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민츠버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민츠버그는 캐나다 출신의 경영학자로, 맥길 대학교, MIT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INSEAD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경영과 비즈니스 전략 관련 저서를 15권 이상, 논문을 150편 이상 집필했으며, 경영자의 역할, 조직 구조, 전략 경영, 경영 교육 등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경영 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조직 내 창발적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 균형을 위한 다원 부문의 역할을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 훈장 장교 - 요슈아 벤지오
프랑스 태생 캐나다 컴퓨터 과학자 요슈아 벤지오는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튜링상을 수상하고 몬트리올 학습 알고리즘 연구소 책임자로 활동하며 인공 신경망, 기계 번역, AI 안전 및 윤리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 캐나다 훈장 장교 - 샤니아 트웨인
샤니아 트웨인은 캐나다 출신의 싱어송라이터로, 컨트리 음악과 팝 음악을 넘나들며 1990년대 중반 앨범 《The Woman in Me》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1997년 앨범 《Come On Over》로 세계적인 스타가 되었으며, 배우 및 TV 쇼 진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동한다. - 맥길 대학교 동문 - 요슈아 벤지오
프랑스 태생 캐나다 컴퓨터 과학자 요슈아 벤지오는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튜링상을 수상하고 몬트리올 학습 알고리즘 연구소 책임자로 활동하며 인공 신경망, 기계 번역, AI 안전 및 윤리 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 맥길 대학교 동문 - 제임스 네이스미스
캐나다 출신 스포츠 코치이자 혁신가인 제임스 네이스미스는 1891년 농구를 창안하고 기본 규칙 13가지를 만들었으며, 캔자스 대학교 농구팀을 지도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이 있다.
헨리 민츠버그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9년 9월 2일 |
출생지 | 몬트리올, 퀘벡 주, 캐나다 |
직업 | 경영학자, 작가 |
모교 | 맥길 대학교 (공학 학사, 1961년) MIT (박사, 1968년) |
소속 | 데소텔 경영대학 |
수상 | |
훈장 | 캐나다 훈장 (OC) 퀘벡 국가 훈장 (OQ) |
학술 | 캐나다 왕립 학회 회원 (FRSC) |
참고 | |
웹사이트 | 헨리 민츠버그 |
2. 생애
헨리 민츠버그는 1939년 9월 2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유대인 부모 마이어 민츠버그와 아이린(웩슬러) 민츠버그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제조업자였다.
민츠버그는 덜시 민츠버그와 결혼하여 두 자녀 수지와 리사를 두었으며, 세 손주 라우라, 토마스, 마야를 두고 있다.[4]
그는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단편 소설을 쓰는 것을 즐기며 언젠가 출판하기를 원한다. 또한 [https://mintzberg.org/sculptures 비버 조각상] 수집을 즐기며, 개인 웹사이트에 소장품 사진을 공유한다.[4]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헨리 민츠버그는 1961년 맥길 대학교에서 기계 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맥길 대학교 재학 중 그는 두 개의 명예 학회에 속해 있었고, 학생회 대표, ''맥길 데일리'' 스포츠 편집자, 학생 체육 위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4] 1962년에는 현재 콩코디아 대학교로 알려진 시르 조지 윌리엄스 대학교에서 일반 예술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4]1965년 MIT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3] 재학 중 학생 정부의 일원이었으며 퀘벡 펠로우십 상과 M.I.T. 펠로우십 상을 수상했다.[4] 1968년에는 MIT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일하는 관리자 - 구조화된 관찰을 통해 그의 활동, 역할 및 프로그램을 결정"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 중에는 정책(전공), 조직 연구, 정보 및 제어 시스템 분야를 공부했으며 정치학을 부전공했다. 또한 포드 펠로우십 상과 M.I.T. 펠로우십 상을 수상했다.[4]
2. 2. 개인적인 삶
헨리 민츠버그는 1939년 9월 2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유대인인 마이어 민츠버그와 아이린(웩슬러) 민츠버그였다.[2] 그의 아버지는 제조업자였다.민츠버그는 덜시 민츠버그와 결혼하여 두 자녀, 수지와 리사를 두었다. 손주로는 라우라, 토마스, 마야가 있다.[4]
그는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단편 소설을 쓰는 것을 즐기며 언젠가 출판하기를 희망한다. 또한 [https://mintzberg.org/sculptures 비버 조각상] 수집을 즐기며, 자신의 개인 웹사이트에 소장품 사진을 공유하고 있다.[4]
3. 학문적 경력
헨리 민츠버그는 1997년 캐나다 훈장과 1998년 퀘벡 국가 훈장을 받았다. 그는 전략경영학회 회원이다.[4] 1991년부터 1999년까지 INSEAD의 객원교수로 재직했다.[4]
2004년, 민츠버그는 ''매니저, MBA가 아니다''(Managers Not MBAs)를 출판하여 경영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했다.[4] 그는 하버드 경영대학원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과 같은 명문 경영대학원이 숫자에 집착하고 경영을 과학으로 만들려는 시도가 경영학 분야에 해를 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액션 학습과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현직 매니저를 교육하는 대학원 프로그램을 강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
민츠버그는 경영과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150편 이상의 논문과 15권의 저서를 집필했으며, ''전략 기획의 부상과 쇠퇴''(The Rise and Fall of Strategic Planning)에서 전략 기획의 일부 관행을 비판했다.[4] 그는 데소텔 경영대학에서 맥길 경영연구소와 공동으로 국제 실무 경영 석사(IMPM)와 국제 보건 리더십 석사(IMHL)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필 르니르와 함께 코칭 아워셀브스 인터내셔널을 소유하고 있다.[4]
민츠버그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최고의 기사를 게재한 공로로 맥킨지 상을 두 번 수상했으며, 비즈니스 스쿨에서 가르치는 오가니그래프를 공동 개발했다.[5] 그는 22개의 박사 과정을 지도했으며, 14개의 박사 과정 위원회에 참여했고, 교수 활동과 조직 이론에 대한 연구로 많은 상을 받았다.[4]
3. 1. 초기 경력
헨리 민츠버그는 1961년 맥길 대학교에서 기계 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맥길 대학교 재학 중 그는 두 개의 명예 학회에 속해 있었고, 학생회 대표, ''맥길 데일리'' 스포츠 편집자, 학생 체육 위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4]1962년에는 현재 콩코디아 대학교로 알려진 시르 조지 윌리엄스 대학교에서 일반 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다.[4]
이후 1965년 MIT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재학 중 학생 정부의 일원이었으며 퀘벡 펠로우십 상과 M.I.T. 펠로우십 상을 수상했다.[4]
1968년 MIT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일하는 관리자 - 구조화된 관찰을 통해 그의 활동, 역할 및 프로그램을 결정"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정책(전공), 조직 연구, 정보 및 제어 시스템 분야를 공부했으며 정치학을 부전공했다. 재학 중 포드 펠로우십 상과 M.I.T. 펠로우십 상을 수상했다.[4]
1991년부터 1999년까지 INSEAD의 객원교수로 재직했다.[4]
그는 22개의 박사 과정을 지도했으며, 14개의 박사 과정 위원회에 참여했고, 교수 활동과 조직 이론에 대한 연구로 많은 상을 받았다.[4]
3. 2. 주요 저서 및 논문
Henry Mintzberg영어는 경영과 비즈니스 전략을 주제로 150편 이상의 논문과 15권의 저서를 집필했다.[4] 그의 주요 저서 및 논문은 다음과 같다.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973 | 경영자의 일의 본질 | The Nature of Managerial Work영어 | 경영자의 실제 역할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경영자가 계획, 조직, 지휘, 통제와 같은 전통적인 기능보다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マネジャーの仕事일본어, 白桃書房일본어, 1993년 출간.[4] |
1979 | 조직의 구조: 연구의 종합 | The Structuring of Organizations: A Synthesis of the Research영어 | 조직 구조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종합하여, 조직 구조를 설계하는 데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였다.[4] |
1983 | 조직의 권력 | Power In and Around Organizations영어 | 조직 내 권력의 원천과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고, 권력이 조직의 의사 결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4] |
1983 | 다섯 가지 구조: 효과적인 조직 설계 | Structures in Fives: Designing Effective Organizations영어 | 조직 구조를 다섯 가지 기본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장단점과 적합한 환경을 제시하였다.[4] |
1989 | 민츠버그, 경영을 말하다: 우리 조직의 이상한 세계 안으로 | Mintzberg on Management: Inside Our Strange World of Organizations영어 | 경영에 대한 자신의 통찰과 경험을 바탕으로, 조직의 현실과 경영자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한다. 人間感覚のマネジメント일본어, ダイヤモンド社일본어, 1991년 출간.[4] |
1994 | 전략 계획의 흥망성쇠: 계획, 계획, 계획가에 대한 역할 재고 | The Rise and Fall of Strategic Planning영어 | 전략 기획의 한계를 비판하고, 전략 수립 과정에서 창의성과 유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戦略計画 創造的破壊の時代일본어, 産能大出版部일본어, 1997년 출간.[4] |
2001 | 내가 비행을 싫어하는 이유: 고통받는 여행자를 위한 이야기 | Why I Hate Flying: Tales for the Tormented Traveler영어 | 항공 여행의 불편함과 비효율성에 대해 유머러스하게 비판한다.[4] |
2005 | 전략 사파리: 전략 경영의 야생으로 가는 가이드 투어 | Strategy Safari: A Guided Tour Through The Wilds of Strategic Management영어 | 브루스 알스트란드, 조셉 램펠 공저. 전략 경영의 다양한 학파를 소개하고, 각 학파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다. 戦略サファリ일본어, 東洋経済新報社일본어, 1999년, 2012년(제2판) 출간.[4] |
2004 | MBA가 회사를 망친다 | Managers Not MBAs영어 | MBA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실무 경험과 현장 학습을 강조하는 대안적인 경영 교육 모델을 제시한다. MBAが会社を滅ぼす マネジャーの正しい育て方일본어, 日経BP社일본어, 2006년 출간.[4] |
2007 | 전략 추적: 일반 이론을 향하여 | Tracking Strategies: Toward a General Theory영어 | 전략 수립 과정을 추적하고 분석하여, 전략의 본질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4] |
2009 | 매니징 | Managing영어 | 경영자의 실제 업무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경영의 본질과 효과적인 경영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マネジャーの実像일본어, 日経BP社일본어, 2011년 출간.[4] |
2013 | 단순한 경영: 관리자가 하는 일 — 그리고 더 잘할 수 있는 일 | Simply Managing: What Managers Do — and Can Do Better영어 | 경영자의 역할과 책임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경영자가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エッセンシャル版 ミンツバーグマネジャー論일본어, 日経BP社일본어, 2014년 출간.[4] |
2013 | 경영? 당신이 생각하는 게 아니야! | Management? It's Not What You Think!영어 | 경영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을 비판하고, 경영의 현실과 복잡성을 강조한다.[4] |
2013 | 전략이 반격한다 | Strategy Bites Back영어 | 전략 수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문제와 어려움에 대해 경고한다.[4] |
2014 | 사회의 재균형: 좌, 우, 중도를 넘어서는 급진적인 갱신 | Rebalancing Society: Radical Renewal Beyond Left, Right, and Center영어 | 사회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정부, 기업, 시민 사회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私たちはどこまで資本主義に従うのか일본어, ダイヤモンド社일본어, 2015년 출간.[4] |
2017 | 건강 관리의 신화 관리: 치료, 관리, 통제 및 지역 사회 간의 분리를 연결하기 | Managing the Myths of Health Care: Bridging the Separations between Care, Cure, Control, and Community영어 | 의료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4] |
2019 | 경영자를 위한 취침 시간 이야기: 고상한 리더십에 작별을 고하다. . . 매력적인 경영을 환영하다 | Bedtime Stories for Managers: Farewell to Lofty Leadership. . . Welcome Engaging Management영어 | 경영자의 리더십에 대한 প্রচলিত 관념을 비판하고,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리더십을 강조한다. これからのマネジャーが大切にすべきこと일본어, ダイヤモンド社일본어, 2021년 출간.[4] |
그는 또한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최고의 기사를 게재한 공로로 맥킨지 상을 두 번이나 수상했다.[5]
4. 경영 이론 및 연구
민츠버그는 경영 이론과 실제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로 유명하다. 특히, 조직 구조와 전략, 경영자의 역할, 경영 교육에 대한 그의 연구는 학계와 실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츠버그는 조직 구성 프레임워크에서 여섯 가지 조직 구조를 제시했다.[6] 그는 다양한 업무 간의 조정을 위해 상호 조정, 직접 감독,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산출물 표준화, 기술 표준화, 규범 표준화 등의 메커니즘을 정의했다.[6] 또한, 조직은 전략적 최고점, 중간 라인, 운영 핵심, 기술 구조, 지원 스태프, 이데올로기의 여섯 가지 기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6]
민츠버그는 조직의 어느 수준에서든 비공식적으로 발생하는 창발적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최고 경영진에 의해 결정되는 계획적 전략의 대안 또는 보완재 역할을 한다.[7][8] 그는 계획적 전략에만 초점을 맞추는 전략 문헌들을 비판했다.
민츠버그는 경영에서 실천, 예술적 요소, 우뇌적 요소를 중요시한다. 그는 마이클 포터로 대표되는 순수 이론적인 경영 이론을 비판하며, 훌륭한 매니저는 교실에서 육성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는 독자적인 매니저 육성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으며,[10] 경제 이외의 분야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언론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4. 1. 경영자의 역할
민츠버그는 5명의 경영자 업무 관찰을 바탕으로, 매니저의 업무를 다음 10가지 역할 세트로 정리했다.[10]대인 관계 역할 | 정보 전달 역할 | 의사 결정 역할 |
---|---|---|
헨리 민츠버그는 고전학파(관리 과정 학파)가 제창한 관리 직능론(POSDCORB 등)은 사실과 다르다고 비판했으며, 스스로 조사를 실시하여 자신의 주장을 증명했다. 민츠버그가 고전학파(관리 과정 학파)에 대해 제기한 네 가지 비판은 다음과 같다.
- 유능한 경영 관리자는 수행해야 할 정해진 직책이 존재한다.
- 경영 관리자는 질서를 세우고 계획하는 것이 아니다.
- 최고 경영자는 경영 정보 시스템(MIS)에 의존하지 않는다.
- 매니지먼트는 전문가의 직업이 아니라 과학도 아니다.
4. 2. 조직 구조
민츠버그는 조직 구조를 설명하는 모델에서 여섯 가지 조직 구조를 제시했다. 원래는 다섯 가지였지만, 나중에 여섯 번째가 추가되었다.[6]# 단순 구조 (기업가적 조직의 특징)
# 기계 관료제
# 전문 관료제
# 사업부제 구조
# 애드호크라시 (혁신적인 조직)
# 선교 조직 (이상주의적 조직)
민츠버그는 다양한 업무 간의 조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정의한다.[6]
- '''상호 조정''': 비공식적 의사소통을 통해 조정을 달성한다. (예: 두 명의 운영 직원이 서로 간에 하는 것)
- '''직접 감독''': 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 명령이나 지시를 내려 조정을 달성한다. (예: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 말해주는 경우)
-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상호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업무 프로세스를 지정하여 조정을 달성한다. (예: 시간 및 동작 연구에서 나오는 작업 지침)
- '''산출물 표준화''': 서로 다른 작업의 결과를 지정하여 조정을 달성한다. (예: 하위 단위 성과 목표를 지정하는 재무 계획, 생산될 제품의 치수를 설명하는 사양)
- '''기술 표준화''': 작업자가 받은 관련 교육을 통해 서로 다른 작업이 조정된다. (예: 외과 의사와 마취과 의사 같은 의료 전문가가 수술실에서 서로의 표준화된 절차에 거의 자동으로 대응하는 경우)
- '''규범 표준화''': 작업에 스며드는 규범이 제어되는 경우이며, 일반적으로 전체 조직에 적용되어 모든 사람이 동일한 신념 집합에 따라 기능한다. (예: 종교 단체)
민츠버그의 조직 구성 모델에 따르면, 각 조직은 최대 여섯 개의 기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6]
구성 요소 | 설명 |
---|---|
전략적 최고점 | 최고 경영진 |
중간 라인 | 중간 관리자 |
운영 핵심 | 운영, 운영 프로세스 |
기술 구조 | 시스템, 프로세스 등을 설계하는 분석가 |
지원 스태프 | 운영 워크플로우 외부 지원 |
이데올로기 | 신념과 전통의 후광, 규범, 가치, 문화 |
4. 3. 전략 경영
민츠버그 연구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조직의 어느 수준에서든 비공식적으로 발생하는 창발적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이는 최고 경영진이 의식적으로 결정하거나 최고 경영진의 묵인하에 결정되는 계획적 전략의 대안 또는 보완재 역할을 한다.[7][8] 그는 계획적 전략에 주로 초점을 맞추는 일련의 전략 문헌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4. 4. 경영 교육 비판
민츠버그는 2004년 저서 ''매니저, MBA가 아니다''(Managers Not MBAs)에서 현대 경영 교육, 특히 MBA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비판했다.[10] 그는 하버드 경영대학원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과 같은 명문 경영대학원이 숫자에 지나치게 집착하고, 경영을 과학으로 만들려는 시도가 경영학 분야에 해를 끼치고 있다고 주장한다.[10]민츠버그는 실무 경험이 거의 없는 학생이 아닌, 현직 매니저를 교육하는 대학원 프로그램에 더 많은 강조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액션 학습과 실제 문제 및 경험에서 얻은 통찰력을 활용해야 한다고 옹호한다.[10]
민츠버그는 경영에서 실천, 예술적 요소, 우뇌적 요소를 중요시한다. 그는 마이클 포터로 대표되는 순수 이론적인 경영 이론을 비판하며, 훌륭한 매니저는 교실에서 육성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0]
5. 사회적 기여
민츠버그의 경영 이론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그는 사회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 민간, 다원 부문의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 1. 리밸런싱 소사이어티
정부 부문(public sector), 민간 부문(private sector), 다원 부문(plural sector)의 세 가지 부문이 사회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11]참조
[1]
웹사이트
Henry Mintzberg
https://www.mcgill.c[...]
[2]
웹사이트
Mintzberg, Henry 1939- - Dictionary definition of Mintzberg, Henry 1939-
http://www.encyclope[...]
1939-09-02
[3]
웹사이트
Mintzberg's Cv
http://www.mintzberg[...]
[4]
웹사이트
"Résumé {{!}} Henry Mintzberg"
https://mintzberg.or[...]
2023-12-05
[5]
웹사이트
Organigraphs: Drawing How Companies Really Work
http://hbswk.hbs.edu[...]
2000-01-04
[6]
서적
Strateginis organizacijų vystymas
Pasaulio lietuvių kultūros, mokslo ir švietimo centras
1998
[7]
논문
The design school: Reconsidering the basic premises of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Society
1990-03
[8]
서적
Strategy safari: A guided tour through the wilds of strategic management
Free Press
2005
[9]
웹사이트
Full CV
https://mintzberg.or[...]
[10]
웹사이트
CoachingOurselves
https://coachingours[...]
[11]
웹사이트
RebalancingSociety.org
https://rebalancing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