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루오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루오린은 라틴어 'fluorite'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앙리 무아상이 1886년 최초로 단리에 성공하여 190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플루오린은 상온에서 노란색 기체로 존재하며, 모든 원소 중 가장 높은 전기음성도를 가져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한다. 플루오린은 치약, 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불소 수지는 프라이팬 코팅 등에 사용된다. 또한, 플루오린 화합물은 오존층 파괴 및 온실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원소 상태의 플루오린은 매우 유독하여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루오린 - 플루오린 동위 원소
    플루오린 동위 원소는 중성자 수가 다른 다양한 형태의 플루오린 원자를 지칭하며, 여러 방사성 동위 원소와 유일한 안정 동위 원소인 플루오린-19를 포함하고, 플루오린-18은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에, 플루오린-19는 핵자기 공명 분광법에 활용된다.
  • 할로젠 - 브로민
    브롬은 할로젠 원소의 일종으로 적갈색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사진술, 난연제, 살균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지만, 독성과 환경 문제로 일부 용도는 폐지되고 있다.
  • 할로젠 - 아이오딘
    아이오딘은 보라색 고체로 상온에서 보라색 증기로 승화하며, 갑상선 호르몬 합성에 필수적인 미량 영양소이자 다양한 산업적 용도로 사용되는 할로겐 원소이다.
  • 전형 원소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전형 원소 - 인듐
    인듐은 은백색의 무른 금속 원소로, 낮은 경도와 뛰어난 전연성을 가지며, LCD 투명 전극, 반도체, 태양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아연 광석의 부산물이다.
플루오린
기본 정보
이름플루오린
영어 이름Fluorine
라틴어 이름Fluorum
독일어 이름Fluor
일본어 이름フッ素 (훗소)
원자 번호9
원소 기호F
왼쪽 원소산소
오른쪽 원소네온
위쪽 원소-
아래쪽 원소Cl
원소 계열할로젠
17
주기2
블록p
색상옅은 황록색 기체 (가압하지 않으면 거의 무색)
냉각된 액체 상태의 플루오린
액체 상태의 플루오린
물리적 성질
원자 질량18.998403163
원자 질량 26
전자 배치1s2 2s2 2p5
껍질당 전자 수2, 7
상태기체
표준 온도 압력에서의 밀도1.7
녹는점 (켈빈)53.53
녹는점 (섭씨)-219.62
녹는점 (화씨)-363.32
끓는점 (켈빈)85.03
끓는점 (섭씨)-188.12
끓는점 (화씨)-306.62
삼중점 (켈빈)53.48
삼중점 (킬로파스칼)0.252
임계점 (켈빈)144.13
임계점 (메가파스칼)5.172
융해열(F2) 0.510
기화열(F2) 6.62
열용량(F2) 31.304
증기압 (1파스칼)38
증기압 (10파스칼)44
증기압 (100파스칼)50
증기압 (1킬로파스칼)58
증기압 (10킬로파스칼)69
증기압 (100킬로파스칼)85
결정 구조입방정계
원자 속성
산화 상태-1
산화 상태 설명약한 산성 산화물
전기 음성도3.98
이온화 에너지 개수3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1681.0
두 번째 이온화 에너지3374.2
세 번째 이온화 에너지6050.4
공유 반지름57±3 (1E-11 m)
반데르발스 반지름147 (1E-10 m)
자기 정렬반자성 (-1.2×10−4)
열전도율27.7 m
기타 정보
CAS 등록 번호7782-41-4
명명 유래광물 형석에서 유래, 형석은 라틴어 (흐르다, 제련에서)에서 유래
발견자앙드레마리 앙페르
발견 날짜1810
최초 분리자앙리 무아상
최초 분리 날짜1886년 6월 26일
명명자험프리 데이비
앙드레마리 앙페르
동위 원소
질량수18
원소 기호F
존재비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반감기109.77분
붕괴 방식 1β+ (97%)
붕괴 에너지 10.64
딸 원소 질량수 118
딸 원소 기호 1O
붕괴 방식 2ε (3%)
붕괴 에너지 21.656
딸 원소 질량수 218
딸 원소 기호 2O
질량수19
원소 기호F
존재비100%
중성자 수10

2. 역사

플루오린이라는 명칭은 라틴어형석(fluorite - 흐르다.)에서 유래하였다.[203] 1886년 프랑스 과학자인 앙리 무아상이 맨 처음 해리에 성공하였고, 1906년 이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고대부터 제철 등에서 불화물인 형석(CaF₂ )이 용융제로 사용되었다.[205] 예를 들어, 독일의 광물학자 게오르크 아그리콜라(Georg Agricola)는 1530년 저서 『베르마누스(Bermannus, sive de re metallica dialogus)』에서 형석을 불 속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키면 용융제로 적합하다고 기록하고 있다.[205] 1670년에는 독일의 유리 가공업자 하인리히 슈반하르트(Heinrich Schwanhard)가 형석의 산 용해물에 유리를 에칭하는 작용이 있음을 알아챘다.

형석에 황산을 가하면 발생하는 불화수소는 1771년 칼 셸레(Carl Wilhelm Scheele)가 발견했다.

프랑스의 앙드레-마리 앙페르(André-Marie Ampère)는 미지의 원소가 형석(Fluorite)에 포함될 가능성에서 미발견 신원소에 "fluorin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는 불화수소와 염화수소의 조성이 불소와 염소의 차이만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불화수소의 연구는 진전되지 않았다. 산소를 발견한 앙투안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도 단리에는 이르지 못했다.

1800년,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로 볼타(Alessandro Volta)가 발견한 전지는 전기분해라는 원소 발견에 매우 유용한 도구를 제공했다. 데이비1806년부터 전기화학 연구를 시작하여 칼륨, 나트륨, 칼슘, 스트론튬, 마그네슘, 바륨, 붕소를 차례로 단리했다. 그러나 1813년 실험에서는 전기분해 결과, 새어나온 불소로 인해 단시간 중독에 걸렸다. 데이비의 능력으로도 불소는 단리할 수 없었다. 단체 불소의 산화력이 높았기 때문이다. 실험 기구 자체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불소를 분리·보관할 수도 없었다.

아일랜드의 크녹스(Knox) 형제는 실험 중 중독되어 1명은 3년 동안 침대에 누워 지내게 되었다. 벨기에의 폴랭 루예(Paulin Louyet)와 프랑스의 제롬 니클레(Jérôme Nicklès)도 잇달아 사망했다. 1869년, 조지 고어(George Gore)는 무수 불화수소에 직류 전류를 흘려 수소와 불소를 얻었지만, 즉시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났다. 그러나 우연히도 부상 하나 없었다고 한다.

1886년, 마침내 앙리 무아상(Henri Moissan)이 단리에 성공했다.[203] 백금·이리듐 전극을 사용한 것, 형석을 불소의 포집 용기로 사용한 것, 전기분해를 -50 ℃라는 저온에서 진행한 것이 성공의 열쇠였다. 당시에는 재료에도 연구가 있었고, 불화수소칼륨(KHF₂)의 무수 불화수소(HF) 용액을 사용했다. 또한, 이 분해는 구리 제작 용기에서 수행되었다. 이는 무아상이 불소나 불화물은 불화구리와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며, 발생한 불소의 일부를 구리와 반응시켜 불화구리를 발생시켜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했다.[206] 하지만 무아상도 무사하지는 않았고, 이 실험 과정에서 한쪽 눈의 시력을 잃었다. 불소 단리의 공적으로 1906년 노벨 화학상을 무아상이 수상했다.[205] 이듬해, 무아상은 급사했지만, 불소 단리와 급사의 관계는 불명확하다.

이상과 같은 단리에 대한 도전의 역사와 반응성의 높이로부터 단체 불소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2012년에 광물 안토자나이트(Antozonite)에 불소 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207]

2. 1. 명칭

플루오린이라는 명칭은 라틴어형석(fluorite - 흐르다.)에서 유래하였다.[203] 1886년 프랑스 과학자인 앙리 무아상이 맨 처음 해리에 성공하였고, 1906년 이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프랑스의 앙드레-마리 앙페르(André-Marie Ampère)가 "fluorine"이라고 명명했다. 앙페르는 이후 그리스어의 "파괴적인"이라는 뜻의 단어에서 유래한 "phthorine"으로 이름을 바꿨으나, 영국험프리 데이비(Humphry Davy)가 "fluorine"을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많은 언어에서 "fluorine"에서 유래한 명칭이 정착되었다.[204] 일본어의 "弗素"도 우다가와 료안(宇田川榕菴)이 음역한 弗律阿里涅(후류오리네)가 유래이다.[204]

2. 2. 발견과 분리

1529년,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Georgius Agricola)는 플루오라이트(형석)가 제련 과정에서 금속의 녹는점을 낮추는 첨가제로 사용된다고 기술했다.[36][37][38] 그는 플루오라이트 광석을 가리켜 라틴어 ''fluorēs''(''fluor'', 흐름)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 이름은 나중에 ''fluorspar''(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됨)으로, 그리고 ''fluorite''로 진화했다.[39][40] 플루오라이트의 구성 성분은 나중에 플루오르화칼슘으로 밝혀졌다.[41] 고대부터 제철 등에서 불화물인 형석(CaF₂ )이 용융제로 사용되었다.[205] 예를 들어, 독일의 광물학자 게오르크 아그리콜라는 1530년 저서 『베르마누스(Bermannus, sive de re metallica dialogus)』에서 형석을 불 속에서 가열하여 용융시키면 용융제로 적합하다고 기록하고 있다.[205]

화로 앞에서 집게와 옆의 기계식 풀무를 사용하는 사람을 보여주는 목판화 그림, 전경에는 물레방아로 작동하는 망치와 근처의 담금질 수로가 있는 사람
데 레 메탈리카(De re metallica)에서 가져온 제철 그림


1771년 칼 빌헬름 셸레(Carl Wilhelm Scheele)는 형석에 황산을 가하면 발생하는 불화수소를 발견했다.[98][44] 1670년에는 독일의 유리 가공업자 하인리히 슈반하르트(Heinrich Schwanhard)가 형석의 산 용해물에 유리를 에칭하는 작용이 있음을 알아챘다. 1720년부터 유리 부식에 불화수소산이 사용되었다. 안드레아스 지기스문트 마르크그라프(Andreas Sigismund Marggraf)는 1764년에 플루오라이트를 황산으로 가열했을 때 생성된 용액이 유리 용기를 부식시키는 것을 관찰하여 처음으로 불화수소산을 특징지었다.[43][98]

1810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앙드레-마리 앙페르(André-Marie Ampère)는 수소와 염소와 유사한 원소가 불화수소산을 구성한다고 제안했다.[45] 그는 또한 험프리 데이비 경(Sir Humphry Davy)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당시 알려지지 않은 물질을 불화수소산과 다른 할로겐의 접미사 ''-ine''에서 유래한 ''fluorine''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46] 이 단어는 변형을 거쳐 대부분의 유럽 언어에서 사용되지만, 그리스어, 러시아어 및 일부 다른 언어는 앙페르의 후기 제안에 따라 그리스어 φθόριος(''phthorios'', 파괴적인)에서 유래한 ''ftor'' 또는 파생어를 사용한다.[61] 프랑스의 앙드레-마리 앙페르(André-Marie Ampère)는 미지의 원소가 형석(Fluorite)에 포함될 가능성에서 미발견 신원소에 "fluorin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는 불화수소와 염화수소의 조성이 불소와 염소의 차이만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불화수소의 연구는 진전되지 않았다. 산소를 발견한 앙투안 라부아지에(Antoine Lavoisier)도 단리에는 이르지 못했다.

1800년,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로 볼타(Alessandro Volta)가 발견한 전지는 전기분해라는 원소 발견에 매우 유용한 도구를 제공했다. 데이비1806년부터 전기화학 연구를 시작하여 칼륨, 나트륨, 칼슘, 스트론튬, 마그네슘, 바륨, 붕소를 차례로 단리했다. 그러나 1813년 실험에서는 전기분해 결과, 새어나온 불소로 인해 단시간 중독에 걸렸다. 데이비의 능력으로도 불소는 단리할 수 없었다. 단체 불소의 산화력이 높았기 때문이다. 실험 기구 자체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불소를 분리·보관할 수도 없었다. 초기 불소 연구는 매우 위험하여 19세기 여러 실험가들이 불화수소산으로 인한 불행으로 "불소 순교자"로 여겨졌다.[50] 데이비, 게이뤼삭, 테나르 그리고 아일랜드의 화학자 토마스와 조지 녹스가 부상을 입었다. 벨기에 화학자 폴랭 루예와 프랑스 화학자 드/제롬 닉클레스프랑스어가 사망했다. 앙리 무아상 또한 심각한 불화수소 중독을 경험했다.[41][50] 아일랜드의 크녹스(Knox) 형제는 실험 중 중독되어 1명은 3년 동안 침대에 누워 지내게 되었다. 벨기에의 폴랭 루예(Paulin Louyet)와 프랑스의 제롬 니클레(Jérôme Nicklès)도 잇달아 사망했다.

원소 상태 불소의 분리는 원소 불소 자체와 불화수소의 극심한 부식성, 그리고 간단하고 적합한 전해질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41][1] 1869년, 조지 고어(George Gore)는 무수 불화수소에 직류 전류를 흘려 수소와 불소를 얻었지만, 즉시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났다. 그러나 우연히도 부상 하나 없었다고 한다. 에드몽 프레미는 불소를 생성하기 위한 순수 불화수소의 전기 분해가 가능하다고 가정하고 산성화된 중수소화 플루오르화칼륨으로부터 무수 샘플을 생산하는 방법을 고안했지만, 그 결과 (건조한) 불화수소는 전기를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41][50][47]

프레미의 제자였던 앙리 무아상은 끈기 있게 연구하여 많은 시행착오 끝에 중수소화 플루오르화칼륨과 건조한 불화수소의 혼합물이 전기를 통하게 하는 전도체임을 발견하여 전기 분해를 가능하게 했다. 그는 전기 화학 전지의 백금이 빠르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수한 욕조에서 반응을 극저온으로 냉각하고, 더욱 내성이 강한 백금과 이리듐 혼합물로 전지를 제작하고, 형석 마개를 사용했다.[50] 1886년, 마침내 앙리 무아상(Henri Moissan)이 단리에 성공했다.[203] 백금·이리듐 전극을 사용한 것, 형석을 불소의 포집 용기로 사용한 것, 전기분해를 -50 ℃라는 저온에서 진행한 것이 성공의 열쇠였다. 당시에는 재료에도 연구가 있었고, 불화수소칼륨(KHF₂)의 무수 불화수소(HF) 용액을 사용했다. 또한, 이 분해는 구리 제작 용기에서 수행되었다. 이는 무아상이 불소나 불화물은 불화구리와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며, 발생한 불소의 일부를 구리와 반응시켜 불화구리를 발생시켜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했다.[206] 하지만 무아상도 무사하지는 않았고, 이 실험 과정에서 한쪽 눈의 시력을 잃었다. 불소 단리의 공적으로 1906년 노벨 화학상을 무아상이 수상했다.[205] 이듬해, 무아상은 급사했지만, 불소 단리와 급사의 관계는 불명확하다.

1906년, 사망 두 달 전 무아상은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49] 시상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50]

이상과 같은 단리에 대한 도전의 역사와 반응성의 높이로부터 단체 불소는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되어 왔지만, 2012년에 광물 안토자나이트(Antozonite)에 불소 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207]

3. 성질

플루오린은 상온에서 이원자 분자의 기체(F2)로 존재하며, 순수할 때는 옅은 노란색(때로는 황록색으로 묘사됨)을 띤다. 특징적인 할로겐과 같은 매캐하고 톡 쏘는 냄새가 나며, 20ppb에서 감지할 수 있다. 끓는점은 -188℃이며, 이 온도에서 밝은 노란색 액체로 응축되는데, 이는 산소질소의 전이 온도와 유사하다. 비중은 1.11(끓는점에서, 공기를 1로 함)이다.

플루오린은 고체 상태에서 두 가지 결정 구조를 갖는다. -227.55℃ 이하에서는 단사정계 구조의 α-플루오린이, -227.55℃ ~ -219.62℃ 사이에서는 입방정계 구조의 β-플루오린이 안정하다. β-플루오린은 투명하고 부드러우며, 새로 결정화된 고체 산소와 같은 무질서한 구조를 갖는다.[18]

모서리와 중심에 구형 모양이 있고 면에 회전하는 분자가 있는 정육면체
β-플루오린의 결정 구조. 구는 어떤 각도도 가질 수 있는 F2 분자를 나타냅니다. 다른 분자들은 평면에 제한됩니다.
β-플루오린의 결정 구조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단위 세포의 면에 있는 분자는 평면으로 회전이 제한됩니다.
추가로 냉각하면 불투명하고 단단한 α-플루오린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는데, 이것은 분자의 조밀하고 각진 층을 가진 단사정계 구조를 갖는다. β-플루오린에서 α-플루오린으로의 전이는 플루오린의 응축보다 더 발열성이며 격렬할 수 있다.[19]

3. 1. 물리적 성질

플루오린은 상온에서 이원자 분자의 기체(F2)로 존재하며, 순수할 때는 옅은 노란색(때로는 황록색으로 묘사됨)을 띤다. 특징적인 할로겐과 같은 매캐하고 톡 쏘는 냄새가 나며, 20ppb에서 감지할 수 있다. 끓는점은 -188℃이며, 이 온도에서 밝은 노란색 액체로 응축되는데, 이는 산소질소의 전이 온도와 유사하다. 비중은 1.11(끓는점에서, 공기를 1로 함)이다.

플루오린은 고체 상태에서 두 가지 결정 구조를 갖는다. -227.55℃ 이하에서는 단사정계 구조의 α-플루오린이, -227.55℃ ~ -219.62℃ 사이에서는 입방정계 구조의 β-플루오린이 안정하다. β-플루오린은 투명하고 부드러우며, 새로 결정화된 고체 산소와 같은 무질서한 구조를 갖는다.[18] 추가로 냉각하면 불투명하고 단단한 α-플루오린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는데, 이것은 분자의 조밀하고 각진 층을 가진 단사정계 구조를 갖는다. β-플루오린에서 α-플루오린으로의 전이는 플루오린의 응축보다 더 발열성이며 격렬할 수 있다.[19]

3. 2. 화학적 성질

플루오린은 전기음성도가 4.0으로 모든 원소 중 가장 크며,[206] 화합물에서 항상 -1의 산화수를 갖는다.[206] 헬륨네온을 제외한 거의 모든 원소와 반응하여 플루오르화물을 생성하며,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한다.[206] 물과 반응하여 플루오르화 수소, 산소, 오존을 생성한다.[206]

플루오린 3D 분자


플루오린 원자는 9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 배치는 1s22s22p5이다. 첫 번째 이온화 에너지는 헬륨과 네온 다음으로 높고, 염소 다음으로 높은 전자 친화도를 가진다. 반응성이 매우 커서 분체강, 유리 파편, 석면 섬유와 빠르게 반응하며, 목재와 물은 플루오린 제트기 아래에서 자연 발화한다.[6]

알칼리 금속과는 폭발적으로 반응하고, 알칼리 토류 금속과도 활발하게 반응한다. 부동태화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금속은 분말화되어야 하며, 귀금속은 300–450 °C의 순수한 플루오린 가스를 필요로 한다.[5] 황, 인과 같은 고체 비금속은 액체 플루오린에서 활발하게 반응하며, 황화수소와 이산화황은 쉽게 결합하고, 황산은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5]

수소, 탄소, 산소 등과 반응하여 다양한 플루오린 화합물을 생성한다. 질소와는 반응하려면 높은 온도에서 전기 방전이 필요하며, 암모니아와는 폭발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11][12] 무거운 할로겐 및 귀가스인 라돈, 크세논, 크립톤과도 반응한다.[15][16] 아르곤은 플루오린 가스와 반응하지 않지만 플루오린과 플루오르화수소아르곤이라는 화합물을 형성한다.

플루오린(F) 단체는 산화력이 강하여 거의 모든 원소와 반응한다.

  • 수소와는 플루오르화 수소(HF)를 생성한다.
  • 산소(O2)와는 플루오르화 산소(O2F2)를 생성한다.
  • 칼코겐 원소(황(S), 셀레늄(Se), 텔루르(Te))와는 육플루오르화물(육플루오르화 황(SF6), 육플루오르화 셀레늄(SeF6), 육플루오르화 텔루르(TeF6))을 생성한다.
  • 물과 반응하면 플루오르화 수소(HF), 산소(O2)와 일부 오존(O3)을 생성한다.[206]
  •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과 반응하여 OF2를 생성한다.
  • 질소(N2)와는 반응하지 않지만, 암모니아와 직접 반응시키면 삼플루오르화 질소(NF3)를 생성한다.
  • 탄소(C)는 사플루오르화 탄소(CF4)를 생성한다.[208]
  • 비정질 이산화 규소(SiO2)는 사플루오르화 규소(SiF4)와 산소(O2)가 된다. 규소 단체와는 폭발적으로 반응한다.
  • 철(Fe) 등과는 즉시 반응한다. 다른 금속도 상온에서 비교적 저온에서 반응한다.
  • 니켈(Ni), 구리(Cu), 납(Pb)은 표면에 플루오르화 구리(CuF2) 등의 불활성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비교적 부식되기 어렵다.
  • 금(Au), 백금(Pt)과는 주로 500 ℃ 이상에서 반응한다.
  • 크세논(Xe)과는 이플루오르화 크세논(XeF2)을 생성한다. 과량의 플루오린 존재하에 400 ℃에서 가열하면 이, 사, 육플루오르화물(XeF2, XeF4, XeF6)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크립톤(Kr)과는 이플루오르화 크립톤(KrF2)을 생성한다.
  • 할로겐 원소와는 할로겐 간 화합물을 생성하며, 플루오르화 염소(ClF, ClF3), 플루오르화 브롬(BrF, 삼플루오르화 브롬(BrF3), BrF5), 플루오르화 요오드(IF5, IF7) 등이 알려져 있다.
  • 플루오린의 산화환원전위는 +2.89 V로 다른 할로겐 원소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이다.

3. 3. 인체에 대한 영향

플루오린은 필수 미량 원소 중 하나라고 주장하는 학술 단체가 있으나, 결핍과 과잉이 되는 양의 범위가 좁다. 주요 섭취원은 음료수와 동물의 뼈 등이다. 불소의 영양 보충제는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제품화되어 있지만, 일본 국내에서는 제품화가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불소는 인간과 다른 포유류에게 필수적인 영양소는 아니지만, 소량의 불소는 치아 법랑질 강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량의 불소는 뼈의 강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국립과학원 의학연구소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른 불소의 권장 섭취량(RDA)과 상한 섭취량을 발표하고 있다.

원소 상태의 플루오린은 생물체에 매우 독성이 강하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시안화수소의 50ppm보다 낮은 농도에서 시작되며, 염소와 유사하다.[164] 25ppm 이상에서는 눈과 호흡기의 심각한 자극과 간 및 신장 손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플루오린의 즉시 생명 및 건강에 위험한 값이다.[166] 100ppm에서는 눈과 코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며,[166] 1,000ppm의 플루오린을 흡입하면 수 분 내에 사망에 이른다.[167] 이는 시안화수소의 270ppm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168]

수용성 불소화물은 중등도의 독성을 지닌다. 5~10g의 불화나트륨 또는 체중 킬로그램당 32~64mg의 불화 이온은 성인에게 치사량에 해당한다.[181] 치사량의 1/5만으로도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183] 만성적인 과다 섭취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골격 불소증을 유발하고, 어린이의 경우 지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183][182]

불소의 과잉 섭취는 골경화증, 지질 대사 장애, 당질 대사 장애와 관련이 있다(불소증 참조).

4. 동위 원소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플루오린의 동위 원소는 안정 동위원소인 플루오린-19/19F영어 하나뿐이다.[20] 이 동위원소는 높은 자기회전비를 가지며 자기장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유일한 안정 동위원소이기 때문에 자기 공명 영상에 사용된다.[22] 질량수가 13~31인 18가지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합성되었는데, 그중 플루오린-18/18F영어이 반감기가 109.734분으로 가장 안정적이다.[23] 플루오린-18/18F영어는 대기 중 아르곤우주선 파쇄와 천연 산소의 양성자 반응(18O + p → 18F + n)을 통해 생성되는 자연적인 미량 방사성 동위원소이다.[24] 다른 방사성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70초 미만이며, 대부분은 0.5초 미만에 붕괴된다.[25] 플루오린-17/17F영어와 플루오린-18/18F영어 동위원소는 β+ 붕괴전자 포획을 거치며, 더 가벼운 동위원소는 양성자 방출에 의해 붕괴되고, 플루오린-19/19F영어보다 무거운 동위원소는 β 붕괴를 거친다(가장 무거운 동위원소는 지연 중성자 방출을 동반).[25][26] 플루오린의 준안정 이성체 두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반감기가 162(7)나노초인 플루오린-18m/18mF영어와 반감기가 2.2(1)밀리초인 플루오린-26m/26mF영어이다.[27]

5. 분포

플루오린은 가벼운 원소 중에서는 그 존재량이 400ppb(10억분의 400)로 우주 원소 중 24번째로 매우 적다.[30] 이는 항성 핵합성 과정에서 플루오린이 생성되지 않고, 생성된 플루오린 원자는 핵 단면적이 높아 수소 또는 헬륨과의 충돌을 통해 각각 산소 또는 네온으로 변하기 때문이다.[30][29]

플루오린의 존재에 대해 세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다.[30][31]


  • II형 초신성에서 네온 원자가 중성미자에 의해 플루오린으로 변환될 수 있다.
  • 울프-라이에 별의 항성풍이 플루오린을 수소나 헬륨 원자로부터 멀리 날려 보낼 수 있다.
  • 점근거성 가지 별의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대류에 의해 플루오린이 생성될 수 있다.


플루오린은 지각에서 질량 비율로 600~700ppm(백만분율)을 차지하는 13번째로 풍부한 원소이다. 반응성이 매우 커 자연 상태에서는 주로 형석(CaF₂), 빙정석(Na₃AlF₆) 등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한다. 대부분의 플루오린은 불화물을 포함하는 광물로 존재하며, 형석, 플루오르아파타이트 및 빙정석이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풍부한 형석은 불화물, 따라서 플루오린의 주요 공급원이며, 중국과 멕시코가 주요 공급국이다.[39][32][33][34] 플루오르아파타이트는 비료 생산의 부산물로 불화물의 우발적인 공급원이며, 알루미늄 생산에 사용되는 빙정석은 가장 플루오린이 풍부한 광물이다. 경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빙정석의 천연 자원은 고갈되었고, 현재는 대부분 상업적으로 합성된다.

토파즈와 같은 다른 광물에도 플루오린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할로겐화물과 달리 불화물은 불용성이며, 염수에서 상업적으로 유리한 농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기원이 불확실한 미량의 유기플루오린이 화산 폭발과 지열 온천에서 검출되었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 형석의 변종인 안토조나이트에 무게비 0.04%의 F₂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포유물은 미량의 우라늄으로 인한 방사선 때문이라고 보고되었다.

6. 화합물

플루오린의 화합물은 '''플루오르화물'''이라고 불린다.[55] 플루오린은 유기 및 무기 영역을 포함하는 풍부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금속, 비금속, 준금속 및 대부분의 비활성 기체와 결합한다. 플루오린의 높은 전자 친화도는 이온 결합을 선호하며, 공유 결합을 형성할 때는 극성이며 거의 항상 단일 결합이다.[56][57][58]

6. 1. 주요 무기 화합물

플루오린은 유기 및 무기 영역을 포함하는 풍부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며, 금속, 비금속, 준금속 및 대부분의 비활성 기체와 결합한다.[55] 플루오린의 높은 전자 친화도는 이온 결합을 선호하며, 공유 결합을 형성할 때는 극성이며 거의 항상 단일 결합이다.[56][57][58]

알칼리 금속은 이온성이고 수용성이 높은 일플루오르화물을 형성하며, 염화나트륨의 입방 배열과 유사한 염화물을 갖는다.[60] 알칼리 토류 이플루오르화물은 강한 이온 결합을 가지지만 물에 불용성이다.[61] 베릴륨 이플루오르화물은 일부 공유 결합 특성을 나타내고 석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예외가 있다.[62] 희토류 원소 및 기타 많은 금속들은 주로 이온성 삼플루오르화물을 형성한다.[63][64]

사플루오르화물에서 공유 결합은 처음으로 두드러지는데, 지르코늄, 하프늄[65][66] 및 여러 악티늄족 원소[67]의 사플루오르화물은 고융점의 이온성 화합물이다. 반면 티타늄, 바나듐,[68] 니오븀의 사플루오르화물은 중합체이며, 350°C 이하에서 녹거나 분해된다.[91][72][93] 오플루오르화물은 선형 중합체와 올리고머 복합체를 가지는 경향을 보인다. 13가지 금속 육플루오르화물이 알려져 있는데, 모두 팔면체 구조이며, 액체 육플루오르화몰리브덴(MoF6)과 육플루오르화레늄(ReF6), 그리고 기체 육플루오르화텅스텐(WF6)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휘발성 고체이다.[69] 유일하게 특징이 밝혀진 금속 칠플루오르화물인 레늄 칠플루오르화물은 오각 이뿔형 분자 기하를 가진 저융점 분자성 고체이다. 플루오린 원자가 더 많은 금속 플루오르화물은 특히 반응성이 높다.[70]

금속 플루오르화물의 구조적 진행
3차원으로 이어진 작은 파란색과 큰 노란색 공의 체커보드 모양 격자로, 각 공은 반대 유형의 6개의 가장 가까운 이웃을 가짐
플루오르화나트륨: 구별되는 분자가 없는, 나트륨과 플루오린 원자가 번갈아 가며 배열된 입방 격자
|500px|alt=보라색과 노란색 공이 번갈아 가며 직선으로 이어진 사슬로, 보라색 공은 사슬과 직각으로 서로 연결된 4개의 노란색 공에도 연결됨|오플루오르화비스무트: 임의의 길이를 가진 원자의 직선 사슬]]
|121px|alt=중앙의 보라색 공과 바로 위아래의 노란색 공, 그리고 5개의 노란색 공이 적도를 따라 둘러싼 막대기 모델 그림|칠플루오르화레늄: 별개의 작은 분자]]
플루오르화나트륨, 이온성오플루오르화비스무트, 중합체칠플루오르화레늄, 분자성



플루오린화 수소(HF)는 수소 결합에 의해 개별 분자가 클러스터를 형성하며, 염화수소보다 물과 더 유사하다.[71][72][73] 더 무거운 할로젠화수소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끓으며, 다른 할로젠화수소와 달리 물과 섞임성이다. 플루오린화 수소는 물과 접촉하면 쉽게 수화되어 플루오르화수소산으로도 알려진 수용액을 형성한다. 다른 수소할로겐산이 강산인 것과 달리, 플루오르화수소산은 저농도에서는 약산이지만,[74] 유리를 부식시킬 수 있다.[75]

물과 불화수소가 더 가벼운 분자의 낮은 끓는점 경향을 벗어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할로젠화수소 및 칼코겐화물의 끓는점(불화수소와 물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줌)


준금속과 p-구역 비금속의 이원화 불화물은 일반적으로 공유 결합성이고 휘발성이며 반응성이 다양하다. 3주기와 그보다 무거운 비금속은 초원자가 불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76]

삼불화붕소는 평면형이며 불완전한 옥텟을 가지고 있다.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며 암모니아와 같은 루이스 염기와 결합하여 첨가물을 형성한다.[77] 사불화탄소는 사면체형이고 불활성이다. 그룹의 유사체인 사플루오린화 규소와 사플루오린화 저마늄도 사면체형이지만[78] 루이스 산으로 작용한다. 질소족 원소는 삼불화물을 형성하는데,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성과 염기성이 증가하지만, 삼불화질소는 가수분해에 저항하며 염기성이 아니다.[79] 인, 비소, 안티몬의 오불화물은 각각의 삼불화물보다 더 반응성이 크며, 오불화안티몬은 오불화금 다음으로 알려진 가장 강력한 중성 루이스 산이다.

칼코겐은 다양한 불화물을 가지고 있다. 산소(산화수 +2를 갖는 유일하게 알려진 화합물), 황, 셀레늄에 대해 불안정한 이불화물이 보고되었으며, 황, 셀레늄, 텔루르에 대해서는 사불화물과 육불화물이 존재한다. 후자는 더 많은 불소 원자와 가벼운 중심 원자에 의해 안정화되므로 육플루오르화 황(SF6)은 특히 불활성이다.[81] 염소, 브롬, 요오드는 각각 일불화물, 삼불화물, 오불화물을 형성할 수 있지만, 가능한 할로젠 간 화합물 칠불화물 중에서는 칠불화요오드만이 특징이 밝혀졌다. 이들 중 많은 것은 강력한 불소 원자 공급원이며, 삼플루오린화 염소(ClF3)를 사용하는 산업용 응용 프로그램은 불소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삼불화염소(Chlorine trifluoride)는 석면, 콘크리트, 모래 및 기타 난연제를 발화시키는 부식성을 가진다.


|thumb|left|upright|alt=접시에 담긴 투명한 결정체를 보여주는 흑백 사진|이러한 사플루오르화크세논 결정은 1962년에 촬영되었습니다. 사플루오르화크세논의 합성은 육플루오르화플라티늄산크세논과 마찬가지로 많은 화학자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완전한 전자껍질을 가지고 있는 비활성 기체는 1962년 닐 바틀릿이 육플루오르화플라티늄산크세논의 합성을 보고하기 전까지 다른 원소와의 반응을 거부했다. 그 이후로 이플루오르화크세논, 사플루오르화크세논, 육플루오르화크세논 및 여러 가지 산화플루오르화물이 분리되었다. 다른 비활성 기체 중 크립톤은 이플루오르화크립톤을 형성하고, 라돈과 플루오린은 이플루오르화라돈으로 의심되는 고체를 생성한다.[83] 가벼운 비활성 기체의 이원 플루오르화물은 매우 불안정하다. 아르곤과 플루오르화수소는 극한 조건에서 결합하여 플루오르화수소화아르곤을 생성한다.[16] 헬륨은 장수명 플루오르화물이 없으며, 네온 플루오르화물은 관찰된 적이 없다. 플루오르화수소화헬륨은 고압 및 저온에서 밀리초 동안 검출되었다.[84]

알루미늄 추출은 빙정석에 크게 의존한다


다른 철 합금과 마찬가지로, 강철 1톤당 약 3 kg의 형석(CaF2)이 첨가된다. 불화물 이온은 강철의 녹는점과 점도를 낮춘다.[32][106] 에나멜과 용접봉 코팅과 같은 재료의 첨가제 역할과 함께, 대부분의 형석은 플루오르화수소산을 형성하기 위해 황산과 반응하는데, 이는 강철 산세척, 유리 부식 및 알칸 열분해에 사용된다.[32] 플루오르화수소산의 3분의 1은 알루미늄 추출을 위한 할-에루(Hall–Héroult) 공정에서 용융제인 빙정석(Na3AlF6)과 플루오르화알루미늄(AlF3)의 합성에 사용된다. 알루미늄 1톤당 약 23 kg의 용융제가 필요하다.[32][107] 플루오르화규산염은 두 번째로 큰 부분을 차지하며, 플루오르화규산나트륨은 수돗물 불소화 및 세탁 폐수 처리에 사용되며, 빙정석 및 사플루오르화 규소(SiF4)로 가는 중간체 역할을 한다. 기타 중요한 무기 불화물에는 코발트, 니켈, 및 암모늄의 불화물이 포함된다.[32][108]

6. 2. 주요 유기 화합물

탄소-불소 결합은 유기화학에서 가장 강력하며,[85] 유기불소 화합물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자연계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인공 화합물에 사용된다. 이 분야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상업적 응용에 의해 추진되며;[86] 관련 화합물은 다양하며 유기화학에 내재된 복잡성을 반영한다.[51]

액체 두 층이 담긴 비커, 위에는 금붕어와 게, 아래에는 동전이 가라앉아 있음
섞이지 않는 색깔 있는 물(위쪽)과 훨씬 더 밀도가 높은 퍼플루오로헵탄(아래쪽)이 담긴 비커; 금붕어와 게는 경계를 통과할 수 없음; 25센트 동전이 바닥에 놓여 있음.


알칸의 수소 원자를 점진적으로 더 많은 플루오린 원자로 치환하면 여러 가지 특성이 점차 변하는데, 녹는점과 끓는점이 낮아지고, 밀도는 증가하며, 탄화수소에 대한 용해도는 감소하고, 전반적인 안정성은 증가한다. 모든 수소 원자가 치환된 퍼플루오로카본은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불용성이며, 액체 암모니아 중의 나트륨과만 상온에서 반응한다.[51][111]

골격 화학식
연료 전지 및 기타 여러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불소 고분자인 나피온의 화학 구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플론): 내열성,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비점착 조리기구(프라이팬 코팅 등)에 사용된다.[116]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s) (프레온 가스): R-11, R-12, R-114와 같이 한때 유기플루오린 화합물을 지배했으며, 냉매, 세정제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오존층 파괴 문제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32]
수소 플루오린화 탄소(HFCs): 프레온 가스 대체 물질로 사용되지만, 지구 온난화 지수가 높아 온실가스 효과가 있다. 주요 HFC는 R-134a[32]이며, 새로운 유형의 분자인 HFO-1234yf (수소불화올레핀(HFO))이 주목받고 있다.[113]

파란색 천 위의 반짝이는 구형 물방울
불소계 표면활성제 처리된 직물은 종종 소수성을 띤다.


그 외에, 폴리머는 불소가 수소를 치환함으로써 얻어지는 안정성 증가를 이산 분자에서와 마찬가지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녹는점도 증가한다. 다른 불소계 폴리머는 일부 수소 원자를 유지한다.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는 PTFE의 불소 원자의 절반을 가지고 있으며,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는 4분의 1을 가지고 있지만, 둘 다 과불소화 폴리머와 매우 유사하게 작용한다.

유기불소화합물은 채굴된 형석의 20% 이상과 불화수소산의 40% 이상을 소비하며, 냉매 가스가 주류를 이루고 불소 고분자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32][109]

7. 용도

플루오린 수지를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에 코팅하면 열을 잘 견디고 물이나 기름을 튕겨내는 특징이 있어 많이 사용된다.[216] 그리고 몇몇 국가에서는 염소보다 강력한 소독제로 상수도에 첨가하고 있으나, 염소에 비해 수중 잔류시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 적정량의 불소가 함유된 수돗물은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다.[216] 살균소독 뿐만 아니라 바퀴벌레 등 곤충의 퇴치에도 효과가 있다.

육불화우라늄(uranium hexafluoride) 앰풀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의 프리지데어(Frigidaire) 부문은 1920년대 후반에 염화불화탄소 냉매를 실험했고, GM과 듀폰(DuPont)은 1930년 합작회사인 키네틱 케미컬스(Kinetic Chemicals)를 설립하여 프레온-12 (다이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테인/dichlorodifluoromethane영어)를 그러한 냉매로 시장에 내놓으려 했다. 이는 이전의 더욱 유독한 화합물을 대체했고, 주방 냉장고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으며 수익성이 높았다. 1949년까지 듀폰은 키네틱을 인수하고 다른 여러 프레온(Freon) 화합물을 시장에 내놓았다.[98][51][52]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플론, Teflon)은 1938년 로이 J. 플런켓(Roy J. Plunkett)이 키네틱에서 냉매를 연구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고, 그 뛰어난 화학적 및 열적 저항성으로 인해 1941년까지 빠른 상용화와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다.[98][51]

원소 플루오린의 대규모 생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시작되었다. 독일은 고온 전기 분해를 사용하여 계획된 소이탄인 삼플루오르화염소(chlorine trifluoride)[53]를 수 톤 생산했고, 맨해튼 계획(Manhattan Project)은 우라늄 농축을 위해 엄청난 양의 플루오린을 사용하여 육불화우라늄(uranium hexafluoride)을 생산했다. 육불화우라늄은 플루오린만큼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기체 확산(gaseous diffusion) 공장에는 특수한 재료가 필요했다. 즉, 막에는 니켈, 밀봉에는 불소 고분자, 냉각제 및 윤활제에는 액체 불화탄소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급증하는 핵산업은 이후 전후 불소화학 발전을 주도했다.[54]

전 세계 불소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형석 채굴은 1989년 560만 톤의 광석이 채굴되었을 때 정점에 달했습니다. 클로로플루오로카본 규제로 인해 1994년에는 360만 톤으로 감소했지만, 그 이후로 생산량은 증가해 왔습니다. 2003년에는 약 450만 톤의 광석이 생산되어 미화 5억 5천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후속 보고서에서는 2011년 전 세계 플루오로화학 매출액을 150억 달러로 추산하고, 2016년~18년 생산량을 350만~590만 톤, 매출액을 최소 200억 달러로 예측했습니다.[98][99][100][101][102] 거품 부상법을 통해 채굴된 형석은 두 가지 주요 야금 등급으로 거의 동일한 비율로 분리됩니다. 순도 60~85%의 메츠파는 거의 전부 철 제련에 사용되는 반면, 순도 97% 이상의 산성 스파는 주로 주요 산업용 중간체인 불화수소산으로 전환됩니다.[32][98][103]

주변에 전선이 감겨 있고 아래쪽이 더 두꺼운 첨탑 모양의 전기 장치
러시아 철도의 육불화황 전류 변압기


매년 최소 17,000톤의 불소가 생산됩니다. 우라늄이나 육불화황의 경우 킬로그램당 5~8달러에 불과하지만, 취급의 어려움으로 인해 원소로서의 가격은 훨씬 더 비쌉니다. 대량의 자유 불소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공정은 수직 통합 하에서 ''현장'' 발생을 이용합니다.

연간 최대 7,000톤을 소비하는 불소 가스의 가장 큰 용도는 핵연료 사이클을 위한 육불화우라늄의 제조입니다. 불소는 사불화우라늄을 불소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불소는 단일 동위원소이므로 육불화우라늄 분자 간의 질량 차이는 우라늄-235 또는 우라늄-238의 존재 때문이며, 기체 확산 또는 기체 원심 분리를 통해 우라늄 농축이 가능합니다. 연간 약 6,000톤이 고전압 변압기와 차단기에 사용되는 비활성 유전체 육불화황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며, 오일 충전식 장치와 관련된 위험한 폴리염화비페닐의 필요성을 없애줍니다. 여러 불소 화합물이 전자 제품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에서 레늄과 육불화텅스텐, 플라즈마 식각에서 테트라플루오르메탄, 그리고 청소 장비에서 삼불화질소가 사용됩니다.[32] 불소는 유기 불소화합물의 합성에도 사용되지만,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종종 더 온화한 삼불화염소, 삼불화브로민, 또는 오불화아이오딘으로 먼저 전환해야 하며, 이들은 함께 보정된 불소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불소화된 의약품에는 사불화황을 사용합니다.[32]

그 성질상, 불소를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는 적고, 플루오르화칼슘(CaF2)과 황산(H2SO4)에서 생성하는 불화수소(HF)를 매개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우라늄-235 농축을 위해 휘발성이 높은 육불화우라늄을 제조하는 목적으로 단체 불소가 이용되는 것은 특필할 만한 사항이다.

불소를 첨가한 합성수지나 고무는 산·알칼리성 약품이나 마모 등에 대해 내구성이 높아지므로, 반도체 제조 장치나 자동차 등의 부품·부재에 사용된다.[209][210]

불소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장기간 변질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 성질은 환경에서 분해되기 어렵고, 영원히 남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사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7. 1. 의학

플루오린은 치아에 얇은 막을 입혀 충치를 예방하고 재석회화를 촉진하여 충치 예방 효과가 있어 치약에 널리 사용된다.[216] 20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인구 연구는 국소 불소가 충치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128] 상수도 불소화[129]는 194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 인구의 6%, 미국 인구의 3분의 2를 포함한 지역에 공급되는 물에 적용되고 있다.[130][131] 2000년과 2007년 학술 문헌 검토는 상수 불소화가 어린이의 충치 감소와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132] 모노플루오르인산나트륨과 때때로 나트륨 또는 플루오르화주석(II)은 불소 치약에서 흔히 발견되며, 불소화된 구강세척제, 젤, 폼, 바니시와 함께 사용된다.[135][136]

플라스틱 트레이에 갈색 물질을 담아 소년의 입을 벌리고 작은 막대기를 넣고 있는 모습
파나마에서의 국소 불소 치료


현대 의약품의 20%는 불소를 함유하고 있다.[137] 콜레스테롤 저하제 아토르바스타틴(리피토르)과 천식 치료제 세레타이드의 성분인 플루티카손이 그 예이다.[138][140] 탄소-불소 결합의 안정성과 소수성 증가로 인해 많은 약물이 불소화되어 투여 기간이 길어지고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다.[139][140] 플루옥세틴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중 하나로, 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등과 함께 사용된다.[141][142] 퀴놀론계 광범위 항생제인 시프로플록사신과 레보플록사신, 스테로이드 제제인 플루드로코르티손, 트리아암시놀론, 덱사메타손 등도 불소를 포함한다.[143][144][145][146][147][148] 할로탄, 세보플루란, 데스플루란과 같은 흡입 마취제도 불소화된 화합물이다.[149][150]

표적 기관이 강조 표시된 인체의 회전 투명 이미지
방사성 플루오린-18로 표지된 포도당을 사용한 전신 PET 스캔. 정상적인 뇌와 신장은 영상화에 충분한 포도당을 흡수합니다. 상복부에 악성 종양이 보입니다. 방광의 소변에서 방사성 플루오린이 관찰됩니다.


플루오린-18은 약 2시간의 반감기를 가져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을 위한 방사성 추적자로 자주 사용된다.[151] 가장 일반적인 추적자는 플루오르데옥시글루코스[151]이며, 뇌와 대부분의 악성 종양 등 포도당을 필요로 하는 조직에 흡수된다.[152]

7. 2. 산업

플루오린화 수소는 물에 잘 녹으며, 유리(규산 성분)를 녹이는 성질이 있어 유리에 무늬를 새기는 데 사용한다.

육플루오린화 우라늄은 원자력 발전이나 핵폭탄 제조를 위한 우라늄-235의 농축에 사용한다. 불소는 단일 동위원소이므로 분자 간의 질량 차이는 또는 의 존재 때문이며, 기체 확산 또는 기체 원심 분리를 통해 우라늄 농축이 가능하다.[32] 연간 최대 7,000톤을 소비하는 불소 가스의 가장 큰 용도는 핵연료 사이클을 위한 의 제조이다.

프레온 가스, 육플루오린화 황, 수소 플루오린화 탄소 등은 인체에 무해하고, 불에 타지도 않는 이상적인 화합물질로서 에어컨 등의 냉매, 반도체를 만들 때 들어가는 세정제 등으로 많이 썼다. 그러나 오존층 파괴와 온실가스 효과 때문에 날이 갈수록 이 물질들을 규제하는 수위가 올라간다.

연간 약 6,000톤이 고전압 변압기와 차단기에 사용되는 비활성 유전체 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며, 장치와 관련된 위험한 폴리염화비페닐의 필요성을 없애준다.

플루오린(フッ素)은 유리의 굴절률을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광섬유 등 통신 분야에서 굴절률 제어에 플루오린(フッ素)이 사용되고 있다.

엑시머 레이저의 발진 매체로 불소 기체와 희유 기체의 혼합 기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노광에 사용되는 ArF 레이저가 대표적이다. 배관에는 불소와의 반응으로 부동태를 형성하여 그 이상 부식이 진행되기 어려운 구리 등이 사용된다. 또한 기체 누출 시에는 신속하게 밸브가 차단되는 안전 장치도 탑재되어 있다.

반도체와 액정 제조 장치의 반응관, 보트, 석영 노즐 등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가스로 불소 가스가 사용된다.

여러 불소 화합물이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에서 레늄과 육불화텅스텐, 플라즈마 식각에서 테트라플루오르메탄[104][105], 그리고 청소 장비에서 삼불화질소가 사용된다.[32]

불소를 첨가한 합성수지나 고무는 산·알칼리성 약품이나 마모 등에 대해 내구성이 높아지므로, 반도체 제조 장치나 자동차 등의 부품·부재에 사용된다.[209][210]

7. 3. 기타

플루오린 수지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에 코팅하면 열을 잘 견디고 물이나 기름을 튕겨내는 특징이 있어 많이 사용된다.[216] 일부 농약의 약 30%는 플루오린을 함유하고 있으며,[123] 대부분은 제초제와 살균제이고, 일부는 식물 호르몬(작물 조절제)이다.[124] 트리플루랄린은 대표적인 예로, 미국에서는 대규모로 제초제로 사용되지만,[124][125] 발암 의심 물질로 분류되어 많은 유럽 국가에서 금지되었다.[126] 모노플루오로아세트산나트륨(1080)은 포유류 독극물로, 19세기 후반에 처음 합성되었고, 20세기 초에는 살충제로 인식되었으며, 이후 현재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었다. 뉴질랜드는 1080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외래종인 오스트레일리아 주머니쥐로부터 키위를 보호한다.[127]

순수 플루오린이나 ClF₅와 같은 화합물은 1950~1970년대경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포함한 여러 기관에서 로켓 연료산화제로 검토된 적이 있다.[211] NASA에서는 액체 산소 대신 액체 산소-액체 불소 혼합물을 사용하여 시험했고,[212] 소비에트 연방에서도 유사한 실험이 진행되었다.[213] 이는 불소를 산화제로 사용할 경우 비추력이 산소를 사용한 경우보다 높기 때문이었지만, 성능 향상이 미미했던 데 비해 불소의 독성과 부식성으로 인한 위험 때문에 취급이 매우 어려워 결국 로켓 연료로서의 활용은 포기되었다.[214]

8. 위험성

플루오린은 반응성이 매우 높은 원소로, 원소 상태의 플루오린은 생물체에 매우 유독하다.[164]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시안화수소의 50ppm보다 낮은 농도에서 시작되며, 염소와 유사하다. 25ppm 이상에서는 눈과 호흡기에 심각한 자극과 간 및 신장 손상이 발생하며,[166] 100ppm에서는 눈과 코에 심각한 손상을 입힌다.[166] 1,000ppm의 플루오린을 흡입하면 수 분 내에 사망에 이르는데,[167] 이는 시안화수소의 270ppm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168]

왼쪽과 오른쪽 손, 두 가지 각도에서 본 화상 입은 검지 손가락


플루오르화 수소산은 접촉성 독극물이며, 약산임에도 불구하고 황산과 같은 많은 강산보다 위험성이 더 크다. 불화수소산은 수용액에서 중성을 유지하므로 흡입, 섭취 또는 피부를 통해 조직에 더 빠르게 침투하며, 1984년부터 1994년까지 미국에서 최소 9명의 작업자가 이러한 사고로 사망했다. 불화수소산은 혈액 속의 칼슘과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칼슘혈증을 유발하고 심장 부정맥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173] 불용성 플루오린화 칼슘의 형성은 심한 통증을 유발하며,[174] 160cm2 이상의 화상은 심각한 전신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175] 50% 불화수소산의 경우 노출 증상이 8시간 후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농도가 낮을수록 최대 24시간까지 지연될 수 있다. 피부에 불화수소산이 노출된 경우, 물줄기로 10~15분 동안 씻어내고 오염된 옷을 제거하여 손상을 줄일 수 있다.[176] 그 다음으로 글루콘산칼슘을 바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플루오르화물과 결합할 칼슘 이온을 제공한다. 피부 화상은 2.5% 글루콘산칼슘 젤 또는 특수 세척 용액으로 치료할 수 있다.[177][178][179]

수용성 불소화물은 중등도의 독성을 지닌다. 5~10g의 플루오린화 나트륨 또는 체중 킬로그램당 32~64mg의 불소 이온은 성인에게 치사량에 해당한다.[181] 만성적인 과다 섭취는 골격 불소증을 유발하고, 어린이의 경우 지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183][182] 역사적으로 대부분의 불소 중독 사례는 무기 불소화물이 함유된 살충제를 우연히 섭취한 데서 비롯되었다.[185] 현재 불소 중독 가능성에 대한 독극물 관리 센터의 대부분의 문의는 불소 함유 치약 섭취에서 발생한다.[183]

9. 환경 문제

북미 상공 오존 분포의 연도별 색상 표현 애니메이션(6단계). 처음에는 오존이 많지만 2060년까지 모두 사라짐.


1987년에 체결된 몬트리올 의정서는 오존층 파괴 물질인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및 브로모플루오로카본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설정했다.[190] 이 물질들은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 고층에 도달할 때까지 분해되지 않고, 방출된 염소와 브롬 원자가 오존 분자를 공격한다.[190]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회복까지는 여러 세대가 걸릴 것으로 예측되었다.[191][192] CFC의 대체 물질로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CFC의 1/10 수준의 오존층 파괴능(ODP)을 가진다.[193] 2030~2040년까지 염소가 없고 ODP가 0인 수소불화탄소(HFC)로 대체될 예정이었으며,[194] 2007년 선진국에서는 이 날짜가 2020년으로 앞당겨졌다.[195] 미국 환경보호청은 이미 2003년에 한 HCFC의 생산을 금지하고 다른 두 가지의 생산량을 제한했다.[194] 플루오로카본 가스는 일반적으로 약 100~10,000의 지구 온난화 지수를 가진 온실 가스이며, 육플루오르화 황은 약 20,000의 값을 갖는다. 예외적으로 HFO-1234yf는 지구 온난화 지수가 1 미만이다.[113]

섬네일


유기불소화합물은 탄소-불소 결합의 강도 때문에 생체 지속성을 나타낸다. 특히 과불화알킬산(PFAAs)은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로 주목받는다.[196] 과불화옥탄술폰산(PFOS)과 과불화옥탄산(PFOA)이 가장 많이 연구되며,[199][200][197] 북극곰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미량의 PFAAs가 발견되었다. PFOS와 PFOA는 모유와 신생아의 혈액에도 존재한다.[199][200]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지하수와 토양의 PFAA 수치와 인간 활동 사이에 약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더 많은 양의 PFOS는 더 많은 양의 PFOA와 상관관계가 있었다.[199][200][198] 체내에서 PFAAs는 혈청 알부민과 같은 단백질에 결합하며, 신장을 통해 배출되기 전에 간과 혈액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체내 체류 시간은 종에 따라 크게 다르며, 설치류는 수일, 인간은 수년의 반감기를 갖는다.[199][200][201] 고용량의 PFOS와 PFOA는 신생 설치류에서 암과 사망을 유발하지만, 인간 연구에서는 현재 노출 수준에서 영향이 밝혀지지 않았다.[199][200][201]

10. 대한민국에서의 플루오린

참조

[1] 웹사이트 Triple Point {{!}} The Elements Handbook at KnowledgeDoor https://www.knowledg[...]
[2] 서적 Moore, Stanitski, Jurs (2010) https://books.google[...]
[3] 논문 Cordero et al. (2008)
[4] 논문 Pyykkö, Atsumi (2009)
[5] 서적 Macomber (1996) https://books.google[...]
[6] 논문 Nelson (1947)
[7] 논문 Kuriakose, Margrave (1965)
[8] 논문 Hasegawa et al. (2007)
[9] 논문 Lagow (1970)
[10] 논문 Navarrini et al. (2012)
[11] 논문 Tanner Industries (2011)
[12] 논문 Morrow, Perry, Cohen (1959)
[13] 서적 Emeléus, Sharpe (1974) https://books.google[...]
[14] 서적 Brantley (1949) https://books.google[...]
[15] 논문 Pitzer (1975)
[16] 논문 Khriachtchev et al. (2000)
[17] 논문 Burdon, Emson, Edwards (1987)
[18] 논문 Pauling, Keaveny, Robinson (1970)
[19] 논문 Barrett, Meyer, Wasserman (1967)
[20] 웹사이트 National Nuclear Data Center, NuDat 2.1 http://www.nndc.bnl.[...]
[21] 논문 Vigoureux (1961)
[22] 논문 Meusinger, Chippendale, Fairhurst (2012)
[23] 논문 Magicity versus Superfluidity around 28O viewed from the Study of 30F 2024-08-23
[24] 간행물 SCOPE 50 - Radioecology after Chernobyl http://www.scopenvir[...] Scientific Committee on Problems of the Environment (SCOPE) 1993
[25] 논문 National Nuclear Data Center, NuDat 2.1
[26] 논문 NUBASE (2016)
[27] 논문 NUBASE (2016)
[28] 논문 Cameron (1973)
[29] 서적 Clayton (2003) https://books.google[...]
[30] 논문 Croswell (2003)
[31] 논문 Renda et al. (2004)
[32] 논문 Villalba, Ayres, Schroder (2008)
[33] 논문 Kelly, Miller (2005)
[34] 논문 Lusty et al. (2008)
[35] 서적 Senning (2007) https://books.google[...]
[36] 논문 1912
[37] 논문 2012
[38] 논문 1912
[39] 논문 https://archive.org/[...] 1907
[40] 논문 https://archive.org/[...] 1912
[41] 논문 1932
[42] 논문 1923
[43] 논문 1770
[44] 논문 1771
[45] 논문 1816
[46] 서적 Fluorine: A Paradoxical Element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8-10-06
[47] 논문 1966
[48] 논문 1886
[49] 논문 https://books.google[...] 1993
[50] 논문 2011
[51] 논문 2009
[52] 논문 2013
[53] 논문 1977
[54] 논문 https://books.google[...] 2004
[55] 논문 2009
[56] 논문 2002
[57] 논문 https://books.google[...] 1994
[58] 문서 The metastable boron and nitrogen have higher-order fluorine bonds, and some metal complexes use it as a bridging ligand. Hydrogen bonding is another possibility.
[59] 논문 2012
[60] 논문 https://books.google[...] 1999
[61] 논문 https://archive.org/[...] 1864
[62] 논문 https://books.google[...] 2009
[63] 논문 https://books.google[...] 1985
[64] 논문 1967
[65] 논문 https://books.google[...] 2005
[66] 논문 https://books.google[...] 2011
[67] 논문 1994
[68] 논문 1990
[69] 논문 2006
[70] 논문 1962
[71] 논문 https://archive.org/[...] 1960
[72] 논문 2007
[73] 논문 1981
[74] 논문 2002
[75] 논문 1975
[76] 논문 2002
[77] 논문 2013
[78] 논문 2001
[79] 논문 https://books.google[...] 1998
[80] 논문 https://books.google[...] 1998
[81] 논문 https://books.google[...] 1995
[82] 논문 https://books.google[...] 2007
[83] 논문 https://books.google[...] 1993
[84] 논문 2002
[85] 논문 2008
[86] 논문 2000
[87] 논문 https://books.google[...] 2000
[88] 논문 https://books.google[...] 2013
[89] 논문 2002
[90] 논문 2011
[91] 논문 https://books.google[...] 2008
[92] 논문 1998
[93] 서적 Chemical Process Industries McGraw-Hill 1977
[94] 논문 2010
[95] 논문 1986
[96] 논문
[97] 논문 2008
[98] 논문 2004
[99] 논문 2003
[100] 논문 2012
[101] 논문 2012
[102] 논문 2013
[103] 논문 https://books.google[...] 2006
[104] 논문 https://books.google[...] 1994
[105] 논문 2007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https://books.google[...]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https://books.google[...]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https://books.google[...]
[117] 논문
[118] 논문 https://books.google[...]
[119] 논문 https://books.google[...]
[120] 논문 https://books.google[...]
[121] 논문 https://books.google[...]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논문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https://books.google[...]
[134] 논문
[135] 논문 https://books.google[...]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서적 https://books.google[...] 2004
[142] 웹사이트 http://www.preskorn.[...] 1996
[143] 논문 2011
[144] 논문 2012
[145] 논문 2007
[146] 논문 2000
[147] 서적 https://books.google[...] 2001
[148] 서적 https://books.google[...] 2012
[149] 논문 2009
[150] 서적 https://books.google[...] 2008
[151] 논문 2000
[152] 논문 1977
[153] 논문 2007
[154] 논문 1996
[155] 논문 2008
[156] 논문 2002
[157] 논문 2006
[158] 논문 1998
[159] 논문 1999
[160] 논문 1992
[161] 논문 2006
[162] 논문 5-Fluorouracil Derivatives from the Sponge Phakellia fusca 2003-01-04
[163] 논문 2003
[164] 논문 1994
[165] 논문 1994
[166] 논문 1968
[167] 논문 2011
[168] 논문 2007
[169] 웹사이트 Fluorine. Safety data sheet https://www.airgas.c[...] Airgas
[170] 논문 1997
[171] 서적 Inorganic Chemistry Pearson
[172] 서적 Inorganic Chemistry Freeman
[173] 논문 2001
[174] 논문 2007
[175] 논문 2006
[176] 書籍 https://books.google[...]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書籍 https://books.google[...]
[181] 논문
[182] 논문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논문
[192] 논문
[193] 논문
[194] 논문
[195] 논문
[196] 논문
[197] 논문
[198] 논문
[199] 논문
[200] 논문
[201] 논문
[202] 서적 First outlines of a dictionary of solubilities of chemical substances Cambridge
[203] 웹사이트 フッ素 - イラスト周期表 http://www.step.aich[...] 愛知教育大学 2022-06-14
[204] 문서 ニュートン式超図解最強に面白い!!周期表
[205] 웹사이트 フッ素 - 推測と発見、単離をめぐる人々 https://dl.ndl.go.jp[...] 日本歯科医史学会 2022-06-14
[206] 서적 元素を知る事典 海鳴社
[207] 뉴스 自然界に単体フッ素=鉱物で確認、定説覆す-独大学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2-07-06
[208] Youtube https://www.youtube.[...]
[209] 뉴스 ダイキン、独にフッ素樹脂開発拠点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9-19
[210] 뉴스 ダイキン、フッ素化学拠点に100億円 IoT向け需要増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9-19
[211] 서적 岩波理化学辞典 岩波書店 1999
[212] 서적 Ignition!: An informal history of liquid rocket propellants Rutgers University Press 1972
[213] 논문 The Russian Literature on Rocket Propellant The Rand Corporation 1960
[214] 서적 Rocket Propulsion Elements 8th Ed. Wiley 2011
[215] 웹사이트 フッ素と環境 https://www.sbj.or.j[...] 2022-06-14
[216] 서적 상하수도 공학 구미서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