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구대잔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구대잔치는 1983년부터 2017년까지 개최된 대한민국의 농구 대회이다. 초기에는 리그전을 거쳐 최종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93년부터는 단일 풀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했다. 현대전자, 삼성전자, 기아자동차 등 실업팀과 연세대, 고려대 등 대학팀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90년대에는 농구 열풍과 함께 농구화, 만화,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가 인기를 끌었다. 상무 농구단이 최다 우승팀이며, 2015년에는 연세대, 고려대, 상무 등을 포함한 팀들이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농구 대회 - WKBL 챔피언 결정전
    WKBL 챔피언 결정전은 한국여자프로농구의 최종 우승팀을 결정하는 대회이며, 1998년 시작되어 역대 포스트시즌 진출 방식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고, 아산 우리은행 우리WON이 최다 우승팀이다.
  • 대한민국의 농구 대회 - 박신자컵 서머리그
    박신자컵 서머리그는 한국 여자 프로 농구 유망주 육성을 위해 2015년부터 시작된 대회로, 한국여자프로농구 6개 팀과 초청팀이 참가하여 리그 앤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승팀과 MVP에게 상금이 수여된다.
  • 1983년 설립 - 도쿄 디즈니랜드
    도쿄 디즈니랜드는 1983년 일본 지바현에 개장한 디즈니 테마파크로, 오리엔탈 랜드가 운영하며 7개의 테마 구역과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 1983년 설립 - 백석예술대학교
    백석예술대학교는 1983년 설립되어 예술 특성화 교육을 제공하며,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고, 가수 민지, 켄, 라비 등이 주요 동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 농구에 관한 - 용산고등학교
    용산고등학교는 1946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남자 고등학교이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학교였으나 광복 후 한국인 학교로 전환되었고, 농구와 필드하키가 유명하다.
  • 대한민국 농구에 관한 - 계성고등학교 (대구)
    1900년 대남소학교로 시작하여 1906년 제임스 E. 아담스에 의해 설립된 계성고등학교는 영남 최초의 중등교육기관으로, 일제강점기 교명 변경의 아픔을 겪었으나 광복 후 재건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저명한 동문을 배출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
농구대잔치
농구대잔치
종목농구
설립 연도1983년
나라대한민국
홈페이지대한농구협회 홈페이지
현재 시즌
현재 시즌2015년 농구대잔치
남자부
팀 수11
최근 우승 팀신협 상무 (2015)
최다 우승 팀신협 상무 (11회)
남자 2부
팀 수6
최근 우승 팀초당대학교 (2015)
여자부
팀 수4
최근 우승 팀김천시청 (2015)
최다 우승 팀김천시청 (9회)

2. 대회 운영 방식

농구대잔치는 운영 방식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83년부터 1992년까지는 4차례 리그전을 벌였고, 1987년 3차 대회부터는 경기마다 양 팀 득점을 합쳐 33점째를 넣는 선수에게 '게토레이상'을 줬다.[1] 1993년부터는 단일 대회 풀 리그로 바뀌었고, 상위 4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토너먼트로 챔피언을 가렸다.

프로농구가 출범하기 전에는 농구단들이 실업팀이나 대학팀이었기 때문에 연고지가 없었다. 그래서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의 주요 도시를 돌며 경기를 치렀다.

2. 1. 초기 리그전 (1983~1992)

1983년 시즌부터 1992년 대회까지 4차례에 걸쳐 리그전을 벌였다. 1차 대회부터 3차 대회는 4차 대회(최종 토너먼트전)에 진출할 상위 진출팀을 가리는 예선 성격이었으며, 4차 대회는 1~3차 대회 우수팀이 토너먼트를 통해 챔피언을 결정했다. 1987년 3차 대회부터 매 게임마다 양 팀 득점을 합쳐 33점째를 넣는 선수에게 '게토레이상'이[1] 부여됐다.

2. 2. 단일리그 및 플레이오프 (1993~)

1993년 대회부터는 차수별 리그가 아닌 단일 대회 풀 리그로 대회 규정이 개편되었다. 풀 리그 진행에 따라 상위에 랭크된 4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이후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에 따라 챔피언을 결정했다.

프로농구 출범 이전의 각 농구단은 실업팀(상무 포함) 또는 대학팀이었으므로 연고지의 개념이 없었다. 때문에 서울은 물론 전국 주요 대도시를 돌며 경기를 펼친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장충체육관, 잠실학생체육관,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등지에서 경기를 개최했다.

3. 역대 농구대잔치 우승팀

농구대잔치는 프로농구 출범 이전과 이후 모두 다양한 팀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남자부에서는 프로 출범 이전에 현대전자, 삼성전자, 기아자동차 등이, 프로 출범 이후에는 국군체육부대가 강세를 보였다. 여자부에서는 프로 출범 이전에 삼성생명이, 프로 출범 이후에는 김천시청이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3. 1. 남자부 (프로농구 출범 이전)

시즌우승팀준우승팀대회 MVP비고
1983~1984 시즌현대전자삼성전자이충희
1984~1985 시즌삼성전자현대전자임정명
1985~1986 시즌현대전자중앙대학교이충희
1986~1987 시즌현대전자중앙대학교박수교
1987~1988 시즌삼성전자기아산업김현준
1988~1989 시즌기아산업현대전자유재학
1989~1990 시즌기아산업현대전자한기범
1990~1991 시즌기아자동차현대전자정덕화
1991~1992 시즌기아자동차삼성전자허재
1992~1993 시즌기아자동차삼성전자강동희
1993~1994 시즌연세대학교국군체육부대서장훈최초의 대학팀 우승
1994~1995 시즌기아자동차삼성전자허재
1995~1996 시즌기아자동차국군체육부대김유택
1996~1997 시즌연세대학교국군체육부대서장훈프로 전향 실업팀 마지막 출전 대회[2]


3. 2. 남자부 (프로농구 출범 이후)

상무 농구단(국군체육부대)이 프로농구 출범 이후 남자부에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등 대학팀도 우승을 차지했다. 김주성, 양동근, 함지훈 등 프로 선수들이 MVP를 수상했다.[3]


3. 3. 여자부 (프로농구 출범 이전)

농구대잔치 여자부(프로농구 출범 이전)에서는 삼성생명, 국민은행, 태평양화학, SK증권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김화순, 최경희, 정은순 등 스타 선수들이 대회 MVP를 수상했다.[4]

시즌우승팀준우승팀대회 MVP비고
1983~1984시즌코오롱동방생명김복순
1984~1985시즌국민은행한국화장품공현자
1985~1986시즌태평양화학동방생명차선용
1986~1987시즌동방생명국민은행김화순
1987~1988시즌동방생명서울신탁은행
1988~1989시즌동방생명서울신탁은행성정아
1989~1990시즌국민은행삼성생명조문주
1990~1991시즌삼성생명국민은행최경희
1991~1992시즌삼성생명국민은행
1992~1993시즌삼성생명SKC
1993~1994시즌국민은행삼성생명이강희
1994~1995시즌SKC동방생명정은순
1995~1996시즌선경증권현대산업개발정선민
1996~1997시즌삼성생명국민은행정은순
1997~1998시즌SK증권삼성생명유영주
1998시즌삼성생명현대산업개발박정은프로 전향전 최다 우승 (8회 우승)
프로 전향 실업팀 마지막 출전 대회


3. 4. 여자부 (프로농구 출범 이후)

김천시청이 9번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용인대학교, 수원대학교 등 대학팀도 우승을 차지했다. 김성은, 박명애, 전지혜 등의 선수들이 MVP를 수상했다.

시즌우승팀준우승팀대회 MVP비고
2000 시즌숙명여자대학교성신여자대학교
2001 시즌용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김성은
2001~2002 시즌용인대학교김천시청김성은
2002~2003 시즌김천시청용인대학교박명애
2003 시즌김천시청성신여자대학교김성은
2004 시즌김천시청수원대학교전지혜
2005 시즌김천시청용인대학교전지혜
2006 시즌수원대학교용인대학교권혜미
2007 시즌김천시청사천시청김민정
2008 시즌김천시청수원대학교홍정애
2009 시즌동아백화점김천시청배영경
2010 시즌김천시청국일정공한서윤
2011 시즌동아백화점사천시청한연호
2012 시즌사천시청김천시청박언주
2013 시즌사천시청김천시청김향미
2014 시즌김천시청사천시청박근영
2015 시즌김천시청사천시청김선혜9번 우승으로 최다 우승


4. 90년대 문화적 현상

농구대잔치는 1990년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문화적 현상이었다. 연세대고려대 등 대학 농구팀들은 아이돌 가수 못지않은 인기를 누렸고,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농구화가 크게 유행했다. 만화 슬램덩크와 드라마 마지막 승부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1][3]

4. 1. 대학 농구의 인기

연세대고려대 등 대학 농구팀들은 수많은 소녀팬들을 몰고 다녔고 아이돌 가수 못지않은 인기를 누렸다.[1] 특히 1990년대 초, 문경은, 이상민, 우지원, 김훈, 서장훈, 현주엽연세대 농구부는 '오빠 부대'를 몰고 다니며 농구 붐을 이끌었다.

4. 2. 농구화 유행

농구대잔치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청소년들 사이에서 농구화가 유행처럼 번졌다. 나이키의 '''에어포스'''를 시작으로 프로스펙스의 '''슈퍼볼'''이 많은 사랑을 받았다.[1]

1991년, 발로 벽을 찍고 덩크하는 장면이 나오는 슈퍼볼 TV 광고는 큰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1990년대 농구화 유행을 이끌었다.[1]

NBA 농구선수 마이클 조던의 시그니처 제품인 나이키 '''에어조던''', 찰스 바클리가 착용한 나이키 '''에어 포스맥스''', 샤킬 오닐의 시그니처 제품인 리복 '''샤크어택'''은 청소년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1]

나이키 '''에어 플라이트''', 리복 '''펌프''', 아디다스 '''엑신''', 프로스펙스 '''헬리우스''', 아식스 '''젤 스카이 라이트''', 기아자동차 농구팀이 착용했던 르까프의 '''터보Z''', 이충희가 CF 모델을 했던 나이키 '''에어 발리스틱 포스''', 코오롱스포츠 브랜드였던 액티브 농구화 등도 인기를 얻었다.[1]

1993년에는 NBA 농구선수 패트릭 유잉이 유잉 어슬레틱스 농구화 홍보를 위해 한국을 방문하기도 하였다.[1]

4. 3. 관련 문화 콘텐츠

만화 슬램덩크와 드라마 마지막 승부가 많은 사랑을 받았다.[3] 허무영의 농구만화 '''헝그리 베스트 파이브'''가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기도 하였는데 고려대 농구팀이 주제곡을 불렀다.[3]

5. 에피소드

농구대잔치는 대통령배 배구대회 및 한국배구 슈퍼리그와 더불어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겨울 스포츠 이벤트로 큰 인기를 끌었다. 농구대잔치는 이충희, 김현준, 유재학, 허재, 강동희, 김유택, 한기범, 문경은, 이상민, 서장훈, 현주엽, 전희철, 김병철, 신기성, 김영만 등 많은 스타 선수들을 배출했다.

국군체육부대는 농구대잔치 최다 우승팀으로, 총 8회 우승을 기록했다. 프로화 이전의 농구대잔치에서 대학교 농구부가 종합 우승을 차지한 것은 1993~1994시즌 연세대학교가 유일하다. 1993~1994시즌 이전까지 대학 팀 사상 최고 성적은 중앙대학교의 1985~1986시즌과 1986~1987시즌 준우승이었다.

6. 2015년 참가팀

2015년 농구대잔치에는 다음과 같은 팀들이 참가했다.

'''남자부'''



'''남자 2부'''



'''여자부'''

사천시청극동대학교
김천시청단국대학교


참조

[1] 뉴스 농구대잔치 챔피언결정전 기아산업서 프라이드景品(경품)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8-02-19
[2] 문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자동차, 부산 KCC 이지스|현대전자, 서울 삼성 썬더스|삼성전자,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SBS,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동양제과,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대우증권, 원주 DB 프로미|나래이동통신 등의 팀이 1996~1997시즌 이후 프로팀으로 전향했다.
[3] 뉴스 <농구> 외국인 용병들 상당수 기량 미달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8-10-16
[4] 문서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삼성생명,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현대산업개발, 아산 우리은행 위비|상업은행, 부천 KEB하나은행 여자 농구단|태평양화학, 청주 KB 스타즈|국민은행 등의 팀이 1998시즌 이후 프로팀으로 전향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