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강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강댐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수력 발전 및 관개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건설한 댐으로, 대한민국과의 군사 분계선에서 북쪽으로 약 40km 지점에 위치해 있다. 2002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7년에 완공되었으며, 추정 저수 용량은 약 3~4억 톤이다. 2009년 북한의 예고 없는 황강댐 방류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면서, 댐 방류 시 사전 통보를 하기로 합의했으나, 이후 합의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북한의 무단 방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대한민국은 군남댐을 건설했으며, 남북 간의 협력을 통해 임진강 유역의 홍수 피해를 예방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임남댐
임남댐은 북한이 건설한 댐으로, 대한민국 정부는 수공 가능성을 우려하여 평화의 댐을 건설했으며, 댐 건설 이후 한강 유역의 물 부족 및 환경 문제 심화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댐 - 서해갑문 (남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남포시 대동강 하구에 위치한 서해갑문은 대동강 수위 유지, 남포항 확장, 농업 및 공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건설되어 북한 선전 매체에 자주 등장하고 외국인 관광객 방문 장소로 활용되지만, 건설 과정에서의 인명 피해와 환경 오염 문제도 제기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댐 - 희천발전소
김정일의 지시로 건설된 희천발전소는 평양시 전력난 해소를 목표로 대규모 토목 공사를 거쳐 2012년 준공되었으며, 평양 전력 공급과 청천강 계단식 발전소 건설에 영향을 주었고 건설 과정에서 부실공사 논란과 김정일 사망과도 연관되었다.
황강댐 | |
---|---|
개요 | |
이름 | 황강댐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철원군, 좌표: |
하천 | 임진강 |
제원 | |
건설 시작 | 2002년 |
개장 | 2007년 |
기타 | |
웹사이트 | 해당 사항 없음 |
2. 황강댐 건설과 구조
황강댐은 대한민국(한국)과의 군사 분계선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2002년에 착공하여 2007년에 완공되었다. 댐의 추정 저수 용량은 약 3~4억 톤이며[4][5], 수력 발전 및 관개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6][7]。
2009년 9월 6일, 북한은 예고 없이 황강댐에서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한국인 6명이 희생되는 사건이 발생했다[8]。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과 북한은 댐 방류 시 사전 통보에 합의했으나, 2010년에는 지켜졌지만 2011년 이후에는 유명무실해졌다[9]。
2010년대 초, 한국은 북한의 댐 조작으로 인한 홍수 및 가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두 개의 댐을 건설했다[5][7]。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북한은 사전 예고 없이 3차례에 걸쳐 황강댐 물을 방류했다. 이에 대해 대한민국 통일부는 "정치·군사적으로 냉랭한 현재 국면으로 인해 자연재해 관련 협력까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10]。
2. 1. 건설 배경
대한민국(한국)과의 군사 분계선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댐의 저수 용량은 약 3~4억 톤으로 추정된다[4][5]。2002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2007년에 완공되었다[6]。공식적인 건설 목적은 수력 발전과 관개 용수 공급으로 알려져 있다[7]。2. 2. 댐의 구조 및 제원
임진강 상류, 군사 분계선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저수 용량은 약 3억~4억 톤으로 추정된다.[4][5]3. 황강댐 무단 방류와 남북 관계
2009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사전 경고 없이 황강댐에서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대한민국에 대규모 홍수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6명이 사망했다.[1] 홍수 기간 동안 약 40MT의 물이 방류되었고, 경기도 접경 지역의 수위가 약 2.29m에서 약 4.60m로 급증했다.[1][3]
이 사건을 계기로 대한민국은 북한과 접촉하여 댐 방류 시 사전 통고를 하기로 합의했으나, 2010년에는 지켜졌지만 2011년 이후에는 유명무실해졌다.[9] 북한의 댐 조작으로 인한 홍수 및 가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2010년대 초 두 개의 댐을 건설했다.[5][7]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북한은 다시 사전 예고 없이 3차례 방류를 실시했다. 대한민국 통일부는 "정치·군사적으로 냉랭한 현재 국면으로 인해 자연재해 관련 협력까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언급했다.[10]
3. 1. 2009년 임진강 참사
2009년 9월 6일 새벽 2시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황강댐을 무단 방류하여 한국인 6명이 사망했다.[1] 이 사건으로 인해 경기도 접경 지역의 수위가 약 2.29m에서 약 4.60m로 급증했다.[1][3]2009년 10월 14일, 개성특별시 남북경협협의사무소에서 열린 임진강 수해 방지 실무회담에서 북측은 "임진강 사고로 남측에서 뜻하지 않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유가족에 대해 심심한 조의를 표명한다"고 말했다.[13] 그리고 황강댐 방류 시 사전 통보하기로 약속했다.
2009년 10월 28일,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은 국회에서 국방·통일 분야 당정회의를 열고, 제2의 임진강 참사를 막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강댐과 대한민국 군남댐 간 직통전화 개설을 제안했다.[14]
그러나 북한의 댐 방류 사전 통고 합의는 2010년에는 지켜졌지만, 2011년 이후에는 유명무실해졌다.[9]
3. 2. 남북 합의와 그 이후
2009년 9월 6일 새벽 2시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강댐 무단 방류로 한국인 6명이 사망했다.[1] 같은 해 10월 14일, 개성특별시 남북경협협의사무소에서 열린 임진강 수해 방지 실무회담에서 북한 측은 "임진강 사고로 남측에서 뜻하지 않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유가족에 대해 심심한 조의를 표명한다"고 말했다.[13] 황강댐 방류 시 사전 통보하기로 약속했다. 10월 28일에는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이 대한민국의 군남댐과 황강댐 간 직통전화 개설을 제안하기도 했다.[14]2010년에는 합의가 지켜졌으나, 2011년 이후에는 유명무실해졌다.[9] 2012년 7월 18일, 태풍 카눈 (2012년)으로 인해 황강댐의 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에 방류 소식을 사전 통보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 5월 16일과 7월 6일에는 무단 방류를 실시하여 임진강 하류의 대한민국 어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2020년 7월부터 8월에도 북한은 사전 예고 없이 3차례의 방류를 실시했다.
3. 3. 계속되는 무단 방류와 대한민국의 대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대한민국 정부는 황강댐과 군남댐 관리소장 간의 국제전화 통화를 금지하고 있어, 북한이 황강댐을 방류해도 대한민국은 이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11]북한 황강댐의 무단 방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대한민국은 2007년 군남댐을 착공하여 2010년 6월 30일에 준공했다. 군남댐의 저수량은 71MT이다. 황강댐은 군남댐의 5배 저수량을 가진다. 황강댐과 군남댐 사이의 거리는 56km로, 황강댐에서 초당 500t의 물을 기습적으로 방류할 경우, 한국이 방류를 인지할 수 있는 군사분계선에서 군남댐까지는 불과 3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11]
한국수자원공사는 황강댐 방류 후 군남댐까지 물이 도달하는 데 8시간 이상 걸리고, 물이 흐르는 동안 강 좌우로 분산되므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11]
- 2009년 9월 6일 새벽 2시경, 북한의 황강댐 무단 방류로 한국인 6명이 사망했다.[1][8]
- 2009년 10월 14일, 개성특별시 남북경협협의사무소에서 열린 임진강 수해 방지 실무회담에서 북한 측은 "임진강 사고로 남측에서 뜻하지 않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유가족에 대해 심심한 조의를 표명한다"고 밝혔다.[13] 북한은 황강댐 방류 시 사전 통보를 약속했다.
- 2009년 10월 28일, 이명박 정부와 여당 한나라당은 국회에서 국방·통일 분야 당정회의를 열고, 제2의 임진강 참사를 막기 위해 북한 황강댐과 대한민국 군남댐 간 직통전화 개설을 제안했다.[14]
- 2012년 7월 18일, 태풍 카눈 (2012년)으로 인해 북한은 황강댐 수량 조절을 위해 대한민국에 방류 소식을 사전 통보했다. 경기도 연천군 임진강 유역에서 피서를 즐기던 야영객들이 대피했으며, 하류부는 9cm 정도 수위가 상승했다.
- 2016년 5월 16일, 북한의 황강댐 무단 방류로 임진강 하류의 대한민국 어민들이 피해를 입었다.
- 2016년 7월 6일, 북한은 황강댐을 다시 방류했다.
-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북한은 사전 예고 없이 3차례 황강댐을 방류했다.
2009년 9월, 북한은 사전 경고 없이 댐에서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대한민국에 대규모 홍수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6명이 사망했다.[1] 홍수 기간 동안 약 40MT의 물이 방류되었고, 경기도 접경 지역의 수위는 약 2.29m에서 약 4.60m로 급증했다.[1][3]
2009년 9월 6일 북한의 무단 방류 이후, 대한민국은 북한과 접촉하여 댐 방류 시 사전 통고를 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이 합의는 2010년에는 지켜졌지만, 2011년부터는 유명무실해졌다.[9]
북한의 댐 조작으로 인한 홍수 및 가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2010년대 초 두 개의 댐을 건설했다.[5][7]
대한민국 통일부는 "정치·군사적으로 냉랭한 현재 국면으로 인해 자연재해 관련 협력까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언급하며 상황을 정리했다.[10]
4. 대한민국의 대응과 노력
2009년 9월 6일, 북한이 예고 없이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한국 내에서 대홍수를 일으켜 한국인 6명이 희생되었다.[8] 이를 계기로 한국은 북한과 접촉하여, 북한이 댐 방류 시 사전 통고를 하기로 합의했으나, 2010년에는 지켜졌지만 2011년 이후에는 유명무실해졌다.[9]
북한의 댐 조작으로 인한 홍수 및 가뭄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한국은 2010년대 초에 군남댐 등을 건설했다.[5][7]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북한은 사전 예고 없이 3차례 방류를 실시했다. 대한민국 통일부는 "정치·군사적으로 냉랭한 현재 국면으로 인해 자연재해 관련 협력까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언급하며 상황을 정리했다.[10]
4. 1. 군남댐 건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황강댐 무단 방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대한민국은 2007년 저수량 7100만m3 규모의 군남댐 건설을 시작하여 2010년 6월 30일에 완료했다.[11] 황강댐은 군남댐보다 5배 더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황강댐과 군남댐 사이의 거리는 불과 56km로, 황강댐에서 초당 500t의 물을 갑자기 방류하면, 군사분계선에서 군남댐까지 물이 도달하는 데 3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2009년 9월, 북한은 사전 통보 없이 황강댐에서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대한민국에 큰 홍수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6명이 사망했다.[1]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은 북한과 댐 방류 시 사전 통보에 합의했으나, 2010년에는 지켜졌지만 2011년부터는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9]
북한의 댐 방류로 인한 홍수와 가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2010년대 초반에 두 개의 댐을 건설했다.[5][7]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북한은 사전 예고 없이 세 차례나 방류를 실시했다. 대한민국 통일부는 "정치·군사적으로 냉랭한 현재 상황 때문에 자연재해 관련 협력까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언급하며 상황을 수습했다.[10]
4. 2. 필승교 수위 관측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황강댐을 무단 방류하는 경우, 대한민국이 설치한 가장 북쪽의 홍수 측정 장치는 필승교에 있다. 황강댐에서 방류된 물은 통상 1시간 뒤 필승교에 도착한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방류를 시작하면서 전화 통보를 해주면, 대한민국 측은 10시간 동안 경보를 발령하고 주민들을 대피시킬 수 있다.4. 3. 2020년 한반도 집중호우와 황강댐 부댐 폭파
2020년 한반도 집중호우로 인해 황강댐 북쪽의 댐 2개가 붕괴되었다. 임진강 상류 황강댐 위로는 구룡댐, 내평댐, 4월5일댐(4호), 4월5일댐(3호) 등 4개의 작은 댐이 있고, 황강댐 아래로 군사분계선까지는 4월5일댐(2호)와 4월5일댐(1호)가 있다.[12]황강댐으로 물이 밀려오자 2020년 8월 10일 부댐(새들댐)을 폭파시켜 물을 방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들댐은 본댐 옆에 위치하며, 강 본류의 물을 지류(계곡) 쪽으로 흘려보내 본댐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하는 안전장치 구실을 한다.[12]
2020년 8월 6일, 문재인 대통령은 군남댐 현장 보고에서 "북한 황강댐이 갑자기 붕괴해도 최악의 경우까지 검토해놓아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보고를 받았다. 4일 후인 8월 10일, 북한은 황강댐 본댐 옆의 부댐을 폭파했다.
5. 남북 협력의 필요성과 과제
임진강 유역의 홍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북한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황강댐 방류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2009년 9월, 북한은 사전 경고 없이 황강댐에서 대량의 물을 방류하여 대한민국에 큰 홍수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6명이 사망했다.[1] 당시 약 40MT의 물이 방류되어 경기도 접경 지역의 수위가 급격히 상승했다.[1][3]
이 사건을 계기로 대한민국은 북한과 댐 방류 시 사전 통보에 합의했지만, 2011년 이후에는 이 합의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9] 2020년 7월부터 8월 사이에도 북한은 사전 예고 없이 3차례나 방류를 실시했다.[10] 더불어민주당은 북한의 무단 방류에 대한 재발 방지 대책 마련과 남북 간 대화 재개를 촉구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South Korea Rejects North's Explanation of Dam Release
https://www.nytimes.[...]
2009-09-07
[2]
뉴스
NK Dam Could Threaten S. Korean Regions
https://www.koreatim[...]
2009-09-08
[3]
뉴스
SKorea demands NKorea explanation for deadly flood
https://www.google.c[...]
2009-09-08
[4]
뉴스
South Korea Rejects North’s Explanation of Dam Release
https://www.nytimes.[...]
2009-09-08
[5]
웹사이트
“北の黄江ダム, 閉めれば日照り開ければ洪水”
https://dailynk.jp/a[...]
ブラスト
2019-01-03
[6]
뉴스
NK Dam Could Threaten S. Korean Regions
http://www.koreatime[...]
2009-09-08
[7]
뉴스
SKorea demands NKorea explanation for deadly flood
https://www.google.c[...]
2009-09-08
[8]
뉴스
満水近い北朝鮮黄江ダム…「水攻め準備を」坡州・漣川が非常事態(1)
https://japanese.joi[...]
2019-01-03
[9]
웹사이트
北朝鮮、また通告なしに黄江ダム放流か…統一部「被害ないが、鋭意注視」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2-08-09
[10]
웹사이트
韓国統一部「北が事前通報なく3度の黄江ダム放流」…抗議はせず「不幸なこと」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0-08-04
[11]
뉴스
임진강 군남댐 완공…北황강댐 방류 걱정 줄어
동아일보
2011-10-26
[12]
뉴스
북한 댐 2개 붕괴됐다던데..."확인 못해준다"는 정부
프레시안
2020-08-11
[13]
뉴스
북 "임진강사고 유족에 조의"
한겨레
2009-10-14
[14]
뉴스
한 "납북자.국군포로 지원 검토해야"
연합뉴스
2009-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