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혜황후 (북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혜황후 하씨는 북송 태조 조광윤의 첫 번째 부인이자, 북송 왕조가 수립되기 전에 사망한 황후이다. 개봉 출신으로, 온유하고 예법에 밝은 성품을 지녔으며, 16세에 조광윤과 결혼하여 위국대장공주, 노국대장공주, 조덕소를 낳았다. 958년에 사망한 후, 조광윤이 황제가 된 후인 962년에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효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29년 출생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후지와라노 가네이에는 헤이안 시대 공경으로, 엔유, 가잔, 이치조 천황 시대에 재상을 지내며 이치조 천황의 외조부로서 섭정이 되어 후지와라 씨의 권력을 강화하고 가잔 천황에게 양위를 강요하여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 929년 출생 - 전홍숙
    오대십국 시대 오월의 마지막 왕인 전홍숙은 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송나라의 압박에 영토를 헌납하여 오월을 종결시키고 회해국왕에 봉해졌으며, 그의 행적은 전쟁 피해를 줄였다는 긍정적 평가와 나라를 지키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 958년 사망 - 유성 (십국)
    유성은 오대십국 시대 남한의 제3대 황제로, 형을 살해하고 황위를 찬탈하여 즉위한 후 공포 정치와 사치스러운 생활로 백성들을 고통스럽게 했다.
  • 958년 사망 - 법안문익
    법안문익은 중국 오대십국 시대의 승려이자 선종의 한 종파인 법안종의 창시자로, 율학을 공부하고 깨달음을 찾아 남당 왕의 후원 아래 선의 가르침을 펼쳤으며 종문십규론으로 대표되는 그의 사상은 후대에 선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 송나라의 추존황후 - 원덕황후
    송 태종의 측실이자 송 진종의 생모인 원덕황후는 본래 이영의 딸로 태조 조광윤에 의해 태종에게 하사되었고, 태종 즉위 후 농서군부인에 봉해졌으며, 사후 진종 즉위 후 황태후로 추존되었다.
  • 송나라의 추존황후 - 장회황후
    장회황후는 북송 진종의 황후로, 대명 출신 충무군 절도사 반미의 딸이며, 진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고, 인종 때 시호가 개칭되었으며, 그녀의 생애는 역사 기록과 예술 작품에서 다르게 묘사된다.
효혜황후 (북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하씨 (賀氏)
시호효혜황후 (孝惠皇后)
생몰년929년 ~ 958년 (29 - 30세)
출생지개봉
사망지개봉 (開封)
묻힌 곳궁이, 허난, 중국
배우자
배우자태조 조광윤 (趙匡胤)
자녀
자녀조덕소 (趙德昭)
위국대장공주 (魏國大長公主)
노국대장공주 (魯國大長公主)
조덕린 (趙德鄰)
헌숙장혜대장공주 (賢肅長惠大長公主)
헌정대장공주 (賢靖大長公主)
가계
아버지하경사 (賀景思)
생애
회계군부인 책봉956년 ~ 958년

2. 생애

효혜황후 하씨는 개봉 출신으로 하경사(賀景思)의 장녀이다. 성품이 온유하고 공순하였으며 예법에 맞게 행동하였다. 아버지 하경사는 조광윤의 아버지 조홍은과 군영에서 함께 지냈는데, 944년(후진 개운 원년), 조홍은이 하씨를 아들 조광윤의 아내로 맞아들였다.[8]

후주 시대인 956년(현덕 3년), 조광윤이 정국군절도사로 임명되면서 하씨 또한 회계군부인(會稽郡夫人)으로 봉작되었다. 조광윤과의 사이에서 위왕 덕소와 위국공주, 노국공주를 두었다.[8]

958년(현덕 5년) 30세로 사망하였다. 태조가 즉위하고 962년(건륭 3년)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964년(건덕 2년) 3월, '''효혜'''(孝惠)의 시호를 내리고 안릉 서북쪽에 매장하였다. 별묘에 신주를 봉안하였다가 신종 대에 태묘에 합사되었다.[8]

하씨는 16세에 조광윤과 혼인하였는데, 두 사람은 깊이 사랑하였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였다.[3] 하씨는 허약한 체질이었지만 3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다.[4]

하씨 부인은 허난성 카이펑(변경)에서 태어났으며, 훗날 남편이 될 조광윤을 만났다.[1] 그녀는 하화포(賀懷浦)와 賀令圖|하령도중국어 두 명의 오빠가 있었다.[2]

3. 가족 관계

효혜황후는 하경사의 장녀로, 賀令圖|하령도중국어의 숙모이다. 개운 원년(944년), 아버지의 동료였던 조홍은의 아들 조광윤과 혼인하였다.[6] 현덕 3년(956년) 조광윤이 定國軍節度使|정국군 절도사중국어로 임명되자, 하씨도 회계군郡夫人|군부인중국어으로 봉해졌다.[6]

3. 1. 부모

아버지하경사
어머니미상


3. 2. 형제

효혜황후는 하화포(賀懷浦)와 하령도(賀令圖) 두 명의 오빠가 있었다.[1] 효혜황후의 아버지 하경사(何景思)와 훗날 남편이 될 조광윤의 아버지는 동료로, 후당 시대에 궁궐 경비병으로 함께 근무했다.[2]

3. 3. 남편

조광윤(927년 ~ 976년)은 북송의 초대 황제였다. 효혜황후는 조광윤과 후당 시대에 궁궐 경비병으로 함께 근무한 하경사의 장녀였다.[2] 효혜황후와 조광윤은 카이펑에서 만나 16세에 결혼했다.[1][3] 두 사람은 서로 깊이 사랑했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3] 효혜황후는 허약한 체질에도 불구하고 3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으나, 조광윤이 즉위하기 전 3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조광윤이 황위에 오른 후 효혜황후(孝惠皇后)로 추존되었다.[4]

3. 4. 자녀

효혜황후는 송 태조와의 사이에서 3남 2녀를 두었다.[4] 아들은 연의왕 조덕소, 등왕 조덕수, 숙왕 조덕림이며,[1] 딸은 현숙제희와 현정제희이다.[1]

3. 4. 1. 아들


  • 연의왕 조덕소 (951년 ~ 979년)
  • 등왕 조덕수
  • 숙왕 조덕림

3. 4. 2. 딸


  • 현숙제희(위국대장공주, ? ~ 1008년): 송 태조의 장녀이다.[1]
  • 현정제희(노국대장공주, ? ~ 1009년): 송 태조의 차녀이다.[1]

4. 기타

우천우위율부솔이었던 하경사의 장녀로[6], 賀令圖|하령도중국어의 숙모이다. 개운 원년(944년), 아버지의 동료였던 趙弘殷|조홍은중국어에 의해 조광윤의 아내가 되었다[6]。조광윤과의 사이에 魏國大長公主|위국대장공주중국어, 魯國大長公主|노국대장공주중국어, 조덕소 3명의 자녀를 낳았다. 현덕 3년(956년) 조광윤이 定國軍節度使|정국군 절도사중국어로 임명되자, 하씨도 회계군 郡夫人|부인중국어으로 봉해졌다[6]

현덕 5년(958년)에 30세로 사망했다[6]。조광윤이 을 건국한 후 건륭 3년(962년) 4월에 황후로 추봉되었다. 건덕 2년(964년) 3월에 효혜황후로 시호되었으며[7], 같은 해 4월 안릉 서북쪽 신주향의 별묘에 장례되었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Song clan https://en.wikipedia[...]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ang Through Ming, 618-1644 https://books.google[...] M.E. Sharpe
[3] 서적 Extended Continuation to Zizhi Tongjian (續資治通鑑長編) https://zh.wikipedia[...]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ang Through Ming, 618-1644 https://books.google[...] M.E. Sharpe
[5] 서적 History of the Song clan https://en.wikipedia[...]
[6] 서적 『宋史』巻二百四十二 列伝第一 孝恵賀皇后
[7] 간행물
[8] 서적 《송사》(宋史) 권242 〈열전〉(列傳) 제1 후비(后妃) 상 - 효혜하황후(孝惠賀皇后)
[9] 서적 《송조사실》(宋朝事實) 권1 〈조종세차〉(祖宗世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