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국은 대한민국 중부 이남 지역, 특히 독도의 암벽이나 경사진 곳에서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30~60cm이며, 연한 보라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잎은 뭉쳐나며 끈적거리는 특징이 있다. 관상용으로 심거나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7~11월에 개화하고 11월에 열매를 맺는다.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본 서해안에 서식하는 해국이 독도와 울릉도에서 일본으로 확산된 것으로 밝혀졌다. 해국은 종자나 꺾꽂이로 번식하며, 햇볕이 잘 드는 토양에서 마르게 관리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취속 - 미국쑥부쟁이
미국쑥부쟁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흰색 꽃이 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고,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서 귀화종으로 발견되기도 한다. - 참취속 - 벌개미취
벌개미취는 한국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연한 자주색 별 모양의 꽃이 피고 햇볕이 잘 드는 물기 많은 곳에서 자라며, 포기나누기나 종자 파종으로 번식하고 "나는 기억, 향수, 그리고 당신을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다. - 1871년 기재된 식물 - 섬말나리
섬말나리는 울릉도 산야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붉은색 비늘줄기를 가지며 6~7월에 주황색 꽃이 피고 둥근 삭과가 열리며, 한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 1871년 기재된 식물 - 후피향나무
후피향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자생하는 상록 활엽수로, 아름다운 잎과 수형으로 공원수나 정원수로 활용되며, 목재와 수피는 건축, 공예, 염료 등으로 쓰인다. - 독도 - 다케시마의 날
다케시마의 날은 일본 시마네현이 독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며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제정한 기념일로, 한국의 강력한 반발과 한일 관계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 독도 - 독도의 달
독도의 달은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에 대한 반발로 제정되어 독도가 대한민국 고유 영토임을 알리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10월에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행사 기간이다.
해국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_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_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_목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국화아과 |
족 | 참취족 |
속 | 참취속 |
종 | 해국 |
학명 | Aster spathulifolius |
학명_명명 | Maxim. |
동종이명 | Aster fauriei |
한국어 이름 | |
한국어 | 해국 |
로마자 표기 | haeguk |
2. 특징
해국은 대한민국 중부 이남 지방과 독도의 햇볕이 잘 드는 암벽이나 경사진 곳에서 자라는 대한민국 자생식물이다. 키는 30~60cm이며, 연한 보라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고 지름은 3.5cm~4cm이다. 잎은 풍성하고 양면에 융모가 많으며 어긋하게 난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뭉치듯 전개되고, 잎 사이 간격은 거의 없으며 끈적거려 여름철에 애벌레가 많이 꼬인다.
2. 1. 생태
해국은 대한민국 중부 이남 지방, 독도의 햇볕이 잘 드는 암벽이나 경사진 곳에서 자라는 대한민국 자생식물이다. 키는 30~60cm이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며 지름은 3.5cm~4cm이다. 잎은 풍성하게 많으며 양면에 융모가 많고 어긋하게 난다.잎은 달걀 모양이며 위에서 보면 뭉치듯 전개되고, 잎과 잎 사이는 간격이 거의 없다. 잎 주위는 끈적거려, 여름철에 애벌레가 많이 꼬인다. 잎은 아침나절에 꼿꼿하고 한낮에 생기를 잃다가 해가 지면 활기를 되찾는다. 해국은 보통 관상초로 심기도 하고 식용 및 약용으로도 쓰인다. 해국의 개화 시기는 7~11월이며 열매는 11월에 성숙한다. 발아율은 70% 정도로 야생화 중에서 매우 높은 편으로, 꽃이 아름답고 1개월 이상 유지된다. 영남대 독도연구소가 울릉도, 독도, 동해안과 일본 서해안에서만 자생하는 해국(Aster spathulifolius/ Aster spathulifolius Maxim)의 기원과 확산 경로 등에 대해 유전자(DNA) 분석 등 연구 조사를 벌인 결과, 일본 서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국이 독도와 울릉도에서 일본으로 확산돼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1]
2. 2. 개화 및 결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며 지름은 3.5~4cm이다. 해국/왕해국의 개화 시기는 7~11월이며 열매는 11월에 성숙한다.[1] 발아율은 70% 정도로 야생화 중에서 매우 높은 편으로, 꽃이 아름답고 1개월 이상 유지된다.[1]2. 3. 유전적 연구
영남대 독도연구소가 울릉도, 독도, 동해안과 일본 서해안에서만 자생하는 해국/왕해국(''Aster spathulifolius''/''Aster spathulifolius'' Maxim)의 기원과 확산 경로 등에 대해 유전자(DNA) 분석 등 연구 조사를 벌인 결과, 일본 서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해국이 독도와 울릉도에서 일본으로 확산돼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1]3. 심는 방법
해국은 경사지고 햇볕이 잘 드는 부엽질이 많은 토양에 심어야 한다. 물을 너무 많이 주지 않고 건조하게 관리하면 키가 많이 자라지 않는다. 과습하면 짓무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1]
3. 1. 번식
해국은 11월에 결실하는 종자를 바로 뿌리거나 냉장 보관 후 이듬해 봄에 뿌려 번식한다. 종자로 번식한 개체는 2년 후 개화하므로, 빨리 꽃을 보려면 꺾꽂이를 하는 것이 좋다.[1]해국은 경사지고 햇볕이 잘 드는 부엽질이 많은 토양에 심어야 한다. 물을 너무 많이 주지 않고 건조하게 관리하면 키가 많이 자라지 않는다. 과습하면 짓무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1]
3. 2. 관리
11월에 결실하는 종자를 바로 뿌리거나, 냉장 보관 후 이듬해 봄에 뿌린다. 종자로 번식한 개체는 2년 후에 개화하기 때문에, 빨리 꽃을 보려면 꺾꽂이를 하는 것이 좋다.경사지고 햇볕이 잘 드는 부엽질이 많은 토양에 심는다. 물을 너무 주지 않고 건조하게 관리하면 키가 많이 자라지 않는다. 과습하면 짓무른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