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한상질(韓尙質)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입니다. 1350년에 태어나 1400년(또는 1410년)에 사망했습니다.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중질(仲質), 호는 죽소(竹所)입니다.
주요 활동:
- 1374년(공민왕 23) 대군시학(大君侍學)을 지냈습니다.
- 1380년(우왕 6) 문과에 급제했습니다.
- 공양왕 때 형조판서, 우부대언, 우상시(右常侍), 예문관제학 등을 역임했습니다.
- 1390년(공양왕 2)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윤이(尹彛)·이초(李初)의 속임을 변명하고 돌아왔습니다.
- 1392년 조선 건국 후 예문관학사로서 명나라에 주문사(奏聞使)로 파견되어 '조선(朝鮮)'이라는 국호를 승인받고 돌아왔습니다.
- 1393년 양광도관찰출척사, 1397년 경상도관찰출척사를 거쳐 예문춘추관대학사가 되었습니다.
가계:
- 할아버지는 호부상서(戶部尙書) 한공의(韓公義)입니다.
- 아버지는 판후덕부사(判厚德府事) 한수(韓脩)입니다.
- 어머니는 길창군(吉昌君) 권적(權適)의 딸입니다.
- 동생은 조선 개국공신 3등 한상경(韓尙敬)입니다.
- 아들은 한기(韓起)이며, 손자는 조선 세조 때 영의정을 지낸 한명회(韓明澮)입니다.
기타:
- 경기도 파주군 진동면 단곡리에 있는 한상질의 묘에서 고려시대 벽화 고분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이 벽화묘는 현실 천정에 북두칠성과 삼태성이 그려진 성숙도, 인물상 등이 있어 고구려 덕흥리 고분과 유사한 특징을 보입니다.
- 시호는 문열(文烈)입니다.
한상질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상질(韓相 질) |
출생 | 17세기 |
사망 | 17세기 |
배우자 | 정부인 파평 윤씨 |
관직 | |
최종 관직 | 형조판서 |
주요 이력 | 사헌부 지평 사간원 사간 홍문관 부제학 형조참판 동지사 대사헌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지중추부사 |
가문 | |
본관 | 청주 한씨 |
아버지 | 한백겸(韓百謙)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