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62년은 신성 로마 제국이 성립되고 가즈나 왕조가 세워진 해이다. 교황 요한 12세가 오토 1세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대관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이 시작되었고, 루스는 아스트라한을 약탈했다. 동아시아에서는 962년은 오토 1세가 황제로 즉위한 해이며, 서아시아에서는 비잔틴군이 알레포를 약탈하는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962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신성 로마 제국 |
존속 기간 | 962년 - 1806년 |
정치 | |
정치 체제 | 선거 군주제 |
황제 | 오토 1세 |
역사적 사건 | |
건국 | 오토 1세의 대관식 (962년 2월 2일) |
멸망 | 라인 연방 결성 (1806년) |
기타 | |
이전 | 동프랑크 왕국 |
이후 | 라인 연방 |
2. 연호
- 중국
- 북송: 건륭(建隆) 3년
- 요: 응력(應曆) 12년
- 십국(十國)
- 남당: 건륭(建隆) 3년 (북송의 연호를 사용)
- 오월: 건륭(建隆) 3년 (북송의 연호를 사용)
- 남한: 대보(大寶) 5년
- 후촉: 광정(廣政) 25년
- 북한: 천회(天會) 6년
- 기타
- 우전: 동경(同慶) 51년
- 고려: 준풍 3년
- 일본: 오와(応和|오와일본어) 2년 / 황기 1622년
- 간지: 임술년
3. 기년
4. 사건
- 신성 로마 제국이 성립되었다. 2월 2일, 동프랑크 왕 오토 1세가 로마에서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황제 대관을 받았다.[1] 이후 오토 1세는 이탈리아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교황과의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을 겪었다. (상세 내용은 유럽 문단 참고)
- 12월, 아랍-비잔틴 전쟁의 일환으로 비잔틴 제국 군대가 시리아 북부의 알레포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상세 내용은 서아시아 문단 참고)
- 루스가 하자르 카간국의 도시 아스트라한을 약탈했다.
- 스코틀랜드의 왕 인둘프가 전사하고 두브가 왕위를 계승했다.
- 잉글랜드 런던의 세인트 폴 대성당이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같은 해 재건되었다.
- 가즈나 왕조가 성립되었다.
4. 1. 서아시아
- 12월 – 아랍-비잔틴 전쟁의 일환으로 알레포 약탈 사건이 일어났다. 비잔틴 제국의 장군 니케포로스 2세 포카스가 이끄는 원정군이 북부 시리아를 침공하여 함단 왕조의 에미르 사이프 알다울라의 수도인 알레포를 점령하고 약탈했다. 12월 말 함락된 알레포에서는 많은 주민이 살해당하거나 노예로 잡혔고, 도시는 불탔다. 비잔틴군은 이 과정에서 은 디나르 39만 개, 낙타 2,000마리, 노새 1,400마리를 전리품으로 얻었다.
4. 2. 유럽
962년 2월 2일, 동프랑크 왕 오토 1세는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황제 대관을 받았다. 이로써 40년 만에 서방에 황제가 다시 등장했으며, 로마의 봉건적 무정부 상태가 종식되었다. 오토 1세의 아내 이탈리아의 아델라이드 역시 황후로 성유되었고, 동프랑크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하나의 정치체로 통합되었다.[1] 이는 신성 로마 제국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2월 13일, 오토 1세와 교황 요한 12세는 ''오토눔 칙령''에 공동 서명했다. 이 칙령을 통해 오토 1세는 요한 12세를 가톨릭교회의 영적 수장으로 인정하는 한편, 교황령에 대한 교황의 세속적 지배권을 확인하고 라벤나 엑사르키아, 스폴레토 공작령, 베네벤토 공작령까지 그 지배권을 확대하는 것을 인정했다.
여름, 오토 1세는 오베르텡기 가문의 오베르토 1세를 팔라틴 백작(황제 다음가는 직위)으로 임명하고, 오베르텡가 변경백령(동부 리구리아)을 하사하며 제노바를 수도로 삼게 했다. 오베르토 1세는 또한 필사실로 유명한 보비오 수도원의 재산도 받았다.
같은 해, 오토 1세는 군대를 이끌고 피에몬테의 오르타 호수 내 산 줄리오 섬을 포위했다. 이곳에는 이탈리아의 왕 베렌가리오 2세의 아내 빌라가 요새를 구축하고 저항하고 있었다. 빌라는 결국 항복했고, 오토 1세는 그녀를 석방하여 남편 베렌가리오 2세가 있는 몬테펠트로로 갈 수 있도록 허락했다. 이후 오토 1세는 베렌가리오 2세의 아들들인 이부레아의 귀도와 아달베르토 2세가 지지자들과 함께 웅크리고 있던 가르다 호수를 포위했으나, 심한 저항에 부딪혀 포위를 풀고 롬바르디아의 수도 파비아로 돌아갔다.
가을, 오토 1세는 교황 요한 12세가 자신을 배신하고 베렌가리오 2세뿐만 아니라 비잔틴 제국과도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내용의 편지를 받았다. 이 편지는 베네벤토의 롬바르드 공작 판돌포 1세('강철머리')가 가로챈 것이었다.
한편, 스코틀랜드와 픽트족의 왕 인둘프가 8년간의 통치 끝에 사망했다. 그는 컬렌 근처에서 벌어진 바이킹과의 전투(보즈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조카 두브(Dub mac Maíl Coluim)가 스코틀랜드 왕국의 왕위를 계승했다.
잉글랜드에서는 런던의 세인트 폴 대성당이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같은 해에 재건되었다.
또한 루스인들이 카스피해 연안의 하자르 카간국 도시 아스트라한을 약탈했다.
5. 탄생
- 베르나르 로제, 프랑스 귀족 (대략적인 날짜)
- 에드워드 2세 ('''순교자'''), 잉글랜드 왕국의 국왕 (대략적인 날짜)
- 조프루아 (또는 '''고드프루아'''), 프랑스 귀족 (1015년 사망)
- 이븐 파라디, 무어 학자이자 역사가 (1012년 사망)
- 류 메이, 중국 관리이자 장군 (대략적인 날짜)
- 클뤼니의 오딜론, 프랑스 베네딕토회 수도원장 (1049년 사망)
- 로그네다 오브 폴로츠크, 키예프 루스 대공비 (1002년 사망)
- 왕흠약, 북송의 정치가 (1025년 사망, 대략적인 날짜)
- 윌리엄 오브 볼피아노, 이탈리아 수도원장 겸 건축가 (1031년 사망)
- 겸준, 헤이안 시대의 진언종 승려 (몰년 미상)
- 후지와라노 겐시, 엔유 천황의 여어 (1002년 사망)
6. 사망
- 4월 26일 – 아달베로 1세, 메츠의 주교
- 5월 23일 – 귈베르, 프랑크 족 수도원장 ( 892년 출생)
- 10월 14일 – 게를로크, 프랑크 족 귀족
- 에델왈드, 이스트앵글리아의 왕
- 보두앵 3세 (젊은이), 프랑크 족 귀족
- 샤를 콘스탄틴, 프랑크 족 귀족
- 둥위안, 중국 화가 (대략적 연도)
- 가오바오쉬, 난핑 (중국)의 왕 ( 924년 출생)
- 고보욱, 오대십국・형남의 제4대 왕 ( 924년 출생)
- 고젤린, 프랑크 족 귀족이자 주교
- 함자 알 이스파하니, 페르시아 역사가 (대략적 연도)
- 베르망두아의 위그, 프랑크 족 대주교 ( 920년 출생)
- 이븐 알 자얏, 함단 왕조 총독
- 인둘프 (공격자), 스코틀랜드의 왕
- 류총샤오, 중국 장군 ( 906년 출생)
- 오르도뇨 4세, 레온의 왕 (또는 963년)
- 시구르드 하콘손, 노르드 바이킹 귀족
- 빌헬름 테유페르 1세, 프랑크 족 귀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