | 3 | 42 | 0.067 | 30 | - |
5. 포스트시즌
1998-99 시즌 프로농구는 6강, 4강 플레이오프 및 챔피언 결정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렸다. 6강에서는 원주 나래가 창원 LG를, 서울 삼성이 인천 대우를 각각 꺾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대전 현대가 원주 나래를, 부산 기아가 서울 삼성을 누르고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다.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대전 현대 다이냇이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를 4승 1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5. 1. 포스트시즌 결과
| 1998-1999 KBL 챔피언 |
|---|
| 대전 현대 다이내믹스 두 번째 우승 |
6. 최종 순위
wikitext
| 순위 | 팀 | 승 | 패 | 승률 | 승차 | 비고 |
|---|---|---|---|---|---|---|
| 1 | 대전 현대 다이냇 | 33 | 12 | 0.733 | - | 통합 우승 |
| 2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31 | 14 | 0.689 | 2 | |
| 3 | 원주 나래 블루버드 | 27 | 18 | 0.600 | 6 | |
| 4 | 수원 삼성 썬더스 | 25 | 20 | 0.556 | 8 | |
| 5 | 인천 대우 제우스 | 27 | 18 | 0.600 | 6 | |
| 6 | 경남 LG 세이커스 | 25 | 20 | 0.556 | 8 | |
| 7 | 안양 SBS 스타즈 | 22 | 23 | 0.489 | 11 | |
| 8 | 청주 SK 나이츠 | 19 | 26 | 0.422 | 14 | |
| 9 | 광주 나산 플라망스 | 13 | 32 | 0.289 | 20 | |
| 10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3 | 42 | 0.067 | 30 |
대전 현대 다이냇이 정규 리그와 챔피언 결정전에서 모두 우승하며 통합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KBL 역사상 최초로 2년 연속 통합 우승이라는 기록이다.
7. 시즌 화제
대구 동양 오리온스는 김병철, 전희철, 박재일 등 주전 선수들의 군 입대와 미국 출신 용병 센터 그레그 콜버트의 돌출 행동(1998년 12월 1일 아내와의 불화를 이유로 돌연 미국으로 귀국함)으로 인해 대한민국 프로 농구 역사상 최다 연패 기록이자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역사상 최다 경기 연패 기록인 32연패(1998년 11월 24일 ~ 1999년 2월 24일)를 기록하면서 최하위에 그쳤다.
대전 현대 다이냇은 2년 연속 정규 리그 MVP를 차지한 이상민의 활약에 힘입어 대한민국 프로 농구 역사상 최초로 2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을 달성한데 이어 챔피언 결정전에서도 승리하면서 대한민국 프로 농구 최초로 2년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8. 상금
1998-99영어 시즌의 상금은 다음과 같다.
| 순위 | 팀 | 상금 |
|---|---|---|
| 우승 | 대전 현대 다이넷 | 1.5억원 |
| 준우승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8000만원 |
| 정규 시즌 3위 | 인천 대우 제우스 | 2000만원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