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숙예황후 (청나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숙예황후는 청나라 가경제의 황후이다. 내무부 총관내무부대신 화이경액의 딸로, 1774년 건륭제의 황자 영염에게 시집가 적복진이 되었고, 가경제가 즉위한 후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황후가 된 지 1년 만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효숙황후의 시호를 받았다. 가경제와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낳았으며, 아들인 민녕은 훗날 도광제로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 정백기인 - 완룽
다우르족 출신인 완룽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황후였으나, 정략결혼과 불행한 삶, 아편 중독, 수감 생활 끝에 사망했다. - 만주 정백기인 - 동악비
동악비는 청나라 순치제의 총애를 받은 후궁으로 만주족 정백기 출신이며, 순치제의 극진한 사랑을 받아 현비, 황귀비로 초고속 승진 후 효헌장화지덕선인온혜단경황후로 추존되었으나 순치제의 시호를 받지 못한 유일한 사례로 남아 드라마와 영화 등 창작물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청나라의 황후 - 효경헌황후
효경헌황후 울라나라씨는 옹정제의 원비이자 황후로, 옹정제의 적복진으로 책봉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요절한 아들 홍휘를 두었고 사망 후 효경헌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서릉 태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황후 - 효정경황후
효정경황후는 광서제의 황후이자 선통제의 양어머니로서 융유황태후의 자리에 있었으며, 서태후의 조카딸로 권력 강화를 꾀한 서태후에 의해 황후로 간택되었으나 광서제의 총애를 받지 못했고, 신해혁명 이후 청실 퇴위 조서를 반포하며 청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기도 했지만, 멸망 후에는 청나라의 평화적 정권 이양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칭송받았다.
효숙예황후 (청나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신상 정보 | |
시호 | 효숙단화인장자의돈유소숙광천우성예황후 (孝淑端和仁莊慈懿敦裕昭肅光天佑聖睿皇后) |
출생일 | 1760년 10월 2일 (건륭(乾隆) 25년 8월 24일) |
사망일 | 1797년 3월 5일 (가경(嘉慶) 2년 2월 7일) (36세) |
사망 장소 | 자금성 (紫禁城), 베이징 |
매장지 | 창릉 (昌陵), 서청동릉 |
씨족 | 히타라 씨 (喜塔臘氏)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허얼징어 (和爾經額) |
어머니 | 왕기야 씨 (王佳氏) |
배우자 | 가경제 (嘉慶帝) |
자녀 | 둘째 딸 (이름 미상) 도광제 (道光帝) 장정고륜공주 (莊靜固倫公主) |
재위 정보 | |
재위 기간 | 1796년 2월 12일 ~ 1797년 3월 5일 |
전임 | 계황후 나라 씨 (繼皇后那拉氏) |
후임 | 효화예황후 (孝和睿皇后) |
기타 | |
만주어 표기 | ᡥᡳᠶᠣᠣᡧᡠᠩᡤᠠ ᠨᡝᠮᡤᡳᠶᠠᠨ ᠰᡠᠩᡤᡳᠶᡝᠨ ᡥᡡᠸᠠᠩᡥᡝᠣ (hiyoošungga nemgiyan sunggiyen hūwangheo) |
2. 생애
1774년(건륭 39년), 총관내무부대신 부도통 화이경액(和爾經額)의 딸로 태어나 황자 옹염의 적비(嫡妃)에 책봉되었다. 1796년(가경 원년) 남편 가경제가 황위에 오르자 황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인 1797년(가경 2년) 음력 2월 7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같은 해 음력 5월 '''효숙황후'''(孝淑皇后)라는 시호가 올려졌고, 1803년(가경 8년) 음력 10월 창릉(昌陵)에 안장되었다.[1]
황제의 첫 정실(추존 및 계실을 제외한 황후)에서 황제의 생모가 된 인물은 청나라에서 효숙예황후뿐이다. 정실에서 국모가 된 황후로는 도광제의 효전성황후(함풍제의 생모)가 있다.[4]
가경제 사후 도광제가 즉위한 1821년에 어머니의 시호를 "효서단화인장자의광천우성예(孝淑端和仁莊慈懿光天佑聖睿)"로 늘렸다. 이후 도광제 재위 기간에는 "돈유(敦裕)"가, 함풍 연간에는 "소조(昭蘇)"가 추가되었다.[1]
2. 1. 가계와 초기 생애
1774년(건륭 39년) 황자 옹염의 적비(嫡妃)에 책봉되었다. 1796년(가경 원년)에 남편 가경제가 황위에 오르자 황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인 1797년(가경 2년) 음력 2월 7일에 병으로 사망하였다.[1]효숙예황후의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1]
미래의 효숙예황후는 건륭제 재위 25년인 음력 8월 24일에 태어났으며, 이는 그레고리력으로 1760년 10월 2일에 해당한다. 1774년 6월 5일, 희타라 씨는 가경제가 되는 옹염과 결혼하여 그의 주요 후궁이 되었다.[2] 같은 해, 건륭제의 황자 영염(永琰, 훗날의 가경제)에게 시집가서 적복진(嫡福晉, 정실)이 되었다.[4]
남편과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낳았다.[4] 1780년 6월 2일에 그의 둘째 딸을 낳았지만, 이 딸은 1783년 9월 6일에 일찍 사망했고, 1782년 9월 16일에 그의 둘째 아들 도광제가 되는 민녕을 낳았으며, 1784년 10월 20일에는 그의 넷째 딸인 일등장정공주를 낳았다.[2] 청나라 황실 의무 기록에 따르면 효숙예황후는 건강했지만, 연이어 아이를 낳은 후 건강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2]
효숙예황후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1]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허얼징어(和爾經額) | 내무부 총관내무부대신, 부도통, 삼등공(三等公) |
어머니 | 왕기야 부인 | |
조부 | 창안(常安) | |
조모 | 리지야 부인 | |
형제 | 형: 성주(盛柱), 남동생: 맹주(孟柱), 령주(齡柱) |
2. 2. 황자 시절 혼인
1774년 건륭제의 황자 옹염(훗날의 가경제)에게 시집을 가서 적복진(嫡福晉, 정실)이 되었다.[1] 1774년 6월 5일, 희타라 씨는 가경제가 되는 옹염과 결혼하여 그의 주요 후궁이 되었다.[2]남편과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낳았다.[3] 1780년 6월 2일에 그의 둘째 딸을 낳았지만, 이 딸은 1783년 9월 6일에 일찍 사망했고, 1782년 9월 16일에 그의 둘째 아들 도광제가 되는 민녕을 낳았으며, 1784년 10월 20일에는 그의 넷째 딸인 장정공주를 낳았다.[2]
2. 3. 황후 시절
1774년(건륭 39년), 총관내무부대신 부도통 화이경액(和爾經額)의 딸로 황자 옹염의 적비(嫡妃)에 책봉되었다. 1796년 남편 가경제가 황위에 오르자 황후에 책봉되어 경인궁에 거주하였다.[1][3]1796년 음력 2월 9일, 건륭제는 태상황이 되면서 가경제에게 양위했고, 1796년 음력 2월 12일 황후로 책봉되었다.[2] 그러나 이듬해인 1797년 음력 2월 7일에 병으로 사망하여, 황후가 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다.[1][2] 그 해 음력 5월에 '''효숙황후'''(孝淑皇后)의 시호가 올려졌고,[1] 1797년 음력 3월 12일 내각에서 초안하여 건륭제의 승인을 받은 시호였다.[2] 1803년 음력 10월에 창릉(昌陵)에 장사지냈다.[1]
청나라에서 황제의 첫 정실(추존 및 계실을 제외한 황후)에서 황제의 생모가 된 인물은 효숙예황후뿐이다. 정실에서 국모가 된 황후는 그 외에 도광제의 효전성황후(함풍제의 생모)가 있다.[3]
2. 4. 사후
1797년(가경 2년) 음력 2월 7일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그 해 음력 5월에 '''효숙황후'''(孝淑皇后)라는 시호가 올려졌고, 1803년(가경 8년) 음력 10월에는 창릉(昌陵)에 안장되었다.[1]가경제가 사망하고 도광제가 즉위한 후, 1821년에 어머니의 시호를 "효서단화인장자의광천우성예(孝淑端和仁莊慈懿光天佑聖睿)"로 늘렸다. 도광제의 마지막 재위 기간에는 시호에 "돈유(敦裕)"가 추가되었다.[1]
함풍 연간에는 시호에 "소조(昭蘇)"가 추가되었다.[1]
3. 자녀
효숙예황후는 가경제와의 사이에서 1남 2녀를 낳았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2황녀 | 1780년 | 1783년 | 이름이 남아있지 않음. |
애신각라 면녕(旻寧) | 1782년 | 1850년 | 1820년~1850년 재위 |
장정고륜공주 | 1784년 | 1811년 | 보르지기트 씨족의 마니바다라(瑪尼巴達喇)에게 하가. |
1785년에는 임신 3개월 만에 유산한 기록이 있다.[1]
4. 드라마
- 1988년 드라마 《청궁풍운》에서 위안이링이 연기하였다.
- 2005년 드라마 《아름다운 전쟁》에서 황신의이 연기하였다.
- 2011년 드라마 《궁쇄심옥》에서 쑹원샹이 연기하였다.
- 2018년 드라마 《공심계》에서 쑤언화가 연기하였다.
참조
[1]
문서
乾隆三十九年 四月 二十七日
[2]
문서
嘉慶元年 正月 四日
[3]
문서
嘉慶二年 五月
[4]
문서
道光元年 三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