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궁은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개발된 대한민국 해군의 함대공 미사일이다. 2011년 개발이 시작되어 2019년부터 양산에 돌입했으며, 2021년 품질인증사격시험에 성공했다. 해궁은 적외선 영상 탐색기와 초고주파 탐색기를 갖춘 이중 탐지기 체계로, 마하 2 이상의 속도로 날아오는 대함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24년에는 말레이시아가 해궁의 수출 대상이 될 가능성이 보도되었다. 하지만, 시험 평가 과정에서의 낮은 표적 속도와 짧은 사거리로 인해 요격 능력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도입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III 사업으로 건조된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은 대한민국 자체 기술로 설계된 최초의 3,000톤급 디젤 추진 잠수함으로, 수직 발사관과 공기불요추진장치를 탑재하여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운용 및 장시간 수중 작전이 가능하다. - 대한민국의 미사일 - 킬 체인
킬 체인은 적의 공격 징후를 탐지하여 선제타격하는 전략 개념으로, 군사적 목적과 컴퓨터 보안 분야에서 서로 다른 모델로 발전해 왔으며, 군사적 모델은 탐지, 식별, 결심, 타격 단계를 거쳐 목표를 무력화하고, 컴퓨터 보안 모델은 사이버 공격 단계를 분석하고 대응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미사일 - 현무 4-4
대한민국이 북한의 SLBM 개발에 대응하여 현무-2B 탄도미사일을 개조해 개발한 현무 4-4는 사거리 500km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로, 도산안창호함에 탑재될 예정이며 한국을 세계 7번째 SLBM 보유국으로 만들었다. - 함대공 미사일 - RIM-67 스탠더드
RIM-67 스탠더드 미사일은 미국 해군이 RIM-2 테리어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함대공 미사일로, SM-1ER과 SM-2ER로 나뉘며 이지스 전투 시스템과 연동된 SM-2ER은 관성 및 지령 유도 기능이 추가되었고, SM-2ER 블록 IV는 수직 발사 시스템에 탑재 가능하며 일부는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도 갖추었으나 SM-6의 등장으로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있다. - 함대공 미사일 - RIM-162 ESSM
RIM-162 ESSM은 레이시온에서 개발하여 사거리와 기동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발사 시스템과 호환되도록 기존 RIM-7 시 스패로우를 대폭 업그레이드한 함대공 미사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거나 도입이 진행 중이며 2000년대부터는 Block 2 버전이 개발되었다.
해궁 | |
---|---|
명칭 | |
이름 | K-SAAM |
한글 | 해궁 |
한자 | 海弓 |
로마자 표기 | Hae-gung |
영어 | K-SAAM |
무기 체계 | |
종류 | 함대공 미사일 |
기능 | 항공기, 미사일 요격 |
개발 및 생산 | |
개발자 | 국방과학연구소 |
제조업체 |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구 한화디펜스) |
개발 기간 | 2011년 ~ 2018년 |
생산 기간 | 2019년 ~ 현재 |
대당 가격 | 10억여 원 |
사용 정보 | |
도입 시기 | 2021년 |
제원 | |
길이 | 3.08 m |
속력 | Mach 2 |
사거리 | 20 km |
유도 및 발사 | |
유도 방식 | 관성유도, 호밍 유도, Fire-and-forget, 적외선 유도, 초고주파 탐색기 |
신관 | 근접 신관 |
발사대 | KVLS |
기타 |
2. 역사
국방과학연구소 주관으로 LIG넥스원이 참여한 해궁 개발은 2011년에 시작되었다.[6] 2013년에는 LIG넥스원이 해궁 체계 조립 및 추진기관 공장을 준공했다.[6] 초기에는 2015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한국형 구축함에 탑재할 계획이었다.[6]
2018년 군 당국의 합격 판정에도 불구하고, 실제 요격 실험에 사용된 표적이 마하 0.5에 불과했고 초음속 표적 요격은 시뮬레이션으로 대체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이 되었다.[7] 2016년 시험 발사 실패로 개발이 2년 지연되기도 했다.[8]
이후 탐색 기능 보완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명중률을 높이는 과정을 거쳐, 2018년 12월 24일 방위사업청은 해궁 개발 완료를 공식 발표했다.[8] 2019년부터 양산에 돌입하여, 2036년까지 7.5조원이 투입될 예정이다.[9] 군 당국은 해궁이 미국 레이시온의 램 미사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9]
2021년 12월, 국방기술품질원의 품질인증사격시험을 통과하면서 본격적인 양산 단계에 들어섰다.[10] 대구함에서의 발사 시험을 시작으로, 향후 해군 차기 함정에도 탑재될 예정이다.[10]
2017년 시험 결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익명의 소식통은 북한의 금성-3호 대함 미사일 위협을 언급하며 해궁의 성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3]
2. 1. 개발
해궁은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연구개발사업으로 2011년 개발에 착수하였다. 2013년 LIG넥스원은 해궁 체계조립 및 추진기관 공장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2015년 개발이 완료되면 한국형 구축함에 탑재될 예정이었다.[6]2018년, 군은 실험에서 해궁이 표적 10발 가운데 9발을 맞췄다며 합격 판정을 내리고 2019년부터 양산에 돌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확인 결과 실험에 쓰인 표적은 마하 0.5에 불과했으며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위사업청은 초음속 표적은 시뮬레이션만 거친 뒤 실험을 마무리했다.[7]
같은 해 12월 24일, 방위사업청은 해궁에 대한 연구·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2016년 시험발사에서 표적 5개 중 2개만 요격에 성공하는데 그쳐 원래 계획보다 2년 지연됐다. 탐색 기능을 보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명중률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8]
2019년부터 해궁 미사일은 양산에 들어간다. 군 당국은 해궁이 미국 레이시온의 램 미사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양산에는 2036년까지 7.5조원이 투입될 예정이다.[9]
2021년 12월,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실시한 해궁 미사일의 품질인증사격시험에 성공하여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대구함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앞으로도 해군의 차기 함정에도 탑재될 예정이다.[10]
2011년에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016년 일련의 시험 실패 이후 2년 더 연장되었다. 2017년 시험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익명의 소식통은 평가 시험과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북한의 금성-3호 대함 미사일을 대한민국 해군 함정의 주요 위협 중 하나로 언급하며 의문을 제기했다.[3]
2. 2. 시험 발사 및 문제점
해궁은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연구개발사업으로 2011년 개발에 착수하였다. 2013년 LIG넥스원은 해궁 체계조립 및 추진기관 공장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2015년 개발이 완료되면 한국형 구축함에 탑재될 예정이었다.[6]2018년, 군은 실험에서 해궁이 표적 10발 가운데 9발을 맞췄다며 합격 판정을 내리고 2019년부터 양산에 돌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확인 결과 실험에 쓰인 표적은 마하 0.5에 불과했으며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위사업청은 초음속 표적은 시뮬레이션만 거친 뒤 실험을 마무리했다.[7] 2016년 시험발사에서 표적 5개 중 2개만 요격에 성공하는데 그쳐 원래 계획보다 2년 지연됐다. 탐색 기능을 보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명중률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8]
2019년부터 해궁 미사일은 양산에 들어갔다. 군 당국은 해궁이 미국 레이시온의 램 미사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양산에는 2036년까지 75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9]
2021년 12월,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실시한 해궁 미사일의 품질인증사격시험에 성공하여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하였다. 대구함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앞으로도 해군의 차기 함정에도 탑재될 예정이다.[10]
2017년 시험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익명의 소식통은 평가 시험과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북한의 금성-3호 대함 미사일을 대한민국 해군 함정의 주요 위협 중 하나로 언급하며 의문을 제기했다.[3]
2. 3. 성능 개선 및 양산
LIG넥스원은 2013년 해궁 체계조립 및 추진기관 공장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해궁은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연구개발사업으로 2011년 개발에 착수하여, 2015년 개발 완료 후 한국형 구축함에 탑재될 예정이었다.[6]2018년, 군은 실험에서 해궁이 표적 10발 가운데 9발을 맞췄다며 합격 판정을 내리고 2019년부터 양산에 돌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실험에 쓰인 표적은 마하 0.5에 불과했으며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위사업청은 초음속 표적은 시뮬레이션만 거친 뒤 실험을 마무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 2016년 시험발사에서 표적 5개 중 2개만 요격에 성공하는데 그쳐 원래 계획보다 2년 지연되었고, 탐색 기능을 보완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명중률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8]
2019년부터 해궁 미사일은 양산에 들어갔다. 군 당국은 해궁이 미국 레이시온의 램 미사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36년까지 7500억원이 양산에 투입될 예정이다.[9]
2021년 12월,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실시한 해궁 미사일의 품질인증사격시험에 성공하여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했다. 미사일 발사는 대구함에서 진행되었으며, 앞으로도 해군의 차기 함정에 탑재될 예정이다.[10]
2017년 시험은 성공적인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익명의 소식통은 평가 시험과 관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북한의 금성-3호 대함 미사일을 대한민국 해군 함정의 주요 위협 중 하나로 언급하며 의문을 제기했다.[3]
3. 특징
해궁은 적외선 영상 탐색기와 초고주파 탐색기를 함께 사용하는 이중 탐색기 체계로, 표적 추적 시 관성 및 호밍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11] RIM-116 램은 열추적 미사일이며, 길이는 해궁보다 짧은 2.8m이다. 해궁은 마하 2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대함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으며, 수직 발사 방식을 통해 모든 방향으로 발사 가능하다. 발사관 하나에는 4발이 들어간다.[5]
3. 1. 이중 탐색기
해궁은 적외선 영상 탐색기와 초고주파 탐색기를 장착하는 이중 탐지기 체계이다. 표적 추적시 관성·호밍유도가 사용된다.[11] 반면 RIM-116 램은 열추적 미사일이고 길이는 2.8m로 해궁보다 짧다. 해궁은 마하 2 이상의 속도로 날아오는 적의 대함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직발사 방식으로 전방위 발사가 가능하고 발사관 1개에 4발이 수납된다.[5]3. 2. 수직 발사 방식
해궁은 적외선 영상 탐색기와 초고주파 탐색기를 장착하는 이중 탐지기 체계이며, 표적 추적시 관성·호밍유도가 사용된다.[11] 수직발사 방식으로 전방위 발사가 가능하고 발사관 1개에 4발이 수납된다.[5]3. 3. 요격 능력
해궁은 적외선 영상 탐색기와 초고주파 탐색기를 장착하는 이중 탐지기 체계이다. 표적 추적 시 관성·호밍유도가 사용된다.[11] 반면 RIM-116 램은 열추적 미사일이고 길이는 2.8미터로 해궁보다 짧다. 해궁은 마하 2 이상의 속도로 날아오는 적의 대함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직발사 방식으로 전방위 발사가 가능하고 발사관 1개에 4발이 수납된다.[5]4. 비교
이름 | 길이 | 무게 | 직경 | 한 발당 가격 |
---|---|---|---|---|
아이언 돔 | 3m | 90kg | 160mm | 27820000KRW |
해궁 | 3.08m | 120kg | 165mm | 10억원 |
AIM-9 사이드와인더 | 3.02m | 85.3kg | 127mm | 5.3억원 |
5. 수출
2024년, 말레이시아가 자국의 LMS 2차 배치에 한국형 수직 발사 대공 미사일(K-SAAM) 장착에 관심을 보였다는 보도가 있었다.[4]
6. 문제점
해궁은 명중률이 90%라는 것에 대해 신뢰에 문제가 있으며 시험 평가 과정에서 해궁의 모의표적 속도는 마하 0.5로 요격 능력도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사거리도 짧아 교전 기회를 확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South Korea Goes Indigenous for Its Missile Defense Needs
https://thediplomat.[...]
2017-10-27
[2]
웹사이트
Missile precision from Korea [IDX15D1] - Jane's 360
http://www.janes.com[...]
2017-10-27
[3]
웹사이트
Doubts arise over South Korea's 'Sea Bow' missile interception ability
https://www.defensen[...]
2018-10-18
[4]
웹사이트
Turkish MILGEM Corvette In Malaysia’s LMS Batch 2 Configuration
https://www.navalnew[...]
[5]
뉴스
"[G-Military]방사청이 양산 승인한 '해궁' 함대공 미사일은?"
https://cmobile.g-en[...]
2021-09-19
[6]
뉴스
대함미사일 공중요격 '해궁' 유도탄 독자개발
https://n.news.naver[...]
네이버 뉴스
2022-08-23
[7]
뉴스
1600억 든 미사일 ‘해궁’…“딱 한 번 실험 하고 합격 판정”
https://n.news.naver[...]
네이버 뉴스
2022-08-23
[8]
뉴스
국산 방어유도탄 ‘해궁’ 7년 만에 개발… 시험발사에서 10발 중 9발 요격 성공
https://n.news.naver[...]
네이버 뉴스
2022-08-23
[9]
뉴스
국산 방어유도탄 ‘해궁’ 양산 돌입
https://n.news.naver[...]
네이버 뉴스
2022-08-23
[10]
뉴스
국산 함대공미사일 '해궁' 사격시험 성공… 본격 양산 돌입
https://n.news.naver[...]
네이버 뉴스
2022-08-23
[11]
뉴스
대함미사일 공중요격 '해궁' 유도탄 독자개발
https://n.news.naver[...]
네이버 뉴스
2021-09-19
[12]
뉴스
"[이일우의 밀리터리 talk] 해궁 전력화, 해군은 대공방어 포기했나?"
https://n.news.naver[...]
네이버 뉴스
2021-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