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의 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의 군주는 훈족의 왕들에 대한 정보를 담은 문서이다. 전설에 따르면 훈족과 마자르족은 메네로트 왕과 그의 아들 후노르와 마고르 형제의 후손이다. 문서에서는 발람베르, 울딘, 카라톤, 옥타르와 루길라, 아틸라, 엘락, 뎅기지크, 에르나크 등 훈족의 왕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헝가리 역사와의 연결성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훈족의 왕 - 아틸라
아틸라는 5세기 중엽 훈족을 이끌고 동유럽과 서로마 제국을 침공하여 유럽에 공포를 떨친 훈족의 왕으로, 서로마 제국과 동로마 제국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서방에서는 공포의 대상이지만 헝가리에서는 민족 영웅으로 숭앙받고 문화적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훈의 군주 | |
---|---|
개요 | |
![]() | |
국가 | 훈족 |
수도 | 판노니아 |
존속 시기 | 기원후 360년대 경 – 469년 이후 |
임명 방식 | 미지정, 사실상 세습 |
역사 | |
최초의 군주 | 발람베르 |
마지막 군주 | 에르나크 |
2. 전설 속 훈족
헝가리 전설에 따르면, 훈족과 마자르족의 조상은 메네로트 왕과 그의 아들들인 후노르와 마고르 형제이다. 마고르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훈족과 마자르족의 조상인 두 명의 전설적인 형제 중 한 명이었다.[11] 그는 스키타이의 왕 메네로트의 아들이라고 한다.[12][11] 후노르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스키타이 왕 메네로트와 그의 아내 에네스의 아들이었다. 그는 마고르의 형제였으며, 그와 함께 마자르족과 훈족의 조상이었다.
'''마고르(Magor)'''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훈족과 마자르족의 조상인 두 명의 전설적인 형제 중 한 명이었다.[11] 그는 스키타이의 왕 메네로트의 아들이라고 한다.[12][11] 게스타에 따르면, 후노르가 판노니아에 도착했을 때, 그는 200년경에 도착한 알란족(이 경우 야지게스족)을 만났다.[7][8][9][10] 마고르는 알란 공주, 듈로 또는 듈라의 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후노르(Hunor)'''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스키타이 왕 메네로트와 그의 아내 에네스의 아들이었다. 그는 마고르의 형제였으며, 그와 함께 마자르족과 훈족의 조상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그와 그의 형제는 사냥을 하던 중 만난 수사슴에 의해 메오티스 늪지로 이끌려 갔다. 그들은 아버지에게 허락을 구한 후 그곳에 정착했다.[13][14] 후노르는 알란 공주, 듈라의 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2. 1. 메네로트 왕조 (전설)
헝가리 전설에 따르면, 훈족과 마자르족의 조상은 메네로트 왕과 그의 아들들인 후노르와 마고르 형제이다. 마고르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훈족과 마자르족의 조상인 두 명의 전설적인 형제 중 한 명이었다.[11] 그는 스키타이의 왕 메네로트의 아들이라고 한다.[12][11] 후노르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스키타이 왕 메네로트와 그의 아내 에네스의 아들이었다. 그는 마고르의 형제였으며, 그와 함께 마자르족과 훈족의 조상이었다.2. 1. 1. 후노르와 마고르
'''마고르(Magor)'''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훈족과 마자르족의 조상인 두 명의 전설적인 형제 중 한 명이었다.[11] 그는 스키타이의 왕 메네로트의 아들이라고 한다.[12][11] 게스타에 따르면, 후노르가 판노니아에 도착했을 때, 그는 200년경에 도착한 알란족(이 경우 야지게스족)을 만났다.[7][8][9][10] 마고르는 알란 공주, 듈로 또는 듈라의 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후노르(Hunor)'''는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스키타이 왕 메네로트와 그의 아내 에네스의 아들이었다. 그는 마고르의 형제였으며, 그와 함께 마자르족과 훈족의 조상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그와 그의 형제는 사냥을 하던 중 만난 수사슴에 의해 메오티스 늪지로 이끌려 갔다. 그들은 아버지에게 허락을 구한 후 그곳에 정착했다.[13][14] 후노르는 알란 공주, 듈라의 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3. 훈족의 왕 (360년 ~ 469년)
3. 1. 왕조 이전 (360년 ~ 434년)
발람베르는 훈족의 첫 번째 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실존 여부는 일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15] 발람베르가 실제로 존재했다면, 그는 훈족이 판노니아에 도착했을 당시의 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요르다네스는 그가 370년대, 아마도 서기 376년경에 동고트족을 궤멸시켰다고 기록했다.[15] 발람베르는 고트족과 세 번의 전투를 벌였다. 처음 두 번의 충돌에서 패배한 후, 그는 세 번째이자 결정적인 전투에서 고트족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그의 훈족을 이끌었다. 이 전투에서 그는 에라크 강에서 고트족의 왕 비니타리우스를 화살로 죽였다. 그리고 비니타리우스의 손녀 바다메르카와 결혼했다.
울딘()은 4세기 말에 태어났으며, 400년에 문테니아의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의 왕국이 북쪽과 동쪽으로 얼마나 확장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서쪽으로는 적어도 378년부터 훈족이 정착했던 다뉴브강에 도달했을 것이다. 울딘은 ''magister militium'' 가이나스를 격파하여 그의 머리를 잘라 로마인들에게 외교 선물로 보냈다. 그는 또한 이탈리아에서 로마군과 함께 싸웠으며, 특히 파에술라 전투에서 고트족의 왕 라다가이수스를 격파하고 살해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이후 다키아 리펜시스의 카스트라 마르티스를 정복했다.
카라톤(Χαράτωνς)은 5세기 말에 태어났으며, 412년부터 훈족을 통치했다. 그는 로마 대사 테베의 올림피오도로스를 접견했는데, 올림피오도로스는 훈족 왕들의 활 기술에 주목했으며, 카라톤은 도나투스라는 사람의 부당한 암살에 분노했다고 기록했다.
옥타르와 루길라는 형제로서, 훈 제국을 동서로 나누어 통치했다.[16] 옥타르는 훈 제국의 서쪽 부분을 다스렸고, 루길라는 동쪽을 다스렸다.[16] 루길라는 훈족의 로마에 대한 초기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423년 또는 431년경, 로마는 판노니아 프리마의 일부를 루길라에게 양도했다.[17] 옥타르가 430년 부르군디족과의 원정에서 사망한 후, 루길라가 단독 왕이 되었다.[17]
3. 1. 1. 발람베르
발람베르는 훈족의 첫 번째 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실존 여부는 일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15] 발람베르가 실제로 존재했다면, 그는 훈족이 판노니아에 도착했을 당시의 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요르다네스는 그가 370년대, 아마도 서기 376년경에 동고트족을 궤멸시켰다고 기록했다.[15] 발람베르는 고트족과 세 번의 전투를 벌였다. 처음 두 번의 충돌에서 패배한 후, 그는 세 번째이자 결정적인 전투에서 고트족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그의 훈족을 이끌었다. 이 전투에서 그는 에라크 강에서 고트족의 왕 비니타리우스를 화살로 죽였다. 그리고 비니타리우스의 손녀 바다메르카와 결혼했다.3. 1. 2. 울딘
울딘()은 4세기 말에 태어났으며, 400년에 문테니아의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의 왕국이 북쪽과 동쪽으로 얼마나 확장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서쪽으로는 적어도 378년부터 훈족이 정착했던 다뉴브강에 도달했을 것이다. 울딘은 ''magister militium'' 가이나스를 격파하여 그의 머리를 잘라 로마인들에게 외교 선물로 보냈다. 그는 또한 이탈리아에서 로마군과 함께 싸웠으며, 특히 파에술라 전투에서 고트족의 왕 라다가이수스를 격파하고 살해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이후 다키아 리펜시스의 카스트라 마르티스를 정복했다.
3. 1. 3. 카라톤
카라톤(Χαράτωνς)은 5세기 말에 태어났으며, 412년부터 훈족을 통치했다. 그는 로마 대사 테베의 올림피오도로스를 접견했는데, 올림피오도로스는 훈족 왕들의 활 기술에 주목했으며, 카라톤은 도나투스라는 사람의 부당한 암살에 분노했다고 기록했다.3. 1. 4. 옥타르와 루길라
옥타르와 루길라는 형제로서, 훈 제국을 동서로 나누어 통치했다.[16] 옥타르는 훈 제국의 서쪽 부분을 다스렸고, 루길라는 동쪽을 다스렸다.[16] 루길라는 훈족의 로마에 대한 초기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423년 또는 431년경, 로마는 판노니아 프리마의 일부를 루길라에게 양도했다.[17] 옥타르가 430년 부르군디족과의 원정에서 사망한 후, 루길라가 단독 왕이 되었다.[17]3. 2. 아틸라 왕조 (434년 ~ 469년)
블레다는 아틸라의 형으로, 공동 통치 기간 동안 발칸반도, 트라키아, 그리스를 정복하고 로마에 공물을 요구하는 등 훈족의 세력을 확장했다.[19] 그러나 그는 동생 아틸라에게 살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틸라'''(아틸라/Ἀττίλαgrc)는 훈족의 마지막 단독 왕이었다. 그는 판노니아를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발트해와 "대양의 섬", 동쪽으로는 카스피해까지 뻗어 있는 광대한 제국을 통치했다.[18] 아틸라는 거의 모든 전투에서 승리했다. 형제 블레다와 함께 발칸반도, 트라키아, 그리스에서 성공적인 원정을 펼쳤고, 우투스 전투에서 로마군을 격파하고 아퀼레이아를 점령 및 파괴했으며, 파도바, 만토바, 비첸차, 베로나, 브레시아, 베르가모를 약탈한 후 밀라노를 포위하여 점령했다.[19] 그의 유일한 패배 가능성은 카탈라우니아 평원의 전투에서 나왔다. 이 전투의 결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결정적이지 않았다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이를 훈족의 승리로 간주하여,[20] 아틸라를 역사상 주요 무패 왕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그는 동시대의 기록에 따르면 453년에 자연사로 예기치 않게 사망했지만, 나중에 전설로 발전한 보고에 따르면 아틸라는 아내 중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엘락과 엘락의 형제들이 왕위를 계승했다.

'''엘락'''은 아틸라 왕의 장남으로, 그의 주요 아내 중 한 명인 크레카에게서 태어났다. 그는 448년까지 아버지로부터 폰토스 스키티아의 국가의 왕으로 임명되었으며, 아카치리의 왕이라는 칭호도 받았다. 453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그는 형제들과 함께 붕괴되어 가는 제국을 분할한 것으로 보인다. 엘락이 단독 왕의 칭호를 상속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어쨌든 그는 아버지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형제 뎅기지크와 에르나크가 왕위를 계승했다. 헝가리 전통에 따르면, 아틸라의 수많은 다른 자녀 중 한 명이자 엘락의 형제 중 한 명은 차바라고 불렸다.

'''뎅기지크'''(뎅기지크, 딘지리코스/Δεγγιζίχ, Δινζίριχοςgrc)와 '''에르나크'''(에르나크, 이르니크/Ирникъbg)는 아틸라의 아들들이다. 엘락의 뒤를 이어 훈족, 동맹 및 정복된 게르만 부족을 공동 통치했지만, 영토는 분할하여 다스렸다.[21]
뎅기지크는 동로마 제국 침공에 실패한 후 469년에 사망했다.
에르나크는 아틸라의 막내 아들로, 훈족 예언자들은 그가 아틸라와 그의 백성의 혈통을 이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는 종종 불가리아 칸의 명칭집의 이르니크와 동일시되는데, 이르니크는 둘로 씨족의 후손이자 대략 서기 437년부터 150년 동안 불가르족의 지도자로 기록되어 있다.[5][22]
'''차바''' (전설)는 호라즘 여성이 낳았으며, 454년에서 469년 이후까지 생존한 것으로 알려진다. 헝가리 연대기 저술가 케자의 시몬과 칼트의 마르크에 따르면, 아바 씨족은 차바의 후손이다.[23][24][25] 마르크는 또한 아르파드 왕조도 차바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26] 벨러 3세의 익명의 서기는 아르파드 왕조를 아틸라와 연결했지만, 아틸라의 어떤 아들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명시하지 않았다.[27] 그는 또한 아틸라에게 에드(u), 그의 형제 에두멘, 그리고 그들의 아바 후손들(예: 파타, 사무엘 아바)을 연결하지 않았으며, 대신 그들에게 쿠만족의 혈통을 부여했다.[28]
3. 2. 1. 블레다
블레다는 아틸라의 형으로, 공동 통치 기간 동안 발칸 반도, 트라키아, 그리스를 정복하고 로마에 공물을 요구하는 등 훈족의 세력을 확장했다.[19] 그러나 그는 동생 아틸라에게 살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2. 2. 아틸라
'''아틸라'''(Ἀττίλαgrc)는 훈족의 마지막 단독 왕이었다. 그는 판노니아를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발트해와 "대양의 섬", 동쪽으로는 카스피해까지 뻗어 있는 광대한 제국을 통치했다.[18] 아틸라는 거의 모든 전투에서 승리했다. 형제 블레다와 함께 발칸반도, 트라키아, 그리스에서 성공적인 원정을 펼쳤고, 우투스 전투에서 로마군을 격파하고 아퀼레이아를 점령 및 파괴했으며, 파도바, 만토바, 비첸차, 베로나, 브레시아, 베르가모를 약탈한 후 밀라노를 포위하여 점령했다.[19] 그의 유일한 패배 가능성은 카탈라우니아 평원의 전투에서 나왔다. 이 전투의 결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결정적이지 않았다는 데 동의한다. 그러나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이를 훈족의 승리로 간주하여,[20] 아틸라를 역사상 주요 무패 왕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그는 동시대의 기록에 따르면 453년에 자연사로 예기치 않게 사망했지만, 나중에 전설로 발전한 보고에 따르면 아틸라는 아내 중 한 명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엘락과 엘락의 형제들이 왕위를 계승했다.
3. 2. 3. 엘락
엘락은 아틸라 왕의 장남으로, 그의 주요 아내 중 한 명인 크레카에게서 태어났다. 그는 448년까지 아버지로부터 폰토스 스키티아의 국가의 왕으로 임명되었으며, 아카치리의 왕이라는 칭호도 받았다.[18] 453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그는 형제들과 함께 붕괴되어 가는 제국을 분할한 것으로 보인다. 엘락이 단독 왕의 칭호를 상속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어쨌든 그는 아버지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454년 네다오 전투에서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형제 뎅기지크와 에르나크가 왕위를 계승했다. 헝가리 전통에 따르면, 아틸라의 수많은 다른 자녀 중 한 명이자 엘락의 형제 중 한 명은 차바라고 불렸다.
3. 2. 4. 뎅기지크와 에르나크
뎅기지크(뎅기지크, 딘지리코스/Δεγγιζίχ, Δινζίριχοςgrc)와 에르나크(에르나크, 이르니크/Ирникъbg)는 아틸라의 아들들이다. 엘락의 뒤를 이어 훈족의 잔존 세력, 훈족, 동맹 및 정복된 게르만 부족을 공동 통치했지만, 영토는 분할하여 다스렸다.[21]뎅기지크는 동로마 제국 침공에 실패한 후 469년에 사망했다.
에르나크는 아틸라의 막내 아들로, 훈족 예언자들은 그가 아틸라와 그의 백성의 혈통을 이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는 종종 불가리아 칸의 명칭집의 이르니크와 동일시되는데, 이르니크는 둘로 씨족의 후손이자 대략 서기 437년부터 150년 동안 불가르족의 지도자로 기록되어 있다.[5][22]
3. 2. 5. 차바 (전설)
'''차바''' (전설)는 호라즘 여성이 낳았으며, 454년에서 469년 이후까지 생존한 것으로 알려진다. 헝가리 연대기 저술가 케자의 시몬과 칼트의 마르크에 따르면, 아바 씨족은 차바의 후손이다.[23][24][25] 마르크는 또한 아르파드 왕조도 차바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26] 벨러 3세의 익명의 서기는 아르파드 왕조를 아틸라와 연결했지만, 아틸라의 어떤 아들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명시하지 않았다.[27] 그는 또한 아틸라에게 에드(u), 그의 형제 에두멘, 그리고 그들의 아바 후손들(예: 파타, 사무엘 아바)을 연결하지 않았으며, 대신 그들에게 쿠만족의 혈통을 부여했다.[28]
4. 훈족의 유산
4. 1. 헝가리 역사와의 연결성
참조
[1]
서적
Attila the Hun Arch-Enemy of Rome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2022-10-25
[2]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2-11-17
[3]
서적
Bulgarian Historical Review Volumes 16-17
https://books.google[...]
Publishing House of th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2022-11-17
[4]
서적
Uralic and Altaic Series Volume 66, Issues 5-6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2022-11-17
[5]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
[6]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7]
문서
"Simon of Kéza: Gesta Hunnorum et Hungarorum'' (ch. 1.4–5), pp. 13–17."
[8]
문서
"Havassy Péter (szerk.): ''Jazigok, roxolánok, alánok.'' Szarmaták az Alföldön., 1998"
https://mek.oszk.hu/[...]
[9]
문서
"Istvánovits Eszter és Kulcsár Valéria (2007): Az első szarmaták az Alföldön."
https://josamuzeum.h[...]
[10]
웹사이트
Scythians, Sarmatians, Alans - Iranian-speaking nomads of the Eurasian steppe
https://epa.oszk.hu/[...]
[11]
서적
"Eneth, Hunor és Magyar; Menroth"
Akadémiai Kiadó
1994
[12]
서적
A Concise History of Hung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3]
문서
Simon of Kéz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ch. 1.4–5), pp. 13–17
[14]
서적
Hungarian History in the Ninth Century
Szegedi Középkorász Muhely
1996
[15]
서적
History of the Goth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16]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17]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18]
서적
Attila the Hu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2-11-17
[19]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1-15
[21]
서적
The World of the Huns: Studie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22]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3]
서적
The Deeds of the Hungarians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4]
문서
"[[Simon of Kéza]], ''[[Gesta Hunnorum et Hungarorum]]''."
https://mek.oszk.hu/[...]
[25]
문서
"[[Mark of Kalt]], ''[[Chronicon Pictum]]''."
https://mek.oszk.hu/[...]
[26]
문서
"[[Mark of Kalt]], ''[[Chronicon Pictum]]''."
https://mek.oszk.hu/[...]
[27]
문서
"[[Gesta Hungarorum]]"
https://discovery.uc[...]
2009
[28]
문서
"[[Gesta Hungarorum]]"
https://discovery.uc[...]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