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 여름밤의 미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 여름밤의 미소》는 1955년 개봉한 잉마르 베리만 감독의 스웨덴 영화이다. 20세기 초 스웨덴을 배경으로, 중년 변호사 프레드릭과 그의 젊은 아내 안네, 프레드릭의 아들 헨릭, 그리고 프레드릭의 옛 연인이자 배우인 데지레를 중심으로 얽히는 로맨스와 갈등을 그린다. 영화는 하지 축제 밤에 벌어지는 사건들을 통해 등장인물들의 관계 변화를 보여주며,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스티븐 손드하임의 뮤지컬 《작은 밤의 음악》은 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코미디 영화 - 포스 마쥬어: 화이트 베케이션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의 2014년 스웨덴 영화 《포스 마쥬어: 화이트 베케이션》은 프랑스 알프스 스키 휴가 중 눈사태를 겪는 스웨덴 가족을 통해 아버지의 역할과 가족 관계의 위기를 다루며, 2014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심사위원상을 수상했고 2020년에는 영어 리메이크작 《다운힐》이 개봉했다.
  • 스웨덴의 코미디 영화 - 쿵 퓨리
    마이애미 형사 쿵 퓨리가 시간 여행으로 아돌프 히틀러를 막기 위해 바이킹, 공룡, 토르와 협력하는 1980년대 액션 영화 스타일의 코미디 단편 영화이다.
  • 스웨덴의 영화 감독 - 제7의 봉인
    14세기 유럽 페스트 시대, 십자군 전쟁에서 귀환한 기사 안토니우스 블록이 죽음과 체스 게임을 통해 운명을 시험하며 삶의 의미와 신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탐구하는 잉마르 베르그만 감독의 영화로, 삶과 죽음, 믿음과 회의를 주제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웨덴의 영화 감독 - 침묵 (1963년 영화)
    잉마르 베리만 감독의 1963년 스웨덴 영화 침묵은 낯선 도시 호텔에 머무는 두 자매와 아들을 통해 언어 소통 부재, 내면 갈등, 욕망과 혐오를 탐구하며, 개봉 당시 논란에도 불구하고 모더니즘 영화 대표작으로 평가받는 영화사적으로 중요한 작품이다.
  • 스웨덴의 흑백 영화 - 제7의 봉인
    14세기 유럽 페스트 시대, 십자군 전쟁에서 귀환한 기사 안토니우스 블록이 죽음과 체스 게임을 통해 운명을 시험하며 삶의 의미와 신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탐구하는 잉마르 베르그만 감독의 영화로, 삶과 죽음, 믿음과 회의를 주제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웨덴의 흑백 영화 - 마녀들
    마녀들(Häxan)은 1922년에 제작된 덴마크의 무성 영화로, 마녀와 마녀 사냥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고찰을 담아 벤자민 크리스텐센이 감독하고 출연했으며, 다큐멘터리와 극영화 형식을 혼합하여 중세 시대의 미신, 마녀 재판, 현대적 해석 등을 특수 효과와 독창적인 촬영 기법으로 묘사했다.
한 여름밤의 미소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Sommarnattens leende
국가스웨덴
언어스웨덴어
제작 정보
감독잉마르 베리만
제작자알란 에켈룬드
각본잉마르 베리만
음악에리크 노르드그렌
촬영군나르 피셔
편집오스카 로산데르
출연
주연울라 야콥손
에바 달베크
하리에트 안데르손
마르기트 칼크비스트
군나르 비외른스트란드
야를 쿨레
개봉 정보
개봉일1955년 12월 26일
배급사스벤스크 필름인더스트리
기타 정보
상영 시간108분

2. 줄거리

20세기 초 스웨덴을 배경으로 한다. 중년의 변호사 프레드릭 에거만은 19세의 젊고 아름다운 아내 안과 결혼했지만, 안의 망설임으로 인해 2년 동안 부부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있다. 프레드릭에게는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헨릭이 있다. 헨릭은 20대 초반의 신학도로, 자신을 남몰래 사랑하는 새어머니 안에게 끌리는 마음 때문에 괴로워하며, 하녀 페트라와의 관계를 통해 욕망에서 벗어나려 하지만 잘 되지 않는다.

프레드릭은 과거 유명 여배우 데지레 아르펠트와 연인 관계였으나 헤어졌다. 데지레에게는 프레드릭과 헤어진 직후 태어난 어린 아들 프레드릭이 있는데, 영화는 이 아이가 프레드릭 에거만의 아들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데지레는 현재 육군 장교인 칼-마그누스 말콤 백작과 불륜 관계에 있다. 말콤 백작의 아내 샬롯은 프레드릭의 아내 안과 오랜 친구 사이이다.

어느 날 밤, 프레드릭은 데지레를 찾아가 결혼 생활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도움을 구한다. 그는 데지레의 집 앞에서 물웅덩이에 빠지고, 데지레는 그에게 말콤 백작의 잠옷을 빌려준다. 이때 질투심에 사로잡힌 말콤 백작이 들이닥쳐 프레드릭에게 떠날 것을 명령한다. 프레드릭이 떠난 후, 백작과 데지레는 다투고 헤어지기로 한다. 집으로 돌아온 백작은 아내 샬롯에게 데지레와의 만남을 이야기하며, 프레드릭이 아내를 속였다고 (사실과 다르게) 안에게 전하라고 지시한다. 샬롯은 안을 찾아가지만, 오히려 자신이 남편인 백작을 여전히 사랑한다고 고백한다.

이 복잡한 관계를 풀기 위해, 데지레는 어머니의 시골 별장에서 열리는 하지 축제에 관련된 모든 인물들을 초대한다. 하지 축제는 일 년 중 밤이 가장 짧은 날로, 많은 이들이 새벽까지 축제를 즐기는 스웨덴의 전통적인 행사이다. 축제가 열리는 동안 데지레와 샬롯은 일시적으로 손을 잡는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단둘이 남게 된 헨릭과 안은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관계를 맺은 뒤, 하녀 페트라와 그녀의 새 연인 프리드의 도움을 받아 함께 도망친다. 한편, 샬롯은 정원 별장에서 프레드릭과 만난다.

아내가 프레드릭과 함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말콤 백작은 격분하여 나타나 프레드릭에게 러시안 룰렛 게임을 제안한다. 프레드릭은 게임에서 지지만, 백작이 리볼버에 총알 대신 그을음을 넣어두었기 때문에 아무도 다치지 않는다. 이 사건을 계기로 백작은 아내 샬롯에 대한 질투심과 애정을 다시 느끼며 화해한다. 데지레는 충격받은 프레드릭을 위로하고, 프레드릭은 그녀에게 곁에 있어 달라고 부탁하며 두 사람의 관계 회복을 암시한다. 하룻밤 사이에 네 쌍의 연인들은 각자의 사랑과 관계에 대한 해답을 찾으며 행복한 결말을 맞는 것처럼 보인다. 하인 프리드는 이 밤이 모두에게 세 번의 미소를 지었다고 말하며 영화는 마무리된다.

3. 등장인물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과 한국어 더빙 성우는 다음과 같다. 상세한 등장인물 소개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배역원어 배우한국어 성우
프레드릭 에거만군나르 비에른스트란드김세한
데지레 아르펠트에바 달베크유남희
안 에거만울라 야콥손정미숙
헨릭 에거만비에른 비엘벤스탐김일
샬롯 말콤 백작 부인마르기트 칼크비스트임은정
칼-마그누스 말콤 백작야를 쿨레
페트라하리에트 안데르손은미
프리드오케 프리델유해무
아름펠트 부인나이마 비프스트란드최옥희
말라굴 나토르프문옥현
베아타율란 킨달문옥현
사무실 직원뵈르예 멜빅장호비
여배우비르기타 발베리
여배우비비 안데르손


3. 1. 주요 등장인물


  • '''프레드릭 에거만''' (군나르 비에른스트란드 분): 중년의 변호사. 19세의 젊은 아내 안과의 2년간의 결혼 생활이 아직 미완성 상태인 것에 고민하며, 과거 연인이었던 배우 데지레와 재회한다.
  • '''데지레 아르펠트''' (에바 달베크 분): 유명한 연극 배우이자 프레드릭의 전 연인이다. 현재 말콤 백작과 불륜 관계에 있으며, 프레드릭 에거만과의 관계 직후 태어난 어린 아들 프레드릭을 두고 있다 (아이가 프레드릭의 아들임이 암시되지만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는다).
  • '''안 에거만''' (울라 야콥손 분): 프레드릭의 젊고 아름다운 아내. 남편과의 관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며, 의붓아들인 헨릭을 남몰래 사랑하고 있다.
  • '''헨릭 에거만''' (비에른 비엘벤스탐 분): 프레드릭과 첫 번째 아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신학을 공부하는 학생이지만, 새어머니 안을 향한 금지된 사랑으로 고뇌한다. 집안의 하녀 페트라와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욕망에서 벗어나려 시도한다.
  • '''샬롯 말콤 백작 부인''' (마르기트 칼크비스트 분): 말콤 백작의 아내이자 안의 오랜 친구이다. 남편의 외도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를 사랑한다.
  • '''칼-마그누스 말콤 백작''' (야를 쿨레 분): 육군 장교이자 데지레의 현재 연인이다. 데지레와 프레드릭의 관계에 대해 강한 질투심을 느낀다.
  • '''페트라''' (하리에트 안데르손 분): 에거만 집안의 젊고 정열적인 하녀이다. 헨릭과 잠시 관계를 시도하지만, 결국 마부인 프리드와 사랑에 빠진다.
  • '''프리드''' (오케 프리델 분): 마부로, 페트라와 연인이 된다. 영화의 마지막에 여름밤이 세 번의 미소를 지었다고 말하는 인물이다.
  • '''아름펠트 부인''' (나이마 비프스트란드 분): 데지레의 어머니. 자신의 별장에서 하지 축제 파티를 열어 모든 주요 인물들을 초대한다.

3. 2. 기타 등장인물


  • '''프리드''' (오케 프리델)

데지레 집안의 마부이다. 하녀인 페트라 (하리에트 안데르손)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 '''아르펠트 부인''' (나이마 비프스트란드)

데지레 (에바 달베크)의 어머니이다. 자신의 별장에서 하지 축제를 연다.

  • '''말라''' (굴 나토르프)

데지레 집안의 하녀이다.

4. 한국판 성우진 (KBS)

wikitext

성우배역원어 배우
김세한프레드릭 에게르만군나르 비요른스트란트
유남희데지레에바 달베크
정미숙안 에르게만울라 야콥슨
김일헨리크 에르게만비요른 브엘프벤스탐
임은정샬롯 말콤 백작 부인마르짓 칼크비스트
은미페트라하리에트 안데르손
유해무프리드아케 프리들
문옥현말라 / 비타걸 나토르프 / 줄리안 킨달
최옥희데지레의 어머니 / 아름펠트 부인나이마 위프스트란드
장호비사무실 직원뵈르예 멜빅


5. 제작

예르베리 성


''한 여름밤의 미소''는 1955년 6월 28일부터 8월 29일까지 스웨덴 스코네 지방의 예르베리 성과 스톡홀름 라순다에 있는 스벤스크 필름인두스트리의 필름스타덴에서 촬영되었으며, 1955년 11월에 이틀간의 추가 촬영이 진행되었다.[3]

베리만의 작품 중에서는 『제7의 봉인』이나 후기의 "신의 침묵" 3부작처럼 철학적인 주제를 다룬 난해한 영화가 많다고 여겨지지만, 『한 여름밤의 미소』는 명쾌한 줄거리와 세련된 유머 덕분에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통속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이 작품 제작 전에 베리만의 프로듀서가 다음 작품이 흥행에 실패하면 다시는 영화를 만들 수 없을 것이라고 압박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금전적 위기뿐만 아니라, 베리만 본인의 만성적인 위통, 배우 하리에트 안데르손과의 결별 등 여러 어려움 속에서 촬영되었지만, 완성된 영화는 스웨덴 내에서 예상외의 큰 성공을 거두었다.[13]

이 작품은 공개 당시부터 스웨덴 국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다음 해인 1956년 제9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다. 비록 황금종려상 수상은 놓쳤지만, 같은 해 특별히 마련된 "시적 유머상"(Prix de l'humour poétique프랑스어)을 수상하며 베리만은 단숨에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베리만은 훗날 이 작품의 흥행 성공 덕분에 다음 작품부터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고 회고했다.[14]

6. 평가

''한 여름밤의 미소''는 개봉 당시부터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오늘날에도 호평을 받고 있다.[4]

이 영화는 1956년 ''카이에 뒤 시네마''의 연간 톱 10 영화 목록에서 6위를 차지했다.[5] 같은 해 제9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으며, 비록 수상은 놓쳤지만 특별히 마련된 Prix de l'humour poétique프랑스어(시적 유머상)을 수상하여 베리만의 국제적 인지도를 크게 높였다. 베리만 본인은 자신의 영화가 칸 영화제에 출품된 것조차 몰랐으며, 나중에 신문 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한다.

1957년에는 보딜상에서 최우수 유럽 영화상을 수상했고,[6] 제1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작품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100%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7]

1996년에는 무비라인 잡지가 선정한 "100대 외국 영화" 목록에 포함되었으며,[8] 2005년에는 미국 잡지 TIME이 선정한 역대 영화 베스트 100편 중 하나로 꼽혔다. 2012년에는 저명한 영화 평론가 로저 이버트가 자신의 "위대한 영화들" 목록에 이 영화를 포함시키며 별 4개 만점을 부여했다.[9] 또한 같은 해 영화 잡지 ''FLM''이 50명의 영화 평론가와 학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역대 최고의 스웨덴 영화 25편 중 20위로 선정되었다.[11]

영화 평론가 폴린 케일은 이 영화를 "거의 완벽한 작품"이라고 극찬하며 "이 영화는 아름다움에 잠겨 있으며, 짧은 치마와 현대식 거리와 상점의 진부함에서 벗어나 시간 속에서 우리를 더 가까이 끌어당긴다."라고 평했다.[10]

''한 여름밤의 미소''는 제7의 봉인이나 후기 "신의 침묵" 3부작처럼 철학적 주제를 다룬 베리만의 다른 작품들에 비해, 명쾌한 줄거리와 세련된 유머 덕분에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통속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제작 당시 프로듀서로부터 흥행 실패 시 더 이상 영화를 만들 수 없을 것이라는 압박을 받았던 배경과 관련이 있다. 베리만은 만성적인 위통, 배우 하리에트 안데르손과의 결별 등 개인적인 어려움 속에서 이 영화를 촬영했지만, 완성된 작품은 스웨덴 내에서 예상외의 큰 성공을 거두었다.[13] 베리만은 훗날 이 작품의 흥행 성공 덕분에 이후 자신의 의도대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고 회고했다.[14]

철학자 스탠리 카벨은 이 영화를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아 그날 밤 영화에 대한 글을 썼으며, 이는 그가 철학과 영화의 교차점을 탐구하는 계기가 되었다.[12] 또한, 1973년에 초연된 스티븐 손드하임의 뮤지컬 『작은 밤의 음악』(원제: ''A Little Night Music'')은 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7. 흥행 및 영향

잉마르 베리만의 다른 작품들, 예를 들어 『제7의 봉인』이나 후기의 "신의 침묵" 3부작처럼 철학적인 주제를 다루어 다소 난해하게 여겨지는 경향과 달리, 『한 여름밤의 미소』는 명쾌한 줄거리와 세련된 유머로 비교적 이해하기 쉬운 대중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제작 당시 베리만이 금전적 위기, 배우 하리에트 안데르손과의 결별 등 여러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프로듀서로부터 차기작 흥행에 실패하면 더 이상 영화를 만들 수 없을 것이라는 압박을 받았기 때문이다.[13]

이러한 배경에서 제작된 영화는 스웨덴 국내에서 예상외의 큰 성공을 거두었다.[13] 베리만은 훗날 이 작품의 흥행 성공 덕분에 이후 자신의 의도대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고 회고했다.[14]

영화는 개봉 당시부터 국내외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오늘날에도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4] 로튼 토마토에서는 100%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하고 있으며,[7] 영화 평론가 폴린 케일은 "거의 완벽한 작품"이라 칭하며 "아름다움에 잠겨 있으며, 시간 속에서 우리를 더 가까이 끌어당긴다"고 평했다.[10] 로저 이버트는 2012년 이 영화를 자신의 "위대한 영화들" 목록에 포함시키고 별 4개 만점을 주었다.[9]

또한 여러 매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56년 카이에 뒤 시네마의 연간 톱 10 영화 목록에서 6위를 차지했고,[5] 1996년에는 무비라인 잡지의 "100대 외국 영화" 목록에,[8] 2005년에는 TIME지의 영화 베스트 100 목록에 포함되었다. 2012년 스웨덴 영화 잡지 ''FLM''이 50명의 평론가와 학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는 역대 스웨덴 영화 25선 중 20위에 선정되었다.[11]

수상 실적 또한 주목할 만하다. 1956년 제9회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으며, 비록 수상은 놓쳤지만 특별히 신설된 "시적 유머상"(Prix de l'humour poétique|프리 드 뤼무르 포에티크프랑스어)을 수상하며 베리만의 국제적 명성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베리만 본인은 자신의 영화가 칸 영화제에 출품된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가, 화장실에서 신문 기사를 보고 알았다고 한다. 이듬해인 1957년에는 덴마크보딜상에서 최우수 유럽 영화상을 수상했고,[6] 같은 해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작품상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이 영화는 후대에 미친 영향도 적지 않다. 철학자 스탠리 카벨은 이 영화를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아 그날 밤새도록 영화에 대한 글을 썼으며, 이를 계기로 철학과 영화의 교차점을 탐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12] 또한, 1973년에 초연된 스티븐 손드하임의 유명 뮤지컬 『작은 밤의 음악』(A Little Night Music|어 리틀 나이트 뮤직영어)은 이 영화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8. 기타


  • 잉마르 베리만은 자신의 영화가 칸 영화제에 출품된 사실조차 몰랐다고 한다. 그는 화장실에서 "스웨덴 영화가 칸에서 성공을 거두었다"는 신문 기사를 읽고서야 비로소 자신의 작품에 관한 내용임을 알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 1973년에 초연된 스티븐 손드하임 작사·작곡의 뮤지컬 작은 밤의 음악 (원제: A Little Night Musiceng)은 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
  • 2005년 미국의 잡지 TIME은 이 영화를 '영화 베스트 100' 중 한 편으로 선정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Smiles of a Summer Night http://www.festival-[...] 2009-02-06
[2] 웹사이트 ALL-TIME 100 Movies list https://web.archive.[...]
[3] 서적 Ingmar Bergman: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4] 서적 Ingmar Bergman: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5
[5] 웹사이트 Cahiers du Cinema: Top Ten Lists 1951-2009 http://alumnus.calte[...] 2017-12-17
[6] 웹사이트 Denmark's National Union of Film Critics http://www.bodilpris[...]
[7] 웹사이트 Smiles of a Summer Night (1955)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17-01-13
[8] 웹사이트 100 Greatest Foreign Films by Movieline Magazine http://www.filmsite.[...] 2009-04-19
[9] 웹사이트 Smiles of a Summer Night (1955) movie reviews https://www.rogerebe[...] 2021-01-31
[10] 웹사이트 Smiles of a Summer Night https://www.criterio[...] 2011-05-03
[11] 웹사이트 De 25 bästa svenska filmerna genom tiderna http://www.flm.nu/20[...] 2012-08-30
[12] 웹사이트 Philosophy and Film Criticism http://globetrotter.[...] Conversations with Steve Carell 2021-01-17
[13] 문서 John Simon、“Midsummer Merry-Go-Round”(クライテリオン・コレクション版DVD付録の小冊子より)
[14] 영상 Bergman Introduction(2003年にスウェーデン・テレビが製作したイングマール・ベルイマンへのインタビュー、クライテリオン・コレクション版DVDに収録)
[15] 뉴스 ALL-TIME 100 Movies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2008-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