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도광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도광제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이며, 가경제의 차남으로 1782년에 태어나 1850년에 사망했다. 그는 아편 밀수 문제 해결에 힘썼으나, 결국 아편전쟁에서 패배하여 난징 조약을 체결하는 등 청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켰다. 도광제는 검소하고 성실한 성품을 지녔지만,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보수적인 정책을 고수하여 시대적 흐름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치세는 청나라 몰락의 전조를 보여주는 중요한 시기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중국의 군주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19세기 중국의 군주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가경제의 황자 - 면흔
    가경제의 아들인 면흔은 1등 숭선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계승에는 실패했고, 관료 생활 중 홍수 피해 구호 활동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자금성 인쇄소 관리 부실로 징계를 받았으며, 사망 후 숭선휘친왕으로 추봉되어 그의 아들이 작위를 계승했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 가경제의 황자 - 면유
    면유는 1814년 공순황귀비에게서 태어난 청나라 황족으로, 휘군왕 작위를 받고 친왕으로 승격되었으며, 제2차 아편전쟁 당시 북경 행정 및 군사 분야에서 활약했고, 격로 가문 학교를 운영했으며, "애일채집"을 남기고 동치제의 스승으로 존경받았다.
  • 청나라의 황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청나라의 황제 - 강희제
    청나라 제4대 황제인 강희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거쳐 친정 후 삼번의 난을 평정하고 타이완을 복속시켰으며 러시아 제국과의 분쟁에서 승리하고 몽골과 티베트를 정벌하는 등 정복 군주로서 활약했고, 감세 정책과 학문 장려를 통해 청나라의 전성기인 강건성세를 이룩했으며 중국 역사상 가장 긴 재위 기간을 가졌다.
도광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청 선종 도광황제 조복 초상
청 선종 도광황제 조복 초상 (베이징 고궁박물원 소장)
아이신 교로 민닝
만주어 표기ᠮᡳᠨ ᠨᡳᠩ
묘호선종
시호효천부운입중체정지문성무지용인자검근효민관정성황제
만주어 시호ᡧᠠᠩᡤᠠᠨ ᡥᡡᠸᠠᠩᡩᡳ
연호도광 (道光)
만주어 연호ᡩᠣᡵᠣ ᡝᠯᡩᡝᠩᡤᡝ
몽골어 연호Төр Гэрэлт
출생일1782년 9월 16일
출생 장소자금성 셰팡 전
사망일1850년 2월 26일
사망 장소원명원
매장지서청릉 모릉
재위
재위 시작1820년 10월 3일
재위 종료1850년 2월 25일
전임자가경제
후임자함풍제
가족 관계
아버지가경제
어머니효숙예황후
황후효목성황후 (1796년 결혼, 1808년 사망)
효신성황후 (1809년 결혼, 1833년 사망)
효전성황후 (1821년 결혼, 1840년 사망)
효정성황후 (1825년 결혼)
자녀혁위, 이등진국공
함풍제
혁총, 친왕
혁흔, 공친왕
혁환, 순친왕
혁하, 이등진국공
혁회, 이등진국공
수안공주, 고륜공주
수장공주, 화석공주
수은공주, 고륜공주
수희공주, 화석공주
수장공주, 고륜공주
연호 정보
사용 기간1821년 2월 3일 – 1851년 1월 31일
연호 (만주어)Doro eldengge
연호 (몽골어)Төр Гэрэлт
기타 정보
종교알 수 없음
직업알 수 없음
서명 유형알 수 없음

2. 생애

가경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6] 무용에 뛰어났으며, 황자 시절 천리교도의 반란(계유의 변) 때 자금성에 침입한 반란군을 직접 토벌하였다.

가경 연간부터 영국으로부터의 아편 밀수가 급증하여 국내에서 중독 환자가 증가했다. 황족들 사이에도 아편이 만연하여 건강 및 풍기 면에서 그 해악이 심각했다. 또한 아편 수입 증가로 인해, 그때까지 청의 큰 흑자였던 대영 무역이 적자로 전락하고, 국내의 은이 해외로 유출됨으로써 국내 은값이 급등했다. 당시 청에서는 일본의 삼화제도와 마찬가지로 은화와 동전이 혼용되었기 때문에 물가 체계에 혼란을 야기했다.

도광 16년(1836년), 도광제는 린쩌슈를 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아편 밀수 단속을 명령했다. 이듬해, 린쩌슈는 단호한 태도로 금수에 임하여 상인들의 아편을 몰수하여 불태웠다. 도광 20년(1840년), 영국은 아편 소각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지만 청나라에 의해 거부되었고, 영국은 함대를 파견하여 청을 공격했다(아편전쟁).[7]

아편전쟁에서 대패하고 굴욕적인 난징조약을 체결했다.[8] 조약은 홍콩섬 할양, 5개 항구의 개항 등을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그 후 마찬가지로 프랑스와 황포조약, 미국과 왕하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그 이후 청은 외부적으로 제국주의의 식민지 활동을, 내부적으로 군벌에 의한 권력 탈취를 경계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도광 30년(1850년)에 도광제가 붕어했다. 재위는 30년에 달했고 향년 68세였다. 그 직후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했다. 능묘는 청서릉에 있다.

2. 1. 초기 생애

도광제는 1782년 베이징(北京) 자금성(紫禁城)에서 가경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면녕(綿寧)이었다. 황제가 된 후에는 민녕(旻寧)으로 개명했는데, 이는 할아버지 건륭제가 명칭 금기를 고려하여 내린 결정이었다.[6]

면녕의 아버지 옹염친왕(永琰親王)은 건륭제의 15번째 아들이었으나, 면녕은 봉수제에 따라 할아버지의 왕위 계승 순서에서 첫 번째였다. 이는 어머니 희타라씨가 옹염친왕의 정실이었기 때문이다. 면녕은 할아버지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함께 사냥을 즐겼다. 아홉 살 때 사슴을 사냥하여 건륭제를 기쁘게 한 일화도 있다. 1796년 건륭제가 퇴위하고 가경제가 즉위하면서 희타라씨는 황후로 책봉되었다. 건륭제는 1799년에 87세로 사망하였고, 당시 면녕은 17세였다.

1813년, 면녕은 왕자 신분으로 팔괘교(八卦教)의 난 진압에 큰 공을 세웠다.[6] 그는 무용에 뛰어났으며, 천리교도의 반란 당시 자금성에 침입한 반란군을 직접 토벌하기도 했다.

2. 2. 즉위와 통치

1820년 9월, 묘녕(綿寧)은 가경제(嘉慶帝)가 원인 불명으로 갑자기 사망한 후 38세의 나이로 황위를 계승하였다. 그는 아버지의 장자로서 최초의 청 황제가 되었다.[1] 도광제(道光帝)로 알려진 그는 서구 세력이 중국 국경을 침범하는 쇠퇴하는 제국을 물려받았다. 그의 연호인 "도광(道光)"은 "빛나는 길"을 의미한다. 가경제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6] 무용에 뛰어났다. 황자 시절, 천리교도의 반란(계유의 변) 때 자금성에 침입한 반란군을 직접 토벌하였다.

가경 연간부터 영국으로부터의 아편 밀수가 급증하여 국내에서 중독 환자가 증가했다. 황족들 사이에도 아편이 만연하여 건강 및 풍기 면에서 그 해악이 심각했다. 또한 아편 수입 증가로 인해, 그때까지 청의 큰 흑자였던 대영 무역이 적자로 전락하고, 국내의 은이 해외로 유출됨으로써 국내 은값이 급등했다. 당시 청에서는 은화와 동전이 혼용되었기 때문에 물가 체계에 혼란을 야기했다.

도광 16년(1836년), 도광제는 린쩌슈를 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아편 밀수 단속을 명령했다. 이듬해, 린쩌슈는 단호한 태도로 금수에 임하여 상인들의 아편을 몰수하여 불태웠다. 도광 20년(1840년), 영국은 아편 소각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지만 청나라에 의해 거부되었고, 영국은 함대를 파견하여 청을 공격했다(아편전쟁).[7]

아편전쟁에서 대패하고 굴욕적인 난징조약을 체결했다.[8] 조약은 홍콩섬 할양, 5개 항구의 개항 등을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그 후 마찬가지로 프랑스와 황포조약, 미국과 왕하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도광 30년(1850년)에 도광제가 붕어했다. 재위는 30년에 달했고 향년 68세였다. 그 직후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했다.

2. 3. 아편 전쟁과 그 후

옹정제(雍正帝) 치세에 아편이 중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지만, 그 양은 연간 약 200상자에 불과했다. 건륭제(乾隆帝) 시대에는 1,000상자, 가경제(嘉慶帝) 시대에는 4,000상자로 증가했고, 도광제 시대에는 30,000상자를 넘어설 정도로 아편 문제가 심각해졌다.[2]

아편전쟁 당시 파괴된 청나라 전함


도광제는 아편을 금지하기 위해 1820년대와 1830년대에 여러 칙령을 발표했고, 광저우에 황실 특사로 임명된 린쩌슈(林則徐)가 이를 집행했다.[2] 린쩌슈의 아편 유통 중단 노력은 아편전쟁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전쟁에서 패배한 후, 도광제는 린쩌슈를 희생양으로 삼아 그의 권한을 박탈하고 일리로 유배 보냈다.[3][2]

전쟁 중, 도광제는 1842년 닝보 전투(寧波戰役) 패배에 대한 보복으로 타이완현(臺灣縣)에 억류된 영국과 인도 포로 187명을 즉결처형하도록 명령했다. 청나라는 전쟁에서 패배하여 기술적, 군사적 열세가 드러났고, 1842년 8월 난징 조약(南京條約)에 따라 홍콩을 영국에 할양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3][2]

난징 조약 체결 이후, 청나라는 프랑스와 황포조약, 미국과 왕하조약을 체결해야 했다.[8] 이로 인해 청나라는 외부적으로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활동과 내부적으로 군벌들의 권력 탈취를 경계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도광제는 1850년에 68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재위 기간은 30년이었다. 도광제 사후,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했다.

2. 4. 죽음

도광제는 1850년 2월 26일 원명원에서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그의 뒤를 이어 넷째 아들인 함풍제가 즉위했다. 도광제의 능은 청서릉에 있다.[5]

3. 가족 관계

'''비(妃)'''

봉호이름(성씨)생몰년도별칭비고
화비휘발나랍씨(輝發那拉氏)1793년 ~ 1836년측복진(側福晉) → 화빈(和嬪)
상비니오후루씨(鈕祜祿氏)1808년 ~ 1861년상귀인(祥貴人) → 상빈(祥嬪)
상비혀서리씨(赫舍里氏)1808년 ~ 1860년진귀인(珍貴人) → 상귀인(常貴人)
→ 황고상빈(皇考常嬪) → 황조상비(皇祖常妃)



'''빈(嬪)'''

봉호이름(성씨)생몰년도별칭비고
염빈푸차 씨(富察氏)1783년 ~ 1845년측복진(側福晉)
예빈상가씨(尙佳氏)1816년 ~ 1897년영상재(玲常在) → 황고상당재(皇考尚常在)
→ 황조상귀인(皇祖尚貴人) → 황조예빈(皇祖豫嬪)
순빈휘발나랍씨(輝發那拉氏)1809년 ~ 1868년순상재(順常在) → 순귀인(順貴人)
→ 황고순빈(皇考順嬪)
순빈유가씨(柳佳氏)1811년 ~ 1868년순상재(順常在) → 순귀인(順貴人)
→ 황고순빈(皇考順嬪)
항빈채가씨(蔡佳氏)1821년 ~ 1876년채답응(蔡答應) → 황고채상재(皇考蔡常在)
→ 황조채귀인(皇祖蔡貴人) → 황조항빈(皇祖恆嬪)
진빈허서리씨(赫舍里氏)1804년 ~ 1832년진귀인(珍貴人) → 진빈(珍嬪) → 진비(珍妃) → 진빈(珍嬪)


3. 1. 조부모와 부모

3. 2. 황후


  • '''효목성황후''' (孝穆成皇后) 니오후루씨(鈕祜祿氏; 1781 – 1808년 2월 17일)
  • '''효신성황후''' (孝慎成皇后) 퉁기야씨(佟佳氏; 1792년 7월 5일 – 1833년 6월 16일)
  • 정일품 '''단민공주'''(端憫固倫公主; 1813년 7월 29일 – 1819년 12월 7일), 첫째 딸
  • '''효전성황후''' (孝全成皇后) 니오후루씨(鈕祜祿氏; 1808년 3월 24일 – 1840년 2월 13일)
  • 유산 (1824년 1월 2일)
  • 정일품 '''단순공주'''(端順固倫公主; 1825년 4월 8일 – 1835년 12월 27일), 셋째 딸
  • 정일품 '''수안공주''' (壽安固倫公主; 1826년 5월 12일 – 1860년 3월 24일), 넷째 딸
  • 1841년 11월 15일 몽골 나이만 보르지긴씨(博尔济吉特氏)의 뎀추그자브(德穆楚克扎布; ? – 1865)와 결혼
  • '''의주'''(奕詝), '''함풍제''' (咸豐帝; 1831년 7월 17일 – 1861년 8월 22일), 넷째 아들
  • '''효정성황후''' (孝靜成皇后) 코르친 몽골 보르지긴씨(博爾濟吉特氏; 1812년 6월 19일 – 1855년 8월 21일)
  • '''의강'''(奕綱), 정이품 '''순화군왕'''(順和郡王; 1826년 11월 22일 – 1827년 3월 5일), 둘째 아들
  • 임신 4개월 만에 유산 (1828년 6월 28일)
  • '''의계'''(奕繼), 정이품 '''혜질군왕'''(慧質郡王; 1829년 12월 2일 – 1830년 1월 22일), 셋째 아들
  • 정일품 '''수은공주'''(壽恩固倫公主; 1831년 1월 20일 – 1859년 5월 15일), 여섯째 딸
  • 1845년 5월/6월 만주 푸차씨(富察氏)의 경수(景壽; 1829–1889)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 '''의신''' (奕䜣), 정일품 '''공충친왕'''(恭忠親王; 1833년 1월 11일 – 1898년 5월 29일), 여섯째 아들

3. 3. 후궁

봉호시호이름(성씨)생몰년도별칭비고
임황귀비
(琳皇貴妃)
장순황귀비(莊順皇貴妃)우야 씨
(烏雅氏)
1822년 ~ 1866년[15]
동귀비(彤貴妃)슈무루 씨(舒穆祿氏)1817년 ~ 1877년[16]
가귀비(佳貴妃)곽가씨(郭佳氏)1816년 ~ 1890년[17]
성귀비(成貴妃)니오후루 씨(鈕祜祿氏)1813년 ~ 1888년[18]
평귀인(平貴人)조씨(趙氏)1785년 ~ 1823년
이귀인(李貴人)이씨(李氏)1827년 ~ 1872년
나귀인(那貴人)휘발나랍씨(輝發那拉氏)1825년 ~ 1865년
정귀인(定貴人)손씨(孫氏)1785년 ~ 1843년
만상재(蔓常在)관가씨(關佳氏)1818년 ~ 1833년
목답응(睦答應)혀서리씨(赫舍里氏)1809년 ~ 1832년만주정황기 출신.
관여자(官女子)유씨(劉氏)? ~ 1843년


3. 4. 황자

순서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남다라군왕
(多羅郡王)
은지
(隱志)
아이신기오로 이웨이(愛新覺羅 奕緯/애신각라 혁위)1808년 ~ 1831년협비
나라씨(輝發那拉氏)
[19]
2남다라순군왕
(多羅順郡王)
화(和)아이신기오로 이강(愛新覺羅 奕綱/애신각라 혁강)1825년 ~ 1826년효정성황후
보르지기트씨(博爾濟吉特氏)
요절
3남다라혜군왕
(多羅慧郡王)
질(質)아이신기오로 이지(愛新覺羅 奕繼/애신각라 혁계)1829년 ~ 1829년효정성황후
보르지기트씨(博爾濟吉特氏)
요절
4남황태자
(皇太子)
아이신기오로 이주(愛新覺羅 奕詝/애신각라 혁저)1831년 ~ 1861년효전성황후
니오후루씨(鈕祜祿氏)
제9대 황제 함풍제(咸豊帝)
5남화석돈친왕
(和碩惇親王)
근(勤)아이신기오로 이총(愛新覺羅 奕誴/애신각라 혁종)1831년 ~ 1889년상비
니오후루씨(鈕祜祿氏)
[20]
6남화석공친왕
(和碩恭親王)
충(忠)아이신기오로 이힌(愛新覺羅 奕訢/애신각라 혁흔)1833년 ~ 1898년효정성황후
보르지기트씨(博爾濟吉特氏)
[22]
7남화석순친왕
(和碩醇親王)
현(賢)아이신기오로 이후완(愛新覺羅 奕譞/애신각라 혁현)1840년 ~ 1891년장순황귀비
우야씨(烏雅氏)
[23]
8남다라종군왕
(多羅鐘郡王)
단(端)아이신기오로 이허(愛新覺羅 奕詥/애신각라 혁합)1844년 ~ 1869년장순황귀비
우야씨(烏雅氏)
9남다라부군왕
(多羅孚郡王)
경(敬)아이신기오로 이후이(愛新覺羅 奕譓/애신각라 혁혜)1845년 ~ 1877년장순황귀비
우야씨(烏雅氏)


3. 5. 황녀

-봉호생몰년도생모부마비고
1녀단민고륜공주1813년 ~ 1819년효신성황후 동가씨요절함.
2녀1825년상비 뉴호록씨요절함.
3녀단순고륜공주1825년 ~ 1835년효전성황후 뉴호록씨요절함.
4녀수안공주1826년 ~ 1860년효전성황후 뉴호록씨찰살극달이한군왕 박이제길특 덕목초찰극포
5녀수장화석공주1829년 ~ 1856년상비 뉴호록씨삼등후 나목도로 은숭
6녀수은고륜공주1831년 ~ 1859년효정성황후 박이제길특씨일등성가의용단근공 부찰 경수
7녀1840년 ~ 1844년통비 슈무루씨요절함.
8녀수희화석공주1841년 ~ 1866년통비 슈무루씨니오후루 차라풍가
9녀수장고륜공주1842년 ~ 1884년장순황귀비 오아씨박라특 덕휘
10녀1844년 ~ 1845년통비 슈무루씨요절함.


4. 평가

도광제는 개인적으로 검소하고 성실했으나,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보수적인 정책을 고수하여 시대적 흐름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아편 전쟁의 패배와 난징 조약 체결은 청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7][8]

도광제는 영국과 서유럽이 겪은 청나라 경제의 급격한 변화와 산업혁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고, 세상의 다른 곳에는 눈을 감으려 했다. 황제는 영국이 세계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조차 몰랐다고 전해진다.

가경 연간부터 영국으로부터의 아편 밀수가 급증하여 국내에서 중독 환자가 증가했다. 황족들 사이에도 아편이 만연하여 건강 및 풍기 면에서 그 해악이 심각했다. 또한 아편 수입 증가로 인해, 그때까지 청의 큰 흑자였던 대영 무역이 적자로 전락하고, 국내의 은이 해외로 유출됨으로써 국내 은값이 급등했다. 당시 청에서는 은화와 동전이 혼용되었기 때문에 물가 체계에 혼란을 야기했다.

1836년, 도광제는 린쩌슈를 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아편 밀수 단속을 명령했다. 이듬해, 린쩌슈는 단호한 태도로 금수에 임하여 상인들의 아편을 몰수하여 불태웠다. 1840년, 영국은 아편 소각에 대한 배상을 요구했지만 청나라에 의해 거부되었고, 영국은 함대를 파견하여 청을 공격했다(아편전쟁).[7]

아편전쟁에서 대패하고 굴욕적인 난징 조약을 체결했다.[8] 조약은 홍콩섬 할양, 5개 항구의 개항 등을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그 후 마찬가지로 프랑스와 황포조약, 미국과 왕하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그의 30년 통치 기간에는 청나라 경제의 긴장 고조, 종파 간 불안정, 외세의 간섭이 나타났고, 이는 결국 1911년 신해혁명으로 이어지는 청나라의 몰락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도광제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 군주로, 그의 치세는 청나라 몰락의 전조를 보여주는 중요한 시기로 평가된다.

5. 연호

연호사용 기간햇수비고
도광1821년1850년30년


참조

[1] 웹사이트 Zhuozhou Celebrity — Lu Kun (涿州名人-卢坤) http://he.xinhuanet.[...] 2012-06-15
[2] 서적 Empress Dowager Cixi: The Concubine Who Launched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3] 웹사이트 Treaty of Nanking https://en.wikisourc[...]
[4] 서적 Qin ding da Qing hui dian (Jiaqing chao)0
[5] 웹사이트 Western Qing Tombs, a quiet place to pay tribute to history[1]- Chinadaily.com.cn https://www.chinadai[...]
[6] 웹사이트 道光帝(どうこうてい)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7] 웹사이트 アヘン戦争 戦争の経過 https://www.y-histor[...]
[8] 서적 南京条約 http://www.historist[...] 山川出版社
[9] 기타 적복진(嫡福晉)
[10] 기타 도광제 즉위 전에 사망하여 황후로 추존됨.
[11] 기타 계복진(繼福晉)
[12] 기타 전빈(全嬪)/전비(全妃)/전귀비(全貴妃)/황귀비(皇貴妃)/황후(皇后)
[13] 기타 정귀인(靜貴人)/정빈(靜嬪)/정비(靜妃)/정귀비(靜貴妃)/황고강자황귀태비(皇考康慈皇貴太妃)/강자황태후(康慈皇太后)
[14] 기타 함풍제의 배려로 황태후로 존봉됨. 사후 황후로 추봉됨.
[15] 기타 수귀인(秀貴人) → 임귀인(琳貴人) → 수상재(秀常在) → 임귀인(琳貴人) → 임빈(琳嬪) → 임비(琳妃) → 임귀비(琳貴妃) → 황고임귀태비(皇考琳貴太妃) → 황조임황귀태비(皇祖琳皇貴太妃)
[16] 기타 동귀인(彤貴人) → 동빈(彤嬪) → 동비(彤妃) → 동귀비(彤貴妃) → 동귀인(彤貴人) → 황고동빈(皇考彤嬪)
[17] 기타 가상재(佳常在) → 가귀인(佳貴人) → 가빈(佳嬪) → 가귀인(佳貴人) → 황고가빈(皇考佳嬪) → 황조가비(皇祖佳妃) → 황조가귀비(皇祖佳貴妃)
[18] 기타 성귀인(成貴人) → 황고성빈(皇考成嬪) → 황조성비(皇祖成妃) → 황조성귀비(皇祖成貴妃)
[19] 기타 다라패륵(多羅貝勒)
[20] 기타 다라돈군왕(多羅惇郡王)
[21] 기타 돈각친왕(惇恪親王) 미얀카이(綿愷)의 양자로 입양됨.
[22] 기타 제10대 황제 동치제의 섭정왕.
[23] 기타 다라순군왕(多羅醇郡王)
[24] 기타 제11대 황제 광서제의 친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