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풀은 1965년 김정윤이 창제한 무예로, 한글 학자 최현배와 한갑수의 감수를 받아 이름이 지어졌다. 유술가 최용술에게 유술을 배운 김정윤은 사라져가는 우리 무예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한풀을 창제했으며, 대동무를 기반으로 기술을 발전시켰다. 1985년 김정윤이 송덕기를 만나 태껸을 기록하면서 대동무가 태껸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한풀은 본수, 12기본기법, 기수로 구성된 기술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검이 되기 위한 수련인 영검수련을 강조한다.
한풀은 이후 유형기술 완성기, 무형기술 완성기, 영검수련기 등을 거쳐 완벽한 우리 무예로 거듭났다. 한풀에서 검이 되는 수련을 ‘영검수련’이라고 하며, 영검수련은 유형기술 수련과 무형기술 수련을 통해 완성된다.
한풀은 크게 본수, 12기본기법, 기수 3가지 범주의 기술 체계를 갖는다.
2. 역사
2. 1. 창제 배경
한풀은 1965년 김정윤이 창제한 무예이다. ‘한풀’이라는 이름은 한글학자 최현배 박사와 한갑수 박사의 감수를 받아 지은 이름이다. 김정윤은 유술의 대가 덕암 최용술(崔龍述, 1899~1986년)로부터 1958년부터 6년간 유술을 배웠다. 김정윤은 수련 과정에서 우리 무예가 대부분 사라진 현실을 안타깝게 여기고 무예 창제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1965년 마침내 한풀을 창제하기에 이르렀다.
한풀의 기술은 최용술에 의해 전해진 대동무(이 이름은 김정윤이 붙였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김정윤은 최용술의 방대한 대동무를 일정한 원리를 찾아내 정리하면서, 불필요한 기술은 버리고 반드시 필요한 기술은 대폭 보강하여 방대하면서도 강력한 한풀을 탄생시켰다.
한풀의 기술적 시원(始原)은 1985년에 확인되었다. 김정윤이 송덕기를 만나 태견을 방대한 기록(3300피트)으로 남기는 과정에서 김정윤은 다케다 소가쿠(武田惣角, 1857~1943년)에서 최용술로 이어진 대동무가 우리나라 유일한 고유 무예인 태견과 비전기가 일치함을 확인한 것이다.
2. 2. 태껸과의 연관성
한풀의 기술은 최용술에 의해 전해진 '''대동무'''(''이 이름은 김정윤이 붙였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김정윤은 방대한 최용술의 대동무를 일정한 원리를 찾아내 정리하면서, 불필요한 기술은 버리고 반드시 필요한 기술은 대폭 보강하여 방대하면서도 강력한 한풀을 탄생시켰다.
1985년, 김정윤은 송덕기를 만나 태껸을 방대한 기록(3300피트)으로 남기는 과정에서 다케다 소가쿠(武田惣角)에서 최용술로 이어진 대동무가 우리나라 유일한 고유 무예인 태껸과 비전기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한풀에서는 새로운 창제가 중시된다. 최용술의 뜻에 따라 김정윤이 연을 마감하면서 한풀은 역사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대동무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기술적 방대함과 강력함으로 태껸의 한계를 뛰어넘었음을 자부한다. 이는 한겨레의 자랑스러운 갈(한풀)로서 자리매김하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2. 3. 발전 과정
한풀은 1965년 김정윤이 창제한 무예이다. ‘한풀’이란 이름은 1965년 한글학자 최현배 박사와 한갑수 박사의 "감수"를 받아 지은 이름이다. 김정윤은 유술의 대가 '''덕암 최용술'''(崔龍述, 1899년~1986년)에게서 1958년부터 6년간 유술(柔術)을 배웠다. 수련 과정에서 김정윤은 우리 무예가 대부분 사라진 현실을 안타깝게 여기고 무예 창제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1965년 마침내 한풀을 창제하기에 이르렀다. 한풀은 이후 유형기술 완성기, 무형기술 완성기, 영검수련기 등을 거쳐 완벽한 우리 무예로 거듭났다.
한풀의 기술은 최용술이 전해준 '''대동무'''(''이 이름은 김정윤이 붙였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김정윤은 방대한 최용술의 대동무를 일정한 원리를 찾아내 정리하면서, 불필요한 기술은 버리고 반드시 필요한 기술은 대폭 보강하였다. 이 과정에서 방대하면서도 강력한 한풀이 탄생하였다.
한풀의 기술적 시원(始原)은 1985년에 확인되었다. 김정윤이 송덕기를 만나 택견을 방대한 기록(3300피트)으로 남기는 과정에서, 김정윤은 '''다케다 소가쿠(武田惣角, 1857~1943년)에서 최용술로 이어진 대동무가 우리나라 유일한 고유 무예인 택견과 비전기가 일치함'''을 확인한 것이다.
한풀에서는 새로운 창제가 중시된다. 최용술의 뜻에 따라 김정윤이 연을 마감하면서 한풀은 역사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대동무 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 기술적 방대함과 강력함으로 택견의 한계를 뛰어넘었음을 자부한다. 이는 한겨레의 자랑스러운 갈(한풀)로서 자리매김하려는 노력이기도 하다.
아울러 한풀은 검이 되기 위한 수련이며, 검이 되는 수련을 ‘영검수련’이라고 한다. 영검수련은 유형기술 수련과 무형기술 수련을 통해 완성된다.
3. 기술 체계
본수는 맨손 기술(손파람), 무기 사용 기술(가야갈), 무기 투척 기술(팔매)로 나뉘며, 12가지 기본 기법을 바탕으로 기술이 펼쳐진다. 기수는 공격과 방어 부위에 따라 구분되며, 이 또한 12기본기법을 활용한다.
3. 1. 본수
한풀은 본수, 12기본기법, 기수 총 3가지 범주의 기술체계를 가지고 있다.
본수는 맨손으로 하는 기술(손파람)과 무기를 들고 하는 기술(가야갈), 무기를 던지는 기술(팔매)로 나뉜다. 한풀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수는 손파람이다. 손파람 원리로 가야갈이 구성되기 때문에 손파람을 제대로 수련하면 가야갈은 3분의 1의 수련 시간만 할애해도 수련을 마칠 수 있다. 팔매는 손파람과 원리는 같으나 손파람을 배우는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본수(손파람, 가야갈, 팔매)는 12기본기법에 의해 펼쳐진다.
종류 | 세부 기술 |
---|---|
손파람(맨손기술) | 손따수, 볼따살, 굽따수, 아귀날, 살갈퀴, 움갈퀴, 꺾과시 |
가야갈(무기술) | 빌랑대, 검랑대, 지팡대 |
팔매(무기비술) | 태, 사슬, 활 |
손파람은 상대를 공격하는 기술인 지르기, 후리기, 방어하는 기술인 비켜나기, 걷어내기, 채기, 받아내기, 몸풀어나기, 공격과 방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태질, 공격과 방어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자 기술인 걸음새, 구르기, 뜀새로 나뉜다. 몸맨두리는 공방을 위한 기본 자세를 일컫는다.
3. 2. 12기본기법
한풀의 12기본기법은 다음과 같다.- 몸맨두리 (본새 겨룸새, 투그림새, 몸한새)
- 지르기
- 후리기
- 태질
- 걸음새 (보법)
- 구르기 (굴러서 공격하거나 방어하기)
- 뜀새
- 비켜나기
- 걷어내기
- 채기
- 받아내기
- 몸풀어나기
본수는 12기본기법에 의해 펼쳐진다. 손파람의 경우 상대를 공격하는 기술인 지르기, 후리기, 방어하는 기술인 비켜나기, 걷어내기, 채기, 받아내기, 몸풀어나기, 공격과 방어를 동시 수행할 수 있는 태질, 공격과 방어를 위해 필요한 동작이자 기술인 걸음새, 구르기, 뜀새로 나뉜다. 몸맨두리는 공방을 위한 기본 자세를 일컫는다.
3. 3. 기수
한풀의 기수는 공격 또는 방어 부위에 따라 구분되며, 12기본기법을 활용하여 펼쳐진다. 기수는 날주박, 뿔주먹, 솜주박, 굽따주박, 갈기, 치살, 다리질을 포함한다.3. 4. 기술 체계의 상호 연관성
한풀은 맨손 기술인 손파람, 무기를 사용하는 가야갈, 무기를 던지는 팔매로 나뉜다. 이 세 가지 기술을 본수라고 한다. 한풀 기술의 기본은 손파람이다. 손파람의 원리로 가야갈이 구성되므로, 손파람을 제대로 익히면 가야갈은 3분의 1 정도의 시간만 들여도 수련을 마칠 수 있다. 팔매는 손파람과 원리가 같지만, 손파람을 배우는 만큼의 시간이 걸린다. 본수(손파람, 가야갈, 팔매)는 12가지 기본 기법으로 펼쳐진다. 손파람의 경우, 상대를 공격하는 기술인 지르기, 후리기, 방어 기술인 비켜나기, 걷어내기, 채기, 받아내기, 몸풀어나기, 공격과 방어를 함께 하는 태질, 공격과 방어에 필요한 동작이자 기술인 걸음새, 구르기, 뜀새로 나뉜다. 몸맨두리는 공격과 방어를 위한 기본 자세를 말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