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용술은 1904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진 한국의 무술가로, 합기도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어린 시절 일본으로 건너가 다케다 소카쿠에게 무술을 배웠다는 설이 있으나, 이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그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대구에 정착하여 무술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서복섭을 시작으로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최용술은 '합기도'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했으며, 그의 제자들에 의해 여러 분파가 생겨났다. 최용술은 장진일에게 합기도의 도주 자리를 물려주었으나, 그의 계승 과정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남자 무술가 - 이행웅
이행웅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미국 태권도 협회를 설립하여 태권도 보급에 기여한 인물로, 육군 복무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ATA 공동 설립, 송암 태권도 수련 체계 개발, 그랜드 마스터 칭호 수여 등 태권도 발전에 헌신하며 한미 우정의 상징으로 기념되기도 했다. - 한국의 남자 무술가 - 윤병인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태어나 권법과 가라테를 배운 윤병인은 해방 후 권법 공수도를 창시하고 창무관의 기반을 다졌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조선인민군 격술 교관으로 활동하다 사망한 대한민국의 무술가이다. - 무술 유파 창시자 - 오가와 나오야
오가와 나오야는 유도, 프로레슬링,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동하며,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최연소 우승, 올림픽 은메달 획득, 전일본 유도 선수권 7회 우승 등의 뛰어난 경력을 가진 일본의 스포츠 선수이다. - 무술 유파 창시자 - 안토니오 이노키
안토니오 이노키는 일본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를 이끈 프로레슬러이자 정치인, 격투기 프로모터로, 역도산의 제자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설립하고 무하마드 알리와의 격투기 이벤트, 스포츠 평화당 창당 및 참의원 당선 등의 활동을 펼치며 프로레슬링계에 큰 공헌을 남겼다.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지한재
합기도를 정립하고 신무합기도를 창시한 대한민국의 무술가 지한재는 최용술에게 합기도를, 도사 이에게 삼랑도 텍기를 전수받았으며 영화 출연과 청와대 경호 무술 지도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남자 무술가 - 김윤상 (무술가)
김윤상은 1960년대 초 합기도를 시작해 대한합기도협회 5단, 합기도 창시자 최용술 사사, 용술관 설립 및 관장, 합기유술 9단 수여, 해외 합기유술 전파, 최용술 기념사업 등의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무술가이다.
최용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최용술 |
다른 이름 | 요시다 아사오, 요시다 타투주츠 |
출생일 | 1904년 11월 9일 |
출생지 | Chūseihoku-dō, Korea, Empire of Japan(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
사망일 | 1986년 6월 15일 |
거주지 | 대구 |
국적 | (대한민국) |
스타일 | 대동류 합기유술, 합기도 |
스승 | 다케다 소카쿠 |
직업 | 무술가 |
학교 | 대한 합기 유권술 도장 |
무술 경력 | |
칭호 | 도주, 그랜드마스터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주요 제자 | 김윤상 지한재 김무홍 김윤식 |
2. 생애와 무술 경력
최용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대구에 정착하여 처음에는 과자를 팔고 나중에는 돼지를 키웠다.[8] 1948년, 서양조 양조장에서 곡물 문제로 다툼이 벌어졌는데, 이때 최용술의 호신술을 본 서복섭은 그에게 양조장 직원들을 가르치도록 했다. 서복섭은 최용술의 첫 제자가 되었고,[8][15] 이후 최용술은 대한민국 국회 국회의원이었던 서복섭 아버지의 보디가드가 되었다.[8][15]
2. 1. 초기 생애 (1904년 ~ 1945년)
최용술은 1904년에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9] 1899년에 태어났다는 기록도 있다.[10] 출생 연도에 대한 혼란은 고아였다는 점, 당시 한국에서 흔했던 출생 신고 지연, 그리고 한국식 나이 계산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어머니는 그가 2살 때, 아버지는 그 후에 돌아가셔서 최용술은 고모의 손에서 자랐다.[10]최용술의 주장에 따르면, 1912년 충청북도 용동 마을에서 아들을 잃고 그를 양자로 삼고 싶어 했던 일본인 사탕 장수 모리모토에게 납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용술이 저항하여 일본 모지 거리에 버려졌고, 거지 생활을 하다가 오사카를 거쳐 교토의 한 불교 사찰에 맡겨졌다. 그 절의 주지는 와타나베 킨타로라는 승려였다.[11]
최용술은 절에서 2년간 생활하며 학교 공부와 일본어에 어려움을 겪었고,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다른 아이들에게 따돌림을 당했다. 와타나베가 인생의 방향을 묻자, 최용술은 무술에 대한 관심을 표현했다.[6]
와타나베는 다이토류 아이키주주츠의 창시자인 다케다 소카쿠의 친구였다고 전해진다. 다케다 소카쿠는 훗날 합기도 창시자인 우에시바 모리헤이를 가르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일본에서 일하는 모든 한국인은 창씨개명을 강요받았다. 최용술은 인터뷰에서 11살 때 요시다 아사오(吉田朝男)라는 이름을, 서복섭에 따르면 요시다 타츠지츠라는 이름을 받았다고 한다. 최용술은 자신이 아키타현에 있는 다케다의 집과 도장에서 30년간 함께 살며 훈련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다케다의 조수로 여행을 다녔고, 1932년경 하와이에서 열린 다케다의 시범팀을 이끌었으며, 탈영병을 잡는 일에 고용되었고, 다케다의 가르침을 완전히 이해한 유일한 제자였다고 주장했다.
현재 다이토류 수장인 곤도 가쓰유키는 다케다 소카쿠의 예이메이로쿠에서 최용술이 잠시 수련했다는 것을 확인하는 페이지를 공개했지만,[12] 일부 학자들은 최용술이 다이토류 훈련의 대부분을 요시다 고타로에게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12]
다른 자료에서는 최용술을 다케다 가문의 하인으로 묘사하거나,[13] 다케다의 세미나에 참석한 것 외에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우에시바 키쇼마루는 자신의 아버지 우에시바 모리헤이가 최용술이 홋카이도에서 다케다가 개최한 세미나에 참석했고, 자신의 아버지가 최용술의 선배였다고 말했다고 진술했다.[14]
최용술의 무술 훈련 경위와는 상관없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대구에 정착했다.
2. 2. 한국 귀국 및 합기도 창시 (1945년 ~ 1986년)
1945년 해방 이후 한국으로 돌아온 최용술은 대구에 정착하였다. 1948년, 서복섭과의 만남을 계기로 자신의 무술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1951년에는 서복섭과 함께 '대한합기유권술도장'을 설립했고,[8][15] 1958년부터는 '합기도'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8][15]이 시기에 최용술의 가르침을 받은 주요 제자들로는 지한재,[16] 김무홍, 문종원[8][15] 등이 있었다. 국술원의 서인혁과 화랑도의 이주방도 최용술에게 훈련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으나, 김무홍의 서울 합기도 학교에서 훈련받았다는 주장도 있다.[8]
1963년, 최용술은 대한 기도회 최초의 회장이 되었고, 김정윤을 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8] 김정윤은 후에 합기도 단체에서 분리되어 자신의 한 풀 합기도 단체를 설립했지만, 그의 무술은 최용술의 가르침에 기반을 두고 있다.[17] 최용술의 제자 중 친일 창(Chinil Chang)은 최용술이 직접 선택한 두 번째 도주(Grandmaster)이자, 10단과 도주 칭호를 직접 수여받은 유일한 인물이었다.
최용술은 김윤상 등 여러 제자들을 양성하였고,[18] 박정환은 미국에서 합기도 도장을 열기도 하였다.[19][20][21]
1982년, 최용술은 미국을 방문하여 제자들을 만나고 미국 합기도 협회의 창립을 주재하였다. 최용술에게 직접 훈련받은 유일한 미국인인 마이크 월머스하우저는 이 방문을 비디오테이프로 기록했다. 최용술은 합기도를 전 세계에 전파하고 통합하길 원했지만, 여러 파벌로 분열되어 뜻을 이루지 못할 것을 깨달았다. 그는 자신의 원래 시스템을 온전하게 유지하고 계보가 후계자에게 완전하게 전달되기를 원했다.
3. 합기도의 발전과 논란
최용술은 한국 전통 무술인 합기도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무술은 여러 제자들에 의해 발전되고 전파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명칭과 기술적 기원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논란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3. 1. 합기도 명칭과 기술 논란
최용술이 창시한 무술의 명칭이 '합기도'가 된 과정과 그 기술적 기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지한재는 자신이 합기도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했다고 주장하고, 서복섭은 1980년 인터뷰에서 정무관이 처음 이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 무술을 상징하는 독수리 문양을 도입했다고 말했다.[6]또한, 최용술이 다케다 소카쿠에게서 다이토류 아이키주주츠를 직접 전수받았는지 여부도 논란의 대상이다. 최용술은 자신이 다케다 소카쿠의 제자라고 주장했지만, 다케다 소카쿠의 수강료 및 출석 기록에는 최용술의 이름이 없어 논란이 있다. 그러나 합기도 창시자 우에시바 모리헤이의 아들인 우에시바 키쇼마루는 젊은 한국인이 다케다의 몇몇 세미나에 참석했다고 언급하여, 일부 한국인이 다이토류 아이키 주주츠에 대한 정식 훈련을 받았음을 시사한다.[14] 다이토류와 합기도의 기술 사이에는 강한 유사성이 있다.
3. 2. 제자들과 분파
최용술의 제자들은 각자 자신의 단체를 설립하며 여러 분파를 형성했다. 주요 제자로는 서복섭, 지한재, 김무홍, 김정윤, 친일 창(장진일) 등이 있다.[15] 이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합기도를 발전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기술적, 철학적 차이가 발생하기도 했다.- 친일 창(장진일): 최용술이 직접 선택한 두 번째 도주(Grandmaster)이자 최용술로부터 10단과 도주 칭호를 직접 수여받은 유일한 사람이다.
- 서복섭: 1946년 최용술의 첫 제자였다.
- 지한재: 1955년 최용술의 제자 #14, 한국합기도협회 및 신무합기도, 안동 성무관 창시자였다.
- 김무홍: 1955년 최용술의 제자, 한국합기도협회 및 대구 신무관 창시자였다.
- 김정윤: 기도협회 사무총장, 한풀 창시자였다.
최용술이 후기에 가르친 중요한 제자로는 김정윤, 김윤상이 있었다.[18] 3년 동안 훈련을 받은 박정환은 미국에서 합기도 도장을 연 후기 제자 중 한 명이다.[19][20][21]
이름 | 주요 활동 및 분파 |
---|---|
서복섭 | 1946년 최용술의 첫 제자 |
지한재 | 신무합기도, 안동 성무관 창시자 |
권태만 | 인천에 합기도 도장 최초 창시 |
김용진 | 을지관 창시자 |
명재남 | 한기도 및 한검도 창시자 |
오세림 | 전 대한합기도연맹 회장 |
명광식 | [http://www.worldhapkidofederation.com/ 세계합기도연맹] 창시자 |
김무홍 | 대구 신무관 창시자 |
김정수 | 현재 대구에서 지도 중 |
원광화 | 무술관 창시자 |
임현수 | 정기관 설립, 이후 정기합기도와 청석구합도 창시[33][34] |
문종원 | 부산 원무관 창시자 |
김정윤 | 기(技)도협회 사무총장, 한풀 창시자 |
서인선 | |
유병돈 | 한국정도합기도, 정도합기도 |
한봉수 | 저술가, 유명 영화 자문 및 배우[35] |
Michael Wollmershauser | 2002년 12월 8일까지 미국합기도협회 창시자 |
황종연 |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태권도 도장인 [https://kimoomartialartscollege.com/ 기무 무술] 창시 |
4. 최용술의 계승자
최용술은 1985년, 자신의 제자인 장진일(친일 창)에게 도주(道主) 자리를 물려주고, 합기도의 모든 권한을 위임했다고 알려져 있다.[22] 하지만, 이 계승 과정에는 논란이 있다. 최용술의 아들 최복열이 정식 후계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27][28][29]
4. 1. 장진일(친일 창)의 활동
'''장진일'''은 1985년 1월 15일, 최용술로부터 합기도 도주 자리를 물려받은 제자이다.[22] 1985년 4월 5일, 최용술은 장진일에게 합기도 역사상 유일한 10단 증서를 직접 수여했다.[22][23]1985년 4월 11일에는 대규모 취임식이 열렸고, 한국 스포츠 신문과 MBC를 통해 보도되었다. 이 자리에는 최용술과 장진일, 그리고 최용술의 아들 최복열이 참석했다.[23][24] 최용술은 장진일에게 합기도에 대한 모든 문서와 기록을 남겼다.[23]
장진일은 1977년과 1980년에 최용술로부터 임명장 증서를 받아 합기도 협회에서 더 큰 권한을 얻었다.[24] 1980년 9단, 1985년 10단 승단과 함께 이러한 증서들은 최용술이 장진일을 후계자로 양성했음을 보여준다.[22]
장진일이 최용술과 가진 인터뷰는 여러 해석과 번역을 거치며 왜곡되기도 했다.[11] 일부는 자신이 직접 인터뷰를 했다고 주장하며 논란을 일으켰지만, 장진일 측은 여러 매체를 통해 반박했다.[25][26]
최용술의 아들 최복열에게 합기도를 넘겼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논란이 되기도 하였으나,[27][28][29] 블랙 벨트지는 장진일을 두 번째 계승자로 존중하며 최용술에 대한 부고를 써달라고 요청했다.[30][31]
장진일은 미국 뉴욕에서 합기도 보존을 위해 노력했으며,[24] 2018년 2월 23일,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2]
5. 최용술의 제자들
최용술은 생전에 많은 제자들을 양성했으며, 이들은 한국 합기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음은 최용술의 오랜 제자들의 목록이다.[15]
이름 | 설명 |
---|---|
서복섭 | 1946년 최용술의 첫 제자 |
친일 창 | 두 번째 직계 문파 그랜드마스터. 1985년 1월 15일 최용술에게서 합기도 10단과 도주 칭호를 직접 수여받음. |
지한재 | 1955년 최용술의 제자 #14, 한국합기도협회 및 신무합기도 창시자, 안동 성무관 창시자 |
권태만 | 인천에 최초로 합기도 도장 창시 |
김용진 | 을지관 창시자 |
명재남 | 한기도 및 한검도 창시자 |
오세림 | 전 대한합기도연맹 회장 |
명광식 | [http://www.worldhapkidofederation.com/ 세계합기도연맹] 창시자 |
김무홍 | 1955년 최용술의 제자, 한국합기도협회 및 대구 신무관 창시자 |
김정수 | 현재 대구에서 지도 중 |
원광화 | 무술관 창시자 |
임현수 | 최용술로부터 9단(도주 사망 전 합기유권술 최고 단수)을 받음. 1974년 [https://blog.naver.com/jungkikwan-hq 정기관] 설립, 이후 정기합기도와 청석구합도 창시[33][34] |
문종원 | 1955년 최용술의 제자, 부산 원무관 창시자 |
김정윤 | 기도협회 사무총장, 한풀 창시자 |
서인선 | |
유병돈 | 한국정도합기도, 정도합기도 창시자 |
한봉수 | 저술가, 유명 영화 자문 및 배우[35] |
Michael Wollmershauser | 2002년 12월 8일까지 미국합기도협회 창시자 |
황종연 | 최용술로부터 8단을 받음. 2005년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태권도 도장 [https://kimoomartialartscollege.com/ 기무 무술] 창시. 킥복싱(권격도 스타일) 달인, 태권도 7단, 켄도 6단, 소림쿵푸와 태극권 7단 벨트, 화랑도 검도 사범, 스포츠 마사지 치료사 자격 보유. |
6. 평가 및 영향
최용술은 한국 무술계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지만, 그의 생애와 무술 경력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무술을 배웠다는 점과 그의 제자들이 군사 정권과 관련이 있다는 점은 진보 진영에서 비판받는 부분이다.[6][8][11][15] 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최용술이 한국 전통 무술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선구자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최용술이 현대 한국 무술, 특히 합기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참조
[1]
백과사전
합기도 ①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2]
백과사전
합기도 ②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3]
백과사전
합기도 ③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4]
백과사전
합기도 ④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5]
기사
허인욱의 무인이야기 장보고와 정년 그리고 송징
http://mookas.com/me[...]
[6]
간행물
"The Beginning of Hapkido; An Interview with Hapkido Master Seo, Bok-seob" by Mike Wollmershauser
Tri-Mount Publications, Iowa
[7]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hapkiyusu[...]
[8]
서적
Hapkido
Andrew Jackson Press, Baton Rouge, Louisiana
1991
[9]
서적
Hapkido: Traditions, Philosophy, Technique
Weatherhill
2000
[10]
서적
History of Korea and Hapkido
Hando Press
2008
[11]
인터뷰
Posthumously Released Interview with Choi Yong-sool (1982)
http://www.rimshapki[...]
2007-04-03
[12]
웹사이트
Hapkido's Connection to Daito Ryu confirmed
http://www.join-usam[...]
2022-10-26
[13]
서적
Hapkido: Korean Art of Self-Defense
Tuttle Publishing
[14]
기사
Interview with Kisshomaru Ueshiba: The Early Days of Aikido
http://www.aikidojou[...]
Aikido Journal, AikiNews, 77
2006-07-04
[15]
웹사이트
'[박정진의 무맥] (24) 일본에서 다시 돌아온 화랑무예 합기도 -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2010-02-16
[16]
기사
이소룡과 대결했던 합기도고수 지한재 방한 세미나
http://taekwondo.cho[...]
chosun.com
2010-04-15
[17]
인터뷰
Personal interview with Matthew Rogers
Seoul
1995
[18]
간행물
Yong Sool Kwan; History of the Hapkido Hapkisul Headquarters
Tae Kwon Do Times
2006-11
[19]
웹사이트
Master Park
http://www.besttaekw[...]
2011-06-10
[20]
웹사이트
Hapkido Family Tree
http://www.sinmoohap[...]
[21]
웹사이트
Master Hoon Park
http://jparktkd.com/[...]
[22]
서적
Hidden Masters of the Martial Arts
Unpublished manuscript
2003
[23]
인터뷰
Interview with Doju Chinil Chang
Personal interview
2006-05-12
[24]
인터뷰
Interview with Doju Chinil Chang
Personal interview
2013-02-01
[25]
학술지
Birth of Hapkido: Founder Choi Yong-sul Reveals the Truth About the Art's Origin
https://books.google[...]
1999-06
[26]
학술지
Hapkido History Heresy?
https://books.google[...]
1999-08
[27]
웹사이트
The late Choi Bok-yoel as second successor of Hapkido
http://www.hapkiyusu[...]
[28]
웹사이트
Kim Yung-sang as third successor of Hapkido
http://www.hapkiyusu[...]
[29]
학술지
Young Sul Kwan: History of the Korean Hapkido Hapkiyusul Headquarters
2006-11
[30]
학술지
Hapkido Founder Choi Passes On
https://books.google[...]
1987-04
[31]
학술지
Jujutsu vs. Hapkido
https://books.google[...]
1994-01
[32]
간행물
Hapkido Community Mourns Passing of Grandmaster Chinil Chang
https://www.prnewswi[...]
2018-03-16
[33]
학술지
The 10 Original Kicks of Hapkido
2006-09
[34]
학술지
Grandmaster Lim, Hyun Soo, The Mysterious Charm of Hapkido
2005-05
[35]
서적
Hapkido: Korean Art of Self-Defense
Ohara Publications, Inc.
1974
[36]
웹사이트
합기도 ①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37]
웹사이트
합기도 ②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38]
웹사이트
합기도 ③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39]
웹사이트
합기도 ④
http://www.encyber.c[...]
Doosan EnCyber & EnCyber.com (두산 백과사전)
2015-03-23
[40]
웹사이트
허인욱의 무인이야기 장보고와 정년 그리고 송징
http://mookas.com/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