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경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경제는 청나라의 제7대 황제이자, 건륭제의 아들로 1796년부터 1820년까지 재위했다. 건륭제 사후, 간신 화신을 숙청하고 개혁을 시도했지만, 백련교도의 난, 천리교의 난 등 잦은 반란과 서구 열강의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베트남에 '베트남'이라는 국호를 하사하고, 앰허스트 사절단을 통해 영국과 통상 관계를 맺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1820년 피서산장에서 사망했으며, 뇌졸중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중국의 군주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 18세기 중국의 군주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9세기 중국의 군주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19세기 중국의 군주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건륭제의 황자 - 영황
영황은 건륭제의 아들로, 친왕 작위를 받았지만 병약하여 22세에 사망했으며, 효현황후의 장례를 감독했으나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아 건륭제의 노여움을 샀다. - 건륭제의 황자 - 영선
영선은 건륭제의 아들로, 의친왕에 봉해져 가경제와 도광제 치세 동안 존경을 받았으며, 술과 여색을 즐기다 86세로 사망하여 청나라 황족 중 가장 장수했다.
가경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아이신교로 융옌 (愛新覺羅·顒琰) |
만주어 이름 | 아이신교로 융얀(ᠠᡞᠰᡳᠨ ᡤᡞᠣᠷᠣ ᠶᠣᠩ ᠶᠠᠨ) |
묘호 | 인종 (仁宗) |
시호 | 수천흥운부화수유숭문경무광유효공근검단민영철예황제 (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光裕孝恭勤儉端敏英哲睿皇帝) |
만주어 시호 | 숭기옌 후왕디 (Sunggiyen Hūwangdi) |
생일 | 1760년 11월 13일 (건륭 25년 10월 6일) |
사망일 | 1820년 9월 2일 (가경 25년 7월 25일) |
출생지 | 베이징 원명원 |
사망지 | 청더 피서산장 |
묻힌 곳 | 창릉 (서청릉) |
연호 | 가경 (嘉慶) |
만주어 연호 | 사이충가 펑선 (Saicungga Fengšen) |
몽골어 연호 | 사이샤알트 이뢰글트 (ᠰᠠᠶᠢᠰᠢᠶᠠᠯᠲᠤ ᠢᠷᠦᠭᠡᠯᠲᠦ) |
재위 기간 | 1796년 2월 9일 – 1820년 9월 2일 |
즉위일 | 1796년 2월 9일 (가경 원년 1월 1일) |
아버지 | 건륭제 |
어머니 | 효의순황후 |
배우자 | 효숙예황후 효화예황후 |
통치 | |
재위 | 1796년 2월 9일 – 1820년 9월 2일 |
즉위 전 | 가친왕 (嘉親王) |
섭정 | 건륭제 (1796–1799) |
황제 즉위 | 1796년 2월 9일 |
이전 황제 | 건륭제 |
다음 황제 | 도광제 |
가족 | |
아들 | 도광제 민카이 (綿愷), 돈친왕 민신 (綿忻), 예친왕 민위 (綿愉), 혜단친왕 |
딸 | 장정공주 (莊敬公主) 화석장경공주 (和碩莊敬公主) |
존호 | |
만주어 | žindzung (ᡰᡳᠨᡯᡠᠩ) |
서명 | |
![]() |
2. 생애
1760년 건륭제의 열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난 가경제는 1795년 황위를 계승했으나, 아버지 건륭제가 태상황으로 실권을 쥐고 있어 명목상의 황제였다. 1799년 건륭제가 사망하자, 가경제는 건륭제의 총신 호선(和珅)을 숙청하고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호선의 재산은 국가 수입의 10~15년치에 달했다고 한다.[2]
건륭제 시기부터 청나라의 기강이 해이해졌는데, 가경제는 이를 바로잡으려 노력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백련교도의 난(1796~1804), 묘족의 난(1795~1806) 등 내부 반란 진압에 힘썼으나, 막대한 재정적 비용이 소모되었다.[7] 1813년에는 팔괘교도의 난이 일어나 자금성이 공격받는 사건(계유의 변)도 있었다.
1804년 가경제는 응우옌푹아인을 베트남 국왕으로 책봉하고, 베트남(越南)을 공식적인 국호로 정했다. 응우옌 왕조가 요청한 "남월"이라는 국호는 응우옌 왕조의 영토적 야심을 경계하여 거부했다.
이 시기 영국과의 교역으로 아편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가경제는 기독교도를 탄압하는 등 쇄국 정책을 유지하려 했으나, 서구 열강의 압력은 점차 거세졌다.
1820년 가경제는 피서산장에서 61세의 나이로 급사했다. 사인은 뇌졸중으로 추정된다.
2. 1. 어린 시절

1760년(건륭 25년) 11월 13일 원명원에서 건륭제와 그의 후궁인 영비 위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영염이 태어날 때 건륭제의 나이는 이미 50세여서 황자들 중에서 유달리 총애하였다고 한다. 영염은 효심이 깊어 황태후인 효성헌황후에게 문안을 게을리하지 않았고 아버지인 건륭제에게도 효를 다하였다. 1773년(건륭 38년), 건륭제는 저위비건법의 원칙에 따라 영염을 황태자에 비밀리에 책봉하였다. 본래 건륭제는 적장자인 제2황자 영련(永璉)을 황태자에 봉하였으나 영련이 요절하였고, 다시 적차자인 제7황자 영종(永琮)으로 책봉하였으나 영종마저도 3세에 요절한 이후로 30년 가까이 황태자를 세우지 않았다.[23] 이후 조정의 신망을 얻은 제5황자 영친왕 영기가 1766년(건륭 31년)에 사망한 뒤로는 건륭제와 조정에서 주목하는 황자가 없었다. 건륭제가 어린 영염을 비밀리에 황태자에 책봉한 것은 영염과 그의 어머니인 영귀비 위가씨를 매우 아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23] 1775년(건륭 40년), 영염의 어머니 영귀비가 죽자 건륭제는 매우 슬퍼하여 그녀에게 영의황귀비(令懿皇貴妃)란 시호를 내리고 영염과 그의 동복 형제들을 더욱 곁에 두고 총애하였다. 1789년(건륭 54년) 건륭제는 조정회의를 열고 제15황자 영염을 화석친왕(和碩親王)에 봉하여 가친왕(嘉親王)이라 부르게 하고 어전회의에 참석하여 여러 대신들과 정사를 논의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23]
옹염(顒琰)은 베이징 성벽에서 북서쪽으로 8km 떨어진 원명원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영비였는데, 오랫동안 만주 팔기에 통합된 한족 한군기 출신의 한족 관료 위청태(魏清泰)의 딸이었다.
건륭제는 원래 다른 두 아들을 후계자로 생각했지만, 두 아들 모두 일찍 병으로 죽었다. 그래서 1773년 12월에 옹염을 비밀리에 후계자로 선택했다.
2. 2. 즉위와 친정
가경제는 황제에 올랐으나, 태상황제 건륭제의 강력한 권한 행사로 제대로 정치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건륭제의 사돈이자 30여 년간 조정을 장악하던 수석군기대신 겸 대학사 화신이 가경제 대신 건륭제에게 먼저 보고를 올렸기 때문이다.[27][28] 건륭제는 즉위식에서 자신이 중요한 군국대사를 모두 처리하겠다고 선언하여 가경제의 권위는 매우 위축되었다. 가경제는 황자 시절부터 화신의 부패와 탐욕을 혐오했고, 건륭제와의 친분, 사돈 관계를 이용한 오랜 권세 유지를 불쾌하게 여겼다.[27][28] 가경제는 화신의 인사권을 제한하려 했으나, 화신은 건륭제의 비호를 받으며 대부분 가경제의 정책을 무력화했다.1799년 2월 7일, 건륭제가 붕어하자 가경제는 비로소 친정을 시작했다. 가경제는 화신에게 건륭제의 국상을 책임지게 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그를 체포했다.[28] 가경제는 화신을 직접 심문하며 자금성 안에서 함부로 말이나 가마를 탄 죄, 건륭제가 병환 중일 때 무심하게 행동한 죄, 가경제가 황자일 때 몰래 후계자로 지목한 사실을 누설한 죄 등 20가지 대죄를 물어 능지처참을 명했다. 그러나 이복 여동생이자 화신의 며느리인 고륜화효공주의 부탁으로 2월 22일 화신에게 자진을 명했다.[28][29] 화신이 자진한 후, 가경제는 그의 재산을 몰수하여 국고가 아닌 자신의 사금고(내탕금)로 보냈다. 당시 화신의 재산은 국가 총수입의 20년 치에 달하는 막대한 양이었다.[26]
가경제가 황위에 오른 1796년부터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건륭제 치세 중기부터 강희제와 옹정제가 쌓아 올린 부가 탕진되기 시작했고, 북경 귀족들은 사치와 향락에 빠져 지방 관리 감독에 소홀해졌다. 지방 관리들은 백성들에게 무거운 세금을 매기는 등 횡포를 부렸다. 건륭제 역시 이러한 부패를 청산하지 못하고 사치에 젖어 탐관오리 화신을 총애하며 정사에서 손을 뗐다. 가경제가 즉위한 후 처음 반란을 일으킨 사람은 제림(齊林)이었으나, 거사 전에 발각되어 처형당했다. 그의 아내 왕총아(王聰兒)가 남편의 뜻을 이어 1796년 3월 15일 백련교도의 난을 일으켰다.[30] 무거운 세금에 시달리던 백성들이 호응하여 호북성에서 시작된 반란은 사천성, 섬서성, 하남성까지 확산되었다. 조정은 화신과 건륭제의 처남 복강안을 총사령관으로 삼아 진압하려 했으나, 백련교도들은 험준한 지형을 이용해 청군을 교란하며 승리하기도 했다. 그러나 청군의 포위와 식량 부족으로 1798년 왕총아가 절벽에서 투신하는 등 호북성에서의 반란은 멈췄다.[31] 잔당들은 사천성, 섬서성에서 저항하다 1804년 8월에야 완전히 진압되었다.[32]
백련교도의 난에 호응하여 운남성의 묘족도 반란을 일으켰다. 묘족은 건륭제 이후 지방 관리들의 차별 정책에 반발한 것이다. 조정은 군사를 파견했으나, 운남성의 험준한 지형과 남방 기후는 북방 출신 청군에게 불리하여 진압에 어려움을 겪었다.[33] 그러나 지속적인 군사 파견으로 1806년 묘족도 진압되었다. 9년간의 백련교도의 난과 10년간의 묘족의 난으로 청 조정은 2억위안 이상의 은을 지출하여 재정에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32]
한편, 백련교의 일파인 천리교(天理敎) 역시 백성들에게 널리 퍼져 있었다. 1813년 천리교 두령 임청(林淸)과 이문성(李文成) 등은 황궁 내 환관들을 포섭했다.[34][35] 7월 18일 가경제가 피서산장으로 사냥을 떠난 사이 자금성을 탈취하기로 계획하고, 9월 14일 밤 환관들이 자금성의 동화문(東華門)과 서화문(西華門)을 열어 200여 명의 천리교도들이 자금성에 진입했다. 이들은 내전인 양심전으로 향했으나, 황궁을 지키던 제2황자 면녕이 금군과 금의위를 소집하고 직접 총으로 천리교도 두 명을 사살하며 격퇴했다.[36] 가경제는 다음날 환궁하여 면녕을 지친왕(智親王)에 책봉하고, 임청과 그 수하들을 체포하여 능지형과 참수형에 처했다. 이문성은 거사 실패 후 자결했다.[34] 이 사건은 계유지변으로 불린다. 가경제는 죄기조(罪己詔)를 발표했으나, 큰 반향은 없었다.[36]
2. 3. 내치
1799년(건륭 4년) 건륭제가 사망하자 가경제는 건륭제가 총애했던 간신 호선(和珅)을 주살했다. 호선으로부터 몰수한 재산은 국가 수입의 10~15년치에 달했다고 한다.건륭 중기 이후 청나라는 규율이 해이해졌다. 가경제는 이를 바로잡으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1805년(가경 10년), 청나라의 인구는 3억 3200만 명을 넘어섰으나[37]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재정 상태가 되지 못했다. 부패를 근절하기 위해 건륭제 이후 유야무야해진 주필 제도를 다시 제도화하여 황제에게 보고하도록 했으나, 국고는 계속 비어갔다. 가경제는 세금을 인상했지만, 백성들의 불만도 계속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몇 차례의 기근이 발생하여 1815년(가경 20년)에는 인구가 3억 260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34]
이 시기 아편이 본격적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영국과의 교역이 시작된 후 영국 상인들은 인도에서 아편을 가져와 중국에 팔았다. 1729년(옹정 7년) 금지령이 내려지고 1731년(옹정 9년) 아편 흡연자와 판매자를 처형하는 등 단속을 강화했으나, 건륭제 치세를 거치며 느슨해졌다. 가경제 치세 때에는 민간은 물론 중앙과 지방 관리들도 아편을 했다.[39] 아편 수입량은 1816년(가경 21년) 5000상자에서 1820년(가경 25년)에는 1만 상자에 육박할 정도로 증가했다.[40]
가경제는 당나라의 수필가 한유(韓愈)의 후손들에게 오경박사(五經博士) 칭호를 하사했다.[14][15][16][17]
2. 3. 1. 반란 진압
1799년(건륭 4년) 건륭제가 사망한 후, 가경제는 정권을 장악하고 아버지의 총애를 받던 핵심 관료인 호선(和珅)을 처벌했다. 호선은 부패와 권력 남용으로 기소되어 벼슬을 삭탈당하고 재산을 몰수당했으며, 자살 명령을 받았다.[2] 호선의 재산은 국가 수입의 10~15년치에 달했다고 한다.당시 청 제국은 백련교의 난(1796~1804)과 묘족의 난(1795~1806) 등 내부 혼란에 직면했다.[7] 건륭 중기 이후 청나라는 규율이 해이해졌고, 가경제는 이를 바로잡으려 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805년(가경 10년), 청나라 인구는 사상 최대인 3억 3200만 명을 넘어섰으나[37]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재정 상태가 되지 못했다. 몇 차례 기근이 발생하여 1815년(가경 20년)에는 3억 260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34] 이 무렵 중국 인구는 100년 전 2억 명에서 4억 명을 돌파했으나[22] 농경지는 겨우 1할 정도만 증가했고, 결과적으로 1인당 생산량은 감소하여 백성들의 생활은 어려워졌다. 백성들은 도적이 되어 백련교를 매개로 정부에 반란을 일으켰다.
일부 백성들은 기근으로 무거운 세금을 낼 수 없게 되자 감옥에 갇히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섬서성 백성들은 관리들의 수탈을 견디지 못하고 1백만 명 이상이나 유랑 생활을 하며 산해관 동쪽의 요동이나 고비 사막으로 도망쳤다.[38]
가경제는 제국을 안정시키고 반란을 진압하는 데 힘썼지만, 막대한 재정적 비용이 필요했다.[7] 조정군인 만주팔기는 3세의 봄의 긴 평화로 인해 타락하여 실전에는 매우 약했고, 반란군에게 연전연패했다. 궁지에 몰린 조정은 반란군 토벌을 향용이라고 불리는 의용병 군단에 의지하게 되었다. 이들은 반란 진압에 성공했다.
1813년 가경제는 천년왕국을 기대하는 불교 종파가 이끈 팔괘교의 난의 위협에 직면했다. 이들은 황제가 사냥 여행에서 돌아올 때 암살할 목적으로 자금성을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가경제는 난의 지도자인 임청(林清)에게 흥미를 느껴 비밀 심문을 명령했고, 임청은 나중에 능지처참으로 처형되었다.[8][9] 특히 천리교도의 난에서는 겨우 80명도 안 되는 반란군이 자금성까지 침입하여(계유의 변), 성벽에 화살을 쏘았다.
이와 동시에 바다에서는 해적이 활개치며 청나라 배를 공격했다. 이는 정도의 난이라고 불린다. 이 해적의 배후에는 서산당의 난에서 대월의 지배자가 된 阮氏 삼형제가 있었다. 해적과 阮氏의 관계는 분명했지만, 阮氏에게 항의해도 모른 체했다. 정부는 이장경에게 대책을 명령했다. 1777년 이후 샴으로 망명했던 광남阮氏의 잔존 세력인 阮福映은 서산조에 대한 공격을 끈기 있게 계속했고, 서산조의 내분을 틈타 10년간의 전투 끝에 서산조를 타도했다. 상황이 호전되자, 배후를 잃은 해적을 이장경이 토벌했다.
2. 4. 대외 관계
가경제 시대의 대외 관계는 여러 국가 및 사건들과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1816년, 앰허스트(Amherst), 윌리엄 앰허스트 1세 백작가 청나라에 파견되어 양국 간 통상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앰허스트가 황제에게 고두(Kowtow)를 거부하여 실패했다.[10]
바다에서는 정도의 난이라 불리는 해적들이 활개치며 청나라 배를 공격했다. 이 해적의 배후에는 서산당의 난에서 대월의 지배자가 된 阮氏 삼형제가 있었다. 해적과 阮氏의 관계는 분명했지만, 阮氏에게 항의해도 모른 체했다. 청나라 정부는 이장경에게 대책을 명령했다. 1777년 이후 샴으로 망명했던 광남阮氏의 잔존 세력인 응우옌푹아인은 끈기 있게 공격을 계속했고, 10년간의 전투 끝에 서산조를 타도했다. 상황이 호전되자, 배후를 잃은 해적을 이장경이 토벌했다.
2. 4. 1. 서구 열강과의 관계
청대 형법에는 "점술사와 무당 금지" (禁止師巫邪術)라는 조항이 있었다. 1811년에는 기독교 관련 내용이 추가되었고, 1815년과 1817년에 수정된 후, 도광제 시대인 1839년에 최종 형태로 확정되었으며, 통치제 시대인 1870년에 폐지되었다. 이 조항은 유럽인들이 한족과 만주족 사이에 가톨릭을 전파하는 것을 사형으로 처벌했다. 개종을 회개하지 않은 기독교인들은 신장의 이슬람교도 도시로 보내져 이슬람 지도자들과 베이들에게 노예로 팔렸다.[13]가경제는 기독교도를 탄압하는 등의 대책을 취했지만, 영국에서 밀수입되는 아편이 급증하는 등, 쇄국 정책의 꿈을 깨는 서구 열강의 발소리가 점점 다가오고 있었다. 아편은 후의 아편전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2. 4. 2. 베트남과의 관계
가경제는 베트남 통치자 자륭(Gia Long)의 나라 이름을 남월(Nam Việt)로 변경해달라는 요청을 거부했지만, 대신 베트남(Việt Nam)으로 변경하는 것에는 동의했다.[11] 자륭의 ''대남실록(Đại Nam thực lục)''에는 명칭 변경에 대한 외교 서신이 담겨 있다.[12]1804년(嘉慶9년) 가경제는 응우옌푹아인을 베트남 국왕으로 책봉하고, 베트남(越南)을 공식적인 국호로 정했다. 응우옌 왕조는 처음에 청나라에 "남월"(남쪽에 중화문명권에 속하는 월나라가 있고, 이 월나라는 크며 남쪽 천하를 지배하고 있다)이라는 국호를 요청했지만, 가경제는 "베트남"(월나라의 남쪽에 있는 나라)이라는 국호를 내렸다. 이는 응우옌 왕조의 북진을 지향한 영토적 야심을 경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5. 죽음
1819년(가경 24년), 가경제는 자신의 육순 만수절(萬壽節)을 기념하여 자금성에서 큰 연회를 열고, 이미 지친왕이었던 면녕을 제외한 모든 황자들의 작위를 친왕으로 올려주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820년(가경 25년)부터 가경제의 건강은 급격히 나빠졌고, 승덕의 피서산장으로 자주 요양을 떠났다. 그해 여름에도 가경제는 더위를 앓은 후 담에 걸리고 피로가 쌓여 피서산장으로 피접을 떠났다.[41]
하지만 가경제의 병세는 호전되지 않았고, 1820년 9월 2일 피서산장에서 61세의 나이로 붕어하였다. 가경제의 유조에 따라, 계유지변 때 자금성을 지켜낸 공이 있는 제2황자 지친왕 면녕이 황위를 이었다. 그러나 황위 계승 문서를 보관하는 장소가 건청궁의 정대광명(正大光明) 편액이 아닌 피서산장의 담박경성(澹泊敬誠) 편액 아래에 있었다는 점 때문에, 면녕의 즉위는 잠시 지체되었다. 면녕은 황태자로서의 지위만 인정받은 채 한 달 넘게 황위에 오르지 못하다가, 가경제의 계후인 효화예황후가 면녕의 계승을 인정하는 성지를 내린 후에야 10월 4일에 즉위할 수 있었다.[42]
가경제의 묘호는 인종(仁宗), 시호는 수천흥운부화수유숭문경무광유효공근검단민영철예황제(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光裕孝恭勤儉端敏英哲睿皇帝)이며, 능호는 창릉(昌陵)으로 청서릉(淸西陵)에 있다.
『청사고(清史稿, Draft History of Qing)』에는 가경제의 사인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가경제가 매우 비만했던 점을 들어 뇌졸중으로 사망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일각에서는 낙뢰를 맞아 사망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3. 평가
가경제는 초기에 건륭제가 태상황으로 물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조정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화신을 즉시 처벌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가경제 즉위 후 초기 4년간 화신의 횡포가 더욱 심해져 백성들의 고통이 컸다.[43] 그러나 친정을 시작한 후, 가경제는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패를 근절하려 노력했다. 부정부패의 중심인물인 화신을 자결하게 하는 등 성과도 있었지만, 광대한 청나라 전역의 관리들을 완전히 통제하지는 못해 부정부패를 완전히 뿌리 뽑지는 못했다. 가경제 자신도 화신의 재산을 몰수하여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백성들로부터 "화신이 넘어지니, 가경이 배불리 먹었다(和珅跌倒,嘉慶吃飽)"라는 비판을 받았다.[44] 그럼에도 가경제는 화신을 제거함으로써 약화되었던 황권을 강화하고 조정 내 부정부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43] 그러나 건륭제 시기 동안 통계 조작 등으로 공금을 횡령한 지방 총독과 순무들에게는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43]
중국의 역사학자 옌충녠은 가경제를 근면하지만 평범한 능력을 가진 지도자로 평가하며, 쇠퇴하는 국가 위기를 안정시키기에는 부족했다고 평가했다.[29] 미국의 역사학자 프레드릭 모트는 건륭제의 대외 팽창 정책과 외세에 대한 오판이 가경제에게 부담을 주었고, 아들 도광제와 손자 함풍제 대에 아편 전쟁과 태평천국의 난 등 내우외환으로 이어져 청나라의 재정 상태를 악화시켰으며, 가경제 또한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45] 25년간의 재위 기간 동안 황권이 강화되기는 했지만, 큰 정책적 성과는 없었고, 중앙 조정의 통제력이 지방까지 미치지 못했다.
가경제는 궁중 소장품의 인쇄된 총서 제작을 명했는데, 이는 현재 청나라 궁중 예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18] 그는 유교 경전에 대한 열렬한 학자였으며, 15,267편의 시를 남겼다고 전해진다.[19]
4. 가족
가경제는 세종 옹정헌황제의 손자이자 고종 건륭순황제의 아들로, 어머니는 효의순황후 위가씨이다.
가경제는 여러 황후와 후궁을 두었으며, 자녀는 다음과 같다.
- 황후
- * 효숙예황후 히타라 씨: 민닝(2남), 장정고륜공주(4녀), 둘째 딸(요절)
- * 효화예황후 니오후루 씨: 면개(3남), 면흔(4남), 일곱째 딸(요절)
- 황귀비
- * 화유황귀비 유가씨: 장경화석공주(3녀), 첫째 아들(요절)
- * 공순황귀비 뉴호로씨: 면유(5남), 혜민고륜공주(9녀), 여덟째 딸(요절)
- 비
- * 서비(恕妃) 완안씨
- * 화비(華妃) 후가씨: 여섯째 딸(요절)
- * 숙비(莊妃) 완안씨
- * 신비(信妃) 유가씨
- 빈
- * 간빈(簡嬪) 관가씨: 첫째 딸(요절)
- * 손빈(遜嬪) 심씨: 혜안화석공주(5녀)
- * 순빈(淳嬪) 동가씨
- * 은빈(恩嬪) 우야씨
- * 영빈(榮嬪) 양씨
- * 안빈(安嬪) 관가씨
- 귀인
- * 운귀인(芸貴人)
- * 옥귀인(玉貴人)
- 상재
- * 혜상재(慧常在)
4. 1. 황후
효숙예황후 히타라 씨(喜塔臘氏)는 1796년부터 1797년까지 재위한 황후이다. 1760년에 태어나 1797년에 사망했으며, 아버지는 삼등승은공(三等承恩公) 희랍탑 화이경액(喜塔臘 和爾經額)이고, 어머니는 일품부인(一品夫人) 왕가 씨(王佳氏)이다.[46]효화예황후 니오후루 씨(鈕祜祿氏)는 1801년부터 1820년까지 재위한 황후이다. 1776년에 태어나 1850년에 사망했으며, 아버지는 일등승은각신공(一等承恩恪愼公) 니오후루 궁갈라(鈕祜祿 恭阿拉)이고, 어머니는 일품부인(一品夫人) 여허나라 씨(葉赫那拉氏)이다.[47]
시호 | 성씨 | 재위 기간 | 생몰년도 | 비고 |
---|---|---|---|---|
효숙예황후 | 히타라 씨(喜塔臘氏) | 1796년 ~ 1797년 | 1760년 ~ 1797년 | [46] |
효화예황후 | 니오후루 씨(鈕祜祿氏) | 1801년 ~ 1820년 | 1776년 ~ 1850년 | [47] |
4. 2. 후궁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생몰년도 | 별칭 | 비고 |
---|---|---|---|---|---|
함황귀비(諴皇貴妃) | 화유황귀비(和裕皇貴妃) | 유가씨(劉佳氏) | 1761년 ~ 1834년 | [48] | |
여황귀비(如皇貴妃) | 공순황귀비(恭順皇貴妃) | 니오후루 씨(鈕祜祿氏) | 1787년 ~ 1860년 | [49] | |
비(妃) | |||||
봉호 | 이름(성씨) | 생몰년도 | 별칭 | 비고 | |
서비(恕妃) | 왕기얀 씨(完顔氏) | ? ~ 1795년 | 측복진(側福晉) | 가경제 즉위 전에 사망함. | |
화비(華妃) | 후가씨(侯佳氏) | ? ~ 1804년 | 영빈(瑩嬪)→화비(華妃) | ||
장비(莊妃) | 왕가씨(王佳氏) | ? ~ 1811년 | 춘상재(春常在) → 춘귀인(春貴人) → 화빈(和嬪) → 길빈(吉嬪) → 길비(吉妃) | ||
신비(信妃) | 유가씨(劉佳氏) | ? ~ 1822년 | 신귀인(信貴人) → 신빈(信嬪) | ||
빈(嬪) | |||||
봉호 | 이름(성씨) | 생몰년도 | 별칭 | 비고 | |
손빈(遜妃) | 심가씨(沈佳氏) | ? ~ 1786년 | 격격(格格) | ||
간빈(簡嬪) | 관가씨(關佳氏) | ? ~ 1780년 | 격격(格格) | ||
순빈(淳嬪) | 동가씨(董佳氏) | ? ~ 1819년 | 순귀인(淳貴人) | ||
영빈(榮嬪) | 양가씨(梁佳氏) | ? ~ 1826년 | 영상재(榮常在) → 영귀인(榮貴人) → 황고영빈(皇考榮嬪) | ||
은빈(恩嬪) | 우야 씨(烏雅氏) | ? ~ 1846년 | 은귀인(恩貴人) → 황고은빈(皇考恩嬪) | ||
안빈(安嬪) | 소완과이가 씨(蘇完瓜爾佳氏) | 1785년 ~ 1837년 | 안상재(安常在) → 황고안빈(皇考安嬪) | ||
귀인(貴人) 및 상재(常在) | |||||
봉호 | 이름(성씨) | 생몰년도 | 비고 | ||
운귀인(雲貴人) | ? ~ 1805년 | ||||
옥귀인(玉貴人) | ? ~ 1814년 | ||||
귀인(貴人) | 이씨(李氏) | ||||
혜상재(慧常在) |
4. 3. 황자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1남 | 다라군왕(多羅郡王) | 목(穆) | 1779년 ~ 1780년 | 화유황귀비 유가씨 | 요절함. | |
2남 | 화석지친왕(和碩智親王) | 아이신기오로 민닝(愛新覺羅 旻寧/애신각라 민녕) | 1782년 ~ 1850년 | 효숙예황후 희탑랍씨 | 제8대 황제 도광제. | |
3남 | 화석돈친왕(和碩惇親王) | 각(恪) | 아이신기오로 미얀카이(愛新覺羅 綿愷/애신각라 면개) | 1795년 ~ 1838년 | 효화예황후 뉴호록씨 | |
4남 | 화석서친왕(和碩瑞親王) | 회(懷) | 아이신기오로 미얀신(愛新覺羅 綿忻/애신각라 면흔) | 1805년 ~ 1828년 | 효화예황후 뉴호록씨 | |
5남 | 화석혜친왕(和碩惠親王) | 단(端) | 아이신기오로 미얀유(愛新覺羅 綿愉/애신각라 면유) | 1814년 ~ 1865년 | 공순황귀비 뉴호록씨 |
4. 4. 황녀
봉호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비고 | |
---|---|---|---|---|---|
1녀 | 1780년 ~ 1783년 | 간빈 관가씨 | 요절 | ||
2녀 | 1780년 ~ 1783년 | 효숙예황후 희탑랍씨 | 요절 | ||
3녀 | 장경화석공주 | 1781년 ~ 1811년 | 화유황귀비 유가씨 | 박다륵갈태친왕 박이제길특 색특납목다포제 | |
4녀 | 장정고륜공주 | 1784년 ~ 1811년 | 효숙예황후 희탑랍씨 | 다라패륵 박이제길특 마니파달나 | |
5녀 | 혜안화석공주 | 1786년 ~ 1795년 | 손빈 심가씨 | [52] | |
6녀 | 1789년 ~ 1790년 | 화비 후가씨 | 요절 | ||
7녀 | 1793년 ~ 1795년 | 효화예황후 희탑랍씨 | 요절 | ||
8녀 | 1805년 | 공순황귀비 뉴호록씨 | 요절 | ||
9녀 | 혜민고륜공주 | 1811년 ~ 1815년 | 공순황귀비 뉴호록씨 | [53] |
5. 기타
가경제는 궁중 소장품의 인쇄된 총서를 제작하도록 명령했는데, 이는 현재 청나라 궁중 예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18] 그는 유교 경전의 열렬한 학자였으며(건륭제가 사실상 통치자로 남아 있던 재위 초기에는 많은 시간을 이에 바쳤다), 15,267편의 시가 있다고 전해진다.[19]
; 가경제를 연기한 배우
- 유양(Yu Yang): 드라마 《황제의 딸》(2004)
- 신백청(Xin Baiqing): 드라마 《가경황제 전기》(Legend of Jiaqing, 2005)
- 션탐(Shaun Tam): 드라마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Succession War, 2018)
- 당가통(Tang Jiatong): 드라마 《연희공략》(Story of Yanxi Palace, 2018)
- 자일평(賈一平): 드라마 건륭왕조(2003년)
- 우양(于洋): 드라마 자금성 화의 아란(2004년)
; 기타 등장 작품
- 나오미 노빅(Naomi Novik)의 판타지 소설 《옥좌》(Throne of Jade, 2006)
- 대만 민속 설화 《가경황제 대만 여행》(嘉慶君遊臺灣)
- 드라마 《가경황제 대만 여행》(1980)
- 진아란(陳亞蘭, Tân A-lân): 드라마 《가경황제 대만 여행》(嘉慶君遊臺灣, 2022)
참조
[1]
서적
The Jiaqing Emperor
Thames & Hudson
[2]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Norton
[3]
서적
The Jiaqing Emperor
Thames & Hudson
[4]
서적
The Jiaqing Emperor
Thames & Hudson
[5]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Norton
[6]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Norton
[7]
서적
The Jiaqing Emperor
Thames & Hudson
[8]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Norton
[9]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Norton
[10]
논문
The Amherst Embassy and British Discoveries in China
[11]
서적
https://books.google[...]
[12]
서적
Chinese History in Geograph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3]
서적
Life among the Chinese: with characteristic sketches and incidents of missionary operations and prospects in China
https://archive.org/[...]
Carlton & Porter
2011-07-06
[14]
서적
Qin ding da Qing hui dian (Jiaqing chao)
[15]
서적
池北偶談 (Chi Bei Ou Tan)
朔雪寒 (Shuo Xue Han)
2014-09-03
[16]
서적
熙朝新語 (Xi Chao Xin Yu)
朔雪寒 (Shuo Xue Han)
2014-09-10
[17]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Routledge
2013-04-15
[18]
서적
The Jiaqing Emperor
Thames & Hudson
[19]
서적
The Jiaqing Emperor
Thames & Hudson
[20]
서적
嘉慶君遊臺灣故事之研究
https://ndltd.ncl.ed[...]
Taipei Municipal University of Education
2023-09-01
[21]
웹사이트
臺語文學發展年表 (1980-1989)
https://db.nmtl.gov.[...]
National Museum of Taiwan Literature
2023-09-01
[22]
웹사이트
中国とインドの超長期人口推移 中国は1840年には4億人突破
https://honkawa2.sak[...]
[23]
웹인용
청나라 12명의 황제의 진짜 모습(正說淸朝十二帝) - 가경제옹염(嘉慶帝顒琰1)
http://book.sina.com[...]
2012-12-29
[24]
서적
Mountain of Fame: Portraits in Chinese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기타
[26]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청아출판사
[27]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정조 51권, 23년(1799 기미 / 청 가경(嘉慶) 4년) 3월 30일(무자) 2번째기사 서장관 서유문이 올린 문견 별단
http://sillok.histor[...]
[29]
웹인용
청나라 12명의 황제의 진짜 모습(正說淸朝十二帝) - 가경제옹염(嘉慶帝顒琰6)
http://book.sina.com[...]
2012-12-29
[30]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Harva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32]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33]
서적
The Miao Revolt (1795–1806)
Routledge
[34]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35]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36]
조선왕조실록
순조 17권, 13년(1813 계유 / 청 가경(嘉慶) 18년) 11월 22일(을유) 1번째기사 - 황력 재자관이 청나라의 사정에 대해서 비변사에 알려 오다
http://sillok.histor[...]
[37]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2009
[38]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39]
서적
China's Last Empire: The Great Qing
2009
[40]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41]
조선왕조실록
순조 23권, 20년(1820 경진 / 청 가경(嘉慶) 25년) 11월 8일(신유) 2번째기사 - 예황제의 유서
http://sillok.histor[...]
[42]
웹인용
청나라 12명의 황제의 진짜 모습(正說淸朝十二帝) - 도광제민녕(道光帝旻寧)
http://book.sina.com[...]
2012-12-29
[43]
서적
Mountain of Fame: Portraits in Chinese History
2012
[44]
웹인용
화신이 죽으니 가경이 배부르게 먹었다(和珅跌倒,嘉慶吃飽)
http://book.qq.com/s[...]
2012-12-30
[45]
서적
Imperial China 900 - 1800
1999
[46]
인물
적복진(嫡福晉)
[47]
인물
측복진(側福晉)/귀비(貴妃)/황귀비(皇貴妃)/공자황태후(恭慈皇太后)
[48]
인물
격격(格格) → 함비(諴妃) → 함귀비(諴貴妃) → 황고함희황귀비(皇考諴禧皇貴妃)
[49]
인물
여귀인(如貴人) → 여빈(如嬪) → 여비(如妃) → 황고여귀비(皇考如貴妃) → 황고여황귀비(皇考如皇貴妃) → 황조여황귀태비(皇祖如皇貴太妃)
[50]
인물
다라돈군왕(多羅惇郡王)
[51]
인물
다라혜군왕(多羅惠郡王)
[52]
인물
요절함. 사후 가경제 때 공주로 추봉됨.
[53]
인물
요절함. 사후 가경제 때 공주로 추봉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