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확장 한글 자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확장 한글 자모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의 표기 범위를 넓히거나 음성 기호로 활용하기 위해 제안된 다양한 자모들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신경준의 《훈민정음도해》에서 제안된 자모, 박성원의 마름모 미음, 이봉운의 《국문정리》에서 제시된 단음 자모, 주시경의 순치음 표기 방식 등이 포함된다. 또한, 조선어 신철자법에 따라 사용된 자모와 음성 기호로 변형된 한글 자모, 그리고 노타입의 《소리체 프로》와 같은 현대의 새로운 자모 제안도 존재한다.

2.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여러 자모

훈민정음 창제 이후, 여러 학자들과 연구자들이 한글의 자모를 추가하거나 변형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신경준은 저서 《훈민정음도해》에서 삼십육자모의 설상음에 대응되는 글자를 만들어 사용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네 자모를 국제 문자 세트에 추가하려 하였으나,[2] 추가되지 못하였다.

박성원은 《화동정음통석운고》를 지으면서 ㅱ을 대체하기 위해 임의로 만든 낱자를 사용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낱자를 '마름미음'이라는 이름으로 국제 문자 세트에 추가하려 하였으나,[2] 추가되지 못하였다.

이봉운은 1897년에 지은 한국어 문법서인 《국문정리》에서 장단음을 구분하기 위해 기존의 자모를 활용한 ‘장음 반절 규식’과 함께 새 모음자를 쓴 ‘단음 반절 규식’을 제안하였다.[3][4]

주시경은 《대한국어문법》(1906)에서 순치음 /f, v/를 표기하기 위해 ᅄ과 ᅋ을 쓰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여기며, ㅇ 자리에 ∨를 병서한 표기를 제안했다.[5]

2. 1. 신경준의 훈민정음도해

신경준은 자신의 저서 《훈민정음도해》에서 삼십육자모의 설상음에 대응되는 글자로 ㄷ, ㅌ, ㄸ, ㄴ의 세로획을 위로 연장한 자모를 만들어 사용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 네 자모를 '혀바닥소리 디읃', '혀바닥소리 티읕', '혀바닥소리 두디읃', '혀바닥소리 니은'이라 이름붙이고 국제 문자 세트에 추가하려 하였으나,[2] 추가되지 못하였다.

또한 《훈민정음도해》에서는 ᅟᆢ(쌍아래아)와 의 합자도 등장하고 있으나, 이에 대응되는 한자는 없다.

2. 2. 박성원의 마름모 미음

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를 지으면서 ㅱ을 대체하기 위해 임의로 만든 낱자이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마름미음'이라는 이름으로 국제 문자 세트에 추가하려 하였으나,[2] 추가되지 못하였다.

2. 3. 이봉운의 국문정리

이봉운은 1897년에 지은 한국어 문법서인 《국문정리》에서 장단음을 구분하기 위해 기존의 자모를 활용한 ‘장음 반절 규식’과 함께 새 모음자를 쓴 ‘단음 반절 규식’을 제안하였다. ㆍ(아래아)와 ᅟᆢ(세로로 됨)를 각각 ㅏ와 ㅑ의 단음자로 사용하고, ㅓ, ㅕ, ㅗ, ㅛ, ㅜ, ㅠ의 단음자로는 기존 모음자의 획을 가감한 형태의 새로운 자모를 제안하였다. ㅿ, ㆆ과 ㆁ을 각각 ‘스’, ‘이’, ‘으’의 단음자로 간주하여 다른 첫소리에 ㅣ 또는 ㅡ가 붙는 단음자는, 기존 한글의 형태를 벗어나 자음자 상단에 ㅡ, ㅣ를 붙인 새 형태의 음절자를 제안하였다. ㅘ, ㅝ, ㅙ, ㅞ, ㅔ, ㅖ 등의 딴이가 붙은 모음자에 대해서도 새 형태의 단음자를 제시하였다. 《국문정리》 중 ‘새 언문 규범’ 부분은 언급한 새 자모를 활용하여 쓰였다.[3][4]

2. 4. 주시경의 순치음 표기 제안

주시경은 《대한국어문법》(1906)에서 순치음 /f, v/를 표기하기 위해 ᅄ과 ᅋ을 쓰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여기며, ㅇ 자리에 ∨를 병서한 표기를 제안했다.[5]

3. 조선어 신철자법의 자모

1948년부터 1954년까지 북한에서는 조선어 신철자법에 따라 새로운 자모들이 사용되었다. 이 자모들은 ㄹ 불규칙, 르 불규칙, ㅂ 불규칙, 어간 말의 ㅣ에 쓰였다. 자세한 내용은 조선어 신철자법의 형태소 표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4개의 새로운 자모

,
,
,
는 1948년부터 1954년까지 조선어 신철자법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쓰였던 자모이다. 이들의 이름은 아래 표와 같았다.

자모명칭
(/리으/)
(/liɯl/)
(/우읍/)
(반모음 이)



이 글자들은 각각 ㄹ 불규칙, 르 불규칙, ㅂ 불규칙, 어간 말의 ㅣ에 쓰였다. 예시는 조선어 신철자법의 형태소의 표기를 참고하라.

4. 음성 기호로서의 한글 변형

한글은 음성 기호로 표시하기 위해 자모를 변형시킨 사례가 있다.

5. 현대의 새로운 자모 제안

현대에도 한글의 표현력을 확장하기 위한 새로운 자모 제안이 이어지고 있다. 그 예로 노타입의 《소리체 프로》는 전사를 위한 새로운 자모를 만든 계획 겸 글꼴이다.[6]

5. 1. 소리체 프로 (Sori Pro, 2020)

노타입의 《소리체 프로》는 전사를 위한 새로운 자모를 만든 계획 겸 글꼴이다.[6]

참조

[1] 웹인용 국립국어원 소식지 쉼표, 마침표. 없어진 한글 자모, 어떤 소리를 나타낸 것일까요? - 홍윤표 https://web.archive.[...] 2015-04-26
[2] 문서 n2243.pdf https://unicode.org/[...]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국문정리
[4] 인용 디지털한글박물관 - 원문 해제: 국문정리(목판본, 1897) https://archives.han[...] 2024-01-23
[5] 서적 대한국어문법 1906
[6] 깨진 링크 https://nohtype.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