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국신민서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국신민서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한국인에게 일본 천황에 대한 충성을 강요하기 위해 만든 글이다. 아동용과 성인용으로 나뉘어 있으며, 일본 제국의 신민으로서 충성을 다하고 헌신할 것을 다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내선일체 정책의 일환으로 강요되었으며, 민족 말살 정책의 상징으로 비판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서 - 맹세
맹세는 신에게 하는 약속을 의미하며, 종종 결혼 서약과 같은 다른 형태의 약속을 포함하며, 종교적 행위는 물론, 머리카락을 바치는 등의 의례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 선서 - 히포크라테스 선서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 또는 그의 제자들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맹세로, 환자의 건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여기고 해를 끼치지 않으며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의사의 기본 의무로 강조하며, 현대에는 제네바 선언 등 다양한 형태로 변용되어 의료 윤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일제강점기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일제강점기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황국신민서사 | |
|---|---|
| 개요 | |
| 명칭 | 황국신민서사 (皇國臣民ノ誓詞) |
| 로마자 표기 | Hwangguk Sinmin Seosa |
| 종류 | 맹세 |
| 배경 | |
| 시대적 배경 | 일제강점기 |
| 목적 | 황국신민화 정책의 일환 |
| 내용 | |
| 일본어 원문 | 一、我等ハ皇國臣民ニシテ忠誠ヲ盡シテ武運長久ヲ祈リマス 一、我等ハ皇國臣民ニシテ互ニ信愛協カシテ團結ヲ固クシマス 一、我等ハ皇國臣民ニシテ忍苦鍛鍊其ノ智能ヲ啓發シテ以テ世務ニ服シマス |
| 한국어 번역 (1절) | 우리들은 황국신민으로서 충성을 다하여 무운장구를 축원합니다. |
| 한국어 번역 (2절) | 우리들은 황국신민으로서 서로 믿고 사랑하며 협력하여 단결을 굳게 합니다. |
| 한국어 번역 (3절) | 우리들은 황국신민으로서 고통을 참고 단련하여 그 지능을 계발함으로써 세상의 일에 종사합니다. |
2. 제정 배경
2. 1. 시대적 배경
2. 2. 내선일체 정책 강화
3. 내용
황국신민서사는 어린이용("제1")과 어른용("제2")의 두 종류가 있다.
아동용우리들은 대일본 제국의 신민(臣民)입니다. 우리들은 마음을 합하여 천황 폐하에게 충의를 다하겠습니다. 우리들은 인고단련(忍苦鍛鍊)하여 훌륭하고 강한 국민이 되겠습니다.
성인용우리들은 황국 신민이며, 충성으로써 군국에 보답하리라. 우리 황국 신민은 서로 믿고 사랑하며 협력하여 단결을 굳게 하리라. 우리 황국 신민은 인고 단련하고 힘을 길러 황도를 선양하리라.
3. 1. 아동용
우리들은 대일본 제국의 신민(臣民)입니다. 우리들은 마음을 합하여 천황 폐하에게 충의를 다하겠습니다. 우리들은 인고단련(忍苦鍛鍊)하여 훌륭하고 강한 국민이 되겠습니다.3. 2. 성인용
우리들은 황국 신민이며, 충성으로써 군국에 보답하리라. 우리 황국 신민은 서로 믿고 사랑하며 협력하여 단결을 굳게 하리라. 우리 황국 신민은 인고 단련하고 힘을 길러 황도를 선양하리라.われら/我等일본어ハこうこくしんみん/皇國臣民일본어ナリ、ちゅうせい/忠誠일본어もっ/以일본어テくんこく/君國일본어ニほう/報일본어ゼン。
われら/我等일본어こうこくしんみん/皇國臣民일본어ハ、たがい/互일본어ニしんあいきょうりょく/信愛協力일본어シ、もっ/以일본어テだんけつ/團結일본어ヲかた/固일본어クセン。
われら/我等일본어こうこくしんみん/皇國臣民일본어ハ、にんくたんれん/忍苦鍛鍊일본어ちから/力일본어ヲやしな/養일본어ヒ、もっ/以일본어テこうどう/皇道일본어ヲせんよう/宣揚일본어セン。
4. 강요와 저항
4. 1. 강요
4. 2. 저항
5. 비판과 역사적 의미
5. 1. 민족 말살 정책의 상징
5. 2. 역사적 교훈
참조
[1]
서적
「植民地朝鮮」の研究
展転社
2002
[2]
웹인용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Hwangguk Sinmin Seosa
https://web.archive.[...]
2008-09-11
[3]
서적
고등학교 국사
(주)두산
200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