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화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화학은 원자핵의 반응과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1895년 X선 발견 이후 방사능 연구를 통해 발전했다. 주요 분야로는 방사화학, 방사선 화학, 핵 화학 공학 등이 있으며, 핵연료 주기와 핵분열, 핵융합과 같은 핵반응 연구에 기여한다. 핵화학은 동위원소 효과를 이용한 화학 반응 메커니즘 연구, 지질학, 생물학, 법의학 분야에서의 활용, 핵 분광법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 - 합금
합금은 금속을 포함한 두 가지 이상의 원소 혼합물로, 비율과 종류를 조절하여 순수 금속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물질이다. - 화학 - 솔베이 회의
솔베이 회의는 에른스트 솔베이가 설립한 국제 학술 회의로, 저명한 과학자들이 모여 물리학과 화학 분야의 최첨단 과학적 문제를 논의하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서구 과학자 중심 구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학제 간 연구 확대 및 참가자 다양성 확보를 통한 발전이 기대된다. - 핵화학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핵화학 - 핵폭발
핵폭발은 원자핵 반응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으로, 핵무기에 이용되거나 평화적 목적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폭풍, 열복사, 방사선, 전자기 펄스 등으로 피해를 야기하고 핵겨울을 초래할 수 있다.
핵화학 | |
---|---|
개요 | |
![]() | |
학문 분야 | 화학, 물리학 |
연구 대상 | 방사능, 핵 반응, 동위원소 |
세부 분야 | |
관련 학문 |
2. 역사
핵화학의 역사는 1895년 빌헬름 뢴트겐의 X선 발견, 앙리 베크렐의 방사능 발견,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부부의 폴로늄 및 라듐 발견으로 시작되었다.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방사성 붕괴 현상을 규명하고 반감기 개념을 도입했으며, 알파, 베타, 감마선 용어를 만들고 러더퍼드 모형을 제시했다. 이렌 졸리오퀴리와 프레데릭 졸리오퀴리 부부는 인공 방사능을 발견했다. 오토 한, 리제 마이트너, 프리츠 슈트라스만은 핵분열을 발견하여 원자로와 핵무기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고, 오토 한은 이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방사능 연구
1895년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후, 많은 과학자들이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앙리 베크렐은 인광과 사진 건판의 검게 변색되는 현상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던 중, 우라늄이 외부 에너지원 없이 사진 건판을 검게 할 수 있는 광선을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방사능을 발견했다.[2] 마리 퀴리와 그녀의 남편 피에르 퀴리는 우라늄 광석에서 폴로늄과 라듐을 분리했다. 이들은 방사선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 분리 후 어느 흐름에 방사능이 있는지 식별하고, 방사성 분획을 더 분리하여 비활성도가 높은 분획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방사성 원소를 발견했다.1901년경, 고용량의 방사선이 인간에게 부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앙리 베크렐이 주머니에 라듐 샘플을 가지고 다니다가 방사선 화상을 입은 것이 그 예이다.[2] 이러한 부상은 방사선의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게 했고, 이는 결국 의료 치료법 개발로 이어졌다.
2. 2. 러더퍼드의 원자 모형
어니스트 러더퍼드는 방사성 붕괴를 간단한 방정식(선형 1차 미분 방정식, 현재 1차 속도론이라고 불림)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주어진 방사성 물질이 특징적인 반감기(소스에 존재하는 방사능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는 또한 알파, 베타, 감마선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질소를 산소로 변환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가이거-마스덴 실험(금박 실험)을 수행한 학생들을 지도하여 원자의 '건포도 푸딩 모형'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1904년 J. J. 톰슨이 제안한 건포도 푸딩 모형에서 원자는 전자의 음전하를 상쇄하기 위해 양전하의 '구름'에 둘러싸인 전자로 구성된다. 러더퍼드에게 금박 실험은 양전하가 매우 작은 핵에 국한되어 있음을 의미했고, 처음에는 러더퍼드 모형으로, 궁극적으로는 양성자 핵이 음성 전자에 의해 둘러싸인 보어 모형으로 이어졌다.[2]2. 3. 인공 방사능과 핵분열
1934년, 마리 퀴리의 딸 이렌 졸리오퀴리와 사위 프레데릭 졸리오퀴리는 붕소에 알파 입자를 충돌시켜 중성자가 부족한 동위원소인 질소-13을 만들어 최초로 인공 방사능을 만들었다. 이 동위원소는 양전자를 방출했다.[3] 이들은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새로운 방사성 동위원소를 만들기도 했다.1920년대 초 오토 한은 "방출법"과 "방출 능력"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화학 및 물리-화학적 질문을 연구하는 "응용 방사화학" 분야를 개척했다. 1936년 코넬 대학교 출판사는 한이 1933년 코넬 대학교 객원 교수로 재직했을 때 행한 강의를 담은 책인 ''응용 방사화학''을 영어와 러시아어로 출판했다. 이 책은 1930년대와 1940년대 동안 여러 나라의 핵 화학자와 물리학자에게 큰 영향을 미쳐 현대 핵 화학의 기초를 다졌다.[4]
한과 리제 마이트너는 방사성 라듐 동위원소, 토륨 동위원소, 프로트악티늄 동위원소, 우라늄 동위원소를 발견했다. 그는 또한 방사성 반동과 핵 이성질체 현상을 발견했으며, 루비듐-스트론튬 연대 측정을 개척했다. 1938년, 한, 리제 마이트너, 프리츠 슈트라스만은 핵분열을 발견했고, 한은 이 공로로 194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핵분열은 원자로와 핵무기의 기반이 되었다. 한은 핵 화학의 아버지[5][6][7]이자 핵분열의 대부로 불린다.[8]
원자핵에 중성자를 흡수시키거나, 다른 핵종을 핵융합시키면 다른 핵종으로 전환된다. 전자는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비교적 쉽게 핵에 흡수시킬 수 있지만, 후자는 전하의 장벽을 넘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며, 잉여 에너지는 핵을 불안정하게 하여, 추가적인 핵분열 반응의 요인이 되므로 정밀한 입사 에너지의 조절이 필요하다.
3. 주요 분야
핵화학은 여러 주요 분야를 포함한다.
- '''방사화학''':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화학 분야로, 방사성 동위 원소를 사용하여 비방사성 동위 원소의 특성과 화학 반응을 연구한다. 방사화학에서 방사능이 없으면 물질을 "비활성"이라고 하며, 이는 동위 원소가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 '''방사선 화학''': 방사선이 물질에 미치는 화학적 영향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방사선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물질에 방사능이 꼭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방사화학과 다르다. 예를 들어 물이 수소 기체와 과산화 수소로 변환되는 것이 있다. 초기 실험은 방사선이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후고 프리케는 X선 발생기를 사용하여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을 연구했다.[9]
- '''핵 화학 공학''': 핵연료 주기와 관련된 화학 공학 분야이다. 여기에는 우라늄/토륨 연료 전구체 합성, 연료 제조, 냉각수 화학, 연료 재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리 및 저장 등이 포함된다.[11]
- '''핵반응 연구''': 방사화학과 방사선 화학을 함께 사용하여 핵분열 및 핵융합과 같은 핵반응을 연구한다. 핵분열의 초기 증거는 중성자를 쬐어준 우라늄에서 분리된 바륨의 단명 방사성 동위원소(139Ba, 반감기 83분 및 140Ba, 반감기 12.8일)가 만들어진 것이다.[12] 최근에는 방사화학적 방법과 핵물리학을 함께 사용하여 새로운 '초중원소'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있다. 핵분열의 최초 발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토 한의 연구를 참고하면 된다.[13]
원자핵에 중성자를 흡수시키거나, 다른 핵종을 핵융합시키면 다른 핵종으로 전환된다. 전환된 핵종이 양성자 과잉 또는 중성자 과잉 상태가 되면 불안정 핵이 되어 알파 붕괴,[41][42] 베타 붕괴[43] 또는 핵분열을 일으킨다.[44][45] 한편, 핵자 수의 마법수(매직 넘버)가 알려져 있으며,[46] 특정 수의 경우 에너지 준위의 닫힌 껍질 구조를 가지므로 원자핵이 안정화된다고 생각된다.
3. 1. 방사화학
방사화학은 방사성 물질의 화학으로, 원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를 사용하여 비방사성 동위 원소의 특성과 화학 반응을 연구한다. 방사화학에서 방사능이 없으면 물질을 "비활성"이라고 설명하며, 동위 원소가 "안정적"이기 때문이다.3. 2. 방사선 화학
방사선 화학은 물질에 대한 방사선의 화학적 영향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는 방사선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물질에 방사능이 존재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방사화학과는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물이 수소 기체와 과산화 수소로 변환되는 경우가 있다. 방사선 화학 이전에는 순수한 물은 파괴될 수 없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졌다.[9]초기 실험은 방사선이 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집중되었다. 후고 프리케는 X선 발생기를 사용하여 흔한 치료 옵션이자 진단 방법이 된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을 연구했다.[9] 프리케는 X선의 에너지가 물을 활성화된 물로 변환하여 용해된 종과 반응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입증했다.[10]
3. 3. 핵 화학 공학
핵화학 공학은 핵연료 주기와 관련된 화학 공학 분야이다. 여기에는 우라늄/토륨 연료 전구체 합성, 연료 제조, 냉각수 화학, 연료 재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리 및 저장 등이 포함된다.[11]3. 4. 핵반응 연구
방사화학과 방사선 화학을 함께 사용하여 핵분열 및 핵융합과 같은 핵반응을 연구한다. 핵분열의 초기 증거는 중성자를 쬐어준 우라늄에서 분리된 바륨의 단명 방사성 동위원소(139Ba, 반감기 83분 및 140Ba, 반감기 12.8일, 우라늄의 주요 분열 생성물)가 만들어진 것이다. 당시에는 이것이 새로운 라듐 동위원소라고 생각했는데, 라듐 분리를 돕기 위해 황산 바륨 담체 침전물을 사용하는 것이 당시 표준 방사화학적 관행이었기 때문이다.[12] 최근에는 방사화학적 방법과 핵물리학을 함께 사용하여 새로운 '초중원소'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핵종의 반감기가 수년인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섬이 존재하여 새로운 원소의 무게를 잴 수 있는 양을 분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핵분열의 최초 발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오토 한의 연구를 참고하면 된다.[13]원자핵에 중성자를 흡수시키거나, 다른 핵종을 핵융합시키면 다른 핵종으로 전환된다. 전자는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비교적 쉽게 핵에 흡수시킬 수 있지만, 후자는 전하의 장벽을 넘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며, 잉여 에너지는 핵을 불안정하게 하여, 추가적인 핵분열의 요인이 되므로 정밀한 입사 에너지의 조절이 필요하다.
전환된 핵종이 양성자 과잉 또는 중성자 과잉이 진행되면 불안정 핵이 되어 알파 붕괴,[41][42] 베타 붕괴[43] 또는 핵분열을 일으킨다.[44][45] 한편, 핵자 수의 마법수(매직 넘버)가 알려져 있으며,[46] 특정 수의 경우 에너지 준위의 닫힌 껍질 구조를 가지므로 원자핵이 안정화된다고 생각된다.
4. 핵연료 주기
핵연료 주기는 채광, 정련, 농축, 연료 제조, 원자로 내 연소, 사용 후 핵연료 관리, 재처리 또는 폐기 등 핵연료의 전 과정을 포함하며, 핵화학은 핵연료 주기의 모든 부분과 관련이 있다.
4. 1. 정상 및 비정상 조건
핵화학은 핵연료 주기의 모든 부분, 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하는 화학과 관련이 있다. 연료 주기는 채굴, 광석 처리 및 농축에서 연료 생산(주기의 ''전반부'')에 이르기까지 연료 생산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포함한다. 또한 주기의 ''후반부'' 전에 '노내(in-pile)' 거동(원자로에서 연료 사용)을 포함한다. ''후반부''는 사용후 핵연료를 사용후 핵연료 저장조 또는 건식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며, 지하 폐기물 저장소에 처분하거나 재처리한다.원자핵에 중성자를 흡수시키거나, 다른 핵종을 핵융합시키면 다른 핵종으로 전환된다. 전자는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비교적 쉽게 핵에 흡수시킬 수 있지만, 후자는 전하의 장벽을 넘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며, 잉여 에너지는 핵을 불안정하게 하여, 추가적인 핵분열의 요인이 되므로 정밀한 입사 에너지의 조절이 필요하다.
전환된 핵종이 양성자 과잉 또는 중성자 과잉이 진행되면 불안정 핵이 되어 알파 붕괴[41][42], 베타 붕괴[43] 또는 핵분열을 일으킨다.[44][45] 한편, 핵자 수의 마법수(매직 넘버)가 알려져 있으며,[46] 특정 수의 경우 에너지 준위의 닫힌 껍질 구조를 가지므로 원자핵이 안정화된다고 생각된다.
4. 2. 핵연료 재처리
핵연료 주기는 채굴, 광석 처리 및 농축에서 연료 생산(주기의 '전반부')에 이르기까지 연료 생산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포함한다. 또한 주기의 '후반부' 전에 '노내(in-pile)' 거동(원자로에서 연료 사용)을 포함한다. '후반부'는 사용후 핵연료를 사용후 핵연료 저장조 또는 건식 저장소에서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며, 지하 폐기물 저장소에 처분하거나 재처리한다.4. 3. 핵분열 생성물의 표면 흡착
핵화학의 중요한 분야는 핵분열 생성물이 고체 표면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는 정상적인 조건에서 폐기물 용기에서, 그리고 사고 시 발전소에서 핵분열 생성물의 방출 및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크롬산염 및 몰리브덴산염과 마찬가지로, '''99TcO4''' 음이온은 강철 표면과 반응하여 부식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금속옥소 음이온은 양극 부식 억제제로 작용한다. 강철 표면에 99TcO2의 형성은 잠수함 원자로와 같이 제염 전에 손실된 핵 폐기물 드럼 및 핵 장비에서 99Tc의 방출을 억제하는 한 가지 효과이다. 이 99TcO2 층은 강철 표면을 비활성 상태로 만들어 양극 부식 반응을 억제한다. 테크네튬의 방사성 특성으로 인해 이 부식 방지는 거의 모든 상황에서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99TcO4 음이온이 활성탄 (숯) 또는 알루미늄 표면에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22] 핵 폐기물에 있는 99Tc는 99TcO4 음이온 외의 다른 화학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형태는 다른 화학적 특성을 가진다.[24] 마찬가지로, 심각한 발전소 사고에서 요오드-131의 방출은 원자력 발전소 내 금속 표면에 흡수되어 지연될 수 있다.[25][26][27][28][29]5. 교육
핵의학과 원자력 발전소의 잠재적 확장, 핵 위협으로부터의 보호, 그리고 지난 수십 년 동안 발생한 핵 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우려에도 불구하고, 핵 및 방사화학을 전공하려는 학생 수는 지난 수십 년 동안 현저하게 감소했다. 현재, 이러한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이 은퇴 연령에 근접함에 따라, 이러한 중요한 분야에서 인력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조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직업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높이고, 대학의 교육 능력을 확장하며, 보다 구체적인 현장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다.[30]
핵 및 방사화학(NRC)은 주로 대학 수준에서, 일반적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 수준에서 교육된다. 유럽에서는 산업 및 사회의 미래 요구에 맞춰 NRC 교육을 조화시키고 준비하기 위한 상당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유럽 원자력 공동체의 제7차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조정된 조치 프로젝트에서 조정되고 있다.[31][32] NucWik은 주로 교사를 대상으로 하지만, 핵 및 방사화학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은 환영하며 NRC와 관련된 주제를 설명하는 많은 정보와 자료를 찾을 수 있다.
6. 응용 분야
원자핵에 중성자를 흡수시키거나 다른 핵종을 핵융합시키면 다른 핵종으로 전환된다. 전자는 전하를 가지고 있지 않아 비교적 쉽게 핵에 흡수되지만, 후자는 전하의 장벽을 넘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며, 잉여 에너지는 핵을 불안정하게 하여 추가적인 핵분열의 요인이 되므로 정밀한 입사 에너지 조절이 필요하다.
전환된 핵종이 양성자 과잉 또는 중성자 과잉 상태가 되면 불안정 핵이 되어 알파 붕괴[41][42], 베타 붕괴[43] 또는 핵분열을 일으킨다.[44][45] 한편, 핵자 수의 마법수가 알려져 있으며,[46] 특정 수의 경우 에너지 준위의 닫힌 껍질 구조를 가지므로 원자핵이 안정화된다고 여겨진다.
핵화학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동역학: 속도론적 동위 원소 효과를 이용하여 화학 반응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 지질학, 생물학, 법의학: 우주 기원 동위 원소를 연대 측정 및 추적자로 활용하고, 안정 동위 원소 비율을 측정하여 물질의 기원, 연대, 생물학적 정보를 알아낸다.[41][42][43][44][45][46]
- 생물학: 동위원소 표지를 이용하여 생체 내 신진대사 과정을 추적한다. 안정 동위원소(듀테륨, 15N)와 방사성 동위원소(트리튬, 11C, 14C, 18F)가 사용된다.
- 핵 분광법: 핵자기 공명(NMR), 뫼스바우어 분광법, 요동 각 상관 관계 등을 이용하여 물질의 국부 구조를 연구한다.
6. 1. 동역학 (메커니즘 화학에서의 이용)
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은 기질의 동위 원소 변형을 통해 반응 속도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여 조사할 수 있는데, 이를 속도론적 동위 원소 효과라고 한다. 이는 현재 유기 화학의 표준 방법이다. 간단히 말해, 분자 내의 일반적인 수소(양성자)를 듀테륨으로 대체하면 X-H (예: C-H, N-H 및 O-H) 결합의 분자 진동 주파수가 감소하여 진동 영점 에너지가 감소한다. 이는 속도 결정 단계가 수소와 다른 원자 사이의 결합 파괴와 관련되어 있는 경우 반응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33] 따라서 양성자가 듀테륨으로 대체될 때 반응 속도가 변하면, 수소에 대한 결합 파괴가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의 일부라고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6. 2. 지질학, 생물학, 법의학 분야에서의 활용
우주 기원 동위 원소는 연대 측정 및 자연 추적자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안정 동위 원소의 비율을 주의 깊게 측정하면 총알의 기원, 얼음 샘플이나 암석의 연대를 알아낼 수 있으며, 머리카락 또는 기타 조직 샘플에서 사람의 식단을 식별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동위 원소 지구화학 및 동위 원소 지문 참조).[41][42][43][44][45][46]6. 2. 1. 생물학
동위원소 표지(방사성 및 비방사성 모두)는 생체 내 신진대사 과정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안정 동위원소 (예: 듀테륨, 15N)는 질량 분석법 또는 NMR로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 (예: 트리튬, 11C, 14C, 18F)는 섬광 계수법 등으로 측정하며, 특정 위치에 방사성 원자를 갖는 화합물을 제조하여 사용한다.예를 들어, 녹색 식물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을 통해 포도당으로 변환한다. 물의 산소에 표지를 붙이면, 생성되는 산소 기체에는 표지가 나타나지만, 식물 세포 내 엽록체에서 생성되는 포도당에는 나타나지 않는다.[34]
- 안정 동위원소
- 장점: 연구 대상 시스템에 방사선량을 전달하지 않는다.
- 단점: 기관이나 유기체에 상당한 초과량이 있으면 기능에 간섭할 수 있으며, 전체 동물 연구에 충분한 양을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측정이 어렵고, 세포 내에서 측정을 국소화할 수 없다.
- 2H (듀테륨): 수소의 안정 동위원소로, 모든 세포 구조에 통합된다. 특정 중수소화 화합물도 생성할 수 있다.
- 15N: 질소의 안정 동위원소로, 주로 단백질에 통합된다.
- 방사성 동위원소
- 장점: 매우 적은 양으로 감지할 수 있고, 섬광 계수법 또는 기타 방사화학적 방법으로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세포의 특정 영역에 국소화할 수 있고, 자동 방사선 촬영법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
- 단점: 많은 양에서는 작업자를 방사선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예방 조치가 필요하며, 실험실 장비를 쉽게 오염시킬 수 있다. 일부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짧아 준비 및 측정이 어렵다.
- 3H (트리튬): 수소의 방사성 동위원소로, 매우 약한 베타 방사선을 방출하며 섬광 계수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 11C: 탄소-11은 일반적으로 14N을 양성자와 충돌시켜 생성된다. [36] 사이클로트론을 사용하여 붕산 형태의 붕소를 양성자와 반응시켜 만들 수도 있다. 빠른 유기 합성을 통해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법(PET)에 사용되는 영상제로 변환된다.
- 14C: 탄소-14는 유기 합성 후반에 방사능을 단일 그룹에 국소화할 수 있도록 분자에 매우 작은 조각 형태로 추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18F: 플루오린-18은 네온과 중수소의 반응으로 만들 수 있다. 안정적인 플루오린(19F2)을 미량 함유한 네온 가스를 사용하여 방사능 수율을 높인다.
6. 3. 핵 분광법
핵 분광법은 원자핵을 이용하여 물질의 국부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핵자기 공명(NMR) 외에도 뫼스바우어 분광법, 요동 각 상관 관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초미세장과 원자핵 스핀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데, 이 상호작용은 자기적이거나 전기적일 수 있으며, 원자와 주변 이웃의 전자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핵 분광법은 주로 응집 물질의 응집 물질 물리학 및 고체 화학에서 국부 구조를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6. 3. 1. 핵자기 공명 (NMR)
핵자기 공명 분광법은 물질 내 핵의 순 스핀이 에너지 흡수 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하여 분자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현재 유기 화학 분야에서 표준 분광학적 도구가 되었다. 핵자기 공명의 주요 용도 중 하나는 유기 분자 내의 화학 결합 연결성을 결정하는 것이다.핵자기 공명 영상은 또한 핵(일반적으로 양성자)의 순 스핀을 영상화에 사용한다. 이는 의학에서 진단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사람에게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고도 신체 내부의 상세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의료 환경에서 핵자기 공명은 종종 단순히 "자기 공명" 영상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핵'이라는 단어가 많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의미를 주기 때문이다.
참조
[1]
간행물
Radiation-Oxidation of Polymers
1989-01-01
[2]
백과사전
http://www.britannic[...]
[3]
웹사이트
Frédéric Joliot - Biographical
http://nobelprize.or[...]
2018-04-01
[4]
서적
Otto Hahn: A Scientific Autobiography
C. Scribner's Sons
1966
[5]
웹사이트
Otto Hahn – the Father of Nuclear Chemistry
http://scihi.org/ott[...]
2018-03-08
[6]
웹사이트
Otto Hahn
https://www.atomiche[...]
[7]
웹사이트
Father of Nuclear Chemistry – Otto Emil Hahn
https://kemicalinfo.[...]
2020-05-20
[8]
웹사이트
A Lifetime of Fission: The Discovery of Nuclear Energy
https://www.lindau-n[...]
2019-02-11
[9]
학술지
A Short History of the Radiation Chemistry of Water
1995-11
[10]
학술지
Hugo Fricke and the Development of Radiation Chemistry: A Perspective View
https://www.osti.gov[...]
1962-09
[11]
학술지
Chemistry for the nuclear energy of the future
2011
[12]
웹사이트
Nuclear Chemistry The Discovery of Fission (1938)
http://chemcases.com[...]
2005
[13]
웹사이트
Discovery of Fission
http://dbhs.wvusd.k1[...]
2008-04-18
[14]
문서
Solvent-extraction complexes of the uranyl ion. 2.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s of catena-bis(.mu.-di-n-butyl phosphato-O,O')dioxouranium(VI) and bis(.mu.-di-n-butyl phosphato-O,O')bis[(nitrato)(tri-n-butylphosphine oxide)dioxouranium(VI)]
1983
[15]
웹사이트
INACTIVE DIAMEX TEST WITH THE OPTIMIZED EXTRACTION AGENT DMDOHEMA
http://www.nea.fr/ht[...]
[16]
웹사이트
SEPARATION OF MINOR ACTINIDES FROM GENUINE HLLW USING THE DIAMEX PROCESS
http://www.nea.fr/ht[...]
[17]
웹사이트
U.S.-Russia Team Makes Treating Nuclear Waste Easier
http://www.usembassy[...]
2007-06-14
[18]
웹사이트
Information Bridge: DOE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 - Document #765723
http://www.osti.gov/[...]
2007-01-24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sti.gov/[...]
2007-01-24
[2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wmsym.org[...]
2006-06-17
[21]
문서
Decontamination of surfaces
[22]
학술지
Recovery of Technetium Adsorbed on Charcoal
2006-05-01
[23]
웹사이트
Appendix C. Key Radionuclides and Generation Processes -- Low-Level Waste Disposal Capacity Report, Revision 1
http://web.em.doe.go[...]
2007-11-13
[2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osti.gov/[...]
2007-01-24
[25]
학술지
Interactions of [[Iodine|I]]2 and [[Methyl iodide|CH]]3I with reactive metals under BWR severe-accident conditions
2004
[26]
학위논문
Iodine chemistry under severe accident conditions in a nuclear power reactor
2005
[27]
웹사이트
Im Brennpunkt
http://www.sbf.admin[...]
2018-04-01
[28]
웹사이트
Workshop on Iodine Aspects of Severe Accident Management - Summary and Conclusions,18-20 May 1999, Vantaa, Finland
http://www.nea.fr/ht[...]
[2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ng.unipi[...]
2007-11-13
[30]
서적
Assuring a Future U.S.-Based Nuclear and Radiochemistry Expertise
Board on Chemical Sciences and Technology
[31]
웹사이트
www.cinch-project.eu
http://cinch-project[...]
2018-04-01
[32]
웹사이트
NucWik - home
http://NucWik.wikisp[...]
2018-04-01
[33]
서적
Atkins' Physical Chemistry
W.H. Freeman
2006
[34]
학술지
2006
[35]
웹사이트
Chemical Communications
http://www.rsc.org/P[...]
2018-04-01
[36]
웹사이트
Production of [11C]-Labeled Radiopharmaceuticals
http://intramural.ni[...]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3-09-26
[37]
서적
岩波理化学辞典
岩波書店
2018
[38]
서적
Radiochemistry and nuclear chemistry
Butterworth-Heinemann
2002
[39]
서적
Nuclear and radiochemistry
John Wiley & Sons
1949
[40]
서적
Nuclear and radiochemistry
John Wiley & Sons
1981
[41]
논문
Alpha decay
1964
[42]
논문
α 崩壊の理論
1966
[43]
논문
ベータ崩壊と核構造
1974
[44]
서적
Nuclear fission
Elsevier
2012
[45]
서적
The nuclear fission process
CRC Press
1991
[46]
논문
On the" magic numbers" in nuclear structure
19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